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7317B1 -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317B1
KR0177317B1 KR1019960011026A KR19960011026A KR0177317B1 KR 0177317 B1 KR0177317 B1 KR 0177317B1 KR 1019960011026 A KR1019960011026 A KR 1019960011026A KR 19960011026 A KR19960011026 A KR 19960011026A KR 0177317 B1 KR0177317 B1 KR 017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stening
audio
external soun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900A (ko
Inventor
신명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1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317B1/ko
Publication of KR97007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및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400)으로 청취하기 위한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210)와; 국선 선로로부터 링 신호를 검출하여 링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링검출부(250)와; 국선 선로와 연결되어 루푸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전화루프를 온/오프시키는 통화 회로부(240)와;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 증폭부(270)와; 상기 통화 회로부(240)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가 인가되는 외부 오디오 입력 단자를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270)와 연결하는 스위치부(265)와; 상기 신호 증폭부(270)로부터의 신호나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상기 신호증폭부(270)로 출력하는 송수신부(280)와; 상기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 상기 송수신부(280)로부터의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 링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루프 제어 신호, 상기 스위칭 신호, 상기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시키는 마이컴(230)을 포함하는 무선 전화기의 고정 장치와; 외부음 청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310)와; 상기 고정 장치의 송수신부(28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출력하거나,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수신부(340)와; 상기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 상기 송수신부(230)로부터의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수신부(340)에 인가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시키는 마이컴(330)과; 상기 송수신부(34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상기 송수신부(340)로 출력하는 신호 증폭부(370)와; 상기 마이컴(330)의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절환되어 상기 신호 증폭부(370)와, 상기 이어폰(400)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380)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이어폰으로 청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현재 전화기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외부음 청취 도중에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있거나 국선 선로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면 국선 선로로 입력을 절환하여 전화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휴대 장치에 대한 상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디오카세트레코더 150 : 텔레비젼
200 : 전화기의 고정장치 210 : 키입력부
220 : 후크검출부 230 : 마이컴
240 : 통화회로부 250 : 링검출부
255 : 링음발생부 260 : DTMF 발생부
270 : 신호증폭부 280 : 송수신부
290 : 송수화부 300 : 전화기의 휴대장치
310 : 키입력부 320 : 후크검출부
330 : 마이컴 340 : 송수신부
350 : 링음발생부 360 : DTMF 발생부
370 : 신호증폭부 380 : 스위치부
390 : 송수화부 400 : 이어폰
500 : 마이크
본 발명은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텔레비젼등과 같은 영상 및 오디오 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구비된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국선 선로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고정 장치와, 사용자가 고정 장치와 설정된 적정 거리내에서 이동간에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 장치와 설정된 채널로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 장치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한편, 최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하면서 전화 통화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어폰과 마이크를 일체형으로 하여 상술한 휴대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장치를 들지 않고서도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다른 일을 하면서도 전화 통화를 편리하게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텔레비젼으로부터의 오디오음을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청취하기 위하여 상술한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구비된 이어폰을 이용하여 텔레비젼 또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로부터의 오디오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는, 영상 및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으로 청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위한 소정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국선 선로로부터 링 신호를 검출하여 링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링검출부와; 국선 선로와 연결되어 루푸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전화 루프를 온/오프시키는 통화 회로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통화 회로부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가 인가되는 외부 오디오 입력 단자를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와 연결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나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로 출력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 상기 송수신부로부터의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 링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루프 제어 신호, 상기 스위칭 신호, 상기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무선 전화기의 고정 장치와;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고정 장치의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출력하거나,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 상기 송수신부로부터의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수신부에 인가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송수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마이컴의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절환되어 상기 신호 증폭부와, 상기 이어폰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방법은, 휴대 장치에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이어폰으로 청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현재 전화기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외부음 청취 도중에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있거나 국선 선로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면 국선 선로로 입력을 절환하여 전화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제2도는 휴대 장치(300)에 대한 상세 블록도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100), 텔레비젼(150), 무선 전화기의 고정 장치(200)로서, 키입력부(210), 후크 검출부(220), 마이컴(230), 통화 회로부(240), 링검출부(250), 링음 발생부(255), DTMF 발생부(260), 스위치부(65), 신호증폭부(270), 송수신부(280), 송수화부(290)를 포함하며,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300)로서, 키입력부(310), 후크 검출부(320), 마이컴(330), 송수신부(340), 링음발생부(350), DTMF 발생부(360), 신호 증폭부(370), 스위치부(380), 송수화부(390), 이어폰(400), 마이크(500)를 포함한다.
동 도면들에 있어서, 고정 장치(200)의 키입력부(210)는 전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 외부음 청취키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키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후크 검출부(220)는 전화기의 후크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후크 검출 신호를 마이컴(230)에 인가한다.
또한, 마이컴(230)은 전화기 고정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후크 검출 신호, 링검출 신호, 외부음 청취키 신호, 제2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루프 온/오프 제어신호, 링음 제어 신호, DTMF 제어 신호, 스위칭 신호, 제1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 등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한편, 통화 회로부(240)는 국선 선로와 연결되며 마이컴(230)으로부터의 루프 온/오프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전화 루프를 온/오프시키며, 국선 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후술하는 링검출부(250) 또는 스위치부(265)에 인가하고 스위치부(265)나 DTMF발생부(260)로부터의 신호를 국선 선로로 전달한다.
그리고, 링검출부(250)는 국선 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링검출 신호를 마이컴(230)에 인가하며, 링음발생부(255)는 마이컴(230)으로부터의 링음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소정링음(벨소리)을 발생시킨다.
또한, DTMF(Dual-Tone Multi-Frequency) 발생부(260)는 마이컴(230)의 DTMF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DTMF 톤신호를 발생하여 통화 회로부(240)를 거쳐 국선 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로 전송한다.
한편, 스위치부(265)는 마이컴(230)의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절환되어 통화 회로부(240)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100)의 오디오 출력을 신호 증폭부(70)로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본 도면에서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100)의 오디오 출력이 스위치부(265)에 연결되었으나 텔레비젼(150)의 오디오 출력을 연결하여도 가능하다.
그리고, 신호 증폭부(270)는 스위치부(265)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송수신부(280)로 출력하거나, 송수신부(28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스위치부(265)로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280)는 마이컴(230)의 제어에 의거하여 마이컴(230)으로부터의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나 신호 증폭부(27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며, 휴대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신호 증폭부(270)로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280)는 복조된 신호가 음성 신호가 아닌 제 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이면 마이컴(230)으로 인가한다.
한편, 송수화부(290)는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증폭부(270)로 인가하거나, 신호증폭부(270)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장치(300)의 키입력부(310)는 전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 외부음 청취 키 등의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후크 검출부(320)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인하는 후크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후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마이컴(330)은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 외부음 청취키 신호, 후크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DTMF 제어 신호, 스위칭 신호와 링음 제어 신호등을 발생하여 전화기 휴대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송수신부(340)는 후술하는 신호 증폭부(370)로부터의 신호나 DTMF 발생부(360)로부터의 DTMF 신호나 마이컴(330)으로부터의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마이컴(330)의 제어에 의거하여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며, 고정 장치(200)의 송수신부(28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또한, 링음 발생부(350)는 마이컴(330)의 링음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링음(벨 소리)을 발생하며, DTMF 발생부(360)는 마이컴(330)의 DTMF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송수신부(340)에 인가한다.
한편, 신호 증폭부(370)는 송수신부(34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후술하는 스위치부(38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송수신부(340)에 인가한다.
그리고, 스위치부(380)는 마이컴(330)의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절환되어 신호 증폭부(370)의 입출력을 송수화부(390)나 이어폰 및 마이크(400,500)로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송수화부(390)는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스위치부(380)로부터의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부(380)에 인가한다.
한편, 이어폰(400) 및 마이크(500)는 송수화부(39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핸드셋 즉, 휴대장치(300)를 손으로 들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헤드폰 형태로 휴대장치(300)의 외부 입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외부 입출력 단자는 스위치부(380)에 연결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화기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과정을 첨부한 제3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무선 전화기 고정 장치(200)의 마이컴(230)은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00).
이때의 판단은, 고정 장치(200)의 키입력부(210)로부터의 외부음 청취키 신호가 인가되거나, 송수신부(280)로부터 휴대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지로 판단한다.
한편,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는 휴대장치(300)의 키입력부(310)로부터의 외부음 청취키 신호에 의거하여 휴대 장치(300)의 마이컴(330)에서 발생된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는 고정 장치(200)나 휴대 장치(300)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계 (300)에서, 외부음 청취키 입력이 있으면, 마이컴(230)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여(단계 302), 통화중이 아니면 통화회로부(250)를 루프 오프 상태로 유지하면서, 스위치부(265)를 제어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100) 또는 텔레비젼(150)으로부터의 오디오 입력을 신호 증폭부(270)으로 전달시킨다.
다음에, 신호 증폭부(270)는 외부 오디오 입력을 증폭처리하여 송수신부(280)에 인가한다.
그러면, 송수신부(280)는 신호 증폭부(270)로부터의 신호를 소정 채널로 변조시켜 송신하며, 휴대 장치(300)의 송수신부(340)는 고정장치(200)의 송수신부(280)로부터 소정 채널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 증폭부(270)로 출력한다.
다음에, 신호 증폭부(370)는 송수신부(34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스위치부(380)에 인가한다.
이때, 스위치부(380)는 마이컴(330)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절환되어 이어폰 및 마이크(400,500)로 연결되어, 사용자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100)나 텔레비젼(150)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400)을 통하여 청취하게 된다(단계 304).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정장치(200)와 휴대장치(300)에서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가능하여, 고정 장치(200)의 스위치부(265)는 고정 장치(200)의 키입력부(210)의 외부음 청취키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절환되거나, 고정 장치(200)의 송수신부(280)로부터의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절환되어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휴대장치의 스위치부(380)는 휴대 장치(300)의 키입력부(310)의 외부음 청취키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절환되거나, 고정 장치(300)의 송수신부(340)로부터의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절환되어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된다.
다음에, 고정 장치(200)의 마이컴(230)은 외부음을 이어폰으로 청취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단계(300)과 마찬가지로 외부음 청취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306), 외부음 청취키입력이 없으면 링검출부(250)로부터 링검출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308).
이때, 링검출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계속 외부음을 이어폰(400)으로 출력하며, 상기 단계 (306)에서 외부음 청취키 입력이 있거나, 상기 단계 (308)에서 링검출 신호가 인가되면 고정 장치(200)의 스위치부(265)를 통화 회로부(240)로 연결한다(단계 310).
다음에,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31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100)나 텔레비젼(150)등의 영상 및 오디오 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화기에 구비된 이어폰으로 혼자만 청취가 가능하여, 청취를 원치 않는 다른 주변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영상 및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400)으로 청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210)와; 국선 선로로부터 링 신호를 검출하여 링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링검출부(250)와; 국선 선로와 연결되어 루푸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전화 루프를 온/오프시키는 통화 회로부(240)와;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 증폭부(270)와; 상기 통화 회로부(240)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가 인가되는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를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270)와 연결하는 스위치부(265)와; 상기 신호 증폭부(270)로부터의 신호나 제1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270)로 출력하는 송수신부(280)와; 상기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 상기 송수신부(280)로부터의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 링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루프 제어 신호, 상기 스위칭 신호, 상기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시키는 마이컴(230)을 포함하는 무선 전화기의 고정 장치와; 외부음 청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310)와; 상기 고정 장치의 송수신부(28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복조하여 출력하거나,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채널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수신부(340)와; 상기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 상기 송수신부(340)로부터의 제1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외부음 청취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수신부(340)에 인가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음 청취 모드로 전환시키는 마이컴(330)과; 상기 송수신부(34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상기 송수신부(340)로 출력하는 신호 증폭부(370)와; 상기 마이컴(330)의 스위칭 신호에 의거하여 절환되어 상기 신호 증폭부(370)와, 상기 이어폰(400)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380)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2. 휴대 장치에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이어폰으로 청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현재 전화기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외부음 청취 도중에 외부음 청취를 위한 키입력이 있거나 국선 선로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면 국선 선로로 입력을 절환하여 전화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방법.
KR1019960011026A 1996-04-12 1996-04-12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KR017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026A KR0177317B1 (ko) 1996-04-12 1996-04-12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026A KR0177317B1 (ko) 1996-04-12 1996-04-12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00A KR970072900A (ko) 1997-11-07
KR0177317B1 true KR0177317B1 (ko) 1999-05-15

Family

ID=1945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026A KR0177317B1 (ko) 1996-04-12 1996-04-12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3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0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1925B1 (en) Video telephone device having automatic sound level setting along with operation mode switching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KR20040073224A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JPH02252329A (ja) 無線電話装置
KR0177317B1 (ko)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JPH0426582B2 (ko)
JPH08163209A (ja) 携帯無線装置
KR200258287Y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950007499B1 (ko) 멀티형 무선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H09321843A (ja) 携帯電話機着信信号報知装置
KR0166224B1 (ko) 텔레비전의 무선헤드폰을 이용한 전화통화장치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JP2762496B2 (ja) 送受信装置
JP3157469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194470B1 (ko) 무선전화기에서 링착신음 발생방법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KR100238523B1 (ko) 무선 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고정장치 제어방법
JP3030997B2 (ja) 複合機能付電話装置
JP2560884B2 (ja) 携帯無線電話機
KR0120014B1 (ko)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JPH0484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9980065581A (ko) 무선전화기에서 송화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