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865B1 - Headlamp switch - Google Patents
Headlamp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2865B1 KR100192865B1 KR1019960060777A KR19960060777A KR100192865B1 KR 100192865 B1 KR100192865 B1 KR 100192865B1 KR 1019960060777 A KR1019960060777 A KR 1019960060777A KR 19960060777 A KR19960060777 A KR 19960060777A KR 100192865 B1 KR100192865 B1 KR 100192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switch lever
- headlight
- fixed contact
- insertion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1단 및 2단으로 점등조작하기 위한 자동차의 헤드라이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외면에 가압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탄성볼(12)이 장착되며, 타측 외면에 헤드라이트의 1단점등을 위한 제1고정접점(14) 및 2단점등을 위한 제2고정접점(16)이 고정된 스위치 레버(10)와; 상기 스위치 레버(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외삽되고, 일측 내면에 상기 스위치 레버(10)의 탄성볼(12)이 미끄럼 이동하면서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24a~24d)을 갖는 가이드 홈(24)이 형성되며, 타측 내면에 상기 스위치 레버(10)의 제1고정접점(14)과 제2고정접점(16)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슬라이드 커버(2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ride switch of a vehicle for lighting operation of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to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the elastic ball 12 of the pressurized state by the pressing spring 28 is mounted on one outer surface, A switch lever 10 on which the first fixed contact point 14 for the first light and the second fixed point light for the second light of the headlight are fixed to the other outer surface; Guide grooves 24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4a to 24d that are slidably extrapolated to the switch lever 10 and inserted into the elastic ball 12 of the switch lever 10 on on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lever 10 by sliding. The slide cover 20 is formed on the other inner surface a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contact point 14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point 16 of the switch lever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의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채용하여 오조작을 방지하고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switch for an automobi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headlight switch capable of preventing misoperation and increasing driving convenience by employing a slide type headlight switch.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조명등과, 신호등 및 표시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명등에는 차량의 전방영역을 조명하는 전조등과, 후진시 후방영역을 조명하는 후진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비가 오거나 안개지역을 통과할 때 사용하는 안개등 및 차실내의 조명을 위한 실내등이 있다.The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may be classified into a light lamp, a traffic light, and an indicator light. Here, the lamp includes a headlight for illuminating the front area of the vehicle, and a reversing lamp for illuminating the rear area when reversing, and there are other fog lamps used when raining or passing through the fog area, and indoor lights for lighting in the cabin. .
또한, 전조등(head light)은 조사거리와 방향에 따라 상향빔과 하향빔으로 구분되며, 상향빔은 하향빔에 비해 조사거리가 길어 멀리까지 조사된다. 이와 같이 상향빔은 원거리까지 보다 넓게 조명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해주는 반면에, 마주 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방해를 주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한다.In addition, the head light is classified into an upstream beam and a downbeam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distance and the direction, and the upstream beam is irradiated far away because the irradiation distance is longer than that of the downward beam. In this way, the upward beam widens the driver's field of view by illuminating a wider distance, but is used only in special cases because it interferes with the driver of the oncoming vehicle.
제1도는 종래의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이것은 스티어링 칼럼에 고정된 스위치 레버(1)에 로터리 커버(2)를 장착한 다음, 필요에 따라 로터리 커버(2)를 회전시켜 전조등을 점등하는 방식이다. 야간 주행시에 운전자는 오프(off)상태에 있던 로터리 커버(2)를 한단계 회전시키면, 계기판이나 오디오를 조명함과 동시에 미등 및 헤드라이트 1단 상태로 점등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터리(2)를 한단계 더 회전시키면, 헤드라이트 2단 상태로 되어, 상술한 하향빔을 점등시킴으로써, 전방영역을 조사하게 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eadlight switch, in which a rotary cover 2 is mounted on a switch lever 1 fixed to a steering column, and then the rotary cover 2 is rotated as necessary to control the headlamp. It is a way to light. When the driver rotates the rotary cover 2, which is in the off state, by one level at night driving, the driver illuminates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audio and lights it in the first stage of the tail light and the headlight. In this state, if the rotary 2 is rotated one step further, the headlight is in a two-stage state, and the front region is irradiated by turning on the above-mentioned downward beam.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는 로터리 방식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차량의 특성에 익숙하지 않거나 초보 운전자의 경우에는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잘못 조작할 수 있으며, 로터리 커버가 회전된 경우에도 길이는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전조등을 켜놓은 상태에서 하차하는 경우가 많다.The conventional automotive headlight switch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dopts a rotary method, and therefore, if the driver is un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or a novice driver, the headlight switch may be incorrectly operated. Since it is always kept constant, people often get off with their headlights on.
통상, 키를 오프 상태로하여 시동을 끄면 상향빔 및 하향빔은 자동으로 꺼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도 밧데리 전기는 계속 공급되기 때문에, 헤드라이트 1단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어 미등 및 계기판 램프를 계속 점등시킴으로써, 밧데리가 방전되는 문제가 있다.Normally, the up and down beams ar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urn off when the key is turned off and the starter is turned off. However, since the battery power is still supplied even when the engine is stopped, the first stage of the headlight is maintained as i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ttery is discharged by continuously lighting the instrument panel lamp.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스위치 레버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밀면서 전조등을 점등하므로, 조작이 부드럽고 점등상태에 따라 커버의 길이가 변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쉽게 현재의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판단하여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lights up the headlight while pushing the slide cover sliding along the switch lever, so that the operation is smooth and the length of the cover changes according to the lighting stat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turn on the current headligh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light switch for an automobile that can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by determining the state.
제1도는 종래의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eadlight switch.
제2도는 본 발명의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light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슬라이드 커버의 구성을 2등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Figure 3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 cover of the headligh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wo parts.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의 구성을 2등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Figure 3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lever of the headligh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wo parts.
제4a도 및 제4b도는 제3a의 선 A-A와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3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스위치 레버 10a : 걸림턱10: switch lever 10a: locking jaw
12 : 탄성볼 14,16 : 제 1,2고정접점12: elastic ball 14,16: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
20 : 슬라이드 커버 20a : 걸림단20: slide cover 20a: locking end
24 : 가이드 홈 24a~24d : 삽입홈24: guide groove 24a ~ 24d: insertion groove
26 : 이동접점 28 : 가압 스프링26: moving contact 28: pressure sprin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1단 및 2단으로 점등조작하기 위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스위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에 부착되고, 일측 외면에는 가압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탄성볼이 장착되며, 타측 외면에 헤드라이트의 1단점등을 위한 제1고정접점 및 2단점등을 위한 제2고정접점이 고정된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레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외삽되고, 일측 내면에는 스위치 레버의 탄성볼이 미끄럼 이동하면서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을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타측 내면에 상기 스위치 레버의 제1고정접점과 제2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슬라이드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headlight switch of a vehicle for lighting a headlight of a vehicle in one stage and two stages, and is attached to a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and is elastically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a pressure spring on one side surface. A switch lever having a ball mounted thereon and having a first fixed contact point for one-point light and a second fixed contact point for two-point light on the other outer surface thereof; Extrapolated to the switch lever to be slidably, one side inner surfac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re inserted while sliding the elastic ball of the switch lever, the first fixed contact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point of the switch lever on the other inner surface It is achieved by a headlight switch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cover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tationary contact.
이하, 첨부한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eadlight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제2도는 본 발명의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있고,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슬라이드 커버의 구성을 2등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3b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의 구성을 2등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4a도 및 제4b도는 제3a도의 선 A-A와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light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 cover of the headligh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wo parts, Figure 3b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lever of the headligh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wo parts, and Figs. 4A and 4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AA and BB of Fig. 3A.
먼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라이트 스위치에서는 종래의 로터리 커버 대신에, 스위치 레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헤드라이트 1단 및 2단 점등상태로 변환하는 슬라이드 커버(20)를 채용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First, as shown in FIG. 2, in the headligh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conventional rotary cover, the headlight switch is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lever 10 to switch to the first and second stage lighting states. The slide cover 20 is adopt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야간 주행시에 운전자는 오프(off)상태에 있던 슬라이드 커버(20)를 스위치 레버(10)를 따라 스티어링 칼럼쪽으로 한단계 전진시키면, 계기판이나 오디오를 조명함과 동시에 미등 및 헤드라이트 1단 상태로 점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커버(20)를 한단계 더 전진시키면, 헤드라이트 2단 상태로 되어, 하향빔을 점등시킴으로써, 전방영역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를 다음의 제3도 및 제4도에서 설명한다.When driving at night, the driver advances the slide cover 20 which is in an off state by one step along the switch lever 10 toward the steering column, and lights up the tail light and the headlight 1 stage while illuminating the instrument panel or audio. . In this state, when the slide cover 20 is advanced one step further, the headlight is in a two-stage state, and the front beam is irradiated by lighting the downward beam, and the detailed structure thereof is shown in FIGS. 3 and 4 below. This is explained in
먼저,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커버(20)의 일측 전반부의 내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24a~24d)을 지닌 가이드 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24)과 대향으로 배치되는 타측 절반부의 내면에는 이동접점(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레버(10)를 기준으로, 스티어링 칼럼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단부에는 걸림단(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먼 쪽에 배치되는 단부에는 차폐막(20b)을 통해 막혀 있어 내부의 부품을 보호한다.First, as shown in FIG. 3a, a guide groove 24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4a to 24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front half of the slide cov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contact 26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half portion which is disposed opposite to the guide groove 24. In addition, a locking end 20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witch lever 10 near the steering column, and the end of the switch lever 10 is blocked by the shielding film 20b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
다음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에 설치되는 스위치 레버(10)의 일측 외면에는 상술한 슬라이드 커버(20)의 가이드 홈(2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제 1 내지 제 4삽입홈(24a~24d)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탄성볼(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탄성볼(12)과 대향으로 배치되는 타측에는 상술한 슬라이드 커버(20)의 이동접점(26)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조등을 1단 또는 2단으로 점등시키는 제 1고정접점(14)과 제 2고정접점(16)이 설치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first to fourth insertions are slid along the guide grooves 24 of the slide cover 20 described above to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switch lever 10 provided in the steering column. The elastic ball 12 which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grooves 24a to 24d is mounted. In addition, the other side disposed opposite to the elastic ball 12 is selectively made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26 of the above-described slide cover 20 to maintain the energized state, the agent for lighting the headlight in one or two stages The 1st fixed contact 14 and the 2nd fixed contact 16 are provided.
여기에서, 탄성볼(12)은 제4a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외압이 작용하지 않는 항상 가이드 홈(24)의 삽입홈(24a~24d)중 하나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 1고정접점(14)은 제 2고정접점(16)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접점(26)과 제 1고정접점(14)이 접속되면 헤드라이트1단 점등상태가 되며, 그 이동접점(26)이 및 제 1고정접점(14) 및 제 2고정접점(16)에 동시에 접속되면 헤드라이트 2단 점등상태로 되어 하향빔을 점등시킨다.Here, the elastic ball 1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28,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4a,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24a ~ 24d) of the guide groove 24 at all times that no external pressure It was to remain inserted in one of the states.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xed contact point 14 is formed longer than the second fixed contact point 16, when the movable contact point 26 and the first fixed contact point 14 are connected, the headlight 1 stage is turned on. When the moving contact 26 and the first fixed contact 14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6 are connected at the same time, the headlights are turned on in two stages to light up the down beam.
다음에, 제4a도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24)은 가압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스위치 레버(10)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볼(12)이 미끄럼 이동하면서 삽입홈(24a~24d)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굴곡된 형성을 지닌다. 또한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의 가이드 홈(24)에 형성된 제 2삽입홈(24b)과 제 3삽입홈(24c)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 2삽입홈(24b)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볼(12)이 자중에 의해 제 3삽입홈(24c)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단면이 만곡된 모양으로 형성하였다.Next, referring to FIG. 4A, the guide groove 2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4a through the slide of the elastic ball 12 mounted on the switch lever 10 while being pressed by the pressure spring 28. 24d) has a curved formation so that it can be inserted smoothl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4b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4c formed in the guide groove 24 of the slide cover 20 are vertically disposed,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 The elastic ball 12 inserted into the 24b)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elastic ball 12 can be lower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24c by its own weight.
다음에는 제3a도 내지 제4b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식 헤드라이트 스위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하면, 제3a도의 슬라이드 커버(20)와 제3b도의 스위치 레버(10)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탄성볼(12)과 이동접점(26)의 이동과정을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Next, referring to FIGS. 3A to 4B,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lide type headlight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lide cover 20 of FIG. 3A and the switch lever 10 of FIG. 3B are understood. In order to assist, the moving process of the elastic ball 12 and the moving contact 26 is shown in phantom lines.
먼저,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볼(12)이 제 1위치(P1)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커버(20)의 이동접점(26)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위치(P1')에 있게 되며, 이때에는 이동접점(26)과 고정접점(14), (16)이 접속되지 않으므로, 전조등은 오프상태를 유지한다.First, as shown in FIG. 3A, when the elastic ball 12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movable contact 26 of the slide cover 20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3B). P1 '), since the moving contact 26 and the fixed contact 14, 16 are not connected, the headlamp remains off.
다음에,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10)를 밀어 탄성볼(12)이 제 2위치(P2)로 이동하면 슬라이드커버(20)의 이동접점(26)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위치(P2')에 있게 되며, 이때에는 이동접점(26)과 제 1고정접점(14)이 접속됨으로써, 헤드라이트 1단 상태로 됨으로써, 미등 및 계기판이나 오디오를 점등한다.Next, as shown in FIG. 3A, when the elastic ball 12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P2 by pushing the switch lever 10, the movable contact 26 of the slide cover 20 is shown in FIG. 3B.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position P2 'is positioned. At this time, the movable contact 26 and the first fixed contact 14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age of the headlight, thereby lighting the tail light,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audio. .
이때, 탄성볼(12)은 자중에 의해 제 2삽입홈(24b)으로부터 제 3삽입홈(24c)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 바, 즉 제3a도에 도시된 제3위치(P3)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접점(26) 또는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위치(P3')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는 물론 이동접점(26)의 단부가 여전히 제1접점(14)과 접촉상태를 이루게 되어 전조등의 1단점등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만일, 이 상태에서 헤드라이트를 끄려면, 슬라이드 커버(20)를 스티어링 칼럼 외측으로 당기면 된다. 그에 따라 탄성볼(12)은 제 3삽입홈(24c)으로부터 가이드 홈(24)의 만곡부(2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제 1삽입홈(24a)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접점(26)이 제1위치(P1')로 이동되어 제 1고정접점(14)간의 접속상태가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ball 12 is slid from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4b 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24c by its own weight, that is, move to the third position P3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movable contact 26 or 3b moves to the third position P3 ', as shown in FIG. 3, where the end of the movable contact 26 is still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14. The 1 st lighting state of the headlight is continuously maintained. If the headlights are to be turned off in this state, the slide cover 20 may be pulled out of the steering column. Accordingly, the elastic ball 12 is moved from the third insertion groove (24c)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a) while sliding along the curved portion 22 of the guide groove (24), the moving contact 26 is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fixed contacts 14 is released by moving to one position P1 '.
역으로,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를 스위치 커버(10)를 향해 다시 한 번 밀면 탄성볼(12)이 제3위치(P3)로부터 제4위치(P4)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이동접점(26)은 제3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4위치(P4')로 이동되어 이동접점(26)과 제1고정접점(14) 및 제2고정접점(16)이 동시에 접속되어 헤드라이트 2단 상태로 됨으로써, 미등 및 계기판 뿐만 아니라 하향빔도 점등하므로 전방영역을 조사할 수 있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3A, when the slide cover 20 is pushed again toward the switch cover 10, the elastic balls 12 move from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ourth position P4. Accordingly, the movable contact 26 is moved to the fourth position P4 ', as shown in FIG. 3b, so that the movable contact 26, the first fixed contact 14,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6 are simultaneously. By being connected and being in the headlight two-stage state, not only the tail lamp and the instrument panel but also the down beam are lit, the front area can be irradiated.
이러한 상태에서, 전조등을 끄려면, 슬라이드 커버(20)를 스티어링 칼럼 외측으로 당기면 된다. 그에 따라 탄성볼(12)은 제 4삽입홈(24d)으로부터 제 3삽입홈(24c)을 경유하여, 가이드 홈(24)의 만곡부(2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제 1삽입홈(24a)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접점(26)과 제 1고정접점(14) 및 제 2고정접점(16)간의 접속을 해제하여 전조등을 오프시킨다.In this state, to turn off the headlight, the slide cover 20 may be pulled out of the steering column. Accordingly, the elastic ball 12 is slid along the curved portion 22 of the guide groove 24 via the third insertion groove 24c from the fourth insertion groove 24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a. By mov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26, the 1st fixed contact 14, and the 2nd fixed contact 16 is canceled, and a headlamp is turned off.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는 스위치 레버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밀면서 전조등을 점등하므로, 조작이 부드럽고 점등상태에 따라 커버의 길이가 변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쉽게 전조등이 켜있는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밧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headlight switch for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urns on the headlight while pushing the slide cover sliding along the switch lever, so that the operation is smooth and the length of the cover changes according to the lighting stat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turn on the headlight. By judging a state, it has an effect which can prevent discharge of a battery.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0777A KR100192865B1 (en) | 1996-11-30 | 1996-11-30 | Headlamp swi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0777A KR100192865B1 (en) | 1996-11-30 | 1996-11-30 | Headlamp switc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1474A KR19980041474A (en) | 1998-08-17 |
KR100192865B1 true KR100192865B1 (en) | 1999-06-15 |
Family
ID=1948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0777A KR100192865B1 (en) | 1996-11-30 | 1996-11-30 | Headlamp swi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2865B1 (en) |
-
1996
- 1996-11-30 KR KR1019960060777A patent/KR10019286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1474A (en) | 199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51474C (en) | Motor vehicle light switch | |
US5272290A (en) | Lever switch device | |
KR0151682B1 (en) | Emergency flasher | |
JP2008126910A (en) |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 |
KR100192865B1 (en) | Headlamp switch | |
KR200210584Y1 (en) | An apparatus for flickering emergency lamp for vehicle | |
KR910006270Y1 (en) | Head-light device of vehicle | |
KR101121857B1 (en) | A switch lever for a vehicle | |
KR0114607Y1 (en) | Map lamp of a vehicle | |
KR20030079115A (en) | A side light apparatus of the auto-mobile | |
KR200265577Y1 (en) | Driving device for a glove box of the car | |
KR200214494Y1 (en) | A in panel for automobile | |
KR19990024974U (en) | Headlight switch structure | |
KR200161914Y1 (en) | Car interior light switch | |
KR970037694A (en) | Car emergency light | |
KR200191647Y1 (en) | Mounting structure of automotive stop lamp | |
KR100228110B1 (en) | Beam angle control device with utilized duo-optic prism | |
JP2836091B2 (en) | Motorcycle lamp circuit | |
KR200170124Y1 (en) | Auxiliary lighting of right and the left bearings for automobile | |
KR200171896Y1 (en) | Headlight lift | |
KR19980061666U (en) | Aiming guide structure of car headlamp | |
KR19990041851A (en) | Fuzzy Equalizer for Automotive | |
KR20060072270A (en) |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es | |
KR980001312A (en) | Automotive headlamps vary in lighting direction according to cornering | |
KR19990027792A (en) | Headlights of a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