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7961B1 -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961B1
KR0177961B1 KR1019960021196A KR19960021196A KR0177961B1 KR 0177961 B1 KR0177961 B1 KR 0177961B1 KR 1019960021196 A KR1019960021196 A KR 1019960021196A KR 19960021196 A KR19960021196 A KR 19960021196A KR 0177961 B1 KR0177961 B1 KR 017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speed
select
shift
manu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중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2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961B1/ko

Links

Landscapes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셀렉트 레버(35)가 볼팅되어 일단에 형성된 셀렉트 샤프트(10)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샤프트(10)의 일단에 관통되어 고정형성된 고정핀 (55b)과, 상기 고정핀(55b)에 대응한 절곡부(50)가 형성된 편심캠(45)과 5속 셀렉트시 상기 고정핀 (55b)에 의해 상기 편심캠(45)이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한 후 고정되도록 형성된 돌기부(60)와, 상기 셀렉트 샤프트(10)의 타단에 형성되어 5속과 R의 셀렉트시 5속과 R의 변속을 수행하는 시프트 포크 (75)의 게이트(70)에 삽입되는 시프트 레버(65)로 구성됨으로써 5속에서 R로의 역진을 방지하는 역진방지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을 용이하도록 하며 생산단가도 절감시켜 줄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 (a)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b)는 (a)의 B방향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셀렉트 샤프트 15 : 장홀
20 : 시프트 캠 25 : 리턴 스프링
30 : 리버스 셀렉트 스프링 35 : 셀렉트 레버
40 : 가이드 볼트 45 : 편심캠
50 : 절곡부 55a,55b : 고정핀
60 : 돌기부 65 : 시프트 레버
70 : 게이트 75 : 시프트 포크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셀렉트 샤프트에 고정핀을 형성하고 절곡부를 가진 편심캠을 형성하여 주므로써 역진방지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이 용이하도록 하며 생산단가도 절감시켜 주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기구는 수동변속기에서 후진 기어는 전진중에 쉽게 들어가지 않게할 필요가 있다. 전진 4속 기어 변속기에서 후진으로 변속시,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저지 하중이 발생케 하여 후진의 오조작을 막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확실한 방법으로는 시프트 레버를 누르던가 또, 끌어올리지 않으면 후진으로 변속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진 5속 기어 변속기에서는 셀렉터 리턴 기구를 설치하여 변속을 보다 확실하게 하며 오조작을 방지한다. 후진 위치와 5속위치가 같은 일렬로 된 변속구조에서는 5속에서 후진으로 변속시에 일단, 중립위치로 선택되어야만 후진으로 시프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5속에서 후진으로 직접 시프팅될 수 없도록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레버가 상하 운동을 하게되어 기어 시프팅이 이루어지고, 기어 시프트 콘트롤 레버를 상하로 움직일 경우 기어 시프트 콘트롤 샤프트의 전,후진 운동에 의하여 기어 시프트 셀렉트 레버가 좌우 운동을 하게되어 기어 셀렉팅이 이루어 진다.
후진 위치와 5속 위치가 같은 일렬로 된 변속 구조에서는 5속에서 후진으로 변속시에 일단, 중립위치로 선택되어야만 후진으로 시프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제1도는 이와 같은 수동변속기 역진방지장치의 종래의 전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운전석에 기어 시프트 레버(65)를 좌,우로 움직여서 셀렉트 레버(35)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1속과 2속을 변속할 수 있는 위치에 오고, 중립에서는 3속과 4속을 변속할 수 있으며, 셀렉트 레버(35)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5속과 R을 변속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어 시프트 레버(65)를 상하로 움직이면 셀렉트 레버(35)가 상,하 회전하여 선택된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것을 기초로 해서 5속과 R로 변속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종래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트 레버(35)를 중립 위치에서 우측(5속과 R의 중립)으로 이동하면, 셀렉트 샤프트(10)는 장홀(15)에 의해 시프트 캠(20)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우측으로 이동되지만 시프트 캠(20)은 가이드 볼트(40)에 걸림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리턴 스프링(25)이 압축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5속으로 변속하면 셀렉트 레버(35)의 회전과 함께 셀렉트 샤프트(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셀렉트 샤프트(10)에 고정핀(55a)으로 체결된 시프트 캠(2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가이드 볼트(40)에서 해제되어 리턴 스프링(25)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R에 변속할 때 시프트 캠(20)이 가이드 볼트(40)걸림으로 R에 변속되지 못한다. 즉 시프트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셀렉트 샤프트(10)를 시프트 캠(20)이 좌측(중립)으로 이동되어야만 시프트 캠(20)이 가이드 볼트(40)를 타고 넘지 않아 R로 변속되게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일련의 동작이 여러작동을 거치게 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5속에서 R로의 역진을 방지하는 것을 캠식으로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원가를 절감한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셀렉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형성된 고정핀과 이에 대응한 절곡부를 가지는 편심캠을 형성하여, 5속변속시에는 상기 고정핀이 편심캠으로부터 벗어나서 변속을 가능하게 하고 5속에서 R로 직접 변속시에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캠에 걸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5속에서 R로의 역진방지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이 용이하도록 하며 생산단가도 절감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는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트 레버(35)가 볼팅되어 일단에 형성된 셀렉트 샤프트(10)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샤프트(10)의 일단에 관통되어 고정형성된 고정핀(55b)과, 상기 고정핀(55b)에 의해 상기 편심캠(45)이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 한 후 고정되도록 형성된 돌기부(60)와, 상기 샐렉트 샤프트(10)의 타단에 형성되어 5속과 R의 셀렉트시 5속과 R의 변속을 수행하는 시프트 포크(75)의 게이트(70)에 삽입되는 시프트 레버(65)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속으로의 기어 시프트 레버(65)를 제2도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셀렉트 레버(35)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리버스 셀렉트 스프링(30)을 압축시키게 되고 시프트 레버(65)를 시프트 포크(75)의 게이트(70)로 삽입시키며 셀렉트 샤프트(10)에 고정형성된 고정핀(55b)이 편심캠(45)의 절곡부(50)에 맞닿아 편심캠(45)을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편심캠(45)은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하다가 돌기부(60)에 의해 정지된다.
이 때 기어를 5속으로 변속하면 게이트(70)에 삽입된 시프트 레버(65)와 편심캠(45)의 절곡부(50)에 위치한 고정핀(55b)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5속으로 변속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편심캠(45)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R로 변속할 때 셀렉트 샤프트(10)에 형성된 고정핀(55b)이 복귀된 편심캠(45)에 걸림으로써 고정핀(55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R로 변속되지 못한다. 고정핀(55b)이 좌측(중립)으로 이동되어야만 R로 변속될 수 있으며 R로 기어 변속시 기어 시프트 레버(65)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5속으로의 기어 변속전과 같이 고정핀(55b)은 편심캠(45)을 타고 넘지 않고 밀고 있는 상태로만 되며 이때 R로 변속하면 고정핀(55b)이 편심캠(45)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아무런 저항없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R로 변속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는 셀렉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형성된 고정핀과 이에 대응한 절곡부를 가지는 편심캠을 고정시켜 주는 돌기부을 형성하여 주므로써 5속에서 R로의 역진을 방지하는 역진방지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을 용이하도록 하며 생산단가도 절감시켜 줄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샐렉트 레버(35)가 볼팅되어 일단에 형성된 셀렉트 샤프트(10)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샤프트(10)의 일단에 관통되어 고정형성된 고정핀(55b)과, 상기 고정핀(55b)에 대응한 절곡부(50)가 형성된 편심캠(45)과 5속 셀렉트시 상기 고정핀(55b)에 의해 상기 편심캠(45)이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한 후 고정 되도록 형성된 돌기부(60)와, 상기 셀렉트 샤프트(10)의 타단에 형성되어 5속과 R의 셀렉트시 5속과 R의 변속을 수행하는 시프트 포크(75)의 게이트(70)에 삽입되는 시프트 레버(6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장치.
KR1019960021196A 1996-06-13 1996-06-13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KR017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196A KR0177961B1 (ko) 1996-06-13 1996-06-13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196A KR0177961B1 (ko) 1996-06-13 1996-06-13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7961B1 true KR0177961B1 (ko) 1999-04-01

Family

ID=1946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196A KR0177961B1 (ko) 1996-06-13 1996-06-13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9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439A (en) Parking mechanism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US3533301A (en) Transmission shifting mechanism including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over-shifting
US4307624A (en) Transmission gear selector arm and sleeves for shifting forks
US5388477A (en) Gearshift device for electrically controlled gearboxes
GB2097493B (en) Inhibiting movement of manual gearshift mechanism into reverse
US6487927B1 (en) Automatic neutral finder for a motorcycle transmission
US3587351A (en) Transmission and controls with neutral start switch
KR0177961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US4212210A (en)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H-pattern shift
DE69702160D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n Schalthebel
KR100274964B1 (ko) 비작동 슬롯을 지닌 인터록
KR970000852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0129565Y1 (ko) 자동차의 변속장치용 후진 오동작방지 장치
KR95001127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EP0685667B1 (en) Gear selector mechanism for transmission
KR0123007B1 (ko) 차량 변속기의 콘트롤시스템
KR97000850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0171729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장치
KR97000086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100294074B1 (ko) 자동차수동변속기의후진오조작방지장치
KR950000788Y1 (ko) 자동차의 후진 오동작 방지장치
KR950006989Y1 (ko) 자동차변속기의 후진오조작 방지장치
KR200145083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후진기어 오조작 방지장치
KR0139524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970003535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시 울림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