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86574B1 -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574B1
KR100186574B1 KR1019960045265A KR19960045265A KR100186574B1 KR 100186574 B1 KR100186574 B1 KR 100186574B1 KR 1019960045265 A KR1019960045265 A KR 1019960045265A KR 19960045265 A KR19960045265 A KR 19960045265A KR 100186574 B1 KR100186574 B1 KR 10018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ool
washing machine
difference valu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725A (ko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4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57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울의류 세탁시의 세탁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울세탁 코스 알고리즘을 갖는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울세탁 코스에서 세탁물의 포량에 상응하는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스텝; 상기 세탁물의 포량을 재차 감지하여 초기 포량과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스텝;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스텝에서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차이값을 비교하고 이에 따라 탈수행정의 수행여부를 결정하여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므로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고 세탁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울세탁 코스알고리즘을 갖는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에서 세탁되는 울의류는 강한 회전수류에 의해 펠트(Felt)현상을 일으키므로 섬유끼리 엉키고 수축되어 원상태로의 복귀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울의류는 가급적 물세탁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가공성의 발달, 저가 울의류 보급 등의 이유로 울의류를 물세탁 해야할 필요성이 증가하여 세탁기에는 울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수적인 요소로 갖추어지는 추세이다.
도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일반적인 세탁기의 제어장치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행정 관련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11),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부(12), 세탁조(도시생략)내의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부(13), 포량감지부(13)의 감지값과 전원부(12)의 동작전원 및 키 입력부(11)의 동작명령을 입력받아 세탁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14), 마이컴(14)의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밸브(도시생략), 모터(도시생략)등의 각종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구동부(15)와 마이컴(14)의 제어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11)를 통해 울의류 세탁코스를 선택하면(S100), 마이컴(14)은 부하구동부(15)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어서, 부하구동부(15)는 마이컴(14)의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밸브를 구동시켜 중수위로 급수한다(S101).
이때, 울세탁 코스는 세탁조(도시생략)내의 포량에 관계없이 울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수위로 급수하도록 기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컴(14)은 부하구동부(1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세탁행정에 필요한 부하를 구동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한다.
이때, 울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펄세이터(Pulsator)는 저속 구동시키며 일반 세탁물의 세탁시간에 비해 짧게 수분동안 세탁행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마이컴(14)은 부하구동부(1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급수밸브, 배수밸브, 모터 등의 부하를 적절히 구동시켜 탈수 → 헹굼 → 탈수 → 헹굼 → 탈수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울의류 세탁행정을 종료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은 첫째, 울의류를 세탁할때 울의류에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울의류의 양 및 세탁기의 용량에 관계없이 중수위로 급수하므로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물리적 힘이 울의류에 가해지는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세탁시간을 짧게 설정하므로 세탁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울의류중 특히 편직류는 조직이 느슨하고 공간이 많아 물을 많이 흡수하는데 그 상태로 탈수를 수행하여 섬유조직이 이완되고 외형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울의류의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 입력부 12 : 전원부
13 : 포량감지부 14 : 마이컴
15 : 부하구동부 16 : 표시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은 울세탁 코스 알고리즘을 갖는 세탁기의 행정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울세탁 코스에서 세탁물의 포량에 상응하는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스텝; 상기 세탁물의 포량을 재차 감지하여 초기 포량과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스텝;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스텝에서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차이값을 비교하고 이에 따라 탈수행정 수행여부를 결정하여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11)를 통해 울세탁 코스를 선택하면(S200) 포량감지부(13)는 세탁조내의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그 값을 마이컴(14)에 인가한다(S201).
이어서, 마이컴(14)은 부하구동부(1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급수밸브를 구동시켜 포량감지부(13)에서 인가된 감지값에 따라 울의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적정수위로 세탁수를 급수한다(S202).
그리고, 급수가 완료된후 세탁행정을 진행하기 앞서 일정시간 동안 대기한다(S203).
이때,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은 세탁에 앞서 울의류에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게 하며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마이컴(14)은 부하구동부(1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부하구동부(15)는 마이컴(14)의 제어신호에 따라 펄세이터(도시생략)를 저속으로 구동시켜 종래 기술과 같은 시간동안 세탁행정을 수행한다(S204).
이때, 종래 기술과 같은 시간동안 세탁행정을 수행하였지만 이에 앞서 일정 시간 동안 울의류를 불리는 행정을 수행하였으므로 세탁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포량감지부(13)는 다시 한번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마이컴(14)에 인가한다(S205).
이어서, 마이컴(14)은 최초의 포량감지값과 두번째 포량감지값의 차(D)를 산출하여 설정값(Yn)과 비교한다(S206).
이때, 울의류중에서 편물류(니트류)는 조직특성상 다른 울의류에 비해 수분 흡수량이 많고 수분을 많이 흡수한 상태에서 외력을 받을 경우 형태의 변형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세탁물의 종류를 감지하기 위하여 최초의 포량감지에 따른 감지값과 두번째 포량감지값의 차(D)를 편물류의 수분흡수 정도에 따른 설정값(Yn)과 비교하는 것이다.
그리고, 최초의 포량감지값과 두번째 포량감지값의 차(D)가 설정값(Yn) 이상일때는 탈수행정을 생략하고 배수행정을 수행한다(S207).
이때, 최초의 포량감지값과 두번째 포량감지값의 차(D)는 세탁물이 물을 흡수한 정도를 나타내고 그 차(D)가 설정값(Yn) 이상일때는 세탁물이 편물류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형태변형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탈수행정을 생략한 것이다.
이어서, 마이컴(14)은 부하구동부(15)에 적절히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각종부하를 구동시켜 헹굼 → 배수 → 헹굼 →배수순으로 행정을 수행하고 울세탁 행정을 종료한다(S208~S209).
이때, 탈수행정을 생략하고 배수행정만 수행한 단계(S207)와 마찬가지로 울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탈수행정은 생략된다.
한편, 포량감지값의 차(D)가 설정값(Yn) 보다 작을때는 세탁물이 보통 울의류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S210).
이때, 보통 울의류는 편물류에 비해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인가받는 외력에 의한 손상이 적을지라도 탈수시에는 손상이 있을수 있으므로 탈수행정을 수행할때 저속 회전으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마이컴(14)은 부하구동부(1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부하구동부(15)는 마이컴(14)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 급수밸브, 배수밸브 등의 부하를 적절히 구동시켜 헹굼 → 저속탈수 → 헹굼 → 저속탈수의 순으로 행정을 수행하고 울세탁 행정을 종료한다(S210~S212).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은 울의류를 세탁할때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에는 울의류를 세탁할때 중수위로 급수되도록 기설정되어 세탁물에 비해 많은 물을 소비하였거나 본 발명은 포량감지를 통해 울의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적정수위로 급수하므로 세탁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울의류 손상방지를 위해 짧은 시간동안 세탁하므로 인한 세탁성능 저하를 불림행정을 통해 해결하므로 세탁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다.
셋째, 탈수행정에 의한 편물류의 손상을 두차례의 포량감지를 통해 해결하므로 세탁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Claims (3)

  1. 울세탁 코스 알고리즘을 갖는 세탁기의 행정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울세탁 코스에서 세탁물의 포량에 상응하는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스텝; 상기 세탁물의 포량을 재차 감지하여 초기 포량과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스텝;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스텝에서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차이값을 비교하고 이에 따라 탈수행정 수행여부를 결정하여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스텝에서 포량에 상응하는 세탁수를 급수한후 세탁수가 세탁물에 스며들 동안 대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행정의 수행여부는 저속탈수와 탈수행정의 생략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KR1019960045265A 1996-10-11 1996-10-11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KR10018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265A KR100186574B1 (ko) 1996-10-11 1996-10-11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265A KR100186574B1 (ko) 1996-10-11 1996-10-11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25A KR19980026725A (ko) 1998-07-15
KR100186574B1 true KR100186574B1 (ko) 1999-05-15

Family

ID=1947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265A KR100186574B1 (ko) 1996-10-11 1996-10-11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731B1 (ko) * 2010-06-28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137950B1 (ko) * 2013-08-02 2020-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2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026B1 (ko) 세탁물의 흡수특성을 고려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1876133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040046925A (ko) 드럼세탁기의 급수방법
KR100186574B1 (ko)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WO2008148844A2 (en) A washer/dry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45429B1 (ko) 세탁기의 세탁 자동제어 방법
KR100187267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481376B1 (ko) 세탁기의세탁제어방법
KR100474924B1 (ko) 세탁기의 탈수 속도 제어방법
KR0179313B1 (ko) 세탁기의 세제농도조절방법
KR20130080105A (ko) 건조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탈수 제어방법
KR100205800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CN113737455A (zh) 洗衣机控制方法、装置及洗衣机
KR101147732B1 (ko) 세탁기의 행정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31641A (ko) 세탁기의 밸런스 탈수방법
KR0169690B1 (ko) 세탁기의 헹굼향상방법
KR100198326B1 (ko) 세탁기의 헹굼방법
KR100495066B1 (ko) 세탁기의 세탁코스 결정방법
KR100977568B1 (ko) 세탁기의 간이 건조 제어 방법
KR19990055473A (ko) 드럼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KR100404207B1 (ko) 드럼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KR20000043399A (ko) 세탁물 엉킴 해제방법
KR19990032835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히터이상 감지방법
KR20000043402A (ko) 세제투입 제어방법
KR19980041189A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