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910B1 -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88910B1 KR100188910B1 KR1019960003068A KR19960003068A KR100188910B1 KR 100188910 B1 KR100188910 B1 KR 100188910B1 KR 1019960003068 A KR1019960003068 A KR 1019960003068A KR 19960003068 A KR19960003068 A KR 19960003068A KR 100188910 B1 KR100188910 B1 KR 100188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inverter
- output
- voltage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02M7/53846—Control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2)
- 인버터의 상하측에 장착되는 파워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서로 상반된 상태로 인가되는 인버터 지령 펄스 신호를 각각 조합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측의 파워 소자를 암 단락 없이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지연 수단과; 상기 신호 지연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펄스 신호를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절연된 신호로 전달하고, 인버터 운전 이상 발생시 이상 검출 신호가 발생되어 역방향으로의 신호 전달용으로 사용되는 제1전압발생 수단과;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펄스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DC/DC컨버터를 이용하여, 각 파워 소자의 게이트 구동 전압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전압 발생 수단과;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제2전압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게이트용 구동 전압으로 신호 변환하여 파워 소자의 게이트 단자로 출력하므로 인버터의 파워 소자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구동 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구동 신호 출력 수단의 동작에 따라 파워 소자가 턴온 동작할 경우, 발생하는 파워 소자의 컬렉터-에미터 간의 전압(Vce)과 설정된 기준 발생 전압을 비교하여 턴온 이상 방생시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하여, 파워 소자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전압 발생수단을 통해 이상 검출 신호를 역전달하는 이상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을 통해 역전달된 이상 검출 신호에 의해 동작상태가 변화하여 에러 신호(-error)를 발생시키는 에러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인버터의 상하측에 장착되는 파워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서로 상반된 상태로 인가되는 인버터 구동 제어 신호를 정형하여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슈미트 트리거 수단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 중에서 펄스폭이 설정 폭보다 짧은 신호를 제거하여 제1전압 발생 수단으로 출력하는 단과 정류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인버터의 상하측에 장착되는 파워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서로 상반된 상태로 인가되는 인버터 구동 신호가 상하측의 각 해당 신호 지연 수단에서 동시에 턴온 신호로 출력될 때, 인버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신호를 에러 신호 발생 수단으로 출력하는 보호 신호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지연 수단은, 상하측에 장착되는 슈미트 트리거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저항(R21)과 캐피시터(C21) 및 다이오드(D21)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지연되는 상대측의 슈미트 트리거 수단의 출력 신호를 논리곱하여 상하측의 각 파워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간의 소정의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논리곱 수단(AND2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신호 출력 수단은,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에서 유기되어 입력단자(T)로 입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출력 단자(Q)의 신호 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파워 소자의 베이스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전달 수단(FF71)과; 상기 신호 전달 수단(FF71)의 출력단자(Q)의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변화하여 해당 파워 소자의 베이스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스위칭 수단(T71, T7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 수단(FF71)은, 입력단자(T)로 클럭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출력 단자(Q)의 신호 상태가 반전되는 T플립플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수단(T71)은, 베이스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수단(T72)은, 베이스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 검출 수단은, 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압을 발생학 위한 기준 전압 발생부(81)와; 턴온 상태인 파워 소자의 컬렉터-에미터간의 전압(Vce)과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81)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 신호 출력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비교수단(Q81)와; 상기 비교 수단(Q8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변화하여, DC/DC컨버터에서 만들어진 DC 전압을 이상 검출 신호로 하여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1전압 발생 수단에서 역전달된 이상 검출 신호와 보호 신호 출력 수단과 연결되어, 제1전압 발생 수단과 보호신호 출력 수단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이상 검출 신호가 전달되거나 보호 신호가 출력되면 출력 신호가 변화하는 비교 수단(Q91)과; 저항(R91)과 커패시터(C91)에 의해 바이어스 인가 및 노이즈 상태를 제거한 후, 인가되는 상기 비교 수단(Q91)의 출력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에러 신호(-error)를 발생시키는 에러 신호 출력부(FF9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 출력부(FF91)는, 상기 비교 수단(Q91)의 출력 신호가 셋트단자(S)로 입력되는 RS플립플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03068A KR100188910B1 (ko) | 1996-02-08 | 1996-02-08 |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03068A KR100188910B1 (ko) | 1996-02-08 | 1996-02-08 |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3884A KR970063884A (ko) | 1997-09-12 |
KR100188910B1 true KR100188910B1 (ko) | 1999-06-01 |
Family
ID=1945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030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188910B1 (ko) | 1996-02-08 | 1996-02-08 |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889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4094B1 (ko) * | 2005-08-16 | 2007-06-04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전기용량 부담을 이용한 전압변성기 비교측정시스템의비오차 및 위상각 오차의 선형성 평가방법 |
KR101290582B1 (ko) * | 2011-04-26 | 2013-07-30 | 한국전력공사 |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를 위한 고주파 전류 공급 장치 |
EP3496260A1 (en) * | 2017-12-06 | 2019-06-12 |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nverter, inver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verter |
-
1996
- 1996-02-08 KR KR1019960003068A patent/KR10018891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3884A (ko) | 1997-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42432A (en) | Fault detection apparatus for a transformer isolated transistor drive circuit for a power device | |
US5475290A (en) | Device for protecting washing machine motor including brushless motor against overcurrent | |
US6351397B1 (en) | Protection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PWM cycloconverter | |
KR0122309B1 (ko) | 반도체 장치의 보호회로 | |
US9059706B2 (en) | Drive circuit for switching element | |
KR20210010377A (ko) |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용 단락 검출 및 보호와 로직 분석을 사용하여 이를 검출하는 방법 | |
US9941815B2 (en) |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overcurrent simulating circuit | |
JPS63501119A (ja) | モータ制御回路の短絡を感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200409218Y1 (ko) | 인버터 | |
JP2013153603A (ja) | モータ制御装置 | |
JP4920434B2 (ja) |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 |
US6449180B1 (en) | World wide power supply apparatus that includes a relay switch voltage doubling circuit | |
KR100188910B1 (ko) | 인버터의 이상 상태 감지회로 | |
CN113556079A (zh) | 电动机驱动装置、电动机驱动方法及记录有电动机驱动程序的计算机可读介质 | |
CN109116207B (zh) | 预检测桥式结构中igbt异常的方法 | |
JPH05219752A (ja) | 電力変換装置の短絡保護装置 | |
EP0627808B1 (en) | Piloting system for electric inverter | |
JP6622405B2 (ja) | インバータ駆動装置 | |
JPH06233402A (ja) | 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回路 | |
JPH1094269A (ja) | インバータ装置 | |
JPH0746822A (ja) | スイッチング回路 | |
US12191844B2 (en) |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drive control device, and power conversion device | |
GB2277214A (en) | Washing machine motor with rotor position sensor | |
KR970003351Y1 (ko) | 지티오(gto)의 구동에러 검출장치 | |
KR910001814Y1 (ko) | 인버터의 저전압 보호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