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0596B1 -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 Google Patents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596B1
KR0180596B1 KR1019950011347A KR19950011347A KR0180596B1 KR 0180596 B1 KR0180596 B1 KR 0180596B1 KR 1019950011347 A KR1019950011347 A KR 1019950011347A KR 19950011347 A KR19950011347 A KR 19950011347A KR 0180596 B1 KR0180596 B1 KR 018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ime
set temperature
return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988A (ko
Inventor
이영길
유범걸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5001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596B1/ko
Priority to JP8116962A priority patent/JP2816134B2/ja
Priority to US08/632,988 priority patent/US5699674A/en
Priority to CN96104934A priority patent/CN1053750C/zh
Publication of KR96004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51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control of the working time of a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식품을 저온에서 보관하기 위한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장식품의 양에 대응하는 부하의 증감에 따라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변경하여 저장식품이 최고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저장식품이 설정온도내로 유지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저장식품의 증가로 부하가 가중될 때에도 저장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냉동저장고 동작시스템에 의한 저장실과 저장 식품의 온도 변화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정상적인 부하시의 그래프.
제2도는 종래의 냉동저장고 동작시스템에 의한 저장실과 저장 식품의 온도변화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부하가 큰 경우의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실과 저장식품의 온도 변화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실과 저장식품의 온도 변화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1 : 최저 설정온도 t2 : 최고 설정온도
t1'~t1' : 제1내지 제3 보상온도
본 발명은 냉장 또는 냉동 저장식품을 저온에서 보관하는 저장고의 온도보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고의 부하량에 따라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조절하여 부하량이 큰 경우에도 저장실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내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식품을 저온에서 보관하는 저장고는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저장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저장식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냉동저장고 동작시스템에 의한 저장실과 저장식품의 온도 변화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정상적인 부하시의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식품이 변질되지 않는 범위의 저장실 온도(t1)~(t2)를 설정해 놓고, 설정된 최저 설정온도(t2)에 도달하면 다시 냉각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하여 저장식품이 저장실내에서 일정한 냉각온도를 유지하면서 장시간 저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냉각장치의 온,오프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의 온도변화는 저장실온도변화곡선(A)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 저장실온도변화곡선(A)에 대하여 저장식품온도변화곡선(B)은 일정시간동안 온도가 낮아진후 설정범위의 온도(t1)~(t2)사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그래프에서 h1 은 최초 냉각장치가 작동하여 저장실온도가 최저 설정온도(t1)까지 도달할때 소요되는 시간이고, h2 는 저장식품이 초기에 최고 설정온도(t2)에 도달할때 소요되는 시간이며, 저장고의 정상적인 부하시에는 저장실의 온도변화가 최저 설정온도(t1)에서 최고 설정온도(t2)까지 복귀하는 시간(h3)이 길고, 최고 설정온도(t2)에서 다시 최저 설정온도(t1)로 냉각되는 시간(h4)이 짧아짐을 알수 있다.
제2도는 저장고에 많은 저장식품을 저장함으로써 부하량이 증가되었을 경우, 저장실온도와 저장식품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부하량이 커지게 되면 저장실온도변화곡선(A')에서와 같이 초기에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t1)에 도달하는 시간(h1')이 정상적인 부하시 보다 길어짐을 알수 있으며, 또한 최저 설정온도(t1)에서 최고 설정온도(t2)까지 복귀하는 시간(h3')이 짧아지고, 최고 설정온도(t2)에서 다시 최저 설정온도(t1)까지 냉각되는 시간(h4')이 길어지게 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저장식품이 초기에 최고 설정온도(t2)까지 도달하는 시간(h2')이 길어지게 되고, 상기 저장실온도변화곡선(A')에 대하여 저장식품온도변화곡선(B')은 정상적인 부하시 보다 냉각속도가 늦어지게 되는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냉각방식은 저장식품이 증가됨으로써 부하가 가중되면, 저장식품의 냉각속도가 늦어지게 되므로 저장식품이 설정범위의 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 과정중에 저장식품이 변질될 가능성은 높아지게 되는 것이며, 특히 김치, 요구르트등과 같은 발효식품의 경우 설정온도범위까지 도달하는 기간중에도 발효가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식품의 양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저장고에 많은 저장식품을 저장하여 부하가 가중될때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조절하여 저장식품의 온도가 설정범위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저장식품을 저온에서 보관하기 위한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있어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 및 최고 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이들의 편차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장치의 초기 구동후 상기 최저 설정온도에 도달할때 소요되는 초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을 초기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최저 설정온도에서 편차온도만큼 복귀할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복귀시간을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식품을 저온에서 보관하기 위한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있어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 및 최고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장치의 초기 구동으로 상기 최저 설정온도에 도달한후 최저 설정온도에서 최고 설정온도까지 복귀할때 소요되는 복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귀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을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최저 설정온도에서 다시 최고 설정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규정된 최저 설정온도에서 최고 설정온도까지 복귀할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을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재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블럭도로서 도시한 것으로, 온도 및 기능선택 입력부(1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부(30)가 온도 및 기능 표시부(20)에 나타내도록 되어 있고, 또한 제어부(30)는 저장실 온도검출부(40)로 부터 검출된 저장실내의 온도에 따라 냉각장치구동부(50)의 구동시점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보상방법의 제1실시예는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 및 최고 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이들의 편차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장치의 초기 구동후 상기 최저 설정온도에 도달할때 소요되는 초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을 초기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최저 설정온도에서 편차온도만큼 복귀할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복귀시간을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최저 및 최고 설정온도는 저장식품이 변질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편차온도는 최저 설정온도와 최고 설정온도의 차이온도로 설정하며, 이러한 최저, 최고 설정온도 및 편차온도는 온도 및 기능 선택입력부(10)를 통해 제어부(30)에 데이터로서 입력한다. 또한 정상적인 부하시 초기에 냉각장치를 구동하여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에 도달할때 소요되는 시간을 초기표준시간으로 설정하고, 역시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부하시 저장실의 온도가 편차온도만큼 변경될때 소요되는 시간을 복귀표준시간으로 설정하여 제어부(30)에 저장하여 둔다.
상기와 같은 제1실시예를 제4도 및 제5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S1)는 초기값 입력단계로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t1) 및 최고 설정온도(t2)를 설정한 다음 이들의 편차온도를 계산한다. 이때, 최저 및 최고 설정온도는 저장식품이 변질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편차온도는 최저 설정온도와 최고 설정온도의 차이온도로 계산한다. 또한 정상적인 부하시 초기에 냉각장치를 구동하여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에 도달할때 소요되는 시간을 초기표준시간으로 설정하고, 역시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부하시 저장실의 온도가 편자온도만큼 변경될때 소요되는 시간을 복귀표준시간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기설정된 최저, 최고 설정온도, 편차온도, 초기표준시간 및 복귀표준시간은 온도 및 기능 선택입력부(10)를 통해 제어부(30)에 초기값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초기값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값이 설정되어있는 상태에서, 초기에 냉각장치를 구동하여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t1)에 도달할때 소요되는 시간(h1)을 저장실 온도검출부(40)를 통해 제어부(30)가 측정한다(단계 S2).
그 다음 단계(S3)에서, 측정된 소요시간(h1)을 제어부(30)에 저장된 기설정된 초기표준시간과 비교한다.
측정된 시간이 초기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짧은 경우 제어부(30)는 정상적인 부하상태로 인식하여 단계(S4)을 수행시킨다. 단계(S4)는 저장고의 정상적인 부하상태로서, 냉각장치의 정지시점을 최저 설정온도(t1)로 하고, 이 최저 설정온도(t1)에서 오프되게 한다. 냉각장치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면, 저장실의 온도가 다시 높아지게 되고, 최저 설정온도(t1)로 부터 편차온도인 최고 설정온도(t2) 만큼 높아져 최고 설정온도(t2)에서 다시 냉각장치가 구동된다. 이때 편차온도만큼 복귀하는 시간(h3)을 제어부(30)가 측정하여(단계 S6), 측정된 복귀시간(h3)를 제어부(30)에 저장된 기설정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게 되고(단계S7~S9), 측정된 복귀시간(h3)의 정도에 따라 다음의 단계(S10~S13)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초기에 최저 설정온도(t1)에 도달하는 시간이 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짧은 경우에는 정상적인 부하상태이므로 복귀시간도 정상적인 부하시의 복귀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보다 길어지게 되므로 단계(S9)을 통해 단계(S13)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S13)은 부하가 가중되지 않은 상태로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이 최저 설정온도(t1)와 최고 설정온도(t2)내에서 유지된다. 이로써 저장실온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저장실온도변화곡선(A)과 같이 변화되고, 이대의 저장식품의 온도는 저장식품온도변화곡선(B)과 같이 변화되며, (h2)는 저장식품온도가 낮아지면서 초기에 최고 설정온도(t2)에 도달하는 시간이고, 그후 저장식품온도는 설정온도(t1)~(t2)범위 내로 유지됨을 알수 있다.
그러나, 단계(S3)에서 초기에 최저 설정온도(t1)까지 도달하는 시간(h1')이 초기표준시간보다 길어지는 경우, 제어부(30)에서는 이를 부하가 가중된 것으로 인식하여 단계(S5)를 수행시킨다. 단계(S5)는 저장식품이 증가되어 부하가 가중된 상태로서, 최저 설정온도(t1)를 그보다 낮은 제 1 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 냉각장치를 소정시간 더 구동시킴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더욱 낮춘다.
상기와 같이 저장실의 온도가 제1보상온도(t1')로 낮아진 상태에서 냉각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면, 저장실의 온도가 다시 편자온도만큼 높아져 복귀온도(t2')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에 상술한 단계(S6)에서와 같이 소요되는 복귀시간(h3')을 제어부(30)가 측정한다. 이후 단계(S7~S9)에서와 같이 측정된 복귀시간(h3')이 복귀표준시간과 비교된다.
이때 상기 초기 최저 설정온도(t1)에 도달하는 시간(h1')이 표준시간 보다 길어지는 경우는 부하가 가중된 것이므로 자연히 복귀시간(h3')도 짧아지게 되고, 복귀시간(h3')이 짧아진 정도에 따라 단계(S7~S9)를 통해 단계(S10~S12)가 수행된다. 즉, 단계(S7)에서 복귀시간(h3')이 아주 많이 짧아진 경우에는 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으로, 단계(S10)는 최저 설정온도(t1)를 보다 낮은 제1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구동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더욱 낮추게 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단계(S8)에서 복귀시간(h3')이 많이 짧아진 경우에는 단계(S11)를 수행하는 것으로 단계(t1)보다는 낮은 제 2 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냉각장치의 구동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또한 단계(S9)에서 복귀시간(h3')이 조금 짧아진 경우에는 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으로, 단계(S12)는 최저 설정온도(t1)를 제 2 보상온도(t1)보다 높지만 최저설정온도(t1)보다 낮은 제 3 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구동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조금 낮추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단계(S7~S12)는 저장고의 파워 온,오프상태(S14)에 따라 정지하거나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진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최저 설정온도(t1)가 제1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 구동하게 되면, 더 이상 부하가 가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편차온도만큼 복귀하는 시간(h3), (h3')도 그 만큼 길어지게 되고, 이로써 최저 설정온도(t1)가 제2보상온도(t1), 제3보상온도(t1')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며, 결국 복귀시간(h3')이 복귀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길어지게 되어 단계(S13)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부하시와 마찬가지로 냉각장치는 최저 및 최고 설정온도(t1~t2)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로써 저장실온도는 제5도에 도시된 저장실온도변화곡선(A')과 같이 변화되고, 이때의 저장식품의 온도는 저장식품온도변화곡선(B')과 같이 변화되어 부하가 가중되었을때에도 초기에 저장식품의 온도가 최고 설정온도(t2)에 도달하는 시간(h2')을 정상적인 부하시의 표준시간에 근접시킬 수 있고, 그후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t1)와 최고 설정온도(t2) 사이의 범위내로 유지되는 시간도 정상적인 부하시에 근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부하의 증감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이 조절됨으로써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부하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저장식품이 설정온도내로 유지되는 시간도 단축되는 것이므로 저장식품의 증가로 부하가 가중될때에도 저장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보상방법의 제2실시예는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 및 최고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장치의 초기 구동으로 상기 최저 설정온도에 도달한후 최저 설정온도에서 최고 설정온도까지 복귀할때 소요되는 복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귀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을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최저 설정온도에서 다시 최고 설정온도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규정된 최저 설정온도에서 최고 설정온도까지 복귀할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을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를 재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최저 및 최고 설정온도는 저장식품이 변질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최저, 최고 설정온도 및 편차온도는 온도 및 기능 선택입력부를 통해 제어부에 데이터로서 입력한다. 또한 정상적인 부하시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에서 최고 설정온도로 복귀될때 소요되는 시간을 복귀표준시간으로 설정하여 제어부에 저장하여 둔다.
상기와 같은 제2실시예를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S1)는 기설정된 초기값 입력단계로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t1) 및 최고 설정온도(t2)를 설정한 다음 이들의 편차온도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최저 및 최고 설정온도는 저장식품이 변질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상적인 부하시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에서 최고 설정온도로 복귀될때 소요되는 시간을 복귀표준시간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최저, 최고 설정온도, 편차온도 및 복귀표준시간은 온도 및 기능 선택입력부(10)를 통해 제어부(30)에 초기값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초기값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값이 설정되어있는 상태에서, 초기에 냉각장치를 구동하여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t1)에 도달한후, 최저 설정온도(t1)에서 다시 최고 설정온도(t2)까지 복귀할때 소요되는 복귀시간(H1)을 측정한다.(단계S2).
그 다음에, 측정된 복귀시간 (H1)을 제어부(30)에 저장되어있는 기설정된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단계S3~S6), 비교 결과 측정된 복귀시간(H1)의 정도에 따라 다음의 단계(S6~S9)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초기에 정상적인 부하상태에서 냉각장치가 구동하게 되면, 최저 설정온도(t1)에서 최고 설정온도(t2)에 도달하는 복귀시간(H1)이 복귀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길어지게 되므로 단계(S5)를 통해 단계(S6)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6)는 부하가 가중되지 않은 상태로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이 최저 설정온도(t1)와 최고 설정온도(t2)내에서 유지된다. 이로써 저장실온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저장실온도변화곡선(A)과 같이 변화되고, 이때의 저장식품의 온도는 저장식품온도변화곡선(B)과 같이 변화되며, (H2)는 저장식품온도가 낮아지면서 초기에 최고 설정온도(t2)에 도다하는 시간이고, 그후 저장식품온도는 설정온도(t1)~(t2) 범위내로 유지됨을 알수 있다.
그러나, 비교결과 저장실온도변화곡선(A')와 같이 최저 설정온도(t1)에서 최고 설정온도(t2)까지 도달하는 복귀시간(H1')이 복귀표준시간보다 짧아진 경우, 제어부에서는 이를 부하가 가중된 것으로 인식하고 복귀시간(H1')의 짧아진 정도에 따라 단계(S3~S5)을 통해 단계(S7~S9)가 수행되어 진다. 즉, 단계(S3)에서 복귀시간(H1')이 아주 많이 짧아진 경우에는 단계(S7)를 수행하는 것으로, 단계(S7)는 최저 설정온도(T1)를 제1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구도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더욱 낮추게 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단계에서 복귀시간(H1')이 많이 짧아진 경우에는 단계(S8)를 수행하는 것으로, 단계(S8)는 최저 설정온도(t1)를 제1보상온도(t1')보다 높지만 최저 설정온도(t1)보다는 낮은 제2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구동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또한 단계(S5)에서 복귀시간(H1')이 조금 짧아진 경우에는 단계(S9)를 수행하는 것으로 단계(S9)는 낮은 제3보상 온도(t1')로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구동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조금 낮추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단계(S3~S5)는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진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최저 설정온도(t1)가 제 1 보상온도(t1')로 변경하여 구동하게 되면, 더 이상 부하가 가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저 설정온도(t1)에서 최고 설정온도(t2)까지의 복귀하는 시간(H),(H')도 그 만큼 길어지게 되고, 이로써 최저 설정온도(t1)가 제2보상온도(t1). 제3보상온도(t1')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며, 결국 복귀시간(H1')이 복귀시간과 동일하거나 길어지게 되어 스텝(S4)를 수행하여 정상적인 부하시와 마찬가지로 냉각장치는 최저 및 최고 설정온도(t1~t2)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로써 저장실온도는 제7도에 도시된 저장신온도변화곡선(A')과 같이 변화되고, 이때의 저장식품의 온도는 저장식품온도변화곡선(B')과 같이 변화되어 부하가 가중되었을때에도 초기에 저장실의 온도가 최고 설정온도(t2)에 도달하는 시간(h2')을 정상적인 부하시의 표준시간에 근접시키고, 그후 저장실의 온도가 최저 설정온도(t1)와 최고 설정온도(t2) 사이의 범위내로 유지되는 시간도 정상적인 부하시에 근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부하의 증감에 따라 최저 설정 온도를 변경하여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이 조절됨으로써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부하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저장식품이 설정온도내로 유지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므로 저장식품의 증가로 부하가 가중될때에도 저장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최고 설정온도에서 최저 설정온도로 냉각할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결과 따라서 최고 설정온도를 변경함으로써 부하가중시 저장실의 온도를 보상할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저장식품을 저온에서 보관하기 위한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있어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t1) 및 최고 설정온도(t2), 이들간의 편차온도, 초기표준시간 및 복귀표준시간을 기설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상기 냉각장치의 초기 구동후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상기 최저 설정온도(t1)에 도달할때 소요되는 초기시간(h1)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시간 측정단계에서 상기 편차온도만큼 복귀할때 소요되는 복귀 시간(h3')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복귀시간(h3')을 상기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상기 최저 설정온도(t1)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시간(h1)이 상기 초기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짧아질때 상기 최저 설정온도(t1)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시간(h1)이 상기 초기표준시간보다 길어질때 상기 최저 설정온도(t1)를 그 보다 낮은 제 1 보상온도(t1')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복귀시간(h3')이 상기 복귀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길어질때 상기 최저 설정온도(t1)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5. 상기 복귀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복귀시간(h3')이 상기 복귀표준시간 보다 짧아질때 짧아진 시간에 따라 상기 최저 설정온도(t1)를 비례적으로 점점 낮게 설정된 제1 내지 제3보상온도(t1'~t1')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6. 저장식품을 저온에서 보관하기 위한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에 있어서, 냉각장치의 구동시점을 규정하는 저장실의 최저 설정온도(t1) 및 최고 설정온도(t2), 이들간의 편차온도 및 복귀표준시간을 기설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냉각장치의 초기 구동으로 상기 최저 설정온도(t1)에 도달한후 최저 설정온도t1)에서 최고 설정온도(t2)까지 복귀할때 소요되는 제1복귀시간(H1)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1복귀시간(H1)을 상기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따라 상기 최저 설정온도(t1)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최저 설정온도에서 다시 초기 설정온도(t2)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제2복귀시간(H1')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2복귀시간(H1')을 상기 복귀표준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t1)를 재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제 1 복귀시간(H1')이 상기 복귀표준시간과 동일하거나 길어질때 최저 설정온도(t1)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제2복귀시간(H1')이 상기 복귀표준시간 보다 짧아질때 짧아진 시간에 따라 최저 설정온도(t1)를 비례적으로 점점 낮게 설정된 제1내지 제3보상온도(t1'~t1')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KR1019950011347A 1995-05-10 1995-05-10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KR018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347A KR0180596B1 (ko) 1995-05-10 1995-05-10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JP8116962A JP2816134B2 (ja) 1995-05-10 1996-04-15 食品貯蔵庫のチャンバ内の温度制御方法
US08/632,988 US5699674A (en) 1995-05-10 1996-04-16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chamber of a food storage apparatus
CN96104934A CN1053750C (zh) 1995-05-10 1996-04-24 食品贮藏设备腔中的控制温度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347A KR0180596B1 (ko) 1995-05-10 1995-05-10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988A KR960041988A (ko) 1996-12-19
KR0180596B1 true KR0180596B1 (ko) 1999-05-01

Family

ID=1941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347A KR0180596B1 (ko) 1995-05-10 1995-05-10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99674A (ko)
JP (1) JP2816134B2 (ko)
KR (1) KR0180596B1 (ko)
CN (1) CN105375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1875B1 (it) * 1998-07-29 2000-07-07 Whirlpool Co Controllo autoadattivo per la regolazione di frigoriferi e congelatori
KR100350444B1 (ko) * 2000-02-22 2002-08-28 만도공조 주식회사 복합형 김치저장고
KR100597732B1 (ko) * 2000-09-07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제어방법
KR100504850B1 (ko) * 2001-07-27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EP1524484A1 (en) * 2003-10-16 2005-04-2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KR100573770B1 (ko) * 2004-04-24 200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4954484B2 (ja) * 2005-03-08 2012-06-13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5097361B2 (ja) * 2006-05-15 2012-12-1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及びその運転方法
BE1017362A3 (nl) * 2006-11-10 2008-07-01 Atlas Copco Airpower Nv Werkwijze voor het koeldrogen.
EP2034260B1 (en) * 2007-09-04 2014-01-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ion appliance and an appliance using such method
JP4569678B2 (ja) * 2008-07-11 2010-10-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起動制御装置
DE102009001678A1 (de) * 2009-03-19 2010-09-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s Kältegerätes
CN104024767B (zh) * 2011-12-20 2016-08-24 多美达责任有限公司 冷却装置和控制冷却装置的方法
ES2661046T3 (es) * 2012-05-14 201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CN114690820B (zh) * 2022-03-30 2023-08-08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厨用家电以及温度补偿方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82A (ja) * 1982-07-19 1984-01-2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温度制御装置
US4726260A (en) * 1985-04-15 1988-02-23 Lovrenich Rodger T Shiftable transmission with assured input-output relationship
DE3804258C1 (ko) * 1988-02-11 1989-09-14 Friedhelm 5920 Bad Berleburg De Meyer
DE3804246C1 (ko) * 1988-02-11 1989-03-02 Friedhelm 5920 Bad Berleburg De Meyer
US4903502A (en) * 1988-08-26 1990-02-27 Thermo King Corporation Rate of change temperature control for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s
JPH0264806A (ja) * 1988-08-31 1990-03-05 Sanyo Electric Co Ltd 温度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50C (zh) 2000-06-21
KR960041988A (ko) 1996-12-19
CN1140567A (zh) 1997-01-22
JPH08314545A (ja) 1996-11-29
US5699674A (en) 1997-12-23
JP2816134B2 (ja) 199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596B1 (ko) 냉동저장고의 온도 보상방법
KR0129507B1 (ko) 냉장고의 댐퍼제어방법
US6658878B2 (en) Multi-compartment typ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606870B2 (en) Deterministic refrigerator defrost method and apparatus
US20070227161A1 (en)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Cooling Capacity Thereof
JP2573780B2 (ja) 漬け物冷蔵庫の漬け物熟成及び貯蔵制御方法
KR100774191B1 (ko) 김치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EP1030147B1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 a refrigerator
US59310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cooked food chilling chamber in a refrigerator
KR100301502B1 (ko) 인버터냉장고의운전제어방법
US20230408186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0129236B1 (ko) 냉장고의 김치 숙성 및 보관방법
KR100325377B1 (ko) 김치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820838B1 (ko) 김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372612B1 (ko) 김치 냉장고의 외기온도 추정방법
KR100269458B1 (ko) 김치저장고의 압축기 구동제어 방법
KR100497680B1 (ko) 김치냉장고의 상온숙성조건 제어방법
KR100364906B1 (ko) 김치 냉장고 및 그 고내온도 제어방법
KR100880636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528298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512434B1 (ko) 김치 냉장고의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33987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저장 제어방법
JP2967633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KR0162457B1 (ko) 냉장고 냉동실의 온도와 증발기의 제상 제어방법
KR20050017430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5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111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