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4160B1 -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 Google Patents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160B1
KR0184160B1 KR1019960012028A KR19960012028A KR0184160B1 KR 0184160 B1 KR0184160 B1 KR 0184160B1 KR 1019960012028 A KR1019960012028 A KR 1019960012028A KR 19960012028 A KR19960012028 A KR 19960012028A KR 0184160 B1 KR0184160 B1 KR 018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le
tiles
molded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974A (ko
Inventor
이승각
Original Assignee
이승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각 filed Critical 이승각
Priority to KR101996001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160B1/ko
Publication of KR97007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1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8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6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letters or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우레탄수지로 제작된 몰드를 이용하여 준비된 재료를 프레스 성형하고 농악과 민속놀이, 전래의 문양, 십장생(十長生)등의 원하는 형상의 타일을 제작하여 몰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견고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유의 문화적 가치를 함양할 수 있게한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토50%, 퍼얼라이트(pearlite)30%, 샤모트와 고령토 각 10%를 혼합하여된 재료의 중량비 약18%의 물로 반죽하여 향후 성형될 제품에 경량화를 부여하고, 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에 부합되는 몰드를 제작함에 따라 내구수명을 연장하며, 상기 반죽된 원료를 몰드에 투입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되는 프레스로 가압하여 치밀한 상태로 성형한후 탈형을 거쳐 성형을 완료하게 되었고, 이 성형품을 적어도 1회 이상 건조한후 소성을 하여 완제품을 얻게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본 발명은 타일의 제조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수지로 제작된 몰드를 이용하여 준비된 세라믹재료를 프레스 성형하고 농악과 민속놀이, 전래의 눈양, 십장생(十長生)등의 원하는 형상의 타일을 제작하여 몰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견고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유의 문화적 가치를 함양할 수 있게한 타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주거(住居)나 생활공간의 개념이 문화적인 공간으로 변화되는 추세이고, 이에 비례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타일등은 더욱 많은 미적 감각과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자연석이나 대리석 등의 석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점토(세라믹) 및 인조가공재 등등 많은 종류의 내외장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타일의 제조기술을 혁신하고 그 제품에 예술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세라믹타일의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조성비는 점토 70%, 납석20%, 샤모트(chamtte)5%, 그리고 기타 재료 5%로 되어 있고, 이들 재료를 혼합·반죽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료에 대한 중량비 20%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선별 및 정제후 미분화(米粉化)상태에서 반죽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타일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로서, 원하는 형태의 대상을 선정하여 그 형상을 제작하고, 이 형상을 이용하여 석고재로 몰드를 제작한다.
다음 단계로 상기 석고몰드에 준비된 세라믹재료를 투입하고, 이 재료를 손으로 두드리는 수타(手打)공정을 통해 재료를 분산 및 치밀한 상태로 다진후, 탈형(脫型)공정을 통하여 성형품을 얻는다.
이어서 성형품에 잔류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와 고온으로 가열하는 소성공정을 거쳐 완성품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타일 제조방법은 재료의 주요 조성물이 되는 점토와 납석(약 90%)의 중량이 크므로써, 제작이 완성된 완성품의 경우에도 단위 체적당 무게가 과중하여 운반이나 취급이 불편하였고, 상기 타일을 수직벽 및 천정부위에 시공할때는 그 자중으로 인하여 초기 부착에 많은 지장이 초래되었다.
또한, 반죽된 재료가 투입·성형되는 몰드의 재질이 석고재로 되어 있으므로, 빈번한 충격과 압력이 가해지는 수타공정시 몰드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되어 몰드의 사용수명이 단축되었다.
특히 몰드의 손상으로 인한 염려 때문에 수타과정에서 그 가압범위가 제한되므로써, 보다 치밀한 상태로 성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몰드의 취약한 결점은 연속작업시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게 되기도 하였다.
물론, 주물을 이용하여 몰드를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나, 다양한 종류의 소량씩 생산하는 세라믹타일의 특성으로 인하여 주물로 몰드를 제작할 경우에는 제작비용이 과다하고 채산성이 결여됨이 기인하여 석고재로 몰드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세라믹타일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성형틀이 되는 몰드의 견소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스 성형이 가능한 타이르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생산성과 품질의 높일 수 있는 세라믹타일의 제조방법과 그 타일을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토 50%, 퍼얼라이드(pearlite)30%, 샤모트와 고령토 각 10%를 혼합하여된 재료의 중량비 약 18%의 물로 반죽하여 향후 성형될 제품에 경량화를 부여하고, 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에 부합되는 몰드를 제작함에 따라 내구수명을 연장하며, 상기 반죽된 원료를 몰드에 투입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되는 프레스로 가압하여 치밀한 상태로 성형한 후 탈형을 거쳐 성형을 완료하게 되었고 이 성형품을 적어도 1회 이상 건조한후 소성을 하여 완제품을 얻게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타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타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제3a도내지 d도는 농악과 민속놀이를 다양하게 형상화하여 제조된 타일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도.
제4a,b도는 전래의 문양을 조합 및 개별적으로 형상화하여 제조된 타일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도.
제5a도내지 d도는 십장생(十長生)을 조합 및 개별적으로 형상화하여 제조된 타일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타일의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타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제조하기 위한 대상을 선정하여 그 형상을 제작한다.
상기 형상은 농악과 민속놀이, 전래의 문양, 십장생(十長生)등 고유의 문화적 가치과 예술성을 함양할 수 있는 대상이 바람직하며, 사군자(四君子) 및 산수화등 전통미를 고취시킬 수 있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 단계로 상기 형상에 부합되는 우레탄수지로된 몰드를 제작하여 이 우레탄몰드에 점토50%, 퍼얼라이트30%, 샤모트와 고령토 각 10%를 혼합한 조성물에 중량비약 18%의 몰로 반죽하여 준비된 재료를 투입한다.
조성물은 혼합 및 반죽시 상호 친화력이 구비되게 미분화 상태로 정제되고 반죽된 재료는 자유자재로 변형 가능한 상태이며, 특히 점토에 비해 비중이 낮은 퍼얼라이트의 점유율을 증가시켜 종래에 세라믹타일의 조성물(점토70%, 납석20%, 샤모트5%, 기타 재료5%)에 비해 그 중량이 약 30%정도 감량됨을 확인하였다.
재료가 투입된 우레탄몰드는 프레스기로 이동되어 약 100㎏내외의 압력으로 가압되어 평탄작업과 동시에 다지기를 하여 몰드내에 있는 재료를 치밀한 상태로 압축하고 내구성을 부여하며, 이때 상기 프레스기는 자동 또는 수동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공정에 의해 고형화된 성형물은 우레탄몰드로부터 인출하는 탈형공정을 통해 성형품으로 되고, 이 성형품은 차폐된 공간으로 이동되어 대기 온도하에서 약 2일종도의 1차건조를 거치게된 후, 강제 가열실로 옮겨 100℃내외의 온도에서 2차 건조를 한다.
1차 건조후 성형품의 건조율, 바꾸어 말하면 1차건조후 성형품의 수분함유율은 약 20%정도가 바람직하며, 2차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일 정도로 그 수분 함유율은 2%내외가 바람직하다.
건조가 종료된 성형품은 소성실(燒成室)로 이동시켜 최고온도가 약 1,050℃를 유지한 상태에서 약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소화하여 20시간 정도 방냉시켜 내강성과 내구성을 구비한 완성품을 얻게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3도(a)내지 (d)는 농악과 민속놀이를 다양하게 형상화하여 제조된 세라믹타일을 나타낸 것으로서, (a)의 a부분은 별도로 제조된 상하 두장의 타일을 조합하여 무등 태운 놀이를 형상화한 것이고, b부분은 상하 6장의 타일에 사물(四物)놀이의 부분 동작을 각기 다른 각도에서 형상화하여 동일 주제에 대해 다양성을 부여하였다.
(b)는 상하 6장의 타일에 농악놀이를 각각 형상화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열의 좌측으로부터 상모돌리가, 소북 및 취타 등의 모습이 순차적으로 표현되고, 하부열에는 괭가리 및 징 등의 타악기 연주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c)는 상하 2열에 8장의 타일을 배열한 농악놀이의 다른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중앙선 c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사방으로 위치한 4장의 타일은 개별적인 형상이 표현되었고, 우측의 4장의 타일은 조합에 의해 단일 문양이 표현되었다.
여기서, 규격화된 타일에 각기 개별적인 문양을 표현하거나 이 타일을 하나, 둘 또는 다수장을 조합하여 단일 문양을 형성함에 의해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d)는 위와 동일 주제인 농악놀이를 다른 각도에서 형상화하고 그 타일의 배열상태를 변화시킨 것이다.
[실시예 2]
제4도(a)(b)는 전래의 문양을 조합 및 개별적으로 형상화하여 제조된 세라믹타일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문양은 대칭 상태에서 정형화되어 있고 이때 (a)는 4장의 타일이 조합되어 단일 문양을 표현하고 있으며, (b)는 4장의 타일에 각기 별개이 문양이 표현되어 있다.
[실시예 3]
제5도(a)내지 (d)는 십장생(十長生)을 조합 및 개별적으로 형상화하여 제조된 세라믹타일을 나타낸 것으로, (a)는 2장의 타일이 종방향으로 조합되어 이에 학(鶴)의 문양이 표현되고, (b)는 4장의 타일이 사방으로 조합되어 소나무(松)의 문양이 표현되어 있다.
(c)는 상하 2열에 8장의 타일이 각기 4장씩 배열되어 d부분의 6장의 타일은 물,해,구름,산,돌,거북 등의 문야이 개별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e부분의 2장의 타일은 조합에 의해 단일의 구름모양을 표현하고 있다.
(d)는 상기 (c)와 동일하게 배열된 8장의 타일에 각기 다른 동작을 취하고있는 십장생의 일부 문양을 각기 표현하였다.
여기에서도 위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규격화된 타일에 각기 개별적인 문양을 표현하거나 각 타일을 하나, 둘 또는 다수장을 조합하여 단일 문양을 형성함에 의해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성형의 기초가 되는 몰드가 우레탄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구비됨은 물론 우레탄몰드의 특성상 그의 교정이 가능하여 형상제작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게 되므로 정교환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다.
우레탄몰드를 사용하는 다른 장점은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높은 압력으로 반죽된 재료를 가압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에 따른 파급효과는 몰드에 투입된 재료의 분산성을 좋게 하고 그 조직의 치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탈형시 성형품의 불량을 줄이는 작용에 까지 미친다.
또한 탈형을 거친 성형품을 자연상태에서 1차적으로 건조하여 수분 함유율을 20%내외로 저하되게 한후, 강제 가열실에서 2차건조를 하여 점진적으로 수분을 제거함에 따라 급격한 건조시 성형품에 발생될 수 있는 뒤틀림 및 균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토속적이고 전통적인 놀이문양과 문화적인 가치를 함양할 수 있는 문양을 형상화하여 타일을 제작하게되어 외관미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점토50%, 퍼얼라이트30%, 샤모트와 고령토 각 10%를 혼합·정제한 조성물에 중량비 약 18%내외의 물로 반죽하여 된 재료로 타일을 성형함에 있어서, 제조하기 위한 대상을 선정하여 그 형상제작을 하고, 이 형상에 부합되게 우레탄수지재로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재료가 투입된 우레탄몰드를 프레스기로 이동시켜 약 100㎏내외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몰드내에 있는 재료를 치밀한 상태로 압축한후, 탈형공정을 통해 고형화된 성형물을 우레탄몰드로부터 인출하여 성형품을 얻는 단계와; 이 성형품을 자연상태에서 2일정도의 1차건조를 하여 수분함유율이 20%내외를 유지되게 하고, 강제 가열실에 옮게 100℃내외의 온도에서 2차건조를 하여 그 수분함유율이 2%내외를 유지하게 점진적인 건조를 하는 단계와; 건조가 종료된 성형품을 소성실(燒成室)로 이동시켜 최고 1,050℃정도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약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소화하여 20시간 정도 방냉시키는 소성공정을 통하여 완제품을 얻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의 제조방법.
KR1019960012028A 1996-04-19 1996-04-19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Expired - Fee Related KR018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028A KR0184160B1 (ko) 1996-04-19 1996-04-19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028A KR0184160B1 (ko) 1996-04-19 1996-04-19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974A KR970071974A (ko) 1997-11-07
KR0184160B1 true KR0184160B1 (ko) 1999-04-15

Family

ID=1945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028A Expired - Fee Related KR0184160B1 (ko) 1996-04-19 1996-04-19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421A (ko) 2016-12-09 2018-06-19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파 흡수 특성을 가지는 도자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2048A (ko) 2016-12-21 2018-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타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868B1 (ko) * 2020-10-13 2021-09-17 박병호 기물의 내외부 순차적 건조 및 소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421A (ko) 2016-12-09 2018-06-19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파 흡수 특성을 가지는 도자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2048A (ko) 2016-12-21 2018-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타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974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7543B (zh) 一种具有金属光泽局部点缀表面的陶瓷砖制作方法
US637960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boards for use as finish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products produced by the method
CN106320622B (zh) 一种干压注浆成型的陶瓷砖及其生产方法
CN101054043B (zh) 一种立体瓷板画的制作工艺
CN107673749A (zh) 一种仿古瓷片的生产工艺
CN104788080A (zh) 一种绞胎瓷的制作工艺
CN105984033A (zh) 一种仿天然石材具有斑点的陶瓷砖的生产方法
CN105984017A (zh) 一种仿天然石材抛光砖的生产方法
KR0184160B1 (ko)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타일
CN106219976B (zh) 一种综合装饰金属质陶瓷砖及其制造方法
CN111434476A (zh) 一种陶瓷雕刻品制作工艺
CN105984014A (zh) 一种仿天然石材具有裂纹的陶瓷砖的生产方法
CN203982761U (zh) 一种陶制工艺制作的瓷质小提琴
CN101173552A (zh) 一种自然水蚀面陶瓷装饰劈离砖及其生产方法
CN109291718A (zh) 一种山水画绞胎瓷的制作方法
CN111745806B (zh) 一种陶瓷产品干粒布料工艺
KR20120092959A (ko) 자연물 형태와 질감을 갖는 소형 도자조형물 제작방법
KR20070005816A (ko) 표면처리가 된 점토 벽돌 제조방법
CN106630917A (zh) 一种菱镁砖坯的制备方法及所制备的砖坯
CN106150018A (zh) 一种具有装饰纹理瓷质砖的制造工艺
CN209113768U (zh) 一种双色泥紫金土青瓷壶
KR200246373Y1 (ko) 도자기
KR101127091B1 (ko) 박지형 도자기 제조용 소지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지형 도자기 제조방법
CN100410471C (zh) 一种具有部分自然断面的劈离砖及其制造方法
KR101705953B1 (ko)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12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121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