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1822B1 -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822B1
KR0181822B1 KR1019950067907A KR19950067907A KR0181822B1 KR 0181822 B1 KR0181822 B1 KR 0181822B1 KR 1019950067907 A KR1019950067907 A KR 1019950067907A KR 19950067907 A KR19950067907 A KR 19950067907A KR 0181822 B1 KR0181822 B1 KR 018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objective lens
focusing
hologram element
len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365A (ko
Inventor
권영해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6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822B1/ko
Publication of KR97005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물렌즈와 홀로그램 소자가 일체로 이동되도록 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가 접착되는 렌즈홀더(150)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구동수단(130)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커싱 구동수단(14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렌즈홀더(150)에 설치되는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가 일체로 진동하게 되므로 홀로그램 소자(156)와 대물렌즈(154) 간에 초점이 일치하게 되어 구동감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구동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홀더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요크 플레이트
122 : 지지홈 124 : 지지축
130 : 트랙킹 구동수단 132, 142 : 모터
134 : 트랙킹 스크류 136 : 트랙킹 나사홈
138, 148 : 방진 커플링 140 : 포커싱 구동수단
144 : 평기어 146 : 랙기어부
150 : 렌즈홀더 152 : 레이저 통과공
154 : 대물렌즈 156 : 홀로그램 소자
158 : 플렉시블 피씨비
본 발명은 디스크의 상의 정보를 읽기 위한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물렌즈와 홀로그램 소자가 설치된 렌즈홀더를 모터를 사용하여 트랙킹 방향과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외부의 진동이 가해질 때에도 대물렌즈와 홀로그램 소자가 광경로를 일치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나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와 같은 각종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기록 매체인 디스크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그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디스크 상에서 원하는 트랙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트랙위치에서는 디스크면상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저 빔을 입사시킨 다음 그 반사광을 광학계를 통하여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서 디스크면상의 기록내용을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물렌즈(24)와 포커싱 및 트랙킹 코일(26,28)이 부착된 렌즈홀더(20)와, 이 렌즈홀더(20)가 안치되는 요크 플레이트(10)와, 이 요크 플레이트(10)가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세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요크 플레이트(10)상의 적소에 한 쌍의 내측 요크(12)가 형성되고, 이 내측 요크(14)의 외측에 한 쌍의 외측 요크(14)가 형성되며, 이 외측 요크(14)로부터 소정간격이 이격되어 상기 요크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외측에 제2요크(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요크(14)의 내면에는 마그네트(15)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렌즈홀더(20)에는 중심부에 레이저 통과공(22)이 형성되고, 이 레이저 통과공(22)의 상방에는 디스크 반사면에 초점을 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24)가 설치되며, 상기 렌즈홀더(20)의 측면에는 내측 요크(12)에 유동되게 끼워지며 대물렌즈(24)를 광축방향으로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커싱 코일(26)이 감겨지고, 상기 포커싱 코일(26)의 양 외측면에 상기 대물렌즈(24)를 래디얼 방향으로 움직임을 제어하는 트랙킹 코일(28)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20)의 양측에는 트랙킹 코일(28)과 포커싱 코일(26)이 접착되는 코일 피씨비(30)가 설치되고, 이 코일 피씨비(30)에는 포커싱 코일(26)과 트랙킹 코일(28)에 서보시스템의 입,출력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렌즈홀더(20)의 요동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작용시에 그 진동을 감쇄하는 서스펜션 와이어(34)가 접착된다.
또, 상기 제2요크(16)에는 상기 와이어(34)를 지지하는 홀더겔(36)이 설치되고, 상기 홀더겔(36)의 외측에는 서보시스템의 입,출력신호를 전달받는 서스펜션 피씨비(38)가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적소에는 하방으로부터 대물렌즈(24)로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42)이 설치되며, 상기 반사경(42)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반사경(42)에서 반사되는 빛을 집속시키는 홀로그램 소자(4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광학계상의 광검출장치(Photo Detector)인 홀로그램 소자(44)에서 레이저 빔을 반사경(42)에 조사하고, 이 반사경(42)은 레이저 빔을 대물렌즈(24)로 반사시키며, 이 대물렌즈(24)에서는 반사된 레이저 빔을 디스크 상에 집속시킨다. 그리고 대물렌즈(24)는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상기에서 기술한 역순으로 홀로그램 소자(44)에 전달하고, 홀로그램 소자(44)에서는 광학신호를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메인 피씨비에 전달하여 디스크의 기록 피트로부터 포커싱 및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포커싱 및 트랙킹 상태를 검출한 결과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보시스템에서 서스펜션 피씨비(38)에 교정 신호를 전달하고, 이 서스펜션 피씨비(38)에서 와이어(34)를 통하여 코일 피씨비(30)에 교정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포커싱 코일(26) 및 트랙킹 코일(28)에 와이어(34)를 통하여 전류가 인가되면, 트랙킹 코일(28) 및 포커싱 코일(26)과 외측 요크(14)의 내면에 장착된 마그네트(15)간에 로렌츠 구동력이 발생하여 렌즈홀더(20)가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홀더(20)가 트랙킹 방향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설치된 홀로그램 소자(44)가 렌즈홀더(20)에 설치된 대물렌즈(24)를 통하여 디스크상의 정확한 위치에 레이저 빔을 집속시켜서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홀로그램 소자와 반사경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고, 대물렌즈가 렌즈홀더와 함께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의해서 트랙킹 방향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액츄에이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의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자동차에 설치되는 등과 같이 사용도중에 흔들림이 심하게 전달되는 경우에는, 렌즈홀더는 서스펜션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고 마그네트에 의해 로렌츠 구동력을 받아 이동하므로 진동에 의해 쉽게 유동할 수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홀로그램 소자와 렌즈홀더에 설치된 대물렌즈가 각개로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홀로그램 소자와 대물렌즈간에 레이저 빔의 초점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홀로그램 소자에서 디스크로 정확하게 레이저 빔을 조사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빛을 정확히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플레이어는 불량한 화면이나 음향을 재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렌즈홀더에 대물렌즈와 홀로그램 소자를 일체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이 렌즈홀더가 모터에 의해 트랙킹 방향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치를 마련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디스크 상의 정보를 읽기 위한 대물렌즈와 홀로그램 소자가 설치되는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대물렌즈와 대물렌즈의 수직하방에 홀로그램 소자가 설치되고, 포커싱 방향으로 랙기어부 및 다수 개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렌즈홀더와,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려 렌즈홀더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평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 포커싱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홈에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포커싱 구동수단이 설치되며, 일측에 트랙킹 방향으로 트랙킹 나사홈이 형성되는 요크 플레이트와, 상기 트랙킹 나사홈에 끼워져 상기 요크 플레이트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트랙킹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설치되는 트랙킹 구동수단과, 상기 요크 플레이트와 상기 트랙킹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이하에서는 제2와 제3도 및 제4도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가 설치되는 렌즈홀더(150)와, 상기 렌즈홀더(150)를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포커싱 구동수단(140)과, 상기 렌즈홀더(150)와 포커싱 구동수단(140)이 설치되는 요크 플레이트(120)와, 상기 요크 플레이트(120)를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트랙킹 구동수단(130)과, 상기 요크 플레이트(120)와 트랙킹 구동수단(130)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렌즈홀더(150)는 중심부에 상하로 설치된 레이저 통과공(152)과, 상기 레이저 통과공(15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54)와, 상기 대물렌즈(154)의 수직 하방에 대물렌즈(154)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대물렌즈(154)로부터 반사된 빛을 받아들이는 홀로그램 소자(15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로그램 소자(156)의 저면의 접점에는 광학계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시블 피씨비(158)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 구동수단(140)은 요크 플레이트(120) 상의 적소에 설치되어 전기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2)와, 상기 모터(142)에 의해 회전하는 평기어(144)와, 상기 렌즈홀더(150)의 일측에 포커싱 방향으로 형성되어 평기어(144)에 맞물리는 랙기어부(146)로 구성된다.
또, 상기 트랙킹 구동수단(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의 적소에 설치되어 전기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2)와, 상기 모터(132)에 의해 회전하는 트랙킹 스크류(134)와, 상기 요크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트랙킹 방향으로 형성되어 트랙킹 스크류(134)가 삽입되는 트랙킹 나사홈(13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 구동수단(140)의 모터(142)와 평기어(144)의 연결부분 및 트랙킹 구동수단(130)의 모터(132)와 트랙킹 스크류(134)의 연결 부분에는 모터(132, 142)의 진동이 평기어(144) 및 트랙킹 스크류(134)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방진 커플링(138,148)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요크 플레이트(120)에는 다수개의 지지축(124)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150)에는 지지축(124)이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지지홈(122)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가 조립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렌즈홀더(150)에 형성된 레이저 통과공(152)의 상측에 대물렌즈(154)를 접착시키고, 이 대물렌즈(154)의 수직 하방의 레이저 통과공(152)에 홀로그램 소자(156)를 부착시킨다.
그 다음, 상기 렌즈홀더(150)의 지지홈(122)을 요크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지지축(124)에 끼우고 랙기어부(146)를 요크 플레이트(120)에 설치된 모터(132)에 연결된 평기어(144)에 맞물리게 렌즈홀더(150)를 요크 플레이트(120) 상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요크 플레이트(120)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된 트랙킹 구동수단(130)의 트랙킹 스크류(134)에 끼워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결합시킨다.
다음에는 상기의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홀로그램 소자(156)에서 레이저 빔을 대물렌즈(154)에 조사하고, 이 대물렌즈(154)에서는 조사된 레이저 빔을 디스크 상에 집속시킨다. 그리고 대물렌즈(154)는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받아들여 홀로그램 소자(156)에 전달하며, 홀로그램 소자(156)에서는 이 광학신호를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메인 피씨비에 전달하여 디스크의 기록 피트로부터 포커싱 및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포커싱 및 트랙킹 상태를 검출한 결과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보시스템에서 포커싱 구동수단(140)과 트랙킹 구동수단(130)에 전기적인 신호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포커싱 구동수단(140)에 전류가 인가되면 모터(142)가 구동하여 평기어(144)를 통해 렌즈홀더(150)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트랙킹 구동수단(130)에 전류가 인가되면 모터(132)가 구동하여 트랙킹 스크류(134)를 통해 렌즈홀더(150)가 설치된 요크 플레이트(120)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트랙킹 및 포커싱 모터(132,142)와 평기어(144) 및 트랙킹 스크류(134) 사이에 설치된 방진 커플링(138,148)에 의해 모터(132,142)의 진동이 흡수되어 렌즈홀더(150)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렌즈홀더(150)에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가 접착되어 있어서, 렌즈홀더(150)가 이동하거나 흔들려도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는 일체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홀더(150)가 트랙킹 방향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에 설치된 홀로그램 소자(156)가 대물렌즈(154)를 통하여 디스크상의 정확한 위치에 레이저 빔을 집속시켜서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가 접착되는 렌즈홀더(150)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구동수단(130)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커싱 구동수단(140)으로 구성되는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로서, 이 광픽업 구동장치를 자동차 등과 같이 사용도중에 흔들림이 심하게 전달되는 곳에 설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렌즈홀더(150)에 설치된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가 일체로 진동하게 되므로, 홀로그램 소자(156)와 대물렌즈(154)간에 초점이 일치하게 되어 디스크에 정확하게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또한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빛을 정확히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광핍업 구동장치가 설치된 플레이어는 진동 시에도 양호한 화면이나 음향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디스크 상의 정보를 읽기 위한 대물렌즈(154)와 홀로그램 소자(156)가 설치되는 광픽업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154)와 대물렌즈(154)의 수직하방에 홀로그램 소자(156)가 설치되고, 포커싱 방향으로 랙기어부(146) 및 다수 개의 지지홈(122)이 형성되는 렌즈홀더(150)와, 상기 랙기어부(146)에 맞물려 렌즈홀더(150)를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기어(144)가 설치되고, 상기 평기어(144)를 구동시키는 모터(142)가 구비되는 포커싱 구동수단(140)과, 상기 지지홈(122)에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지지축(124)이 형성되고, 상기 포커싱 구동수단(140)이 설치되며, 일측에 트랙킹 방향으로 트랙킹 나사홈(136)이 형성되는 요크 플레이트(120)와, 상기 트랙킹 나사홈(136)에 끼워져 상기 요크 플레이트(120)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스크류(134)가 설치되고, 상기 트랙킹 스크류(134)를 구동시키는모터(132)가 설치되는 트랙킹 구동수단(130)과, 상기 요크 플레이트(120)와 상기 트랙킹 구동수단(130)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구성되는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KR1019950067907A 1995-12-30 1995-12-30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KR018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907A KR0181822B1 (ko) 1995-12-30 1995-12-30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907A KR0181822B1 (ko) 1995-12-30 1995-12-30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365A KR970050365A (ko) 1997-07-29
KR0181822B1 true KR0181822B1 (ko) 1999-04-15

Family

ID=1944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907A KR0181822B1 (ko) 1995-12-30 1995-12-30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8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365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4302B1 (en) Optical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objective lens
EP1416479A2 (en) Actuator for optical pickup,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0181822B1 (ko)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KR0181819B1 (ko)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WO1998054705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0167933B1 (ko) 광픽업 액추에이터의 픽업구조
JP3191424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プレーヤ
KR19980083599A (ko) 광픽업장치의 일체형 엑츄에이터
KR19980077472A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KR100192132B1 (ko) 수평이동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78596B1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05535999A (ja) 光学式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0181813B1 (ko) 구동력 중심을 보정한 액츄에이터
KR0135910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KR100211817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JP2637292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14254Y2 (ja) 光学式情報読取装置における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211818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KR100203467B1 (ko) 요오크의 직각도 보정장치
JP2000011412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学装置
JP2008165919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1306567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
JPH1031835A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1101672A (ja) 光学ディスク装置
JPS62239432A (ja) 光学的情報信号再生装置の集光レンズ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