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1038B1 -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038B1
KR100191038B1 KR1019960005820A KR19960005820A KR100191038B1 KR 100191038 B1 KR100191038 B1 KR 100191038B1 KR 1019960005820 A KR1019960005820 A KR 1019960005820A KR 19960005820 A KR19960005820 A KR 19960005820A KR 100191038 B1 KR100191038 B1 KR 10019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support member
stay
guide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325A (ko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0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038B1/ko
Publication of KR97006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0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에서는 본네트를 열고자 할 때 한손으로는 본네트 스테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본네트를 들어서 올려야 하므로 노약자나 여성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또한 상기 본네트의 개폐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어서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가이드홈(4)이 형성된 상부 슈라우드멤버(B2)와 상기 가이드홈(4)에 걸리는 다수의 걸리턱(10a)이 형성됨과 아울러 본네트(B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와 본네트(B1)의 사이에 연결되는 스프링(14)과 상기 지지부재(10)와 와이어(16)로 연결되는 손잡이(1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본네트의 개폐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동차의 중요 부분을 이루게 되는 새시와 상기 새시위에 설치되어 운전석이나 객실 등을 구성하는 보디로 구성되고, 보디와 프레임을 분리한 프레임식 보디와 보디와 프레임이 일체로 된 일체구조식 보디로 분류할 수 있으며, 현재 승용차의 대부분이 일체구조식 보디를 사용한다.
상기한 보디는 사람이 타는 부분이 주체이며, 이것에 도어, 휀더 등의 외장부분이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는 시트 등의 내장부분이 장착되며, 운전자 및 탑승자에 필요한 안전성, 공간, 쾌적감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상기 보디를 크게 분류하면 프런트 보디, 언더 보디,사이드 보디, 리어 보디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보디가 이루는 공간이 엔진 등이 장착되는 엔진룸이고, 상기 엔진룸을 덮는 뚜껑이 본네트이며, 상기 본네트는 프런트 보디에 개폐 가능하도록 취부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보디에는 엔진룸내의 부품을 점검 또는 수리시에 상기 본네트가 일정 위치에서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본네트 스테이가 장착된다.
종래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네트 스테이(2)는 강재의 대략 직선 형상의 부재로써 그 일단 만이 상부 슈라우드멤버(B2)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다.
따라서 본네트(B1)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고 싶는 때는 상기 본네트(B1)를 연 다음에 상기 본네트 스테이(2)의 끝단, 즉 상기 상부 슈라우드멤버(B2)에 결합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본네트(B1)에 받침으로써 상기 본네트(B1)를 열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에서는 본네트를 열고자 할 때 한 손으로는 본네트 스테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본네트를 들어서 올려야 하므로 노약자나 여성이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본네트의 개폐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네트 스테이의 사용을 편하게 하고, 또한 본네트의 개폐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1 : 본네트 4 : 가이드홈
10 : 지지부재 10a : 걸림턱
14 : 스프링 16 : 와이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부 슈라우드멤버와 상기 가이드홈에 걸리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본네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본네트의 사이에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재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슈라우드멤버(B2)에는 대략 수직 하방으로 가이드홈(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4)을 직선운동하도록 지지부재(10)가 본네트(B1)에 브래킷(12)이 개재되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4)에 걸리도록 다수의 걸림턱(1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와 상기 본네트(B1)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10)를 운전식 쪽으로 당기도록 스프링(14)이 설치되며, 상기 본네트(B1)를 차량의 전면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와이어(16)가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6)의 끝단에는 손잡이(18)가 부착되며, 상기 와이어(16)를 안내하는 다수의 홀더(20)가 상기 상부 슈라우드멤버(B2)의 상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본네트(B1)의 개폐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0)가 상하운동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14) 및 상기 와이어(16)가 상기 지지부재(10)의 상하운동을 조절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네트(B1)를 열 때에는 단순히 상기 본네트(B1)를 위로 올리면 상기 지지부재(1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본네트(B1)가 열리며 이때 어느 위치에서 상기 본네트(B1)를 올리는 동작을 멈추면 상기 스프링(14)이 상기 지지부재(10)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0)의 걸림턱(10a)이 상기 가이드홈(4)에 걸려서 상기 본네트(B1)는 그 위치에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단순히 상기 본네트(B1)를 올리면 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임의의 각도록 상기 본네트(B1)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네트(B1)를 닫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4)의 탄성력을 이기도록 상기 손잡이(18)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16)가 상기 지지부재(10)를 차량 전방으로 당기게 되어서 상기 지지부재(10)의 걸림턱(10a)이 풀리고 이에 따라 상기 본네트(B1)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본네트(B1)가 닫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네트 개폐시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나 여성도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그리고 본네트의 개폐 각도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가이드 홈이 형성된 상부 슈라우드 멤버와, 상기 가이드홈에 걸리는 다수의 걸림턱가 아래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네트의 외부 충격시 본네트가 닫혀지지 않도록 하고 본네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본네트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당기거나 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1019960005820A 1996-03-06 1996-03-06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19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820A KR100191038B1 (ko) 1996-03-06 1996-03-06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820A KR100191038B1 (ko) 1996-03-06 1996-03-06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25A KR970065325A (ko) 1997-10-13
KR100191038B1 true KR100191038B1 (ko) 1999-06-15

Family

ID=1945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8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1038B1 (ko) 1996-03-06 1996-03-06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25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18385A (en) Vehicles:door handles
KR100191038B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JPH057847Y2 (ko)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US5549348A (en) Door closer mechanism for a vehicle
JPH0218208Y2 (ko)
KR200216211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JPH0336434Y2 (ko)
US4047737A (en) Seat belt system for motor cars
KR0123877B1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KR19990024688U (ko) 자동차의 간이용 거울 수납장치
JPH0541927Y2 (ko)
KR100598691B1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구조
JPH021420Y2 (ko)
KR100368393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힌지조립체
KR20050106750A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0140617B1 (ko) 자동차용 걸이 장치
JPH0899533A (ja) 自動車ドアの補助開閉装置
KR20060002381A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0181602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42559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JPH11115479A (ja) 自動車用外側スライド開閉式窓ガラス
KR19980024383U (ko) 토오션 바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