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88431B1 -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431B1
KR100188431B1 KR1019970007255A KR19970007255A KR100188431B1 KR 100188431 B1 KR100188431 B1 KR 100188431B1 KR 1019970007255 A KR1019970007255 A KR 1019970007255A KR 19970007255 A KR19970007255 A KR 19970007255A KR 100188431 B1 KR100188431 B1 KR 100188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rd
vehicle
smart card
electronic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421A (ko
Inventor
정병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43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4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8Interfac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메모리 장치를 갖는 마이크로콘트롤러가 내장되고, 사용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 각 사용자의 정보가 기록되는 스마트 카드;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인증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카드 인터페이스부; 스마트 카드가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면, 카드 인터페이스부가 스마트 카드로부터 소정의 데이타를 독출하도록 명령하며, 명령에 응답하여 카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인증 데이타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 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제1, 제2 및 제3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제1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출입제어 전자 모듈부;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제2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시동제어 전자 모듈부; 및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제3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전자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동차의 출입 및 시동 절차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논리적인 데이타를 검사하는 과정으로 그 프로세스를 대체하였으므로 보안의 효과를 높이고, 부가적으로 부서 단위의의 식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부서 단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 모듈(Electronic Control Unit:ECU)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출입 및 시동에 관련된 ECU를 제어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ECU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동이나 출입을 위한 도구로는 흔히 열쇠가 많이 사용된다. 자동차의 시동과 출입에는 같은 열쇠가 사용되고, 열쇠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형태를 맞추어 비교하는 것이 열쇠에 대한 인증의 전부이며, 약간의 변형으로 자석을 이용한 변조가 있으나, 이것 역시 위조의 가능성이 높다. 즉, 열쇠의 모양이 자동차 키로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였다.
종래에는 출입과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권한이 열쇠에 있으므로, 열쇠 의 삽입구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원래의 합법적인 키도 모든 권한을 상실하게 되어 적법하지 않은 열쇠가 되기 때문에 이것은 물리적인 열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위조가 쉽다는 사실과 분실하는 경우의 해결방법이 자동차 전체의 키 박스를 여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열쇠를 위조한 경우에 가공기술을 악용한 모조는 충분히 가능하며, 약간의 변형된 경우로 마그네틱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마그네틱 카드 역시 위조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위조가 된 경우 주인이 위조당한 사실을 모르고 키 박스를 교체하지 않는다면, 위조한 키에 대한 문제의 해결 방법이 없게 된다.
다른 큰 문제점은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른 물리적인 도구로서 키를 대신하여 검사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면 시동과 문을 여는 작업이 적법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허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만능키 혹은 기타 여러 도구들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문을 열거나, 자동차의 시동과 관련된 전기 배선의 일부를 찾아내어 시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시동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다른 한가지 문제점은, 만일 불법으로 다른 사람의 자동차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가 열쇠의 삽입구를 파손시킴으로써 원래의 자동차의 소유자도 원래의 올바른 열쇠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열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이다. 즉, 자동차의 열쇠 삽입구가 차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결할 방법이 없으며, 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문을 통제하면 열쇠의 삽입구가 필요없는 구조가 되므로 외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마그네틱이 위조가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방법도 위조에 대한 방지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자동차에 널리 이용되는 전자 모듈 즉, 본래 자동차의 연료분사, 현가장치제어, 자기 진단 등의 자동차 동작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자 모듈(Electronic Control Unit:ECU)에 사용자의 자격을 인증하고, 출입 및 시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보안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자격을 인증하는 기능을 ECU가 담당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입력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출입 및 시동에 관련된 ECU를 제어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ECU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출입 및 시동에 관련된 ECU를 제어하는 자동차 ECU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모듈(ECU)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모듈(ECU)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모듈 제어 장치는, 메모리 장치를 갖는 마이크로콘트롤러가 내장되고, 사용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 각 사용자의 정보가 기록되는 스마트 카드;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인증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카드 인터페이스부; 스마트 카드가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면, 카드 인터페이스부가 스마트 카드로부터 소정의 데이타를 독출하도록 명령하며, 명령에 응답하여 카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인증 데이타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 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제1, 제2 및 제3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제1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출입제어 전자모듈부;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제2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시동제어 전자모듈부; 및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제3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전자 모듈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모듈(ECU) 제어 방법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자동차의 출입과 관련된 데이타를 독출하는 제1독출 단계; 독출된 데이타로부터 각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가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 각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하는 출입 허락 단계; 각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출입 차단 단계; 출입이 허락되면, 스마트 카드로부터 자동차의 시동과 관련된 데이타를 독출하는 제2독출 단계; 독출된 데이타로서 각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가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 각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시동 차단 단계;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허락하는 시동 허락 단계; 및 자동차가 시동되면 소정의 전자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자 모듈을 구동시키는 전자모듈 구동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모듈(ECU) 제어 장치에 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ECU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스마트 카드(2), 카드 인터페이스부(4) 를 구성하는 출입 인터페이스부(6)와 시동 인터페이스부(8), 카드 정보 처리 ECU(10), 출입 제어 ECU(12), 시동 제어 ECU(14), 출입부(18), 시동부(20), ECU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 카드(2)는 개인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고성능 반도체 칩을 내장한 IC카드이고,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4)는 상기 스마트 카드(2)의 데이타를 읽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카드 구동 회로로서, 자동차의 출입과 관련된 데이타를 독출하는 출입 인터페이스부(6)와 시동에 관련된 데이타를 독출하는 시동 인터페이스부(8)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 및 8) 각각은 스마트 카드 (2)의 종류 즉, 스마트 카드(2)가 접촉식인가 비접촉식인가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 되고, 접촉식 카드인 경우에 카드 인터페이스부(4)는 전원, 클럭, 리셋 신호, 데이터의 입출력 및 카드의 삽입을 알려주는 신호가 필요하다.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데이타를 입력하여 사용자기 인증된 사용자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출입 및 시동에 관련된 소정의 ECU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2 및 제3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카드(2)에 기록된 사용자의 정보와 같은 데이타를 기준 데이타로서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부(미도시)와, 상기 스마트 카드(2)로부터 독출된 데이타와 상기 기준 데이타를 비교하는 데이타 비교부(미도시) 및 상기 비교된 결과를 제1,제2 및 제3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출입 제어 ECU(12)와 시동 제어 ECU(14)는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입부(18)와 시동부(2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과 시동을 허락하거나 차단한다. 소정의 ECU들로 구성된 상기 ECU부(16)는 상기 제3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고, 선택된 ECU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ECU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플로우차트로서, 스마트 카드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단계(제24-30단계), 스마트 카드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사용자가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단계(제32-38단계) 및 소정의 ECU를 선택하여 구동시키는 단계(제40단계)로 구성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ECU 제어 장치의 동작 및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마트 카드(2)는 개인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를 갖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내장하고,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연결 단자인 내부의 패드를 통해서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와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상기 스마트 카드(2)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출입 및 시동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카드(2) 내에 각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많은 정보들이 기록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의 식별 코드(Identification:ID), 분실 횟수, 사용 권리를 전해주는 데이타 등이 기록된다. 스마트 카드(2)의 전원, 클럭, 리셋 신호는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 즉, 카드 인터페이스부 (4)에서 공급받게 되며,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4)로부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콘트롤러 내부의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한다.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4)는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4)에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 클럭, 리셋 신호 또는 데이타를 입출력하기 위한 데이타 라인이 직접 카드 정보처리 ECU(10)에 연결되어야 하고, 스마트 카드(2)와의 데이타 교환을 위한 코드가 구현되어야 한다.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4)내에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 카드(2)로부터 읽은 데이타들 중에서 출입과 시동에 필요한 데이타만이 카드 정보 처리 ECU(10)로 전달되어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4)의 출입 인터페이스부(6)와 시동 인터페이스부(8) 각각에 마이컴을 구성하거나 하나의 인터페이스 마이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에 마이컴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카드의 데이타가 전달되는 데이타 라인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노이즈를 줄일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스마트 카드(2)를 소지한 사용자가 자동차의 문을 열기 위해 상기 스마트 카드를 접촉시키면, 카드 인터페이스부(4)의 출입 인터페이스부(6)는 카드의 삽입을 알리는 신호를 감지하고, 카드 정보 처리 ECU(10)에 카드가 삽입되었음을 통보한다.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는 상기 출입 인터페이스부 (6)가 스마트 카드의 어떤 부분에서 어떠한 데이타를 읽을 것인지를 선택하여 명령하고, 상기 출입 인터페이스부(6)는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스마트 카드(2) 로부터 읽은 데이타를 전송한다(제24단계).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의 데이타 비교부는 상기 데이타를 입력하여 데이타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 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로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제26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카드 정보 처리 ECU(10)의 제어부는 출입을 제어하는 제1제어 신호를 출입 제어 ECU(12)로 출력하고, 상기 출입 제어 ECU(12)는 제1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입부(18)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한다(제28단계). 만약,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불법의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30단계).
즉, 카드 정보 처리 ECU(10)는 사용자의 ID, 분실횟수, 사용권리 등의 데이타를 스마트 카드(2)로부터 독출하여 기준 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일 사용자가 아닌, 부서 또는 단체에서 자동차를 관리하는 경우,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내에 상기 부서 구성원의 ID를 모두 등록시키는 것이 아니라 부서 코드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개인이 소유한 자동차인 경우에도 생산회사 또는 대리점에서 관리자 카드를 소지함으로써 소유자가 카드를 분실하는 경우, 임시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서 사용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상기 사용자의 출입이 확정되면,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시동 인터페이스부(8)에 읽을 데이타를 선택하여 명령하고, 상기 시동 인터페이스부(8)는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2)로부터 시동에 관련된 데이타를 독출한다(제32단계).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는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제34단계), 자동차의 시동 제어 ECU(14)에 제2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시동 제어 ECU(14)는 상기 제2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시동부(20)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자동차를 시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제36단계). 만약,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의 시동을 시도할 경우에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의 제어부는 자동차의 시동을 차단하게 된다(제38단계).
결국, 불법의 사용자가 출입과 시동을 시도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가 출입 제어 ECU(12) 또는 시동 제어 ECU(14)에 구동 명령을 주지 않으므로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는 종래의 고저만 존재하는 전원 신호가 아닌 데이타들이므로 출입부(18)또는 시동부(20)의 배선을 변경하여 자동차 를 구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자동차의 출입 및 시동을 허락받으면,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는 자동차 내의 ECU부(1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3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자동차 내의 ECU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도록 한다(제40단계). 즉, 상기 ECU부(16)는 언제 어느 시기에, 얼마 만큼의 연료를 분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연료 분사 ECU,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현가 장치 제어 ECU, 노면에서의 자동차 바퀴에 대한 마찰 등을 제어하기 위한 트랙션 제어 ECU 및 자동차의 전반적인 상태를 스스로 진단하기 위한 자기 진단 ECU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3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인증받은 사용자로서 자동차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드 정보 처리 ECU(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3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ECU부(16)에 포함된 모든 ECU가 선택되거나, 일부의 ECU만이 선택되어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원래의 자동차 소유주에게는 사용 권한이 따로 주어지고, 타 사용자에게는 자동차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소정의 ECU만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카드 정보 처리 ECU(10)와 각 ECU간에 전용 회선을 구비하여 데이타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ECU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자동차의 출입 및 시동 절차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ID, 분실 횟수 등의 논리적인 데이타를 검사하는 과정으로 그 프로세스를 대체하였으므로 보안의 효과를 높였으며, 부가적으로 단체에서 사용하는 자동차에 부서 단위의 ID를 부가함으로써 부서 단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관리자의 역할을 하는 카드를 지정하여 일반 사용자와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함으로써 원래의 소유주가 아닌 임시의 사용자는 원래의 사용자와는 다른 사용 권한을 갖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메모리 장치를 갖는 마이크로콘트롤러가 내장되고, 사용자의 식별 코드(ID)를 포함한 각 사용자의 정보가 기록되는 스마트 카드;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인증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카드 인터페이스부;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면,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소정의 데이타를 독출하도록 명령하며,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인증 데이타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 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는 제1, 제2 및 제3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
    상기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출입제어 전자 모듈부;
    상기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차단하는 시동제어 전자 모듈부; 및
    상기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전자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전자 모듈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각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카드를 분실하는 경우의 분실 횟수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전자 모듈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각 사용자가 자동차를 사용하거나, 부서 단위 및 그룹 단위로 상기 자동차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 권리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전자 모듈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개인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데이타를 자동차의 출입을 제어하는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출입 카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개인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데이타를 자동차의 시동을 제어하는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시동 카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전자 모듈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처리 전자 모듈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 데이타를 기준 데이타로서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부;
    상기 기준 데이타와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독출된 사용자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타 비교부; 및
    상기 데이타 비교부로부터 출력된 비교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전자 모듈 제어 장치.
  6. 스마트 카드로부터 자동차의 출입과 관련된 데이타를 독출하는 제1독출 단계;
    상기 독출된 데이타로부터 상기 각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가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
    상기 각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허락하는 출입 허락 단계;
    상기 각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에 출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출입 차단 단계;
    상기 출입이 허락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상기 자동차의 시동과 관련된 데이타를 독출하는 제2독출 단계;
    상기 독출된 데이타로서 상기 각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가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
    상기 각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시동 차단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를 시동하는 것을 허락하는 시동 허락 단계; 및
    상기 자동차가 시동되면 소정의 전자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전자 모듈을 구동시키는 전자모듈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전자 모듈 제어 방법.
KR1019970007255A 1997-03-05 1997-03-05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188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255A KR100188431B1 (ko) 1997-03-05 1997-03-05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255A KR100188431B1 (ko) 1997-03-05 1997-03-05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421A KR19980072421A (ko) 1998-11-05
KR100188431B1 true KR100188431B1 (ko) 1999-06-01

Family

ID=1949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255A Expired - Lifetime KR100188431B1 (ko) 1997-03-05 1997-03-05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14B1 (ko) * 2017-10-26 2022-09-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421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338B1 (en)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performing authentication in multiple steps
EP0707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system operation
EP0835790B1 (en) Anti-theft device using code type transponder
JPS60138645A (ja) マイクロプロセツサ制御型電子設備を使用禁止事態の発生後において不作動にするための安全装置及び方法
JP2008195253A (ja) 車両使用許可システム
US20080246583A1 (en) Access Control System
US9111084B2 (en) Authentication platfor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JP200415254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US6778067B2 (en) Keylock switch and keylock switch system
US5740403A (en) Process circuit & system for protecting an integrated circuit against fraudulent use
US7671724B2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EP1228433A1 (en) Security arrangement
EP0804354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KR100188431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EP1740419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antitheft system
US20070046425A1 (en) Car security device
EP0982687A1 (en) Method for preventing or detecting fraud in an identification system
KR100289934B1 (ko) 자동차도난방지장치및도난방지과정
RU2138412C1 (ru) Способ сообщения пароля системе безопасности автомобиля
JPH10252327A (ja) Id付き鍵システムと夜間金庫装置及び貸し金庫システム
GB2446912A (en) Access control having antipassback
JPS6299239A (ja) 運転免許証および車両起動制御装置
KR20060099044A (ko)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모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S63268884A (ja) 自動車用カ−ドキ−装置
JPH06203241A (ja) 入退室用カード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