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89253B1 -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253B1
KR100189253B1 KR1019960031341A KR19960031341A KR100189253B1 KR 100189253 B1 KR100189253 B1 KR 100189253B1 KR 1019960031341 A KR1019960031341 A KR 1019960031341A KR 19960031341 A KR19960031341 A KR 19960031341A KR 100189253 B1 KR100189253 B1 KR 100189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trol data
wireless telephone
data
recei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048A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253B1/ko
Priority to GB9715784A priority patent/GB2315957B/en
Priority to DE19732428A priority patent/DE19732428B4/de
Priority to JP9203150A priority patent/JP3021398B2/ja
Publication of KR98001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25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무선전화기의 다수 휴대장치 또는 고정장치 중 하나가 사용중이면 사용하지 않는 다른 장치는 사용중임을 알지 못하였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무선전화기가 사용중이면 사용하지 않는 다른 장치에 사용중임을 표시하여 알리는 방법.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다수의 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중인 특정 휴대장치 또는 고정장치의 사용을 램프로써 표시하여 회선이 사용중임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에는 하나의 고정장치에 다수의 휴대장치를 구비하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식별코드와 각각의 호출번호를 부여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상기 무선전화기의 구성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장치(2)는 전화라인을 통한 유선통화를 수행하며, 휴대장치(4,6,8)와는 채널을 통한 무선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휴대장치(4,6,8)는 내부 베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가지고 있으며,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고정장치(2)와 무선통화를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무선전화기에서 통상적인 고정장치(2)의 동작을 설명하면, 전화라인을 통해 착신호가 수신되면 내부 링을 동작시키며, 휴대장치(4,6,8)를 호출하는 제어데이타를 송신하였다. 한편, 다수의 채널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대기상태에서 상기 휴대장치(4,6,8)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요구가 있으면 전화라인을 시져하여 통화 요구한 휴대장치(4,6,8)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무선전화기에서 통상적인 휴대장치(4,6,8)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수의 채널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대기상태에서 고정장치(2)로부터 착신호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타 수신이 있으면 내부의 링을 동작시켰다. 한편, 대기상태에서 통화 요구가 있으면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고정장치(2)로 통화를 요구하는 제어데이타를 송신하였다.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하나의 고정장치에 여러 개의 휴대장치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동일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다른 휴대장치가 통화중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라인의 점유상태를 통화시도를 한 후에야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통화시도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여 알리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측의 제어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수측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1)는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내부에 프로그램 데이타를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램을 구비하고 있다. 키입력부(12)는 통화를 위한 라인 접속을 요구하는 통화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키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1)에 제공한다. 표시램프(13)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전화라인을 통한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이다. 듀플렉서(15)는 안테나와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RF신호를 분리한다. 송신부(14)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출력하는 제어데이타 및 마이크(MIC)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변조 및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15)로 출력한다. 수신부(16)는 상기 듀플렉서(15)에서 출력되는 수신 RF신호를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한다. 상기 수신부(16)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상기 스피커(SPK)로 출력되며, 제어데이타는 상기 제어부(11)로 출력된다. 주파수합성부(17)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송신부(14) 및 수신부(16)의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송,수신 채널 주파수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측의 제어 흐름도를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채널을 검색하여 선택된 빈 채널을 통하여 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데이타에 응답하여 확인데이타가 수신되면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수측의 제어 흐름도를 도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일한 식별코드(I.D)를 가지는 제어데이타가 수신되는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과, 동일한 식별코드를 가지는 제어데이타에 기록된 호출번호가 내부에 기록된 호출번호와 동일하면 확인데이타를 송신하고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한 식별코드를 가지는 제어데이타에 기록된 호출번호가 내부에 기록된 호출번호와 동일하지 않으면 종료데이타가 수신될 때 까지 사용중 램프를 온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되는 호측측은 통화 또는 제어데이타를 전송하는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를 지칭하며, 접수측은 수신되는 제어데이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를 말한다.
먼저, 도3를 참조하여 호출측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11)는 30단계에서 외부의 요구에 의해 빈 채널을 시져하기 위해 다수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상기 채널 검색은 주파수합성부(17)를 제어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주파수를 발생하며, 상기 채널주파수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검색한다. 상기 채널 검색에 의해 32단계에서 빈 채널이 시져되면 상기 제어부(11)는 3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는 34단계에서 무선전화기의 식별코드와 통화를 연결하고자 하는 접수측의 호출번호를 포함하는 제어데이타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데이타는 제어부(11)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구성된 제어데이타는 송신부(14)에서 상기 채널주파수와 믹싱되어 듀플렉서(15)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제어데이타가 송신된 후 상기 제어부(11)는 3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접수측으로부터 송신된 확인데이타의 수신을 감지한다. 상기 확인데이타의 수신은 상기 32단계에서 시져된 채널로 듀플렉서(15)를 통해 수신부(16)에 수신됨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36단계에서 확인데이타의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는 3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접수측과의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의 종료가 40단계에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는 4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 종료를 알리는 제어데이타인 종료데이타를 송신한다. 상기 종료데이타의 송신은 상기 34단계에서 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42단계에서 종료데이타 송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는 44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구성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도4를 참조하여 접수측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11)는 50단계에서 하나의 무선전화기에 따른 동일한 식별코드를 가지는 제어데이타가 수신되는 채널을 시져하기 위해 다수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상기 채널 검색은 주파수합성부(17)를 제어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주파수를 발생하며, 상기 채널주파수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검색한다. 상기 동일한 식별코드를 가지는 제어데이타의 수신이 52단계에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는 5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는 54단계에서 수신된 제어데이타를 분석하여 내부에 설정된 자신의 호출번호와 동일한 호출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54단계에서 동일한 호출번호가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는 호출측이 자신을 호출하였다고 판단하여 56단계에서 확인데이타를 송신한다. 무선전화기의 식별코드와 호출측의 호출번호를 가지는 상기 확인데이타는 상기 제어부(11)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구성된 확인데이타는 송신부(14)에서 상기 채널주파수와 믹싱되어 듀플렉서(15)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확인데이타가 송신된 후 상기 제어부(11)는 5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호출측과의 통화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54단계에서 자신의 호출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고정장치(2) 또는 다른 휴대장치(4,6,8)가 통화 요구하였다고 판단하여 60단계에서 표시램프(13)를 온 시킨다. 상기 표시램프(13)를 온 시키는 것은 상기 고정장치(2) 또는 다른 휴대장치(4,6,8)가 사용중임으로 무선전화기를 사용할 수 없음을 알리기 위함이다. 상기 표시램프(13)을 온 시킨 후 상기 제어부(11)는 6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50단계와 52단계에서 선택된 채널을 통하여 종료데이타의 수신을 감지한다. 사용 종료를 알리는 상기 종료데이타의 수신은 듀플렉서(15)를 통해 수신부(16)에 수신됨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62단계에서 종료데이타의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는 6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램프(13)를 오프하여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알려 접수측의 장치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정장치 또는 다른 휴대장치가 사용중임을 알려줌으로서 사용이 해제된 상태에서 통화 시도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고유의 호출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휴대장치와 하나의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임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기록된 자신의 고유 호출번호가 아닌 다른 호출번호를 가지는 통화 요구 제어데이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전화기 사용중을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중 알림은,
    사용중 표시램프를 온 시켜 상기 무선전화기의 사용중을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 종료 제어데이타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램프를 오프하여 사용 종료를 알리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4. 고유의 호출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휴대장치와 하나의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임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별코드를 가지는 제어데이타의 수신을 감지하는 감지과정과,
    상기 제어데이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데이타가 가지는 고유번호를 내부에 기록된 자신의 고유번호와 비교하는 분석과정과,
    동일한 고유번호를 가지는 제어데이타라 분석되면 확인데이타를 송신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과정과,
    동일한 고유번호를 가지는 제어데이타가 아니라고 분석되면 상기 무선전화기 사용중을 알리는 표시램프를 온 시키는 사용알림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과정은,
    사용 종료 제어데이타가 수신되면 통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알림과정은,
    사용 종료 제어데이타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램프를 오프하여 사용 종료를 알리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KR1019960031341A 1996-07-29 1996-07-29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18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341A KR100189253B1 (ko) 1996-07-29 1996-07-29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GB9715784A GB2315957B (en) 1996-07-29 1997-07-28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telephone line in a radio telephone appar tus
DE19732428A DE19732428B4 (de) 1996-07-29 1997-07-28 Verfahren zur Information eines Benutzers über einen Belegzustand einer Telefonleitung in einem Funktelefongerät
JP9203150A JP3021398B2 (ja) 1996-07-29 1997-07-29 コードレス電話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341A KR100189253B1 (ko) 1996-07-29 1996-07-29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048A KR980013048A (ko) 1998-04-30
KR100189253B1 true KR100189253B1 (ko) 1999-06-01

Family

ID=194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3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189253B1 (ko) 1996-07-29 1996-07-29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021398B2 (ko)
KR (1) KR100189253B1 (ko)
DE (1) DE19732428B4 (ko)
GB (1) GB2315957B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8028A (en) * 1983-09-30 1985-08-27 General Telephone Of Florida Apparatus for use with key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device
JPS6489841A (en) * 1987-09-30 1989-04-05 Toshiba Corp Radiotelephony system
US5203013A (en) * 1990-09-10 1993-04-13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system supporting busy and out-of-range function
US5517551A (en) * 1990-12-04 1996-05-14 Canon Kabushiki Kaisha Telephone apparatus with dial key display for external line status
JPH06169334A (ja) * 1992-11-30 1994-06-14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79781A (ja) 1998-03-24
JP3021398B2 (ja) 2000-03-15
DE19732428A1 (de) 1998-03-12
GB9715784D0 (en) 1997-10-01
KR980013048A (ko) 1998-04-30
DE19732428B4 (de) 2005-07-21
GB2315957B (en) 1998-09-30
GB2315957A (en) 199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8001B2 (ja) セルラ―・コ―ドレス電話機で呼を送受信する方法
KR0185613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JPH05235842A (ja) 無線電話装置
JP3050181B2 (ja) 移動体通信装置
EP0435775B1 (en) Cordless telephone
JPH0650839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189253B1 (ko)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US6208868B1 (en) Expanded communication metho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US5293419A (en) Simultaneous voice-call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KR100206175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해제방법
JPH114482A (ja) 移動電話機
JPH08149546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CN1953481A (zh) 可自动回拨设定通话的多模通讯装置及方法及其启动方法
KR100444237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960004723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예약 방법
KR100242314B1 (ko) 보조 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에서 보조 휴대장치 호출방법
JP29658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
JPH0496432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930002771B1 (ko) 무선전화기의 다이얼링방법
JP3147889B2 (ja) 移動体通信装置
JP3253648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229863B1 (ko)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JPH06326660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チャンネル切替装置
JPH02220522A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アクセス方法
JPH036055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