[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3670B1 -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 Google Patents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670B1
KR100193670B1 KR1019960042085A KR19960042085A KR100193670B1 KR 100193670 B1 KR100193670 B1 KR 100193670B1 KR 1019960042085 A KR1019960042085 A KR 1019960042085A KR 19960042085 A KR19960042085 A KR 19960042085A KR 100193670 B1 KR100193670 B1 KR 10019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dy portion
head
insert member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801A (ko
Inventor
권용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6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670B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차체 패널에 다양한 부품 및 장치류를 마운팅 또는 로케이숀을 하기 위해 다수개 형성되는 그로멧트 홀의 조립 공정 완료후 차체에 그냥 남게 되는 그로멧트 홀을 통해 차 실내로 진동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걸림 돌기(26)가 형성된 원형의 몸체부(24)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42)이 형성되고, 이 몸체부(24)의 상부에 보강부(22)가 형성되며, 이 몸체부(24)의 하부에 환형 홈부(282)를 구비하는 플랜지부(28)가 형성되는 인서트 부재(20)와, 머리부(12)가 상부에 형성되고, 중앙 하부로 멈춤 돌기(16)가 형성되는 몸체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2) 하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며 방사상으로 수직 하향되어 단부가 수평상으로 내향되어 절곡된 보강리브(18)가 형성되는 마운팅 부재(10)로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 패널에 다양한 부품 및 장치류를 마운팅 또는 로케이숀을 하기 위해 다수개 형성되는 그로멧트 홀의 조립 공정 완료후 차체에 그냥 남게 되는 그로멧트 홀을 통해 차 실내로 진동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에 관통되는 홀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방사상의 보강부 갈래가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원형의 플랜지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 홀의 몸체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그로멧트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서트 부재와, 인서트 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이 몸체부 하단부에 멈춤 돌기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평면상의 머리부가 구비되며, 이 머리부의 하부로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된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마운팅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마운팅 부재의 몸체부에 형성되는 멈춤 돌기 상부면에 인서트 부재의 플랜지부 저면부가 면접되어 고정되게 하고, 상기 마운팅 부재의 보강리브가 인서트 부재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인서트 부재의 보강부 그리고 마운팅 부재의 머리부 및 패킹에 의해 그로멧트 홀이 복개되도록 하는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는 프레임위에 설치되거나, 현가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적재 수용하는 부분이며, 프레임과 별도로 된 것과, 프레임과 일체로 된 것이 있으며, 이러한 차체는 프런트 바디와 언더 바디 및 사이드 바디 그리고 리어 바디로 구별되는데, 상기 프런트 바디는 차체의 전방 최전단부로부터 엔진룸을 포함하여 프런트 윈도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좌우 프런트 필라와 결합하고 있는 제 패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런트 바디의 설계는 차량의 정면충돌 사고시 실내에 충격력을 최대한 완화하기 위해 전후 방향의 적절한 강성 조절을 통하여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충돌시 엔진 및 스티어링계의 부품들이 차 실내로 침입되는 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룸 설계시에는 엔진의 종류에 따른 관련 파트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 와이어 하네스의 취부 경로, 배터리의 취부 위치 및 기타 보조 부품의 위치에 대하여 고유 성능 보호, 작업성, 보수점검성, 노이즈의 차 실내 유입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 제작되고 있다.
상기 언더 바디는 엔진 마운팅 트랜스미션 리어 휠 드라이버의 현가 장치 등의 구동장치가 직접 취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직접 외력을 받고 있는 자체 구조물이므로 부재는 요소 요소에 보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트럭과는 달리 프레임이 없는 타입의 입체 구조로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프레임 타입 보다 차량 중량이 가볍고 프레임 이외의 바디와 일체식이므로 강성이 높은 설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며, 박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양산성이 높다. 그러나 동력전달장치 에서의 소음 진동이 바디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진 방음 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플로어면에 비드 및 멤버류를 고려하여 제작된다. 또한 트렁크 플로어면에 스페어 타이어 및 연료 탱크 마운팅 위치 설정 시에는 충돌 사고시의 에너지 흡수와 연료 누수 방지를 고려하여 설계 제작된다.
상기 사이드 바디는 차량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구조 부재로써 차량 전복 및 측면 충돌시 차량의 변형을 억제하고 내구 강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각 필라의 벨트 라인 상부 단면은 시게를 넓게 하기 위해 가능케 하는 경향이 있지만 차체의 벤딩 및 비틀림 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상기 벨트 라인의 하단부는 상부와 비교하여 단면이 크고 강성이 급하게 변하는 부위도 많지만 도어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강성 저하를 고려하여 제작되고 있다. 또한 사이드 바디의 리어 휠 부근에서는 일반적으로 주행 중에 외표면의 부압이 높기 때문에 이 부위에 환기구를 설치한다.
상기 리어 바디는 승객실의 뒤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물실로 되는 부분과 사이드 바디 및 언더 바디의 일부를 포함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조적으로 리어 바디는 객실과 트렁크 룸이 패널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좌우의 사이드 바디가 붙어 있는 구조와, 객실과 트렁크 룸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구조로 구분된다.
상기 객실과 트렁크 룸이 분리되는 경우의 차량은 셀프 페널 및 시트 백 서포트가 차체의 비틀림 강성에 의외로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객실과 트렁크 룸이 구분되지 않는 차량은 셀프 패널 및 시트 백 서포트가 없어 후면 개구부 주변을 2중 구조 또는 전부 밀폐 단면의 구조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 바디에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는 그로멧트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전장 부품의 와이어 하네스가 통과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 및 장치들을 마운팅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그로멧트 홀로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 하네스 및 웰드 너트를 용접 작업으로 고정하여 각종 부품 및 장치류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그로멧트 홀의 사용시 또는 사용되지 않을시에는 자동차의 진동 소음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테이프 또는 익스텐션 너트 및 클립 등으로 막아 두고 있다.
그러나 상기 그로멧트 홀은 그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구비되어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를 구비하는 그로멧트 홀에 맞는 테이프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또한 직경이 다양한 익스텐션 너트 및 클립 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양한 직경에 따른 복개 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직경에 맞게 복개 부재를 선택하여 그로멧트 홀을 막아 주게 됨으로써 작업 시간의 지연 및 작업의 곤란성으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 패널에 다양한 부품 및 장치류를 마운팅 또는 로케이숀을 하기 위해 다수개 형성되는 그로멧트 홀의 조립 공정 완료후 차체에 그냥 남게 되는 그로멧트 홀을 통해 차 실내로 진동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신속하게 그로멧트 홀을 막아둘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외주면에 상부면이 수평면을 구비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원형의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몸체부의 상부에 4 방향으로 갈래지게 수평상으로 보강부가 형성되며, 이 몸체부의 하부에 환형 홈부를 구비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인서트 부재와, 수평면을 구비하는 원형의 머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중앙 하부로 동심원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단부에 상부면이 수평면을 구비하는 멈춤 돌기가 형성되는 몸체부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 하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며 방사상으로 수직 하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단부가 수평상으로 내향되어 절곡된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마운팅 부재로 구성되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의 몸체부 및 플랜지부가 그로멧트 홀을 관통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보강부가 패킹 부재와 면접되어 그로멧트 홀의 상부면 둘레에 면접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의 몸체부가 상기 인서트 부재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멈춤 돌기의 상부면이 인서트 부재의 플랜지부 저면을 받쳐주며, 상기 마운팅 부재의 보강리브 하단부가 인서트 부재의 플랜지부 상부면과 걸림돌기의 사이에 결합되어 중단부가 외향되게 구부러지면서 결합됨과 동시에 머리부의 저면이 상기 보강부의 상부면에 면접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재의 저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재의 단면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부재의 평면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부재의 단면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운팅 부재 (12) : 머리부
(14) : 몸체부 (16) : 멈춤 돌기
(18) : 보강 리브 (20) : 인서트 부재
(22) : 보강부 (24) : 몸체부
(26) : 걸림 돌기 (28) : 플랜지 부
(30) : 그로멧트 홀 (32) : 차체 패널
(242) : 관통홀 (282) : 환형 홈부
도 1 내지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은 마운팅 부재(10)와 인서트 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부재(10)는 머리부(12)와, 몸체부(14)와, 보강리브(18)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2)는 원형을 구비함과 동시에 수평면을 구비하며 일정한 두께를 구비하며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2)는 상부면이 좁고 하부면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4)는 머리부(12)의 정중앙 하부에 동심원으로 구비되고,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며, 중단 하부에는 상부면이 수평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부면이 경사면을 구비하는 멈춤 돌기(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4)는 머리부(12) 보다는 좁은 직경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8)는 도 2 에서와 같이 몸체부(14)를 중심으로 4 방향에 형성되고, 머리부(12)의 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는 내향되게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8)의 저면부는 몸체부(1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보강리브(18)의 사이마다 공간부가 형성되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4)에 일체로 형성되는 멈춤 돌기(16)는 보강리브(18)의 하단부 보다는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2), 몸체부(14), 보강리브(18)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 부재(20)는 보강부(22)와, 몸체부(24)와, 플랜지부(28)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22)는 4 방향으로 수평면을 구비하며 갈래 지게 구비되고, 일정한 두께를 구비하며, 일정한 거리를 구비하며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4)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동심원을 구비하며 관통되는 관통홀(242)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부면이 수평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부면이 경사면을 구비하는 걸림 돌기(26)가 구비되어 형성된다.
상기 4 방향으로 갈래져서 형성되는 몸체부(24)중 대칭되는 어느 한 쌍의 몸체부(24)와 상기 걸림 돌기(26)가 동일한 방향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4)의 걸림 돌기(26)와 보강부(22)는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유지하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8)는 상부면에 동심원을 구비하는 환형홈부(282)가 구비되어 형성되며, 하부면이 복개되어 평면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22), 몸체부(24), 플랜지부(28)는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외주면에 상부면이 수평면을 구비하는 걸림 돌기(26)가 형성된 원형의 몸체부(24)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42)이 형성되고, 이 몸체부(24)의 상부에 4 방향으로 갈래 지게 수평상으로 보강부(22)가 형성되며, 이 몸체부(24)의 하부에 환형 홈부(282)를 구비하는 플랜지부(28)가 형성되는 인서트 부재(20)와, 수평면을 구비하는 원형의 머리부(12)가 상부에 형성되고, 중앙 하부로 동심원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단부에 상부면이 수평면을 구비하는 멈춤 돌기(16)가 형성되는 몸체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2) 하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며 방사상으로 수직 하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단부가 수평상으로 내향되어 절곡된 보강리브(18)가 형성되는 마운팅 부재(10)로 구성되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몸체부(24) 및 플랜지부(28)가 그로멧트 홀을 관통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보강부(22)가 패킹 부재와 면접되어 그로멧트 홀의 상부면 둘레에 면접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10)의 몸체부(14)가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관통홀(242)에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멈춤 돌기(16)의 상부면이 인서트 부재(20)의 플랜지부(28) 저면을 받쳐 주며, 상기 마운팅 부재(10)의 보강리브(18) 하단부가 인서트 부재(20)의 플랜지부(28) 상부면과 걸림 돌기(26)의 사이에 결합되어 중단부가 외향되게 구부러지면서 결합됨과 동시에 머리부(12)의 저면이 상기 보강부(22)의 상부면에 면접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차체 패널(32)에 형성된 그로멧트 홀(30)에 인서트 부재(20)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그로멧트 홀(30)의 구멍 둘레에 패킹 부재(34)를 면접시킴과 동시에 보강부(22)를 이 패킹 부재(34)의 상부면에 면접되게 하여 몸체부(24)와 플랜지부(28)가 그로멧트 홀(30)에 관통되어 하부에 설치되게 한다.
상기 인서트 부재(30)의 몸체부(24)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42)로 마운팅 부재(10)의 몸체부(14)를 삽입하되, 이 몸체부(14)의 멈춤 돌기(16)의 상부면이 인서트 부재(20)의 플랜지부(28) 하부면을 받쳐 주도록 결합하면서 머리부(12)를 상기 보강부(22)의 상부면에 면접되게 하면 마운팅 부재(10)의 보강리브(18)는 하단부가 플랜지부(28)의 환형 홈부(282) 및 걸림 돌기(26)의 사이에 결합됨과 동시에 외향되게 구부러져서 마운팅 부재(10)가 인서트 부재(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보강부(22)와 패킹 부재(34) 그리고 마운팅 부재(10)의 머리부(12)는 그로멧트 홀(30)의 구멍 둘레에 긴밀하게 면접되고, 마운팅 부재(10)의 보강리브(18)가 구부러져 위치함으로써 이 보강리브(18)에 의해 인서트 부재(20)가 그로멧트 홀(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마운팅 부재(10)의 멈춤 돌기(16)와 인서트 부재(20)의 플랜지부(28)가 결합되어 상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과 직경을 구비하는 그로멧트 홀(3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복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함과 아울러 장착후 차 실내로 진동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a) 걸림 돌기(26)가 형성된 원형의 몸체부(24)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42)이 형성되고, 이 몸체부(24)의 상부에 보강부(22)가 형성되며, 이 몸체부(24)의 하부에 환형 홈부(282)를 구비하는 플랜지부(28)가 형성되는 인서트 부재(20)와;
    b) 머리부(12)가 상부에 형성되고, 중앙 하부로 멈춤 돌기(16)가 형성되는 몸체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2) 하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며 방사상으로 수직 하향되어 단부가 수평상으로 내향되어 절곡된 보강리브(18)가 형성되는 마운팅 부재(10)로 구성되어서;
    c)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몸체부(24) 및 플랜지부(28)가 그로멧트 홀을 관통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보강부(22)가 패킹 부재와 면접되어 그로멧트 홀의 상부면 둘레에 면접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10)의 몸체부(14)가 상기 인서트 부재(20)의 관통홀(242)에 삽입 결합되어 멈춤 돌기(16)의 상부면이 인서트 부재(20)의 플랜지부(28) 저면을 받쳐 주며, 상기 마운팅 부재(10)의 보강리브(18) 하단부가 인서트 부재(20)의 플랜지부(28) 상부면과 걸림 돌기(26)의 사이에 결합되어 중단부가 외향되게 구부러지면서 머리부(12)의 저면이 상기 보강부(22)의 상부면에 면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KR1019960042085A 1996-09-24 1996-09-24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KR10019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085A KR100193670B1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085A KR100193670B1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801A KR19980022801A (ko) 1998-07-06
KR100193670B1 true KR100193670B1 (ko) 1999-06-15

Family

ID=6632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085A KR100193670B1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6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801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87205B1 (en) Vehicle trunk lid
KR100193670B1 (ko)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클립
JP3497762B2 (ja) 自動車におけるスペアタイヤの支持構造
KR19980022802A (ko) 자동차 그로멧트 홀용 마운팅 부재
KR100193669B1 (ko) 자동차용 센터링 웰드 너트
KR100312153B1 (ko) 자동차의 3열 시트 취부구조
JPH0986171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JP3237389B2 (ja) トランクフロアトリムの取付け方法
KR19980028535U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200150434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어셈블리
JPH03246172A (ja) 車両用キャブの補強機構
KR200146498Y1 (ko) 자동차 차체 전착 도장용 홀의 구조
KR200245207Y1 (ko) 자동차용크로스멤버의마운팅부쉬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00263650B1 (ko) 자동차의지지바의사이드바디패널결합구조
KR100512444B1 (ko) 충돌 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조수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설치구조
KR200152928Y1 (ko) 소형화물차의 프론트 플로어판넬과 리어플로어판넬 연결구조
KR19980024588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19980024639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20030032139A (ko) 보강프레임을 구비한 대쉬패널
KR19980024595U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80048831U (ko) 차량용 대쉬패널
KR19980024230U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브라켓 정위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9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