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1243B1 -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243B1
KR100191243B1 KR1019950044771A KR19950044771A KR100191243B1 KR 100191243 B1 KR100191243 B1 KR 100191243B1 KR 1019950044771 A KR1019950044771 A KR 1019950044771A KR 19950044771 A KR19950044771 A KR 19950044771A KR 100191243 B1 KR100191243 B1 KR 10019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gnetic force
fixed
die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842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5004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243B1/ko
Publication of KR97002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2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올려진 부품들을 이동시키게 되는 다이(1a)의 양측면에 보울트 등을 매개로 체결됨과 더불어 스위치(34)를 갖춘 자력발생부(36)가 경사지게 고정된 고정프레임(30)과, 이 고정프레임(30)의 자력발생부(36)에 자력을 매개로 고정되어지는 클램핑홀더(40)로 구성되어져, 자력을 매개로 운반프레임(1)의 다이(1a)가 고정됨과 더불어 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위치이동되어져 운반프레임(1)의 전·후이동시 간섭을 주지 않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장치를 갖춘 운반프레임의 부분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장치를 매개로 고정된 운반프레임의 부분사시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홀딩장치를 갖춘 운반프레임의 부분사시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홀딩장치를 매개로 운반프레임의 부분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반프레임 1a : 다이
1b : 상단선형가이드 2 : 홀딩장치
3 : 하단선형가이드 4 : 클램핑홀더
20 : 홀딩장치 30 : 고정프레임
32 : 브라켓트 34 : 스위치
36 : 자력발생부 40 : 클램핑홀더
본 발명은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력을 이용하여 운반프레임의 전/후 이동과 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수가 줄어들도록 된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부품들은 조립전에 불량여부를 판단하도록 별도의 검사실로 옮겨 검사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부품들을 검사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이동시키기 위해 운반프레임(1)을 이용하게 되는바, 이 운반프레임(1)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된 2개의 하부선형가이드(1c)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부선형가이드(1b)를 갖춘 다이(1a)로 구성되어지는 한편, 이 운반프레임(1)의 다이(1a)의 양측면에 고정보올트 등을 매개로 고정됨과 더불어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홀을 형성한 고정프레임(3)과 이 고정프레임(3)에 간격을 두고 하부선형가이드(1c)가 고정된 바닥에 보올트 등을 매개로 취부되는 클램핑홀더(4)로 구성된 홀딩장치(2)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에따라 운반프레임(1)의 다이(1a)위에 부품들을 올려놓은 다음 하부선형가이드(1c)를 따라 검사장치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홀더(4)를 이용하여 다이(1a)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3)의 홀에 삽입시켜 다이(1a)를 고정시킨 후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올려진 부품을 검사하게 되지만, 상기 운반프레임(1)을 후퇴시킬 경우에는 양쪽에서 다이(1a)를 고정시킨 홀딩장치(2)중 1개의 홀딩장치(2)를 해체시킨다음 운반프레임(1)을 후퇴시켜야만 되는 한편, 고정시에는 다시 다이(1a)의 한쪽에 홀딩장치(2)를 보올트등을 매개로 고정시켜야만 되므로 불편함을 줄 뿐만아니라, 이에 따라 운반프레임(1)의 다이(1a)의 고정과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이동된 운반프레임이 자력으로 간단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운반프레임의 안쪽으로 홀딩장치가 구비되어져 운반프레임이 홀딩장치를 완전히 해제시키지 않고서도 후퇴시 간섭을 받지 않아 빠른 고정과 이동으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홀딩장치가 올려진 부품들을 이동시키게 되는 운반프레임의 다이의 양측면에 보울트 등을 매개로 체결됨과 더불어 스위치를 갖춘 자력발생부가 경사지게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이 고정프레임의 자력발생부에 자력을 매개로 고정되어지는 클램핑홀더로 구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따라 선택적으로 발생된 자력으로 운반프레임의 다이가 고정됨과 더불어 이동시에도 홀딩장치를 느슨하게하여 다이의 윗쪽으로 올리게 되면 운반프레임의 다이 안쪽으로 구비된 클램핑홀더가 운반프레임의 다이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장치를 갖춘 운반프레임의 부분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장치를 매개로 고정된 운반프레임의 부분사시도인데, 종래 구조를 도시한 제3도 및 제4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된 2개의 하부선형가이드(1c)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부선형가이드(1b)를 갖춘 다이(1a)로 구성된 운반프레임(1)에 양쪽측면으로 홀딩장치(20)가 구비되어지되, 여기서 상기 홀딩장치(20)는 상기 다이(1a)의 양측면에 고정 보울트 등에 의해 부착된 브라켓트(32)를 매개로 스위치(34)가 구비된 자력발생부(36)를 경사지게 설치하여서 된 고정프레임(30)과, 이 고정프레임(30)의 자력발생부(36)에 대응되게 상기 다이(1a)의 하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자력발생부(36)와 함께 작용하여 부착력이 발생되도록 한 2개의 클램핑홀더(40)로 구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자력발생부(34)의 하부면과 상기 클램핑홀더(40)의 상부면이 서로 대향되는 경사면을 이루므로써 상기 클램프홀더(40)가 다이(1a)의 하부측에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력발생부(36)의 자기력 작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반프레임(1)의 다이(1a)위에 올려진 부품들을 검사장치로 이동시켜 클램프홀더(40)부위에 다이(1a)의 양측면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0)의 자력발생부(36)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시킨 다음, 스위치(34)를 조작하여 자력발생부(36)로 부터 자력을 발생시켜 이 자력을 매개로 클램핑홀더(40)에 고정프레임(30)을 고정하여, 이 고정프레임(30)이 고정된 운반프레임(1)의 다이(1a)를 고정시킨다.
또한 부품들의 검사후 운반프레임(1)을 뒷쪽으로 이동시킬 경우 고정프레임(3)의 스위치(34)를 조작하여 자력발생부(36)의 자력을 제거한 다음, 상기 다이(1a)에 체결된 고정프레임(30)의 보올트를 풀어 약간 느슨하게 한후 다이(1a)의 윗쪽으로 회선시키게 되면 운반프레임(1)의 이동시 클램핑홀더(4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력발생부(36)는 자심을 코어로 하고 외부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코일을 감아주므로써 상기 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한 전류의 단속으로 소정의 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자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20)에 의하면, 부품을 검사장치로 이동시키는 운반프레임(1)이 자력을 발생시키는 홀딩장치(20)에 의해 고정되어져 고정이 용이할 뿐아니라 홀딩장치(20)가 간단한 조작으로 위치이동되어져 운반프레임(1)의 전·후이동시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빠르게 조작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하부 선형가이드(1b,1c)를 매개로 올려진 부품들을 이동시키게 되는 운반프레임(1)의 다이(1a)의 양측면에 보울트 등을 매개로 체결됨과 더불어 스위치(34)를 갖춘 자력발생부(36)가 경사지게 고정된 고정프레임(30)과, 이 고정프레임(30)에 대향되도록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자력발생부(36)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도록 된 클램핑홀더(40)로 구성되어진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홀더(40)가 다이(1a)의 폭보다 좁게 안쪽의 하부바닥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2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KR1019950044771A 1995-11-29 1995-11-29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191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771A KR100191243B1 (ko) 1995-11-29 1995-11-29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771A KR100191243B1 (ko) 1995-11-29 1995-11-29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42A KR970026842A (ko) 1997-06-24
KR100191243B1 true KR100191243B1 (ko) 1999-06-15

Family

ID=1943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7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1243B1 (ko) 1995-11-29 1995-11-29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2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42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57397A (en) Carrying strip for placing device of powder-drive
KR970068796A (ko) 장착장치(monting apparatus)
DE3866489D1 (de) Vorrichtung zum aufspannen eines werkstueckes oder werkzeuges.
KR840003886A (ko)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단 검출장치
KR100191243B1 (ko) 운반프레임의 홀딩장치
ATE289925T1 (de) Aufzeichnungsgerät mit wölbendem teil
US5299681A (en) Conveyor equipment
TW36871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oading state of wafers in carrier
SE9701370D0 (s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glühen von metallischem stranggut
IT1310892B1 (it) Cingolo per gruppo di traino di macchine trafilatrici
KR20060025361A (ko) 도금장치의 행거구조
IT1236649B (it) Sistema perfezionato di azionamento a nastro della pinza portatrama per un telaio tessile senza navetta.
KR200301930Y1 (ko) 프린터용페이퍼화상면가이드장치
FR2713326B1 (fr) Dispositif pour éjecter, par voie pneumatique, un objet par rapport à une structure.
SE9702262D0 (sv) Device for compensating the deformation of a machine element and possible supporting means
JP2004513523A (ja) 構成部分を配置する機械
GR3021254T3 (en) Resilient supporting device for stator winding heads
KR970042215A (ko) 호이스트이송장치에 설치된 안전가이드
DE59812709D1 (de)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von Blechzuschnitten
KR960028780A (ko) 부품 장착장치
KR970025310A (ko) 부품실장 장치
KR970025835A (ko) 자동마킹장치
DE59813092D1 (de) Halbleiter-Montageeinrichtung mit einem Chipgreifer
KR100209307B1 (ko) 반도체 메가진홀더
KR940010060B1 (ko) 냉장고용 마그네틱 밸브의 작동시험을 위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