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3525B1 -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525B1
KR100193525B1 KR1019950012129A KR19950012129A KR100193525B1 KR 100193525 B1 KR100193525 B1 KR 100193525B1 KR 1019950012129 A KR1019950012129 A KR 1019950012129A KR 19950012129 A KR19950012129 A KR 19950012129A KR 100193525 B1 KR100193525 B1 KR 10019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tool box
hole
bracke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364A (ko
Inventor
박두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1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525B1/ko
Publication of KR96004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5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주행 중 심한 진동에 의해 잠금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공구박스의 잠금 스프링을 제거하여 잠금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로서, 함체의 일 측이 개구되고, 상기 함체의 개구부 일단에 덮개체가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일단에는 스프링력에 부세하여 설치된 걸림고리와 체결되기 위한 걸림체가 형성된 자동차용 공구박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상부에 돌출형성된 브라케트(12)가 용접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케트(12) 내에 체결되며 360°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걸림돌기(31)가 형성된 걸림고리(30)와; 상기 걸림고리(30)가 상기 덮개체(20)에 형성된 걸림체(21)의 해제구멍(21a)을 통하여 회동된 후 체결구멍(21b)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공구박스를 나타낸 도.
제2a도는 제1도의 A부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2b도는 제1도의 A 방향에서 본 일부절결도.
제3도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구박스를 나타낸 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몸체에 형성된 걸림쇠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요부확대도.
제6a도는 제5도의 C-C선 단면도.
제6b도는 동도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구박스 10 : 함체
20 : 덮개체 21 : 걸림체
21a : 해제구멍 21b : 체결구멍
30 : 걸림고리 31 : 걸림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주행 중심한 진동에 의해 잠금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공구박스의 잠금 스프링을 제거하여 잠금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구박스는 제 1도 및 제2도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박스(1) 본체(이하 함체라함)(10)내에 관통 구멍(10a)이 형성됨과 동시에 얇은 판 스프링(110)이 서로 대향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멍(10a)을 통하여 회전 운동가능한 걸림고리(200)가 삽입된 후 일 측에 상기 판 스프링(110)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밀림방지용판(300)이 설치된다.
또, 상기 함체(10)에 형성된 걸림고리(200)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저지되는 덮개체(20)는 수직으로 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교차하는 방향에 수평홈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자동차가 주행 중 특히 노면 상태의 불량에 의하여 자동차가 덜컹거리고 상기 공구박스를 체결하고 있던 걸림고리가 상기 진동에 의해 자주 풀렸기 때문에 별도의 자물쇠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서 소비자의 불만이 높았다.
예를들면, 상기 함체 내에 형성된 판 스프링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강성(탄성력)을 상실하므로써, 진동에 의하여 상기 걸림고리가 시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덮개체가 상기 걸림고리로 부터 이탈되어 각종 공구가 외부로 노출 또는 쏟아지는 일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체에 걸림고리가 걸림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십자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약간의 깊이를 가지는 절곡부를 형성시켜 상기 절곡부에 걸림고리가 걸림으로서 회동을 저지토록 하여 상기 덮개체가 함체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공구박스에 사용되는 걸림고리를 탄성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스프링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줄이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함체의 일 측이 개구되고, 상기 함체의 개구부 일단에 덮개체가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일단에는 스프링력에 부세하여 설치된 걸림고리와 체결되기 위한 걸림체가 형성된 자동차용 공구 박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상부에 돌출형성된 브라케트가 용접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케트 내에 체결되며 360°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걸림체의 해제구멍을 통하여 회동된 후 체결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림체의 해제구멍 및 체결구멍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해제구멍은 걸림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구멍은 상기 걸림고리가 회동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긴 걸림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박스(1)는 도시하지 않은 공구를 저장하기 위한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일 측에 형성된 힌지(11)에 의하여 상하 자유롭게 개폐되는 덮개체(2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함체(10)와 덮개체(20)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함체(10) 상단부에 브라케트(12)를 용접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다.
또 상기 브라케트(12)는 돌출형성되며, 그 내부에 일단에 걸림돌기(31)가 형성된 걸림고리(30)를 360°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걸림고리(30)는 덮개체(20)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체(21)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걸림체(21)에는 해제구멍(21a) 및 체결구멍(21b)이 형성된다.
예를들면 상기 걸림체(21)의 해제구멍(21a) 및 체결구멍(21b)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해제구멍(21a)은 걸림고리(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또 상기 체결구멍(21b)은 상기 걸림고리(30)가 회동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긴 걸림홈(2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 장치는, 제6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박스(1)의 함체(10) 상부에 형성된 브라케트(12)에 일정한 압으로 유지되어 있던 걸림체(21)가 제6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리(30)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걸림체(21)에 형성된 걸림홈(21a')으로부터 이탈된 후, 해제구멍(21a)과 수직되게 맞도록 위치 시켜 상기 덮개체(20)를 위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함체(10)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공구박스는 함체에 형성된 브라케트와 걸림고리가 덮개체의 걸림체를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므로써 충격 또는 심한 진동에도 상기 함체와 덮개체는 항상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밀림방지용 판이나 판스링 등의 불필요한 제품 수를 줄임으로써, 사용되는 재료 및 공정 수를 절감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함체의 일 측이 개구되고, 상기 함체의 개구부 일단에 덮개체가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일단에는 스프링력에 부세하여 설치된 걸림고리와 체결되기 위한 걸림체가 형성된 자동차용 공구박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상부에 돌출형성된 브라케트가 용접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케트 내에 체결되며 360°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에 걸림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걸림체의 해제구멍을 통하여 회동된 후 체결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의 해제구멍 및 체결구멍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해제구멍은 걸림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구멍은 상기 걸림고리가 회동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긴 걸림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KR1019950012129A 1995-05-16 1995-05-16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19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129A KR100193525B1 (ko) 1995-05-16 1995-05-16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129A KR100193525B1 (ko) 1995-05-16 1995-05-16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364A KR960041364A (ko) 1996-12-19
KR100193525B1 true KR100193525B1 (ko) 1999-06-15

Family

ID=6652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1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3525B1 (ko) 1995-05-16 1995-05-16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5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364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694B1 (ko) 차량 도어 래치 장치
US4094173A (en) Vehicle lock
US4041741A (en) Automobile trunk guard
JPS5931633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193525B1 (ko)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US4366683A (en) Locking latch for a hatch door or the like
KR0110090Y1 (ko)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KR0110092Y1 (ko)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KR0110091Y1 (ko) 자동차용 공구박스의 잠금장치
US4986606A (en) Automobile medallion anti-theft locking device
JPS5834934Y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ロッキングノブの防振ガイド
JPH0717591Y2 (ja) 自動車用小物入れ
KR100192261B1 (ko) 글로브 박스 로킹장치
KR100463389B1 (ko) 권취롤 고정장치
JPH0586752A (ja) カーテシスイツチ内蔵ドアロツクストライカ
KR0118537Y1 (ko) 자동차의 벨크랭크
JPS5847182Y2 (ja) 車輛用ストライカの防盗装置
JPS5840204Y2 (ja) ドア−ロック装置のための防振機構
JPH0626019Y2 (ja) プロテクタのロック構造
JP3062870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鍵穴保護装置及び鍵穴保護装置付自動二輪車
JPH0647548U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H0544209Y2 (ko)
JPH0343333Y2 (ko)
JPH0241259Y2 (ko)
JPS593075Y2 (ja) 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1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5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