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1154B1 -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 장치 - Google Patents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154B1
KR0181154B1 KR1019960004883A KR19960004883A KR0181154B1 KR 0181154 B1 KR0181154 B1 KR 0181154B1 KR 1019960004883 A KR1019960004883 A KR 1019960004883A KR 19960004883 A KR19960004883 A KR 19960004883A KR 0181154 B1 KR0181154 B1 KR 018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generating
time information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057A (ko
Inventor
김석중
박종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154B1/ko
Publication of KR97006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1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6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differing from the information signals in amplitude, polarity or frequency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장치를 구현할 시 그 구성을 간단화시키는데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라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장치는: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정보신호를 패킷처리하여 패킷처리된 시간정보데이타를 출력하고,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제1펄스를 발생하는 전역측위시스템 수신기와: 상기 시간정보데이타를 분석하여 상기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제1펄스를 소정의 시스템클럭에 따라 동기시켜 제2펄스로 발생하는 제1펄스를 소정의 시스템클럭에 따라 동기시켜 제2펄스로 발생하는 제1펄스발생기와: 상기 제1펄스가 발생됨에 응답하여 구동되어 상기 시스템클럭에 동기하는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제2펄스를 발생하는 제2펄스발생기와: 상기 판단결과데이타와 상기 제1펄스를 논리적으로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를 소정의 선택신호로 발생하는 선택신호발생기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펄스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제1펄스 또는 상기 제2펄스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제2펄스를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출력하는 선택기로 구성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Description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들이 서로 동기 되도록 전역측위시스템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의 동기신호를 각 기지국이 제공받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포함되는 동기화장치에 대한 블럭다이아그램.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포함되는 동기화장치에 대한 블럭다이아그램.
제4도는 제3도의 외부 PPS발생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제5도는 제3도의 내부 PPS발생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제6도는 제3도의 PPS유효판정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제7도는 제3도의 GNS신호발생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포함되는 동기화장치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에 대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GPS수신기 320 : 마이크로프로세서
330 : 외부 PPS발생기 340 : 내부 PPS발생기
350 : PPS유효판정기 360 : 멀티플렉서
370 : 디플립플롭 380 : GNS신호발생기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들간의 동기가 일치하여야만 어느 한 기지국은 다른 한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신호를 원활하게 송신/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이 서로 동기되도록 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 전역측위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제1도는 이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인데, 각 기지국들(101∼103)은 GPS에 속하는 위성(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시간정보를 이용하여 동기를 맞추게 된다. 제2도는 GPS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를 맞추는 기지국의 동기화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미합중국 퀼컴(Qualcomm)사에 의해 제안된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화장치는 1PPS와 10MHz의 사인파(Sinusoidal Wave)신호로부터 기지국의 동기를 위한 신호 EVEN_SEC와 시스템클럭 SYS_CLK를 발생한다. 여기서 1PPS(Pulse Per Second)는 GPS수신기(도시하지 않음)가 GPS에 속하는 위성이 기지국의 동기를 위해 각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위치/시간정보에 대응하는 동기화신호이고, 10MHz의 사인파(Sinusoidal Wave)신호는 기준주파수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기준신호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기화장치는 10MHz의 사인파신호를 주파수합성기(210)를 통해 입력한 후 19.660MHz의 시스템클럭 SYS_CLK를 발생한다. 시스템클럭 SYS_CLK를 발생시키는 동작은 주파수합성기(210)와 시스템클럭 드라이버(202)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동기화장치는 1PPS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특정한 룩어헤드오프셋시간(Look Ahead Offset Time)을 갖는 동기신호 EVEN_SEC를 발생한다. 동기신호 EVEN_SEC를 발생시키는 동작은 주파수합성기(210)와 1SEC 카운터(203)와, 주파수분주기(204)와, 동기신호 드라이버(205)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기지국들간의 동기를 위해 동기화장치는 GPS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1PPS신호와 19.6608MHz 클럭의 동기를 맞추어 특정의 록어헤드오프셋을 갖는 펄스인 동기신호 EVEN_SEC를 발생한다. 1PPS신호와 19.6608MHz 클럭의 동기를 맞추는 동작은 1SEC 카운터(203)의 초기값을 적절학 설정하고, 그 카운트동작을 적절하게 콘트롤함으로써 수행된다. 1SEC 카운터(203)는 19.6608MHz 클럭을 입력하여 1초(Second)마다 하나의클럭, 즉 또 다른 PPS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1SEC 카운터(203)를 콘트롤하는 동작은 카운터제어부(206)와, 멀티플렉서(MUX)(207)와, 딜레이카운터(208)와, 동기스테이트머신(209)와, 마이크로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된다.
제2도의 딜레이(Delay)카운터(208)는 주파수합성기(210)에 의해 발생된 19.6608MHz 클럭과 1PPS신호와의 딜레이를 카운트하고, 동기스테이트 머신(Sync State Machine)(209)은 상기 딜레이카운터(208)에 의해 카운트된 값에 따라 19.6608MHz 클럭과 1PPS신호와의 동기여부를 확인한다. 즉 동기스테이트머신(208)은 1SEC 카운터(203)에서 발생된 1PPS신호(내부 PPS)와 GPS수신기로부터 입력된 1PPS신호(외부 PPS) 상이의 오프셋을 측정한다. 동기스테이트머신(208)에서 측정되는 범위는 ±6.4㎲이고, 내부 PPS가 외부 PPS에 앞서는지(ahead인지) 아니면 뒤서는지(behind)를 사인 비트(sign bit)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 알려준다. 만일 내부 PPS와 외부 PPS가 6.4㎲이상 벗어날 때에 동기스테이트머신(208)은 최대 카운트(Max Count)를 알려준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동기스테이트머신(209)의 출력으로부터 내부 PPS와 외부 PPS간의 오프셋을 확인한 후 그 오프셋을 조절하기 위한 EVEN_SEC Fnable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카운터제어부(206)는 상기 EVEN_SEC Fnable신호에 따라 1SEC 카운터(208)를 인에어블시켜 내부 PPS와 외부 PPS, 즉 19.6608MHz 클럭과 1PPS신호가 동기 되도록 한다.
요약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화장치는 기지국의 동기신호로서 이용될 EVEN_SEC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발생되는 EVEN_SEC는 19.6608MHz 클럭으로부터 발생된 내부 PPS신호가 GPS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제공된 외부PPS신호에 동기된 신호이다. 이러한 동기신호 EVEN_SEC에 따라 기지국은 동기되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과 송수신을 행하더라도 원활한 송수신동작의 수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기화장치를 구현하는 경우 그 하드웨어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19.6608MHz 클럭으로부터 발생된 내부 PPS신호가 GPS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제공된 외부 PPS신호에 동기되도록 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반드시 제어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MA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동기화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동작 없이도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기화장치로는 기지구깅 동기되어 다수의 기지국들이 서로 동기되어 기지국들간의 송수신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시간정보신호가 GPS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제공된다. 이 시간정보신호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를 말한다. GPS수신기는 시간정보신호를 패킷처리하여 패킷처리된 시간정보데이타를 출력하고, 또한 그 내부에 국부발진기(Local Oscillator)를 포함 하고 있어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1PPS)를 발생한다.
외부 PPS발생기는 상기 펄스를 시스템클럭에 따라 동기시켜 EXPPS로 발생하고,내부 PPS발생기는 EXPPS가 발생됨에 응답하여 구동되어 상기 시스템클럭에 동기하는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LOPPS를 발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신간정보데이타를 분석하여 상기 GPS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그 판단결과를 하나의 비트데이타 DO로서 출력한다. PPS유효판정기는 판단결과데이타 DO와 1PPS를 입력하여 앤드게이팅한 후 그 앤드게이팅된 결과를 PPSV로 발생한다. 이 PPSV는 멀티플렉서는 하이레벨의 PPSV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EXPPS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로우레벨의 PPSV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LOPPS를 선택하여 출력하다. 이렇게 출력되는 신호는 기지국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로 시스템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지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장치는 GPS시스템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즉 GPS시스템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즉 GPS수신기의 내부에 포함된 국부발진기가 상기 시간정보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1PPS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EXPPS를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이용한다. 이와 달리 GPS시스템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즉 GPS수신기의 내부에 포함된 국부발진기가 상기 시간정보신호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1PPS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LOPPS를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이용한다. 이 경우 각 기지국간의 동기화는 기대할 수 없고 독립 셀(Cell)만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이 시스템의 전체조건은 위성으로부터 기준정보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1PPS, 즉 EXPPS를 동기신호로 이용할 경유에만 여러 셀들의 각 기지국들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기지국들간의 동기를 위해 GPS시스템에 속하는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느냐 제공되지 않느냐를 판단하는 것은 국부발진기에서 발생되는 1PPS가 시간정보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되었느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장치는 판단결과에 따라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EXPPS 또는 LOPPS를 이용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지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었는지 아닌지만을 판단하면 되지, 종래기술과 같이 두 신호가 동기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도 종래기술에비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며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장치의 구성을 부여주는 도면으로, GPS수신기(310)와, 마이크로프로세서(320)와, 외부 PPS발생기(330)와, 내부 PPS발생기(340)와, PPS유효판정기(350)와, MUX(360)와, 디플립플롭(370)과, GNS신호발생기(380)로 구성된다.
제3도에서 GPS수신기(3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위성으로부터 시간정부신호, 소위 UTC를 제공받는다. 이 UTC는 기지국들간의 동기를 위해 제공되는 신호이다. GPS수신기(310)는 상기 시간정보신호를 패킷처리하여 패킷처리된 시간정보데이타출력한다. 또한 GPS수신기(310)의 내부에 포함된 국부발진기는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즉 1초단위의 펄스 1PPS를 발생한다. 이때 국부발진기는 시간정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이 시간정보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1PPS를 발생한다. 그러나 시간정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유에는 자체적으로 1PPS를 발생한다. 1PPS는 외부 PPS발생기(330)로 인가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320)는 상기 1PPS와 시간정도데이타를 리드하여 매 1초마다 1PPS신호에 의해 인터럽트를 발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20)는 상기 시간정보데이타를 분석하여 GPS위성으로부터 신간정보신호가 제공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외부 PPS발생기(330)는 GPS수신기(310)로부터의 1PP를 자신의 클럭단자로 수신하는 디플립플롭(331)과, 상기 디플립플롭(331)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디플립플롭(332)과, 상기 디플립플롭(332)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디플립플롭(333)을 적어도 포함한다. 디플립플롭(333)의 출력단자에는 인버터(334)기 연결되고, 인버텨(334)의출력은 앤드게이트(335)의 한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앤드게이트(335)의출력은 디플립플롭들(331∼333) 각각의 리세트단자에 연결된다. 앤드게이트(335)의 다른 한 입력단자로는 /RESET신호가 인가되며, 디플립플롭(332,333) 각각의 클럭단자로는 시스템클럭 SYSCLK가 인가된다. 그러므로 디플립플롭(332)은 디플립플롭(331)으로부터 출력되는 1PPS를 시스템클럭 SYSCLK에 동기시켜 EXPPS로서 출력한다. 상기 EXPPS는 MUX(360)의 A입력단자로 인가된다. 그리고 디플립플롭들(331∼333)은 각각의 리세트단자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될 때, 즉 인버터(334)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로우레벨의 /RESET신호가 입력될 때 리세트된다. 상기 시스템클럭 SYSCLK로는 40KHz의 클럭이 이용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내부 PPS발생기(340)는 1SEC 카운터로 구현된다. 1SEC 카운터(340)는 Load단자로 MUX(360)의출력신호인 SO를 입력하며, 클럭단자로 시스템클럭 SYSCLK를 입력한다. 이러한 1SEC 카운터(340)는 하이레벨의 SO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되어 시스템클럭 SYSCLK에 따라 카운팅동작을 수행하며, 매 1초마다 LOPPS를 발생한다.
제6도는 PPS유효판정기(35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Retriggerable MonoStable Multivibrator)(350)와, 디플립플롭(352)과, 앤드게이트(353)와, 디플립플롭(354)으로 구성된다.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로는 미합중국 모토롤라(Motorola)사에서 제조된 후 상용화되고 있는 74HC123을 이용한다.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51)는 마이크로프로세서(320)로부터 1PPS신호를 입력받아 저항(R)과 캐패시터(C)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만큼 그 상태를 유지시킨 후 HWPPSV신호로 출력한다. 바람직한 저항(R)과 캐패시터(C)의 값은 1PPS신호의 상태를 다음 1PPS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하이상태로 유지할수 있는 값, 약6초정도면 족하다. 이 HWPPSV신호는 GPS수신기(310)내의 국부발진기가 1PPS를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디플립플롭(352)은 마이크로프로세서(320)로부터 1비트데이타 DO와, 인에이블신호 ENA와,라이트신호 /WR을 제공받는다. 상기 DO는 GPS위성으로부터의 시간정보신호가 GPS수신기(310)로 제공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인에이블신호 ENA와 라이트신호 /WR에 의해 디플립플롭(352)에 라이트된 후 SWPPXV신호로 출력된다. 앤드게이트(353)는 상기 HWPPSV신호와 SWPPSV신호를 입력하여 두 신호가 모두 하이레벨인 경우 신호를 출력한다. 앤드게이트(353)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디플립플롭(354)은 시스템클럭 SYSCLK에 따라 앤드게이트(353)의 출력을 PPSV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PPSV신호는 GPS수신기(310)에서 발생된 1PPS신호가 유효한지 유효하지 않은지를 나타내는 신호로, GPS수신기(310)로 GPS위성으로부터의 시간정보신호가 수신되고 이 시간정보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1PPS신호가 발생될 때 하이레벨을 갖는다. 이 PPSV신호는 MUX(360)의 선택제어단자(S)로 입력되어 MUX(360)의 선택동작을 제어하는 선택신호이다. 하이레벨의 PPSV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즉 1PPS신호가 유효한 경우 MUX(360)는 외부 PPS발생기(330)로부터 출력되는 EXPPS신호를 선택하여 SO신호로서 출력하고, 로우레벨의 PPSV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MUX(360)는 내부 PPS발생기(340)로부터 출력되는 LOPPS신호를 선택하여 SO신호로서 출력한다.
MUX(360)로부터 출력되는 SO신호는 디플립플롭(370)에서 시스템클럭 SYSCLK에 동기되어 PPS신호로 출력된다. 이 PPS신호는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이용될 수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에 보다 적합하도록 SO신호를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켜 동기신호로서 이용한다. SO신호를 지연시키는 동작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GNS신호발생기(380)에 의해 수행된다.
제7도를 참조하면, GNS(Global Network Sync)신호발생기(380)는 디플립플롭(381,383,384)과, 인버터(385)와, 앤드게이트(382)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20)로부터 시스템의 동기시간을 알리는 인에이블신호EN와, 라이트신호 /WR이 인가되면 디플립플롭(381)은 그 값을 라이트한 후 SI신호로서 출력한다. 디플립플롭(382)은 MUX(360)로부터의 SO신호에 따라 인에이블되어 상기 SI신호를 시스템클럭 SYSCLK에 동기시킨 후 GNS신호로 출력한다. 이 GNS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이용된다. 상기 디플립플롭(381,383)은 각각의 리세트단자로 로우레벨의 /RESET신호가 앤드게이트(382)로 입력될 때 리세트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장치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에 대한 타이밍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S신호가 매120초마다 발생된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320)는 매119초에 GNS신호발생기(380)로 인에이블신호 ENA와, 라이트신호 /WR을 인가하여 매120초마다 정확하게 기지국들간에 신간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PS수신기에서 발생되는 1PPS와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동기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화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동기화장치는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화장치에 비해 간단한 구성을 갖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동기신호를 발생할 시 종래기술과 같이 마이크프로세서의 제어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정보신호를 패킷처리하여 패킷처리된 시간정보데이타를 출력하고,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제1펄스를 발생하는 전역측위시스템 수신기와: 상기 시간정보데이타를 분석하여 상기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하고,그 판단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제1펄스를 소정의 시스템클럭에 따라 동기시켜 제2펄스로 발생하는 제1펄스발생기와: 상기 제1펄스가 발생됨에 응답하여 구동되어 상기 시스템클럭에 동기하는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제2펄스를 발생하는 제2펄스발생기와: 상기 판단결과데이타와 상기 제1펄스를 논리적으로 연산하고,그 연산결과를 소정의 선택신호로 발생하는 선택신호발생기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펄스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제1펄스 또는 상기 제2펄스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제2펄스를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출력하는 선택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측위시스템 수신기는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상기 제1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국부발진기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국부발진기는 상기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간정보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제1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시간정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추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제1펄스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의 출력을 소정 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발생하는 동기신호발생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펄스발생기는, 상기 제1펄스가 발생됨에 응답하여 구동되어 상기 시스템클럭에 따라 카운팅동작을 수행하는 카운터로 구성되며, 상기 카우터에 의해 카운팅되는 값중 초단위의 주기에 해당하는 값이 카우팅될 시 이를 상기 제2펄스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발생기는, 소정의 시정수만큼 상기 제1펄스의 상태를 유지시켜 출력하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판단결과데이타를 앤드게이팅하고, 그 앤드게이팅된 결과를 상기 선택신호로 발생하는 앤드게이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상기 앤드게이트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1펄스를 선택하고, 상기 앤드게이트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2펄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는 상기 제1펄스의 상태를 다음 펄스가 입력될 때까지 유지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클럭은 40킬로헤르쯔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장치.
  9.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간정보신호를 패킷처리하여 패킷처리된 시간정보데이타를 출력하고,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는 전역측위시스템 수신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발생된 펄수를 소정의 시스템클럭에 따라 동기시켜 제1펄스로 발생하는 제1펄스 발생과정과: 상기 제1펄스가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클럭에 동기하는 초단위의 주기를 가지는 제2펄스를 발생하는 제2펄스 발생과정과: 상기 시간정보데이타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기에 상기 전역측위시스템으로부터의 시간정보신호가 제공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다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간정보신호 수신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결과데이타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발생된 펄스를 논리적으로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를 소정의 선택신호로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과정과: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펄스 또는 상기 제2펄스를 선택하여 제1동기신호로 출력하는 제1동기신호 출력과정과: 상기 제1동기신호를 소정 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기지국의 동기신호로 이용될 제2동기신호로 출력하는 제2동기신호 출력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과정은, 상기 판단결과데이타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발생된 펄스를 앤드게이팅하고, 그 앤드게이팅된 결과를 상기 선택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과정은, 상기 수신기로부터 발생된 펄스의 상태를 소정의 시정수만큼 유지시켜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출력되는 펄스와 상기 판단결과데이타를 앤드게이팅하고, 그 앤드게이팅된 결과를 상기 선택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기신호 출력과정은, 상기 선택신호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펄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신호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펄스를 선택하여 상기 제1동기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04883A 1996-02-27 1996-02-27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8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883A KR0181154B1 (ko) 1996-02-27 1996-02-27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883A KR0181154B1 (ko) 1996-02-27 1996-02-27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57A KR970064057A (ko) 1997-09-12
KR0181154B1 true KR0181154B1 (ko) 1999-05-15

Family

ID=1945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883A Expired - Fee Related KR0181154B1 (ko) 1996-02-27 1996-02-27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48B1 (ko) * 1999-12-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기지국 동기 방법
KR102037002B1 (ko) * 2018-06-29 2019-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성능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분산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57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811B1 (ko) Gps를이용한시간및주파수발생장치의시간오차개선방법
US5811998A (en) State machine phase lock loop
US55353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latency synchronization of signals having different clock speeds
US6188253B1 (en) Analog clock module
US20050116783A1 (en) Phase detector for a programmable clock synchronizer
US681372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frequency clocks deterministically from a low-frequency system reference clock
US7133397B2 (e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utiliz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timing signals for access point synchronization
US6118314A (en) Circuit assembly and method of synchronizing plural circuits
JPH0659769A (ja) ディジタルコンピュータのクロック生成回路および方法
KR0148204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용 시간 보정 시스템
KR970007980B1 (ko) 방송 주파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0181154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동기화시키는 방법 및 그 동기화 장치
US52203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niversal coordinated time from Loran-C transmissions
US6219395B1 (en) Phase alignment of frames in computer telephony busses
JP4426928B2 (ja) Pdcハンドセットのvcoバーストからのgps基準周波数ドリフトの推定方法
US5634041A (en) Rationally clocked communication interface
CN108919633A (zh) 一种超低功耗时间统一模块同步授时算法
US66332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frequency tolerance without a reference
JPH1098763A (ja) パイロット信号の基地局間同期方法及び回路
JPH10126329A (ja) 移動体通信装置の受信回路
GB2387509A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synchronisation method for multi-system access
EP0572135A2 (en) State machine phase lock loop
KR980007014A (ko) 타이밍/주파수 공급기의 클럭동기 장치 및 방법
KR1999005180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입력신호의 주기적인 입력유무 판단방법
Ravensbergen et al. Time reference system of the V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12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120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