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2423B1 -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423B1
KR100192423B1 KR1019950069123A KR19950069123A KR100192423B1 KR 100192423 B1 KR100192423 B1 KR 100192423B1 KR 1019950069123 A KR1019950069123 A KR 1019950069123A KR 19950069123 A KR19950069123 A KR 19950069123A KR 100192423 B1 KR100192423 B1 KR 100192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fault
actuator
determination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978A (ko
Inventor
김광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423B1/ko
Publication of KR97004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구동 장치 중 각종 액츄에이터의 고장을 진단하여 고장진단 표시보드(ON BOARD DIAGNOSIS : OBD)에 표시하여 고장판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의 엔진 구동 장치에는 액츄에이터의 고장 진단을 위한 사양이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량의 엔진 구동 장치 중 특히 액츄에이터의 인젝터,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ISA), 이그니션(IGNITION), 연료 펌프 릴레이 및 에어콘 릴레이 등의 고장을 감지하여 OBD에 표시하여 현재의 액츄에이터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고장 판단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상세히는, 일례로 액츄에이터 모니터링을 하며, 액츄에이터의 요동에 스마트 파워 IC를 사용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고장을 진단하여 이를 OBD에 표시함으로써 현재의 액츄에이터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운전자는 보다 운전에 전념 할 수 있고,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파생되는 많은 장점들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제1도는 액츄에이터 인터페이스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고장신호 발생시의 타이밍도이고,
제3도는 인젝터 고장판단의 타이밍도 이고,
제4도는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ISA) 고장판단의 타이밍도이고,
제5도는 스텝 모터 고정판단의 타이밍도이고,
제6도는 에어콘 고장판단의 타이밍도이고,
제7도는 연료펌프 고장판단의 타이밍도이고,
제8도는 점화단자 고장판단의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CU 2,4,6 : 구동기
3 : 저항기 5 : 스텝모터 또는 아이들 듀티
7 : IC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구동 장치 중 각종 액츄에이터의 고장을 진단하여 고장진단 표시보드(ON BOARD DIAGNOSIS : OBD)에 표시하여 고장판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의 엔진 구동 장치에는 액츄에이터의 고장 진단을 위한 사양이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량의 엔진 구동 장치 중 특히 액츄에이터의 인젝터,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ISA), 이그니션(IGNITION), 연료 펌프 릴레이 및 에어콘 릴레이 등의 고장을 감지하여 OBD에 표시하여 현재의 액츄에이터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고장 판단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상세히는, 일례로 액츄에이터 모니터링을 하며, 액츄에이터의 요동에 스마트 파워 IC를 사용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제어 장치(ECU)(1)는 : a) 인젝터 영역(INJ 1 내지 INJ 4, INJ IN)과 ; b)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 영역(IS1 내지 IS4, ISIN) 그리고 C) 이그니션(IGN 1 내지 IGN 4), 연료 펌프 릴레이(F/P), 에어콘 릴레이(A/C) 및 이에 관한 고장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크게 3구분 되어 있다. 각 영역은 출력단자와 입력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인젝터 영역의 출력핀(INJ 1- INJ 4)은, 예를 들면 MC 33293과 같은, 구동기(2)에 접속되며, 다시 상기 구동기(2)는 저항기(3)(여기서는 14.5Ω)를 통하여 인젝터 1 내지 인젝터 4에 각각 연결 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2)는 또다른 F출력을 갖는 바, 상기 4개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인 경우에는 고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ECU의 인젝터 입력핀(INJ IN)에 고장신호를 전송한다. 다음, 상기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 영역의 출력핀(IS1-IS4)은 역시 구동기(4)를 통하여 스텝 모터 또는 아이들 듀티(idle duty)(5)에 접속되어 있다. 역시 상기 구동기(4)는 스텝 모터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면, F출력을 갖는 바, 상기 ECU의 ISA영역의 입력핀(ISIN)에 고장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핀(INJIN, ISIN)의 입력 단자는 고장 진단라인으로 작용하며, 상기 인젝터와 상기 ISA의 스텝 모터 구동의 경우 구동기의 F단자의 인터럽트와 레벨을 읽어서 고장을 진단한다.
한편, 이그니션용 단자핀(IG1-IG4) 및 연료 펌프 릴레이 영역(F/P) 그리고 에어콘 릴레이(A/C)가, 예를 들면 지멘스(siemens) 제품의 TLE 4226 모델과 같은, 구동기(6)에 접속되며, 이는 다시 IC칩(7)을 통해, 각각 2개의 이그니션(IGNITION), 연료 펌프 릴레이(F/P) 및 에어콘 릴레이(A/C)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릴레이에 접속되는 IC칩은, 일례로 850Ω이다. 상기 구동기(6) 역시 또다른 2개의 출력 단자인 A단자와 D단자를 갖는 바, 이는 ECU의 입력이 되어 고장을 진단하게 된다. 이때 A 단자 신호는 아날로그 고장 신호이고, D 단자의 신호는 디지탈 고장신호이다. 이그니션과 에어콘 및 연료 펌프 릴레이의 고장진단의 경우 구동기(6)의 상태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이용하여 고장시 발생되는 전압을 판독하여 고장부위를 판단한다.
단, 액츄에이터 고장 판단 관련 플래그는 전원이 오프시에도 저장될 필요가 있으므로 정적 RAM을 사용할 것을 요한다.
[이그니션과 연료 펌프 및 에어콘 릴레이의 고장 판단한다]
제2도는 일례로 TLE 4226을 이용한 고장판단시 고장신호 발생시의 타이밍도이다.
먼저 제2a도는 A/D 전환 신호이다. 가 시점에서는 고장판단으로 A/D 전환이 시작되는 시점이며, 나 시점에서는 정상판단으로 A/D 전환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고장 발생시 디지탈과 아날로그의 두종류의 진단신호가 생긴다. 디지탈 전단신호(제2b도)가 발생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A/D 전환의 시간을 빠르게 하여서 이그니션의 고장진단을 하여야 하며, A/D 전환 시간은 최소 1㎳ 이하여야 한다.
한편 두가지 고장이 동시에 발생할때, 아날로그 진단신호(제2f도)가 높은 전압(①,②)이 낮은 전압(③)에 우선하므로, 낮은 전압은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며, 제2g도의 다 부분이 그에 해당한다.
제2도에서는 신호 ①, ② 및 ③을 각각 이그니션(c), 연료 펌프(d) 및 에어콘(e) 진단 신호를 정하였으므로, 다 영역에서 에어콘의 진단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단되지 못한 신호(③)는 진단가능한 신호(①,②)를 조치한 후 진단하여야 한다. 제2g도는 고장발생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인젝터 고장판단]
인젝터 고장판단은 인젝터 구동출력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인젝터 4개중 하나라도 고장시는 고장이 판단되어진다.
이를 제3도를 들어 설명한다.
제3a,b도 및 제3c도는 각각 키이(KEY) 신호, RPM030신호 및 INJMONT신호를 나타내며, d, e 및 f도는 각각 인젝터 구동의 입력, 정상출력 및 이상출력신호를 나타내며, g는 진단신호를, h 내지 l은 각각 INJFLTCNT, FLTINJF, MIL, INJNORTIM, INJFLTTIM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의 신호명의 의미와 단위 및 데이타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나 있으며, 각각 변수와 측정상수를 열거하고 있다.
인젝터 고장신단이 가능한 조건 즉, INJMONF=1, ACTFLTFLG 비트 1=1일 조건은 INJMONRPMC/HYSINJRPMC 값이 RPM 030을 초과하고, 강제구동이 아닐때이다.
인젝터가 고장일 조건은 INJFLTCNT≥INJFLTCNTC, INJFLTCNT=INJFLTCNT+1(고장 신호 하강 에지마다 카운트업) 이거나, INJFLTTIM≥INJFLTIMC 동안 고장신호 검출시이다. 이때의 고장 처리는 FLTINJF=1에서 ACTFLTFLG 비트 0을 1로, MIL을 ON으로 하며 DTC를 저장한다. 또한, 이때의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INJMONF을 0으로 하고, 정상으로 판단(FLTINJF=0일때) 할 때이다.
한편 인젝터가 정상일 조건은 INJNORTIM≥INJNORTIMC동안 정상신호 검출시(정상 신호, 하이 레벨 검출후)이다. 이때의 고장 처리는 FLTINJF=0에서 MIL을 오프 하지 않으며, DTC 역시 클리어 하지 않는다.
반면, GST 요구시 또는 뱃터리 탈거시에는 DTC를 클리어한다.
이때, DTC/MIL 코드는 0A00 이며, LIMP-HOME 기능은 없다.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ISA) 고장 판단]
아이들 스피드 고장 판단은 듀티 컨트롤 방식에 의하며,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의 구동출력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하며, 이중코일의 경우 하나라도 고장시에는 고장으로 판단한다.
제4도에는 ISA 고장판단을 위한 타이밍도가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a,b 및 c는 각각 키이신호, 배터리 전압신호 및 ISAMONF신호를 나타내고, d, e 및 f는 각각 인젝터 구동 입력, 정상출력 및 이상출력신호를, g는 ECU입력신호를, 그리고 h 내지 l은 각각 ISAFLTCNT, FLTISF, ISACUTB, ISANORTIM 및 ISAFLTTIM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때 각 변수명 및 상수명은 표 3 및 표 4에 각각 나타내었다.
ISA의 고장 판정 가능 조건, 즉, ISAMONF=1인 조건은, 키이 온(ON)이고, 12VBATDC16V이며, 강제구동이 아닐때이다.
ISA가 고장일 경우의 조건으로는, ISAMONF=1인 상태에서, ISAFLTCNT≥ISAFLTCNTC, ISAFLTCNT=ISAFLTCNT+1(고장 신호 하강에지 마다 카운트 업) 이거나, ISAFLTTIM≥ISAFLTTIMC 동안 고장 신호 검출시이다. 이때의 고장 처리는 FLTISAF가 1일때 ACTFLTFLG 비트 2를 1로 MIL을 ON으로 하며 DTC를 저장한다. 또한 이때의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ISAMONF=0으로 하고, 정상으로 판단(FLTISAF=0) 할때이다.
ISA가 정상일 조건은 ISANORTIM≥ISANORTIMC동안 정상신호 검출시(정상 신호 상승 에지 이후)이다. 이때의 처리는 FLTISAF=0에서 MIL을 오프하지 않으며, 역시 클리어하지 않는다. MIL 오프는 IG키를 오프할 때이다. 반면, GST 요구시 또는 뱃터리 탈거시에는 DTC를 클리어 한다. 이때, DTC/MIL 코드는 0B00이며, LIMP-HOME 기능은 FLTISAF=1일때, 즉 고장 제어 동작(ISA 전원 차단)을 할때이다.
[ISA 고장 전원 차단]
ISA 고장 전원 차단 이란,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의 고장에 의한 완전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 차단을 말한다. 역시 제4도에 그 타이밍도를 나타내었으며, 변수명은 표 5에 나타내었다. ISA 고장 전원 차단의 판정조건은, 키이가 온(ON)이며, FLTISAF=1 일때이다. 키이가 오프(OFF)일때는 클리어 된다. 이때의 처리는, ISACUTB=1(ISACUTFLG 비트 0=1, ISA 전원은 오프)로 한다.
[스텝 모터 고장 판단]
스텝 모터 고장 판단은 아이들 제어 스텝 모터의 구동 출력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제5도에는 스텝모터고장판단을 위한 타이밍도가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a,b 및 c는 각각 키이신호, BATADC신호 및 STPMONF신호를 나타내고 d, e 및 f는 각각 스텝모터 구동 입력, 정상출력 및 이상출력신호를, g는 진단신호를, 그리고 h 내지 l은 각각 STPFLTCNT, FLTSTPF, MIL, STPNORTIM 및 STPFLTTIM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때 각 변수명 및 상수명은 표 6 및 표 7에 각각 나타내었다.
스텝 모터의 고장 판정 가능 조건 즉, STPMONF=1일 조건은 키이가 온(ON)이고, BATMONMINCBATADCBATMONMAXC 이며, 강제 구동이 아닐때 이다.
스텝 모터가 고장일 조건은, STPMONF=1(ACTFLTFLG 비트 3=1)인 상태에서, STPFLTCNT≥STPFLTCNTC, STPFLTCNT=STPFLTCNT+1(고장 신호 하강 에지마다 카운트 업) 일때이다. 이때,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STPMONF=0이고 정상 판단시(FLTSTPF=0)일때이다. 이때의 처리는 MIL이 온(ON)(FLTSTPF=1 : ACTFLTFLG 비트 2=1)이고, 이때 DTC를 저장한다.
스텝 모터가 정상일 경우는, STPNORTIM≥STPNORTIMC 동안 정상 신호 검출시(정상 신호 상승 에지 이후)이다. 이때의 처리는, FLTSTPF=0일때, MIl을 오프하지 않으며, DTC를 클리어 하지 않는다. MIL 오프는 IG 키이가 오프일 때이다.
반면, GST 요구시 또는 뱃터리 탈거시에는 DTC를 클리어 한다. 이때, DTC/MIL 코드는 0B00이며, LIMP-HOME 기능은 없다.
[에어콘 고장 판단]
에어콘 고장 판단은, 에어콘 릴레이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연료 펌프 릴레이와 이그니션과의 고장 판단과는 구별된다.
제6도에는 에어콘고장판단을 위한 타이밍도가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a는 이그니션 키이신호를, b는 INJSTN 신호의 포맷을, c 내지 g는 각각 AICB, THMB, ISCBAS, ISCTHM 및 CMPB 신호를 나타내고, h, i 및 j는 각각 에어콘 릴레이 구동 입력, 정상출력 및 이상출력신호를, k는 아날로그와 디지탈 진단신호를, 그리고 l 내지 p는 각각 AIRFLTCNT, FLTAIRF, MIL 및 AIRNOTRIM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때 각 변수명 및 상수명은 표 8 및 표 9에 각각 나타내었다.
에어콘 고장 판정이 가능한 조건은 키이가 온(ON)일때이다.
에어콘 고장 판단시, 즉, 고장 신호 검출(상태 디지탈은 로우(LOW)이고 AIRFLTLOWC≤ACTFLTADC≤AIRFLTHGHC인 상태)후 AIRFLTTIM≥AIRFLTTIMC(AIRFLTTIM의 초기치=00'H) 경과시에는, MIL을 온(FLTAIRF=1 : ACTFLTFLG 비트 4=1)으로 하고, DTC를 저장한다.
한편, 에어콘 정상 판단시에는, 즉, 정상신호 검출(상태 디지탈은 하이(HIGH)이거나 ACTFLTADC≤AIRFLTLOWC)후 AIRNORTIM≥AIRNORTIMC(고장 신호 검출시 클리어됨, 초기치=00'H) 경과시에는, FLTAIRF=0에서 ACTFLTFLG 비트 4는 0으로 하고, MIL은 오프하지 않으며, DTC도 역시 클리어 하지 않는다. IG 키이가 오프시 MIL은 오프(OFF)한다.
반면, GST 요구시 또는 뱃터리 탈거시에 DTC를 클리어 한다. 이때, DTC/MIL 코드는 0C00이며, MILP-HOME 기능은 없다.
[연료 펌프 고장 판단]
연료 펌프 고장 판단은 연료 펌프 릴레이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에어콘 릴레이와 이그니션과의 고장 판단과는 구별된다.
제7도에는 연료펌프고장판단을 위한 타이밍도가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a는 키이신호를 나타내고, b는 INJSTN신호 포맷을, c, d 및 e는 각각 연료펌프 구동 입력, 정상출력 및 이상출력신호를, f는 진단신호를, 그리고 g 내지 j는 각각 FPMFLTTIM, FLTFPMF, MIL 및 FPMNORTIM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때 변수명 및 상수명은 표 10 및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
연료 펌프 고장 판정 가능 조건은 키이가 온(ON) 일때이다.
연료 펌프 고장 판단시, 즉, 고장 신호 검출(상태 디지탈은 로우이고 FPMFLTLOWC≤ACTFLTADC≤FPMFLTHGHC인 상태)후 FPMFLTTIM≥FPMFLTTIMC(FPMFLTTIMC의 초기치=00'H)일 때, MIL을 온(ON)(FLTFPMF=1 : ACTFLTFLG 비트 5=1)으로 하고 DTC를 저장한다.
연료 펌프 정상 판단시, 즉, 정상 신호 검출(상태 디지탈은 하이(HIGH) 이거나 ACTFLTADC≤FPMFLTLOWC)후 AIRNORTIM≥AIRNORTIMC(고장 신호 검출시 클리어 됨. 초기치=00'H) 경과시에는, FLTFPMF=0일때 ACTFLTFLG 비트 5=0으로 하고, MIL은 오프하지 않으며, DTC 역시 클리어 하지 않는다. IG 키이가 오프시 MIL은 오프한다.
반면, GST 요구시 또는 배터리 탈거시에는 DTC를 클리어 한다.
이때, DTC/MIL 코드는 0D00이며, LIMP-HOME 기능은 없다.
[점화 단자 고장 판단]
점화 단자 고장 판단은 점화 단자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 하는 것으로, 에어콘 릴레이와 연료 펌프 릴레이와의 고장 판단과는 구별된다.
제8도에는 점화단자고장판단을 위한 타이밍도가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a, b 및 c는 각각 키이신호, RPM030신호 및 SPKMONF신호를 나타내고, d, e 및 f는 각각 이그니션 구동 입력, 정상출력 및 이상출력신호를, g는 진단신호를, 그리고 h 내지 l은 각각 SPKFLTCNT, FLTSPKF, MIL, SPKNORTIM 및 SPKFLTTIM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때 각 변수명 및 상수명은 표 12 및 표 13에 각각 나타내었다.
점화 단자 고장 판정 가능 조건 즉, SPKMONF=1일 조건은, IG 키이가 온이고, INJMONRPMC/HYSINJRPMC 값이 RPM 030을 초과하며, 강제구동이 아닐때이다.
점화 단자가 고장일 조건은, SPKMPNF=1인 상태에서, SPKFLTCNT≥SPKFLTCNTC, SPKFLTCNT=SPKFLTCNT+1(고장 신호 하강 에지 마다 SPKFLTLOWCACTFLTADCSPKFLTHGHC 만족시 카운트 업) 이거나, 고장 신호 검출(상태 디지탈은 로우이고 SPKFLTLOWC≤ACTFLTADC≤SPKFLTHGHC인 상태) 후 SPKFLTTIM≥SPKFLTTIMC(SPKFLTTIMC의 초기치=00'H)일때이다. 이때의 처리는 FLTSPKF=1 일때 ACTFLTFLG 비트 6=1이고, MIL을 온하며 DTC를 저장한다. 또한,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SPKMONF=0으로 하고, 정상으로 판단(FLTSPKF=0일때)할 때이다.
한편, 점화 단자가 정상일 조건은 SPKNORTIM≥SPKNORTIMC동안 정상신호 검출시(정상 신호 상승 에지 이후)이다. 이때의 처리는 FLTSPKF=0에서 MIL을 오프하지 않으며, DTC 역시 클리어 하지 않는다.
IC 키이가 오프시 MIl을 오프한다.
반면, GST 요구시 또는 배터리 탈거시에 DTC를 클리어 한다.
이때, DTC/MIL 코드는 0E00이며, LIMP-HOME 기능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고장을 진단하여 이를 OBD에 표시함으로써 현재의 액츄에이터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운전자는 보다 운전에 전념 할 수 있고,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파생되는 많은 장점들을 갖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을 편의상 실시예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당연히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다른 변경예도 본원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가 어떠한 의미에서건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

Claims (16)

  1. 차량의 엔진 구동 장치 중 각종 액츄에이터의 고장을 진단하여 고장진단 표시보드(ON BOARD DIAGNOSIS : OBD)에 표시하여 고장판단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고장판단 방법에 있어서, 전자 제어 장치(ECU)(1)는 : a) 인젝터 영역(INJ 1 내지 INJ 4, INJ IN)과 ; b)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 영역(IS1 내지 IS4, ISIN) 그리고 C) 이그니션(IGN 1 내지 IGN 4), 연료 펌프 릴레이(F/P), 에어콘 릴레이(A/C) 및 이에 관한 고장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크게 3구분 되어 있으며, 각각의 영역은 출력단자와 입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인젝터 영역의 출력핀(INJ 1- INJ 4)은, 구동기(2)에 접속되며, 다시 상기 구동기(2)는 저항기(3)를 통하여 인젝터 1 내지 인젝터 4에 각각 연결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2)는 2 이상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인 경우에는 고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ECU의 인젝터 입력핀(INJ IN)에 고장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 영역의 출력핀(IS1-IS4)은 역시 구동기(4)를 통하여 스텝 모터 또는 아이들 듀티(idle duty)(5)에 접속되어 있어, 역시 상기 구동기(4)는 스텝 모터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면, F출력을 갖는 바, 상기 ECU의 ISA 영역의 입력핀(ISIN)에 고장 신호를 전송하며, 따라서 상기 입력핀(INJIN, ISIN)의 입력 단자는 고장 진단 라인으로 작용하며, 상기 인젝터와 상기 ISA의 스텝 모터 구동의 경우 구동기의 F단자의 인터럽트와 레벨을 읽어서 고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그니션용 단자핀(IG1-IG4) 및 연료 펌프 릴레이 영역(F/P) 그리고 에어콘 릴레이(A/C)가, 구동기(6)에 접속되며, 이는 다시 IC칩(7)을 통해, 각각 2개의 이그니션(IGNITION), 연료 펌프 릴레이(F/P) 및 에어콘 릴레이(A/C)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6) 역시 또다른 2개의 출력 단자인 A단자와 D단자를 갖는 바, 이는 ECU의 입력이 되어 고장을 진단하게 되며, 이때, 상기 A 단자 신호는 아날로그 고장 신호이고, 상기 D 단자의 신호는 디지탈 고장신호이며, 고장진단의 경우 구동기(6)의 상태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이용하여 고장시 발생되는 전압을 판독하여 고장부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 고장판단은 인젝터 구동출력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상태이며, INJMONRPMC/HYSINJRPMC 값이 RPM 030을 초과하고, 강제구동이 아닐때 인젝터 고장판단이 가능하며, 인젝터가 고장일 조건은 INJFLTCNT≥INJFLTCNTC, INJFLTCNT=INJFLTCNT+1(고장 신호 하강 에지마다 카운트업) 이거나, INJFLTTIM≥INJFLTTIMC 동안 고장신호 검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 고장의 고장 처리는 FLTINJF=1에서 ACTFLTFLG 비트 0을 1로, MIL을 ON으로 하며 DTC를 저장하며,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INJMONF을 0으로 하고, 정상으로 판단(FLTINJF=0일때) 할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이들 스피드 고장 판단은 듀티 컨트롤 방식에 의하며,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의 구동출력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하며, 이중코일의 경우 하나라도 고장시에는 고장으로 판단하며, 키이 온(ON)이고, 12VBATADC16V이며, 강제구동이 아닐때에 ISA의 고장 판정이 가능하며, ISA가 고장일 경우의 조건으로는, ISAMONF=1인 상태에서, ISAFLTCNT≥ISAFLTCNTC, ISAFLTCNT=ISAFLTCNT+1(고장 신호 하강 에지 마다 카운트 업) 이거나, ISAFLTTIM≥ISAFLTTIMC 동안 고장 신호 검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SA 고장 처리는 FLTISAF가 1일때 ACTFLTFLG 비트 2를 1로 MIL을 ON으로 하며 DTC를 저장하며,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ISAMONF=0으로 하고 정상으로 판단(FLTISAF=0) 할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이들 스피드 액츄에이터의 고장에 의한 완전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 차단을 말하며, 판정조건은, 키이가 온(ON)이며, FLTISAF=1일때이며, 키이가 오프(OFF)일때는 클리어하는, ISA 고장 전원 차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모터 고장 판단은 아이들 제어 스텝 모터의 구동 출력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며, 스텝 모터의 고장 판정 가능 조건은 키이가 온(ON)이고, BATMONMINCBATADCBATMONMAXC 이며, 강제 구동이 아닐때 이며, 스텝 모터가 고장일 조건은, STPMONF=1(ACTFLTFLG 비트 3=1)인 상태에서, STPFLTCNT≥STPFLTCNTC, STPFLTCNT=STPFLTCNT+1)고장신호 하강 에지마다 카운트 업) 일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모터 고장 판단의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STPMONF=0이고 정상 판단시(FLTSTPF=0) 일때이며, 처리는 MIL이 온(ON)(FLTSTPF=1 : ACTFLTFLG 비트 2=1) 이고, 이때 DTC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콘 고장 판단은, 에어콘 릴레이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며, 에어콘 고장 판정이 가능한 조건은 키이가 온(ON) 일때이며, 에어콘 고장 판단시는 상태 디지탈은 로우(LOW)이고 AIRFLTLOWC≤ACTFLTADC≤AIRFLTHGHC인 상태인 것을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콘 고장 검출후 AIRFLTTIM≥AIRFLTTIMC(AIRFLTTIM의 초기치=00'H) 경과시에는, MIL을 온(FLTAIRF=1 : ACTFLTFLG 비트 4=1)으로 하고 DTC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고장 판단은 연료 펌프 릴레이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 하는 것이며, 연료 펌프 고장 판정 가능 조건은 키이가 온(ON) 일때이며, 연료 펌프 고장 판단시는 상태 디지탈은 로우이고 FPMFLTLOWC≤ACTFLTADC≤FPMFLTHGHC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고장 판단후 FPMFLTTIM≥FPMFLTTIMC(FPMFLTTIMC의 초기치=00'H일때, MIL을 온(ON)(FLTFPMF=1 : ACTFLTFLG 비트 5=1)으로 하고 DTC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화 단자의 개방/단락에 의한 고장 상태를 확인 하는 점화 단자 고장 판단을 더 포함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점화 단자 고장 판정 가능 조건은, IG 키이가 온이고, INJMONRPMC/HYSINJRPMC 값이 RPM 030을 초과하며, 강제구동이 아닐때이며, 점화 단자가 고장일 조건은, SPKMPNF=1인 상태에서, SPKFLTCNT≥SPFKLTCNTC, SPKFLTCNT=SPKFLTCNT+1(고장 신호 하강 에지 마다 SPKFLTLOWC≤ACTFLTADC≤SPKFLTHGHC 만족시 카운트 업) 이거나, 고장 신호 검출(상태 디지탈은 로우이고 SPKFLTLOWC≤ACTFLTADC≤SPKFLTHGHC인 상태) 후 SPKFLTTIM≥SPKFLTTIMC(SPKFLTTIMC의 초기치=00'H)일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단자 고장판단시의 처리는 FLTSPKF=1일때의 ACTFLTFLG 비트 6=1이고, MIL을 온하며 DTC를 저장하며, 또한, 클리어 조건은 초기값 및 SPKMONF=0으로 하고,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KR1019950069123A 1995-12-30 1995-12-30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KR100192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123A KR100192423B1 (ko) 1995-12-30 1995-12-30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123A KR100192423B1 (ko) 1995-12-30 1995-12-30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8A KR970044978A (ko) 1997-07-26
KR100192423B1 true KR100192423B1 (ko) 1999-06-15

Family

ID=1944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9123A KR100192423B1 (ko) 1995-12-30 1995-12-30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92B1 (ko) 2007-04-06 2008-11-0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Isa의 유량 제어 밸브 고장 감지 방법
KR102169693B1 (ko) 2020-07-25 2020-10-26 남부솔루션(주) 가공 배전선로의 방향 가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237B1 (ko) * 1999-12-29 2006-09-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디젤엔진용 가버너 액츄에이터의 단선 및 단락 검출회로
KR100373043B1 (ko) * 2000-12-05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준위 센서의 고장 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92B1 (ko) 2007-04-06 2008-11-0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Isa의 유량 제어 밸브 고장 감지 방법
KR102169693B1 (ko) 2020-07-25 2020-10-26 남부솔루션(주) 가공 배전선로의 방향 가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8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4033A (en) Diagnostic test apparatus for electrical system of automotive vehicle
EP0130827B1 (en) Failure diagnostic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4527424A (en) System for diagnos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87615A (en) System for diagnos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505341A (ja) 自動車用対話式診断装置及び方法
US6845315B2 (en) Engine air-intake control device and engine air-intake control method
US46239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monitoring of microcomputer-controlled network devices in particular in motor vehicles
DE3335630A1 (de) Anordnung zur diagnose eines verbrennungsmotors
DE4309854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Sekundärluftzufuh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S6092130A (ja) 乗物用電気表示装置
KR100192423B1 (ko) 액츄에이터의 고장판단 제어 방법
EP0222403A2 (en)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fuel injection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226888A (en) Abnormality detecting system for electric circuits
JP4025398B2 (ja) 車載用制御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障害診断方法
JPS60132041A (ja) 燃料供給装置用非常制御装置
JP7254827B2 (ja) 電子制御装置
KR100819334B1 (ko) 스캔 툴을 이용한 스타트 모터 진단 방법
JP3419060B2 (ja) 車両用診断装置
JP3362488B2 (ja) 自動車用診断装置及び自動車用診断方法
CN221485827U (zh) 一种自动化故障注入的车机测试装置
JPH027419B2 (ko)
JP2006348945A (ja) 車載用制御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障害診断方法
KR100217079B1 (ko) 전자제어장치의 구동단 자기 진단방법
JPS58163096A (ja) 固有基準値による自動車診断装置
KR970002175Y1 (ko) 자동차의 결함상태 자동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