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8316B1 -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316B1
KR0178316B1 KR1019960075317A KR19960075317A KR0178316B1 KR 0178316 B1 KR0178316 B1 KR 0178316B1 KR 1019960075317 A KR1019960075317 A KR 1019960075317A KR 19960075317 A KR19960075317 A KR 19960075317A KR 0178316 B1 KR0178316 B1 KR 017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intermediate frequency
local oscill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055A (ko
Inventor
운 진 이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3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튜너에 내장된 국부 발진 장치 및 믹서의 출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값에 따라 국부 발진 주파수 및 믹서의 변환 이득을 조절하여 이상적인 중간 주파수를 출력시키기 위한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출력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다수의 고주파 신호 중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대역의 고주파 신호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복동조시킨다. 복동조된 고주파 신호에 국부 발진 장치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믹서를 통하여 혼합시켜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킨다. 국부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라면, 상기 국부 발진 장치의 이득을 조절한다.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라면, 상기 믹서의 이득을 조절한다. 그리고, 믹서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AGC회로로 궤환시켜 증폭율을 조절한다. 국부 발진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따라 국부 발진 주파수 및 믹서의 변환 이득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중간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출력 제어 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젼의 튜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너에 내장된 국부 발진 장치 및 믹서의 출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값에 따라 국부 발진 주파수 및 믹서의 변환 이득을 조절하여 이상적인 중간 주파수를 출력시키기 위한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의 튜너는 방송국으로부터 텔레비젼 수신기의 안테나에 유기된 다수의 고주파 신호 중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에 할당된 고주파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를 증폭하기 용이하도록 중간 주파수 신호(IF신호; 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즉, 튜너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고주파 신호 중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고주파 신호를 선택하며, 이를 증폭시키고,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시켜 45.75MHz의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킨다.
튜너는 통상적으로 수신된 고주파 중 특정 고주파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동조 회로 및 선택된 특정 고주파 대역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 회로,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국부 발진 장치(Local Oscillator) 및 상기 증폭 회로에서 증폭된 특정 주파수에 상기 국부 발진 장치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믹서 등의 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텔레비젼의 튜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와 같은 텔레비젼 튜너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송국에서 송출된 다수 개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 받는 안테나(10)의 출력측에 동조 회로(20)가 접속된다. 상기 동조 회로(20)는 안테나(10)를 통하여 입력된 다수의 고주파 중 사용자가 입력시킨 채널에 대응되는 특정 고주파수를 선택한다. 상기 동조 회로(20)의 출력단에는 선택된 고주파수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무선주파수 증폭부(30)가 접속된다.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20)의 출력측에는 복동조 회로(40)가 접속된다. 상기 복동조 회로(40)는 선택 채널의 고주파수 신호의 전체 대역을 증폭시킨다. 상기 복동조 회로(40)의 출력단에는 혼합 회로(50)가 접속된다. 상기 혼합 회로(50)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국부 발진 장치(52) 및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30)에서 증폭된 특정 신호 대역의 주파수에 상기 국부 발진 장치(52)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믹서(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30)에서 증폭된 특정 채널 대역의 고주파수는 믹서(54)에서 상기 국부 발진 장치(52)로부터 생성된 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국부 발진 장치(40)는 현재 수신되는 채널의 반송파 주파수에 중간 주파수를 가산한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믹서(52)에 입력시킨다.
상기 혼합 회로(50)의 출력단에는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60)가 접속된다. 상기 영상 및 음성 처리장치(60)는 텔레비전에서 영상 및 음성신호가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 회로(50)에서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60)의 출력단에는 AGC(Automatic Gain Controlling : 자동 이득 조정)회로(70)가 접속된다. 상기 AGC회로(70)는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60)에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궤환받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60)에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중간 주파수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3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텔레비젼의 튜너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다수 개의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10)에서 수신되어 동조 회로(20)에 인가된다. 상기 동조 회로(20)에 인가된 다수의 고주파 신호는 동조되어 사용자가 입력시킨 채널에 대응되는 특정 대역의 고주파 신호만이 추출된다. 상기 동조 회로(20)에서 추출된 특정 대역의 고주파수는 무선주파수 증폭부(30)에 인가되어 증폭된다.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20)에서 출력된 특정 대역의 고주파 신호는 복동조 회로(40)에 입력되어 신호 전체 대역이 증폭된다. 상기 복동조 회로(40)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는 혼합 회로(50)에 인가된다. 상기 혼합 회로(50)는 국부 발진 장치(52)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와 상기 복동조 회로(40)에서 출력된 고주파수를 믹서(54)를 통하여 혼합시켜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혼합 회로(50)에서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는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60)에서 텔레비전에서 영상 및 음성신호가 재생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된다.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60)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는 AGC회로(70)에 궤환된다. 상기 AGC회로(70)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간 주파수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3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무선주파수 증폭부의 증폭율을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텔레비젼 튜너는 주파수, 전원 전압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중간 주파수 신호의 출력이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텔레비전의 튜너에서는 중간 주파수의 출력이 무선주파수 증폭부의 증폭율에 조절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완벽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텔레비전의 튜너에 내장된 국부 발진 장치 및 믹서의 출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값에 따라 국부 발진 주파수 및 믹서의 변환 이득을 조절하여 이상적인 중간 주파수를 출력시키기 위한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한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텔레비젼의 튜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를 보여 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국부 발진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국부 발진 장치의 전압 검출 장치를 보여 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2의 믹서를 보여주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를 적용한 3-BAND방식의 혼합 회로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안테나 104 : 동조 회로
106 : 무선주파수 증폭부 108 : 복동조 회로
200 : 혼합장치 210 : 국부 발진 장치
230 :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
250 : 믹서 270 :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
272 : 중간 주파수 검출부 274 : 조절 신호 출력부
R1∼R14 : 저항 Q1∼Q12, Q100 : 트랜지스터
상기의 제1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다수의 고주파 신호 중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대역의 고주파 신호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복동조시키는 단계;
복동조된 고주파 신호에 국부 발진 장치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믹서를 통하여 혼합시켜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국부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라면, 상기 국부 발진 장치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라면, 상기 믹서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믹서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AGC회로로 궤환시켜 증폭율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2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는,
안테나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특정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선택하는 동조 회로, 동조 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선택된 고주파수를 증폭시키는 무선주파수 증폭부 및 무선주파수 증폭부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선택 채널의 고주파수 신호의 전체 대역을 증폭시키는 복동조 회로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의 튜너에 있어서,
복동조 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갖는 제1 차동 증폭부 및 제2 차동 증폭부로 구성되어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 장치 및 믹서로 이루어져 복동조 회로에서 입력된 특정 신호 대역의 주파수에 국부 발진 장치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믹서를 통하여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혼합 회로;
혼합 회로에 내장되고 국부 발진 장치에서 출력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간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면, 국부 발진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
혼합 회로에 내장되고 혼합 회로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간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면, 믹서의 이득을 조정하는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 그리고,
혼합 회로에서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는 음성 및 영상 신호 처리장치에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궤환받아 무선주파수 증폭부의 증폭율을 조정하기 위한 AGC회로로 구성되는 것이다.
튜너에서 국부 발진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따라 국부 발진 주파수 및 믹서의 변환 이득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중간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너를 보여 주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국부 발진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국부 발진 장치의 전압 검출 장치를 보여 주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2의 믹서를 보여주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다수 개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 받는 안테나(102)의 출력측에 동조 회로(104)가 접속된다. 상기 동조 회로(104)의 출력단에는 선택된 고주파수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무선주파수 증폭부(106)가 접속된다.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106)의 출력측에는 선택 채널의 고주파수 신호의 전체 대역을 증폭시키는 복동조 회로(108)가 접속된다. 상기 복동조 회로(108)의 출력단에는 혼합 회로(200)가 접속된다. 상기 혼합 회로(200)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국부 발진 장치(210) 및 상기 복동조 회로(108)에서 입력된 특정 신호 대역의 주파수에 상기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믹서(250)로 구성된다.
상기 혼합 회로(200)의 출력단에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110)가 접속된다.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110)의 출력단에는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궤환받는 AGC회로(112)가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국부 발진 장치(210)의 출력단에는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조정 장치(230)가 분기되어 구성된다.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조정 장치(2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국부 발진 장치(210)의 출력단에서 분기되어 출력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218) 및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218)에서 검출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설정된 신호 레벨과 비교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의 출력 전압을 조정한 출력 전압 조정부(219)로 구성된다.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조정 장치(230)는 상기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 출력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설정된 신호 레벨과 비교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의 출력 전압을 조정한다.
또한, 상기 믹서(250)의 출력단에는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가 분기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믹서(250)에서 분기되고, 상기 믹서(25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 및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검출된 중간 주파수에 따라 믹서(250)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절 신호 출력부(274)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는 상기 믹서(25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설정된 신호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믹서(250)의 변환 이득을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국부 발진 장치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요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211), 증폭시키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동조 회로(214), 상기 증폭부(211)에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15), 출력 전압 검출부(218) 및 출력 전압 조정부(219)로 구성된다.
상기 증폭부(211)는 상기 믹서(250)에서 필요한 증폭 신호를 생성한다. 증폭부(211)는 동조 회로(214)에 궤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조 회로(214)는 외부에서 발진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외부 소자로 구성된다. 상기 동조 회로(214)는 가변 용량 다이오드(V. C. D)와 발진 코일(L)이 병렬로 접속되고, 증폭부(211)로부터 궤환된 콘덴서(C1)로 구성되며, 선국된 채널에 따라 가변되어 입력되는 선국 전압(Tuning Voltage)(Vt)이 가변 용량 다이오드(V. C. D)와 발진 코일(L)의 일측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증폭부(211)는 제1 차동 증폭부(211a)와 제2 차동 증폭부(211b)가 2단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차동 증폭부(211a)는 증폭 역할을 수행하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가 좌우로 대칭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는 특정 값을 지닌 제1 저항(R1)을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15)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은 특정 값을 지닌 제2 저항(R2)을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15)와 접속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은 상기 동조 회로(214)의 발진 코일(L)에 접속되고,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은 구동 전원(Vcc)과 접속된다.
상기 제2 차동 증폭부(211b)는 증폭 역할을 수행하는 제3 트랜지스터(Q3)와 제4 트랜지스터(Q4)가 좌우로 대칭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는 특정 값을 지닌 제2 저항(R2)을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80)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은 특정 값을 지닌 제1 저항(R1)을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80)와 접속된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와 제4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은 바이어스용의 제3 및 제4 저항(R3, R4)을 통하여 구동 전원(Vcc)과 접속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은 공통으로 접속되어 출력 전압 조정부(100)의 제5 트랜지스터(Q5)와 접속된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와 제4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단은 공통으로 접속되어 출력 전압 조정부(100)의 제6 트랜지스터(Q6)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와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은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서 출력된 전압이 발진 코일(L1)과 콘덴서(C1)에서 동조되어 제2 트랜지스터(Q1)와 제3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궤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5 트랜지스터(Q5) 및 제6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에는 바이어스용 제5 저항(R5) 및 제6 저항(R6)이 접속된다.
또한, 증폭부(211)의 출력단에 증폭부(211)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첨두치(VP-P)를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218)가 접속된다.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218)의 출력단에는 증폭부(211)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출력 전압 조정부(219)가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218)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폭부(211)의 출력단에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정류기(218a)가 접속된다. 상기 정류기(218a)의 출력단에는 상기 증폭부(211)에서 출력된 전압의 첨두치만을 여과시키는 여과기(218b)가 접속되고, 상기 여과기(218b)의 출력단에는 상기 여과기(218b)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218c)의 비반전측 단자가 접속된다. 상기 비교기(218c)의 반전측 단자에는 입력 전압을 분배하여 기준 전압을 형성하는 제6 및 제7 저항(R6, R7)이 직렬 접속된다.
또한, 상기 믹서(2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증폭단(252)과 제2 증폭단(254)이 2단으로 연결되고, 제1 증폭단(252)과 제2 증폭단(254)의 일측에 믹서 이득 조절단(256)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증폭단(252)은 증폭 역할을 수행하는 제7 트랜지스터(Q7)와 제8 트랜지스터(Q8)가 좌우로 대칭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7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 단자 및 상기 제8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 단자는 국부 발진 장치(210)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제7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 단자 및 제8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 단자는 바이어스용 제9 저항(R9) 및 바이어스용 제10 저항(R10)을 통하여 구동 전원(Vcc)과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7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 단자 및 제8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 단자에서 믹서(250)의 출력단(a, b)이 분기된다.
상기 제2 증폭단(254)은 증폭 역할을 수행하는 제9 트랜지스터(Q9)와 제10 트랜지스터(Q10)가 좌우로 대칭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9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 단자 및 상기 제10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 단자는 국부 발진 장치(210)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Q9)의 컬렉터 단자 및 제10 트랜지스터(Q10)의 컬렉터 단자는 상기 제7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 단자 및 제8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 단자에서 분기된 믹서(250)의 출력단(a, b)에 접속된다.
상기 제7 트랜지스터(Q7)의 에미터 단자와 제8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 단자는 공통으로 접속되어 믹서 이득 조절단(256)내의 제11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Q9)의 에미터 단자와 제10 트랜지스터(Q10)의 에미터 단자는 공통으로 접속되어 믹서 이득 조절단(256)내의 제12 트랜지스터(Q12)의 컬렉터 단자와 접속된다. 상기 제11 트랜지스터(Q11)와 제12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 단자로는 상기 복동조 회로(108)에서 출력된 특정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1 트랜지스터(Q11)와 제12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 단자는 바이어스용 제12 저항(R12) 및 제13 저항(R13)을 통하여 공통으로 접속되어 믹서 이득 조절용 트랜지스터(Q100)의 컬렉터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믹서 이득 조절용 트랜지스터(Q100)의 에미터 단자는 바이어스용 제14 저항(R14)을 통하여 접지된다. 또한, 상기 제12 저항(R12) 및 제13 저항(R13)의 일단은 바이어스용 제11 저항(R11)을 통하여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믹서(250)의 출력단(a, b)에서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의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가 분기된다.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의 출력단에는 조절 신호 출력부(274)가 접속되고, 상기 조절 신호 출력부(274)의 출력단은 상기 믹서 이득 조절용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 단자에 접속되는 구성을 지닌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국에서 송출된 다수 개의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102)에서 수신되어 동조 회로(104)에 인가된다. 상기 동조 회로(104)는 사용자가 입력시킨 채널에 대응되는 특정 대역의 고주파 신호만이 추출된다. 즉, 사용자가 텔레비젼의 채널이 변화시키면 선국 전압이 가변되어 동조 회로(104)에 입력된다. 동조 회로(104)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된 선국 전압에 따라 출력되는 주파수의 전류 레벨을 조절하게 되어 특정 대역을 무선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동조 회로(104)에서 추출된 특정 대역의 고주파수는 무선주파수 증폭부(106)에 인가되어 증폭된다.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106)에서 출력된 특정 대역의 고주파 신호는 복동조 회로(108)에 입력되어 신호 전체 대역이 증폭된다. 상기 복동조 회로(108)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는 상기 안테나(102)에 유기된 신호에 비하여 약 20㏈ 증폭되어 혼합 회로(200)에 인가된다.
혼합 회로(200)의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는 사용자가 텔레비젼의 채널을 선택하면 선국 전압(Vt)이 가변되어 가변 용량 다이오드(V. C. D)와 발진 코일(L) 및 캐패시턴스(C1)로 이루어진 동조 회로(214)에 입력된다. 동조 회로(214)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된 선국 전압(Vt)에 따라 가변 용량 다이오드(D)의 캐패시턴스 값이 가변되며, 이에 따라 발진 코일(L) 및 콘덴서(C1)의 동작에 의하여 증폭부(211)로 출력되는 주파수의 전류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동조 회로(214)에서 전류 레벨이 조절된 주파수 입력되면 증폭부(211)는 입력된 주파수를 증폭하여 믹서(250)에 발진 전압을 인가한다. 증폭부(211)는 제1 차동 증폭부(211a)와 제1 차동 증폭부(211b)가 2단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차동 증폭부(211a)의 제1 트랜지스터(Q1)와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는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15)와 접속되어 액티브(Active)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서 출력되고, 발진 코일(L1)과 콘덴서(C1)에 의하여 동조된 전압을 입력받고,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는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15)에서 출력된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동조 회로(214)의 발진 코일(L) 및 콘덴서(C1)의 동작에 의하여 조절된 전류가 증폭부(211)내의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고, 증폭부(211)내의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는 일정한 전류가 인가되므로, 제1 차동 증폭부(211a)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이를 증폭하여 제1 차동 증폭부(211b)에 인가하게 된다. 즉, 동조 회로(50)의 동작에 의하여 증폭부(211)내의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감소하고,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승한다.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서는 입력되는 전압과 역상의 증폭된 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서 출력된 전압은 발진 코일(L1)과 콘덴서(C1)에서 동조되어 제2 트랜지스터(Q1)와 제3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궤환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서 출력된 전압이 상승되면,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감소하므로,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와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출력 전압 조정부(100)의 제5 트랜지스터(Q5)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증가하고,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하강한다. 따라서,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에서는 입력되는 전압과 동상의 증폭된 전압이 출력되어 제1 차동 증폭부(211b)의 제3 트랜지스터(Q3)와 제4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에 인가된다. 제1 차동 증폭부(211a)에서 증폭되는 전압의 크기는 출력 전압 조정부(219)의 제5 트랜지스터(Q5)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 값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제1 차동 증폭부(211b)는 제3 트랜지스터(Q3)와 제4 트랜지스터(Q4)가 좌우로 대칭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와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단자는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15)와 접속되어 액티브(Active)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과 접속되고, 발진 코일(L1)과 콘덴서(C1)에 의하여 동조된 전압을 입력받고, 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단자는 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15)에서 출력된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3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의 출력은 하강되고, 제4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의 출력은 증가된다. 이와 반대로,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3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의 출력은 상승되고, 제4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의 출력은 하강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제1 차동 증폭부(211b)의 제3 트랜지스터(Q3)와 제4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에서는 제1 차동 증폭부(211a)의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에서는 입력된 증폭 전압과 가산된 정현파의 증폭된 전압이 출력된다. 여기서, 제1 차동 증폭부(211b)에서 증폭되는 전압의 크기는 출력 전압 조정부(219)의 제6 트랜지스터(Q6)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 값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증폭된 전압이 믹서(250)의 차동 증폭단에 인가되어 이를 스위칭시킴으로써 믹서(250)에서 중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증폭부(211)의 출력단에 접속된 출력 전압 검출부(90)에서는 증폭부(211)에서 출력되는 첨두치 전압(VP-P) 즉, 정현파의 양(+)의 최대 전압 및 음(-)의 최대 전압 사이의 전압을 검출한다. 증폭부(211)의 출력단에서 검출된 첨두치 전압(VP-P)은 출력 전압 검출부(218)내의 정류기(218a)에 인가되어 정현파인 교류를 정류한다. 상기 정류기(218a)에서 직류로 변환된 전압은 여과기(218b)를 통과하면서 직류로 가변된다. 상기 여과기(218b)를 통과한 직류 신호는 비교기(218c)에 인가된다. 비교기(218c)에서는 여과부(218b)에서 출력된 신호와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증폭부(211)에서 출력된 신호가 기준 전압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출력 전압 조정부(219)의 제5 트랜지스터(Q5) 및 제6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에 바이어스용 제5 및 제6 저항(R5, R6)을 통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전압 검출부(218)의 비교기(218c)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출력 전압 조정부(219)의 제5 트랜지스터(Q5) 및 제6 트랜지스터(Q6)는 턴온되어 제1 차동 증폭부(211a)와 제1 차동 증폭부(211b)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Q1∼Q4)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국부 발진 장치에서 출력되는 발진 전압의 크기도 크게 된다. 즉, 믹서(250)의 차동 증폭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최소 신호 크기는 약 200 mVP-P이며, 국부 발진 장치의 증폭부(211)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200 mVP-P이하일 경우에는 출력 전압 검출부(218)에서 출력 전압 조정부(219)에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차동 증폭부(211a)와 제1 차동 증폭부(211b)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Q1∼Q4)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국부 발진 주파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 국부 발진 주파수는 믹서(250)의 제1 증폭단(252)의 제7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 단자 및 상기 제8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 단자로 입력되고, 제2 증폭단(254)의 제9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 단자 및 상기 제10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된다.
그리고, 믹서 이득 조절단(256)내의 제11 트랜지스터(Q11) 및 제12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 단자로는 상기 복동조 회로(108)에서 복동조된 고주파 신호가 인가된다.
제1 증폭단(252) 및 제2 차동 증폭단(254)의 출력단(a, b)의 전압은 믹서 이득 조절단(256)의 제11 트랜지스터(Q11) 및 제12 트랜지스터(Q12)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비례한다. 즉, 제1 증폭단(252)의 제7 트랜지스터(Q7) 및 제8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 단자에 국부 발진 주파수가 인가되면, 제1 증폭단(252)의 제9 트랜지스터(Q9) 및 제10 트랜지스터(Q10)가 공통 접속된 에미터 단자를 통하여 제7 트랜지스터(Q7) 및 제8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 단자에 바이어스용 제9 저항(R9) 및 제10 저항(R10)을 통하여 인가된 구동 전원(Vcc)이 흐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증폭단(254)의 제9 트랜지스터(Q9) 및 제10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 단자에 국부 발진 주파수가 인가되면, 제2 증폭단(254)의 제9 트랜지스터(Q9) 및 제10 트랜지스터(Q10)가 공통 접속된 에미터 단자를 통하여 컬렉터 단자에 바이어스용 제9 저항(R9) 및 제10 저항(R10)을 통하여 인가된 구동 전원(Vcc)이 흐르게 된다.
상기 제1 증폭단(252) 및 제2 증폭단(254)의 공통 접속된 에미터 단자를 흐르는 전류는 믹서 이득 조절단(256)내의 제11 트랜지스터(Q11) 및 제12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된 무선 주파수에 따라 가변된다. 즉, 믹서 이득 조절단(256)내의 제11 트랜지스터(Q11) 및 제12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 단자에 무선 주파수가 인가되면 상기 제11 트랜지스터(Q11)와 제12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 단자에 접속된 바이어스용 제11 저항(R11), 제12 저항(R12) 및 제13 저항(R13)에 상기 제1 증폭단(252) 및 제2 증폭단(254)의 공통 접속된 에미터 단자에서 전류가 인가된다.
결국, 상기 제1 증폭단(252) 및 제2 증폭단(254)의 컬렉터단에서 분기된 출력단(a, b)의 전류는 상기 제1 증폭단(252) 및 제2 증폭단(254)의 컬렉터 전류간의 차이가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여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는 국부 발진 주파수에서 복동조된 주파수를 감산한 값을 지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 회로(200)의 출력단(a, b)에서 분기된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의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는 상기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를 검출한다. 상기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약 100mV가 이상적이다.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는 상기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이 약 100mV인지를 검출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는 AM주파수 검파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는 상기 믹서(25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가 정상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조절 신호 출력부(274)에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절 신호 출력부(274)는 비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신호 출력부(274)는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에서 출력된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믹서 이득 조절용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 단자에 소정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에서 출력된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상기 조절 신호 출력부(274)는 상기 믹서 이득 조절용 트랜지스터(Q100)의 베이스 단자에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믹서 이득 조절용 트랜지스터(Q100)를 턴 온시켜 제1 증폭단(252)과 제2 증폭단(254)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Q7∼Q10)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제1 증폭단(252)과 제2 증폭단(254)의 컬렉터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믹서(25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믹서(250)의 평균 이득인 15㏈를 조절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는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110)에서 텔레비전에서 영상 및 음성신호가 재생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된다.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장치(110)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는 AGC회로(112)에 궤환된다. 상기 AGC회로(112)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간 주파수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106)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를 적용한 3-BAND방식의 혼합 회로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유럽 등지에서 컬러 텔레비전의 수신 표준인 PAL(Phase Alternation Line)방식에서 널리 사용되는 3-BAND방식의 혼합 회로를 보여준다. 3-BAND방식의 혼합 회로는 수신되는 주파수에 따라 3개의 입력단(IN1∼IN3), 각기 다른 대역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입력하는 3개의 국부 발진 장치(210a∼210c) 및 3개의 믹서(250a∼250c)를 갖는다. 여기서, 3개의 국부 발진 장치(210a∼210c)의 각각에는 출력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각각의 국부 발진 장치(210a∼210c)의 이득을 조절하는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조절 장치(230)가 접속된다. 또한, 3개의 믹서(250a∼250c)의 출력단에도 각각의 믹서(250a∼250c)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를 검출하여 각각의 믹서(250a∼250c)의 이득을 조절하는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가 접속된다.
따라서, 온도 및 전원 전압에 무관하게 수신되는 주파수(UHF 및 VHF)에 적합하게 정확한 국부 발진 장치 및 믹서(25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 출력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 레벨, 믹서(25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국부 발진 장치(210) 및 믹서(250)의 이득을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AGC회로(112)를 이용하여 무선주파수 증폭부(106)의 증폭율을 조정하여 안정된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튜너에서 온도 및 전원 전압 등에 무관하게 안정된 중간 주파수를 출력하여 튜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일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14)

  1. Ⅰ)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다수의 고주파 신호 중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대역의 고주파 신호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복동조시키는 단계;
    Ⅱ)상기 복동조된 고주파 신호에 국부 발진 장치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믹서를 통하여 혼합시켜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Ⅲ)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라면, 상기 국부 발진 장치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Ⅳ)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라면, 상기 믹서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Ⅴ)상기 믹서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AGC회로로 궤환시켜 증폭율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Ⅲ단계는 ⅰ)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ⅱ)검출된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기준 신호와 비교하고, ⅲ)검출된 국부 발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이 기준 신호보다 적으면 상기 국부 발진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레벨을 상승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는 국부 발진 주파수가 200 mVP-P이하인지를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Ⅳ단계는 ⅰ)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ⅱ)검출된 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을 기준 신호와 비교하고, ⅲ)검출된 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이 기준 신호보다 적으면 상기 믹서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 레벨을 상승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는 중간 주파수의 신호 레벨이 100mV인지를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방법.
  6. 안테나(102)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특정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선택하는 동조 회로(104), 상기 동조 회로(10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선택된 고주파수를 증폭시키는 무선주파수 증폭부(106) 및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106)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선택 채널의 고주파수 신호의 전체 대역을 증폭시키는 복동조 회로(108)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의 튜너에 있어서,
    상기 복동조 회로(108)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다수의 트랜지스터(Q1∼Q4)를 갖는 제1 차동 증폭부(211a) 및 제2 차동 증폭부(211b)로 구성되어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 장치(210) 및 믹서(250)로 이루어져 상기 복동조 회로(108)에서 입력된 특정 신호 대역의 주파수에 상기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 생성된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상기 믹서(250)를 통하여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혼합 회로(200);
    상기 혼합 회로(200)에 내장되고 상기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 출력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간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면, 상기 국부 발진 장치(210)에서 출력되는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30);
    상기 혼합 회로(200)에 내장되고 상기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간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이 아니면, 상기 믹서(250)의 이득을 조정하는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 그리고,
    상기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는 음성 및 영상 신호 처리장치(110)에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궤환받아 상기 무선주파수 증폭부(106)의 증폭율을 조정하기 위한 AGC회로(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30)는 상기 제1 차동 증폭부(211a) 및 제2 차동 증폭부(211b)에서 출력된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증폭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218) 및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218)에서 출력된 증폭 조절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차동 증폭부(211a) 및 제2 차동 증폭부(211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절하는 출력 전압 조정부(219)로 이루어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218)는 상기 제1 차동 증폭부(211a) 및 제2 차동 증폭부(211b)에서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시키는 정류기(218a); 상기 정류기(218a)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출력된 신호를 여과시키는 여과부(218b) 및 상기 여과부(218b)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218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218c)의 반전측 단자에는 기준 전압을 형성하는 전압 분배 저항(R7, R8)이 접속되고, 상기 비교기(218c)의 비반전측 단자에는 상기 여과부(218b)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 조정부(219)는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90)가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1 차동 증폭부(211a) 및 제2 차동 증폭부(211b)의 전류원에 컬렉터단이 접속되는 제5 트랜지스터(Q5) 및 제6 트랜지스터(Q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 조정부(219)는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218)에서 출력 전압 조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차동 증폭부(211a)와 제2 차동 증폭부(211b)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Q4)들의 에미터 측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출력 제어 장치(270)는 상기 혼합 회로(200)에서 출력된 중간 주파수를 검출하는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믹서(250)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조절 신호 출력부(274) 및 상기 조절 신호 출력부(274)의 출력단에 베이스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복동조 회로(108)에서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를 베이스 단자로 입력받는 쌍을 이루는 트랜지스터(Q11, Q12)들의 공통 접속된 에미터 단자에 컬렉터단이 접속되며, 에미터 단자는 바이어스용 저항(R14)을 통하여 접지되어 구성되어 상기 믹서(25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믹서 이득 조절용 트랜지스터(Q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검출부(272)는 AM주파수 검파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신호 출력부(274)는 비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의 출력 제어 장치.
KR1019960075317A 1996-12-28 1996-12-28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KR017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17A KR0178316B1 (ko) 1996-12-28 1996-12-28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17A KR0178316B1 (ko) 1996-12-28 1996-12-28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55A KR19980056055A (ko) 1998-09-25
KR0178316B1 true KR0178316B1 (ko) 1999-04-01

Family

ID=1949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317A KR0178316B1 (ko) 1996-12-28 1996-12-28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3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5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6731A (en) Zerox-IF receiver with tracking second local oscillator and demodulator phase locked loop oscillator
US7057426B2 (en) Frequency converter, orthogonal demodulator and orthogonal modulator
US4580285A (en) Scanning AM radio with discriminator-driven-scan-stop-circuit
KR100445319B1 (ko) 방송신호수신장치
US4688264A (en) AM/FM receiver with automatic tuning system
US5263187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5991612A (en) Amplitude correction circuit
US5909644A (en) AM radio receiver
US20070146550A1 (en) Receiving circuit,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KR0178316B1 (ko)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JP2845253B2 (ja) キードパルス検出回路
FI63144B (fi) Televisionsmottagare med en sykron detektorkrets och en frekvensavvikningsdetektorkrets
US5887246A (en) Amplifier circuit for an intermediate-frequency signal of a radio receiver
KR0178317B1 (ko)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EP039835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broadcast FM satellite waves
KR0182658B1 (ko) 국부발진장치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US4560942A (en) Demodulation circuit having triangular wave for blocking harmonics
JP4075890B2 (ja) パルスカウント型復調回路
KR0177676B1 (ko) 자동이득 제어 지연점 조정회로
JP3388700B2 (ja) Amラジオ受信機
KR930003291Y1 (ko)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US4530005A (en) AFC circuit for television tuner
KR0119316Y1 (ko) 고주파 회로에서의 임피던스 매칭회로
KR950008534Y1 (ko) 다중 채널용 튜너
KR0178318B1 (ko) 멀티 자동 동조방식의 엔티에스씨 튜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