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6861B1 -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861B1
KR0176861B1 KR1019950041155A KR19950041155A KR0176861B1 KR 0176861 B1 KR0176861 B1 KR 0176861B1 KR 1019950041155 A KR1019950041155 A KR 1019950041155A KR 19950041155 A KR19950041155 A KR 19950041155A KR 0176861 B1 KR0176861 B1 KR 0176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cylinder
temperature side
sid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820A (ko
Inventor
홍기용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4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861B1/ko
Priority to DE19646728A priority patent/DE19646728A1/de
Publication of KR97002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Linear Motor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증발온도가 다른 두 개의 증발기를 구비한 냉동사이클에서는 두 개의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유입된 냉매가스의 압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에서 두개의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기에서 각각 분리,흡입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성능 및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에 적용되는 냉동사이클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에 적용된 두 개의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 냉매흡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및 냉매흡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측증발기 1" : 저온측증발기
3 : 압축기 8 : 밀폐용기
9 : 실린더 13 : 고압흡입관
14 : 저압흡입관 15 : 유도관
16 : 일방향밸브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에서 두 개의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를 압축기에 각각 분리하여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은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을 통과한 저온저압의 액체상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냉장고에 적용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동실에 증발기(1)를 설치하고, 냉장고의 배면에 응축기(2) 및 모세관(4)을 설치하며, 하부에 압축기(3)를 설치하여 증발기(1)에서 열을 흡수하는 것을 이용하여 냉장고의 내부를 차갑게 유지하면서 음식을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동사이클에서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에 증발온도가 다른 두 개의 증발기를 각각 설치한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하부에 압축기(3)를 설치하고 냉동실에 저온측증발기(1")를 설치하고 냉장실에 고온측증발기(1')를 설치하며, 배면에 응축기(2)와 모세관(4, 또는 팽창밸브)을 설치하고, 상기 압축기(3), 모세관(4, 또는 팽창밸브), 고온측증발기(1'), 저온측증발기(1")는 냉매관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두 개의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에서 냉매가 순환하는 과정은 압축기(3) - 응축기(2) - 제1팽창밸브(4') - 고온측증발기(1") - 분리기(5) - 제2팽창밸브(4") - 저온측증발기(1") - 어큐뮬레이터(6) - 압축기(3) 순으로 순환하게 되고, 또한 응축기(2)에서 액체상태로 변화된 냉매가 고온측증발기(1")에서 기체상태로 변화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되는데, 상기 고온측증발기(1")를 거친 냉매가 상기 분리기를 거치면서 분리기(5)에서 기체로 변화된 냉매가스는 솔레노이드밸브(7)를 거쳐 압축기(3)로 흡입되고, 기화되지 않은 액체상태의 냉매는 저온측증발기(1")로 유입되어 저온측증발기(1")에서 기화되어 압축기(3)로 유입된다.
상기 과정에서 고온측증발기(1')를 통해 압축기(3)로 유입되는 냉매가스의 압력과 저온측증발기(1")를 통해 압축기(3)로 유입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은 서로 다르며, 고온측증발기(1')를 통해 압축기(3)로 유입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이 더 높게 된다.
상기 냉동사이클과정 중 증발기(1)를 거친 저온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2)로 토출시키는 압축기(3)(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가 사용됨)는 흡입관(8a)과 토출관(8b)이 설치된 밀폐용기(8)와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상기 전동기구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구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9)와, 상기 실린더(9)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면서 실린더(9)내부로 냉매가스를 흡입하고 압축하는 피스톤(10)과, 상기 실린더(9)의 일측에 결합되어 피스톤(10)의 움직임에 따라 실린더(9)내부로 냉매를 흡입,토출시키는 흡입밸브(11)와 토출밸브(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기구부는 피스톤(10)의 왕복운동에 의해 증발기(1)에서 유출된 냉매가스가 흡입관(8a)을 통해 밀폐용기(8)로 유입되면서 흡입밸브(11)를 통해 실린더(9)로 흡입되어 압축되며, 압축된 냉매가스는 토출관(8b)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밀폐용기(8)에 결합되는 흡입관(8a)의 단부는 압축기(3)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매가 실린더(9)로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과 연결되지 않고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기(3)는 증발온도가 다른 두 개의 증발기(1)를 구비한 냉동사이클에서는 두 개의 증발기(1)에서 압축기(3)로 유입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압축기(3)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에서 두 개의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를 압축기에 각각 분리하여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의 고온측증발기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의 실린더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고압흡입관과, 저온측증발기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의 밀폐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저압흡입관과, 밀폐용기내로 유입된 냉매를 실린더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도관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도관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된 고압흡입관에 연결되고 내부에 일방향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고압흡입관은 유연성있는 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의 고온측증발기(1')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3)의 실린더(9) 내부로 직접 유입을 안내하는 고압흡입관(13)을 설치하고, 저온측증발기(1")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3)의 밀폐용기(8)내부로 유입을 안내하는 저압흡입관(14)을 설치하며, 밀폐용기(8)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실린더(9)내부로 유입을 안내하는 유도관(15)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관(15)은 상기 실린더(9)와 연결된 고압흡입관(13)에 연결하고, 내부에 일방향밸브(16)를 설치하여 고압흡입관(13)으로 흐르는 고압의 냉매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3)의 냉매흡입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구부의 실린더(9)상부에 설치되는 실린더헤드부(9a)에는 흡입밸브(11)와 토출밸브(12)에 연결되는 흡입유로(9b)와 토출유로(9c)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헤드부(9a)의 흡입유로(9b)에 고온측증발기(1')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를 흡입유로(9b)로 안내하는 고압흡입관(13)을 설치한다.
상기 고압흡입관(13)은 유연성이 있는 파이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흡입유로(9b)와 고압흡입관(13)의 연결은 유연성있게 튜브콘넥터(17)로 연결하며, 상기 고온측증발기(1')에서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기(3)내로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고압흡입관(13)과의 연결은 유연성있게 튜브콘넥터(17)로 연결한다.
또한 저온측증발기(1")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를 압축기(3)로 안내하는 저압흡입관(14)은 저온측증발기(1)와 연결하여 압축기(3)의 밀폐용기(8)에 관통되게 설치하여 밀폐용기(8)내부로 냉매가스가 유입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부(9a) 흡입유로(9b)의 일측에 연결되어 밀폐용기(8)에 유입된 냉매가스를 실린더(9)내부로 유입을 안내하는 유도관(15)을 설치하며, 유도관(15)내부에는 한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한방향밸브(16)를 설치한다.
상기 한방향밸브(16)는 체크밸브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 냉매흡입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 냉매흡입장치는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이 운전되면서 압축기(3)의 작동으로 고온측증발기(1')와 저온측증발기(1")를 통과한 냉매가스가 압축기(3)로 유입되며, 상기 고온측증발기(1')를 통과한 냉매가스는 상대적으로 저온측증발기(1")를 통과한 냉매가스보다 압력이 높다.
고온측증발기(1)에서 유출된 냉매가스는 고압흡입관(13)을 통해 실린더헤드부(9a)를 거쳐 실린더(9)로 유입되며, 저온측증발기(1")에서 유출된 냉매가스는 저압흡입관(14)을 통해 압축기(3)의 밀폐용기(8)내부로 유입되어 밀폐용기(8)를 채우며, 밀폐용기(8)로 유입된 냉매는 유도관(15)을 통해 실린더헤드부(9a)를 거쳐 실린더(9)내부로 유입되고, 실린더(9)내부로 유입된 냉매가스는 피스톤(10)의 압축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되어 압축기(3)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압축기(3)의 실린더(9)내로 흡입되는 냉매가스의 선택은 냉동사이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7)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도관(15)내부에 설치되는 한방향밸브(16)는 고압흡입관(13)을 통하는 고압의 냉매가스가 역류되어 밀폐용기(8)내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튜브콘넥터(17)는 압축기(3)의 운전중 진동에 의한 파손을 막기 위하여 설치하며, 고압흡입관(13)도 유연성있는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에서 두 개의 증발기(1)에서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기(3)에서 각각 분리,흡입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시킴으로써 압축기(3)의 성능 및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두 개의 증발온도를 갖는 냉동사이클의 고온측증발기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의 실린더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고압흡입관과, 저온측증발기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의 밀폐용기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저압흡입관과, 상기 실린더 및 고압흡입관에 연결되고 내부에 일방향밸브가 설치되어 밀폐용기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실린더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도관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흡입관은 유연성있는 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KR1019950041155A 1995-11-14 1995-11-14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KR017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155A KR0176861B1 (ko) 1995-11-14 1995-11-14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DE19646728A DE19646728A1 (de) 1995-11-14 1996-11-13 Magneteinheit für einen Linear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155A KR0176861B1 (ko) 1995-11-14 1995-11-14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820A KR970027820A (ko) 1997-06-24
KR0176861B1 true KR0176861B1 (ko) 1999-10-01

Family

ID=1943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155A KR0176861B1 (ko) 1995-11-14 1995-11-14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76861B1 (ko)
DE (1) DE19646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9315B4 (de) 2010-05-03 2024-09-12 Voith Patent Gmbh Permanentmagnetretar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7965A (ja) * 1987-03-05 1988-09-12 Shinko Electric Co Ltd リニアモ−タ
GB2217924B (en) * 1988-04-25 1992-10-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ermanent magnet rotor
JPH071990B2 (ja) * 1988-07-07 1995-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永久磁石式回転電機
DE4107602A1 (de) * 1991-03-09 1992-09-10 Bosch Gmbh Robert Permanentmagnetrotor fuer elektrische 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46728A1 (de) 1997-05-15
KR970027820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704B2 (en) Refrigeration system with intermediate pressure vapor supply valve
US8257061B2 (en) Hermetic compressor with internal thermal insulation
KR900004860B1 (ko) 왕복운동 밀폐형 진동기 콤프레서
US5531078A (en) Low volume inlet reciprocating compressor for dual evaporator refrigeration system
KR0143182B1 (ko) 압축기
KR100207792B1 (ko) 밀폐형 압축기
KR017686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장치
JP2004044568A (ja) 吐出脈動低減構造を有する往復動式圧縮機
JP2004052749A (ja) 往復動式圧縮機
KR10030864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160526Y1 (ko) 왕복동압축기의 흡입머플러 흡입관 접속구조
KR100314037B1 (ko) 압축기의 흡입가스 가열방지구조
KR950001690Y1 (ko) 기액분리기를 내장한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KR19980025980A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압축기 냉각장치
KR100325059B1 (ko) 토출머플러에 형성된 측지 공명기를 갖는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KR100367617B1 (ko) 맥동관 냉동기
KR200305804Y1 (ko) 냉장고용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음 구조
KR200437948Y1 (ko) 냉장고용 압축기 측에 설치된 냉매관 구조
KR200160408Y1 (ko) 냉장고
KR88000115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순환장치
KR100341420B1 (ko) 저소음형 실린더
KR100209328B1 (ko) 냉동사이클장치
KR100202894B1 (ko) 기포발생 모세관을 지니는 밀폐형 압축기
KR0134144Y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20020037999A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오일공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