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6632B1 - 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using standard synchronization - Google Patents

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using standard synchroniz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632B1
KR0176632B1 KR1019950050721A KR19950050721A KR0176632B1 KR 0176632 B1 KR0176632 B1 KR 0176632B1 KR 1019950050721 A KR1019950050721 A KR 1019950050721A KR 19950050721 A KR19950050721 A KR 19950050721A KR 0176632 B1 KR0176632 B1 KR 017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ference synchronization
synchronization
video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7788A (en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5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632B1/en
Publication of KR97005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7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63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종합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다지점간 화상회의시스템.Multipoint Video Conferencing System using Integr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echnical problem that invention tries to solve

각 유니트마다 독립적으로 FAS를 검출하지 않고 기준동기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동기를 맞출 수 있게 하며, 비디오스위칭시 각 단말의 프레임동기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화상회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conferencing control device can be integrated by using a reference synchronization without detecting FAS independently, and a frame synchronization loss of each terminal does not occur during video switching.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화상회의 제어장치내에서 각 처리유니트들 사이에 비디오/오디오데이타를 주고 받을 때 각 유니트가 각각 동기를 찾지 않고 기준동기만을 이용하여 비디오/오디오데이타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후 다시 기준동기를 이용하여 다른 유니트로 전달함으로써 각각의 유니트내에서 동기획득을 위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 성능을 향상시킨다.When video / audio data is exchanged between each processing unit within the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each unit does not find synchronization and extracts video / audio data using only standard synchronization. By transferring to other units, performance is improved by not performing a separate operation for synchronization acquisition within each unit.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비디오, 오디오, 데이타 처리유니트의 동기제어를 기준동기로써 통합화하는데 이용한다.It is used to integrate synchronous control of video, audio, and data processing units of a videoconferencing control unit as reference synchronization.

Description

기준동기를 이용한 동기 통합형 화상회의 제어장치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using reference synchronization

제1도는 종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ideoconferencing control device.

제2도는 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채널 데이타 구조도.2 is a channel data structure diagram of a comprehensive information network.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conferenc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 동기라인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reference synchroniza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채널의 입력 카운트와 기준동기 카운트 상태도.5 is an input count and reference synchronization count state diagram of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6a : ISDN BRI 인터페이스부 6c : H.221프레이밍부6a: ISDN BRI interface section 6c: H.221 framing section

6b : ISDN PRI 인터페이스부 6d : 데이타분리추출부6b: ISDN PRI interface part 6d: Data separation extracting part

6e : 음성믹싱부 6f : 비디오스위칭부6e: voice mixing unit 6f: video switching unit

6g : 데이타처리부 6h : 제어부6g: data processor 6h: controller

6i : 멀티플랙서 6j : H.221리프레이밍부6i: Multiplexer 6j: H.221 Reframing Unit

6k : 기준동기발생부 Sr : 기준동기라인6k: reference synchronization generator Sr: reference synchronization line

DB : 데이타버스 CB: 제어버스DB: Databus CB: Control Bus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여러곳에서 화상회의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유니트마다 독립적으로 동기를 검출 하지 않고 기준동기(reference synchronization)를 발생시켜 통합적으로 동기를 맞출 수 있게 하는 화상회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conferencing in various place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tegrate synchronization by generating a reference synchronization without detecting synchronization independently for each unit. It relates to a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산업사회의 양상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화상회의 형태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화상회의의 형태로는 단대단(point to point) 화상회의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다자간(multi-point)에 이루어지는 화상회의가 있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바 있는 특허출원번호 제95-5807호는 라인인터페이스로 종합정보통신망을 채택한 화상회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 있다.Various forms of video conferencing have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rapidly developing modern industrial society. Common forms of video conferencing include point-to-point video conferencing and multi-point video conferencing in a group. Patent application No. 95-5807, filed previously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video conference control apparatus employing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s a line interface.

제1도는 다중 그룹 화상회의시스템을 구현하는 종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각 부분을 연결하는 데이타라인은 MVIP(Multi-Vendor Integrated Protocol)이고 상기 각 부분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for implementing a multi-group video conferencing system. The data line connecting each part is a multi-vendor integrated protocol (MVIP). same.

라인인터페이스부 6a, 6b는 ISDN망에 화상회의제어장치를 접속시키기 위해 ITU-T Q.931에 의거한 신호처리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BRI 6a 혹은 PRI 6b 둘중 어느 하나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H.221 프레이밍부 6c는 H.221에서 규정하고 있는 프레임 구조를 검색 및 확립하는 모듈로서, 각 채널에 입력된 신호로부터 FAS(Frame Alignment Signal)가 검출되면 동기를 이룬 것으로 판단한다. 데이타분리추출부 6d는 동기화된 오디오, 비디오, 데이타로 구성된 화상데이타를 각각의 독립된 데이타로 추출해내어 버스상에 전달한다. 음성믹싱부 6e는 에너지측정(energy measurement)부와 믹싱부(mixing part)로 이루어져, 상기 디멀티플랙싱부 6d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타들로부터 음향 에너지가 큰 단말들을 추출해내어 이들을 혼합한다. 비디오스위칭부 6f는 상기 디멀티플랙싱부 6d로부터 입력된 각 단말의 화상으로부터 원하는 단말의 화상을 추출 및 공급해준다. 데이타 처리부 6g는 상기 디멀티플랙싱부 6d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처리한다. 제어부 6h는 상기 H.221 프레이밍부 6c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control code)에 따라 입출력을 제어하며 CCITT 권고안 H 230/ H.242/ H.243에 의해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모듈이다. 데이타조합부 6i는 상기 모듈들(6e, 6f, 6g)로부터 각각 처리된 데이타를 하나의 데이타 구조로 다시 조합하는 멀티플랙싱모듈이다. H.221 리프레이밍(reframing)부 6j는 상기 데이타조합부 6i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H.221 프레임 구조를 갖는 데이타로 재변환시켜 주는 것으로, 이렇게 변환된 데이타는 다시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 6a 또는 6b를 통해 ISDN망으로 전송된다.The line interface units 6a and 6b perform a signal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ITU-T Q.931 to connect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 device to the ISDN network. The line interface units 6a and 6b may be configured of either BRI 6a or PRI 6b. The H.221 framing unit 6c is a module for searching and establishing the frame structure specified in H.221. When the frame alignment signal (FAS) is detected from the signal input to each channel, the H.221 framing unit 6c determines synchronization. The data separation extractor 6d extracts the image data composed of the synchronized audio, video, and data into respective independent data and delivers them on the bus. The voice mixing unit 6e includes an energy measurement unit and a mixing unit, and extracts terminals having a high acoustic energy from the sound data input from the demultiplexer 6d and mixes them. The video switching unit 6f extracts and supplies an image of a desired terminal from the image of each terminal input from the demultiplexing unit 6d. The data processor 6g processes the data input from the demultiplexer 6d. The control unit 6h controls the input /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code input from the H.221 framing unit 6c, and collective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by CCITT Recommendation H 230 / H.242 / H.243. Module. The data combiner 6i is a multiplexing module for recombining the data processed from the modules 6e, 6f, 6g into one data structure. The H.221 reframing unit 6j converts the data inputted from the data combination unit 6i into data having an H.221 frame structure. The converted data is then converted into the line interface unit 6a or 6b. Is transmitted through the ISDN network.

제2도는 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채널 데이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BRl 인터페이스를 갖는 ISDN의 데이타 용량(data capability)은 2B(64kbps X 2)이고 각각의 B채널은 8비트로 구성된다.2 shows a channel data structure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capability of an ISDN having a BRl interface is 2B (64 kbps X 2), and each B channel is composed of 8 bits.

H.221 프레임구조(ITU-T H, 221 권고안 참조)상에서 살펴보면, 오디오가 각각 56Kbps, 48Kbps, 16Kbps일 경우 (2a), (2b)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와 비디오가 분포된다.Looking at the H.221 frame structure (ITU-T H, see Recommendation 221), if the audio is 56 Kbps, 48 Kbps, 16 Kbps, respectively, audio and video are distributed as shown in (2a), (2b) and (2c). .

한편, 단말이 화상회의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경우 B1채널과 B2채널 사이에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B1채널 연결경로와 B2채널 연결경로가 서로 틀릴 경우이다. 이때는 화상회의 시스템에 입력되는 B1, B2 데이타가 단말에서 어떤 시간에 전송한 데이타가 아닐 수 있다. 즉, 단말에서 전송한 두 데이타를 B1T1, B2T1이라 할 경우 화상회의 시스템에 입력되는 데이타는 B1T1, B2TX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a time delay may occur between the B1 channel and the B2 channel, which is a case where the B1 channel connection path and the B2 channel connection pat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B1 and B2 data input to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may not be data transmitted at a certain time from the terminal. That is, when two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re referred to as B1T1 and B2T1, the data input to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may be B1T1 and B2TX.

이러한 경우 각각의 채널에 대하여 동기를 일치시켜야 하는 일이 발생하고, 이를 화상회의 시스템내의 각 데이타 처리 유니트로 전달하여야 한다. 데이타를 수신하는 각각의 유니트에는 채널내에 FAS와 BAS가 존재하고, B1 채널내에는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타가 섞여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프레임 동기인 FAS를 찾아야 한다. 다시 말해서, 화상회의 시스템내의 모든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H.221 프레임 동기인 FAS를 찾아야 하므로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비디오 스위칭이 발생할 경우 프레임 동기를 상실하게 되어 화상회의에 연결된 모든 단말과 화상회의 시스템 내부의 모든 유니트들은 다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해야 하는 일이 발생한다. 즉, 비디오 스위칭이 발생하였을 경우 각 단말은 현재 수신되고 있는 데이타에 프레임 동기가 맞추어져 있다가 다른 데이타를 수신하게 되고, 이 데이타는 새로운 위치에서 프레임 동기가 발견될 것이므로 현재 위치에서는 동기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다시 동기를 찾아야 된다. 그러므로 비디오 스위칭시 모든 단말에 동기 손실이 발생하면 그 동기 손실 정보가 화상회의 시스템에 전달되어 모든 회의시스템이 일시적으로 동기 손실 상태가 되며, 각 단말은 다시 동기를 찾을 때까지 입력된 비디오 데이타를 무시되게 되어 단말의 화면에 비디오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synchronize the synchronization for each channel, which must be transmitted to each data processing unit in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Since each unit receiving data has FAS and BAS in the channel, and video and audio data are mixed in the B1 channel, the FAS, which is frame sync, must be found. In other words, all units in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must independently find the FAS which is H.221 frame synchronous, which is one factor that degrade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n addition, when video switching occurs, frame synchronization is lost, and all terminals connected to the video conference and all units in the video conference system need to acquire frame synchronization again. In other words, when video switching occurs, each terminal receives frame data synchronized with the data currently being received, and this data will be found at a new position, so synchronization loss occurs at the current position. You have to find motivation again. Therefore, if loss of synchronization occurs in all terminals during video switching, the loss of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and all conference systems are temporarily lost in synchronization. Each terminal ignores the input video data until it finds synchronization again. The video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유니트마다 독립적으로 FAS를 검출하지 않고 기준동기(reference synchronization)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동기를 맞출 수 있게 하는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conferencing control apparatus that can synchronize with each unit by using reference synchronization without detecting FAS independent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디오스위칭시 각 단말의 프레임동기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화상회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conferencing control device such that frame synchronization loss of each terminal does not occur during video switch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회의 제어장치내에서 각 처리유니트들 사이에 비디오/오디오데이타를 주고 받을 때 각 유니트가 각각 동기를 찾지 않고 기준동기만을 이용하여 비디오/오디오데이타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후 다시 기준동기를 이용하여 다른 유니트로 전달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extract the video / audio data using only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each unit does not find each synchronization when sending and receiving video / audio data between each processing unit in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 device After the process, it is configured to transfer to another unit by using the reference synchronous agai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specific circui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전술한 제1도의 구성에 기준동기발생부 6k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기준동기발생부 6k는 화상회의 제어장치의 각 유니트와 기준동기라인 Sr을 통해 접속된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includes a reference synchronization generator 6k in the configuration of FIG.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generating unit 6k is connected to each unit of the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through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line Sr.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 동기라인의 구성도로서, 기준동기 카운터는 망동기가 입력될 때마다 φ에서 159까지 1씩 증가시키며, 160순환(circular)까지 카운팅을 계속한다. 이 카운팅에 따라 만일 카운트 값이 φ이면 기준동기 라인 Sr의 특정 채널(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φ으로 선택하였으나 가변함.)에 특정 값(ox7e)을 전송하고, 카운트값이 159이면 oxe7을 그리고 나머지는 모두 φxφ(또는 φxFF)를 전송한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erence synchroniza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counter is incremented by 1 from φ to 159 each time a network synchronizer is input, and continues counting until 160 circular. According to this counting, if the count value is φ, a specific value (ox7e)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channel of the reference synchronous line Sr (in this embodiment, the channel φ is selected but variable), and if the count value is 159, oxe7 is drawn. All transmit φxφ (or φxFF).

만일 화상회의 제어시스템에 어떤 단말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데이타 분리 추출부 6d는 오디오/비디오/데이타 라인에 어떤 값도 전송하지 않고 단지 기준동기 Sr에만 상기한 조건에 따라 값을 전송한다. 반면에 화상회의 제어시스템에 임의의 단말들이 연결된 상태라면 H.221 프레이밍부 6C와 데이타 분리추출부 6d는 각 단말의 B1, B2 채널에 해당하는 프레임 동기를 각각 획득하여 각 단말의 데이타가 유효하게 되면 각각의 데이타를 추출하여 해당 라인에 데이타를 전송하게 된다.If no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 system, the data separation extracting unit 6d does not transmit any value to the audio / video / data line but transmits the value only to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Sr according to the abov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if arbitrary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 system, the H.221 framing unit 6C and the data separation extractor 6d acquire frame synchronization corresponding to the B1 and B2 channels of each terminal, respectively, so that the data of each terminal can be effectively used. Each data is extracted and the data is sent on the corresponding line.

ITU-T H.221 권고안에 기술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는 80 옥텟(octet)(byte)으로 구성되며, 각각 짝수-프레임(even-frame), 홀수-프레임(odd-frame)으로 구성된 SMF(Sub-Multi-Frame) 8개가 모여 하나의 멀티프레임을 이룬다. 하나의 프레임은 80 옥텟이나 짝수와 홀수가 존재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160 옥텟을 기본단위로 처리한다.The frame structure described in the Recommendation of ITU-T H.221 consists of 80 octets (bytes), each consisting of an even-frame and an odd-frame. Multi-Frame) Eight pieces are combined to form one multiframe. Since one frame has 80 octets or even and odd numbers, 160 octets are treated as a basic unit in this embodiment.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채널의 입력 카운트와 기준동기 카운트 상태도이다. 각각의 데이타를 기준동기에 동기화하는 방법은 먼저 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에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게 되면 각각의 채널 데이타는 해당되는 버퍼에 차례로 보관되며 그 버퍼의 크기는 160 바이트이다.5 is an input count and reference sync count state diagram of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synchronizing each data with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first, when the frame synchronization is obtained from the data input from the network, each channel data i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buffer in turn, and the size of the buffer is 160 bytes.

한편, 각 채널의 입력카운트는 현재 그 채널의 데이타가 입력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카운터들의 값은 각각 틀릴 수 있는데, 이는 단말의 연결 시점이 서로 틀리게 되어 그 단말의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는 시간이 틀리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버퍼의 φ위치에는 항상 프레임의 69번째 옥텟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count of each channel represents the position where the data of the channel is currently input. The values of these counters may be different because the connection timings of the termina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time for acquiring frame synchronization of the terminal is incorrect. However, the 69th octet of the frame is always stored at φ position of each buffer.

데이타 분리추출부 6d에서 동기화된(버퍼에 저장된) 데이타를 각각의 유니트로 전송하기 위해서 기준동기 카운터를 출력카운터로 그대로 사용한다. 즉 입력 카운트들인 Chxxcnt들이 어떤 값을 갖든지 각 유니트로 전송하는 시점에는 이 카운트들을 사용하지 않고 기준동기를 제공하는 기준 동기 카운트를 그대로 사용하여 한번에 모든 채널의 데이타를 전송하게 된다.In order to transfer the data (stored in the buffer) synchronized in the data separation extractor 6d to each unit,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counter is used as an output counter. That is, when the Chxxcnts, which are input counts, have any value, they transmit the data of all channels at once using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count that provides reference synchronization without using these counts.

한편, 각각의 유니트는 기준동기라인을 항상 모니터링하다가 그 값이 ox7e(특정 값)이면 그때 입력되는 데이타는 H.221 프레임 구조상에서의 첫번째 옥텟이 됨을 알 수 있게 되어 특별히 다시 프레임 동기를 찾을 필요가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each unit always monitors the reference sync line, and if the value is ox7e (specific value), then it can be seen that the data entered at that time is the first octet in the H.221 frame structure. There will be no.

그러므로 각각의 유니트들은 프레임 동기를 찾는 모듈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각각의 유니트들의 데이타를 적절히 처리한 후에 이 처리된 데이타를 멀티플렉싱하기 위해 멀티플랙서 6i에 전송할 때도 마찬가지로 이 기준동기 카운트를 사총하여 이 값이 φ이면(즉 기준 동기 라인으로 입력된 값이 특정값일 때)처리된 데이타의 프레임 구조내의 φ옥텟부터 전송하게 된다.Therefore, each unit does not need to have a module to find frame synchronization, and after appropriately processing the data of each unit,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count is shot and sent to the multiplexer 6i for multiplexing the processed data. If the value is φ (i.e., when the value input to the reference sync line is a specific value), φ octets in the frame structure of the processed data are transmitted.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기준동기를 사용하므로 각 유니트 나름대로의 프레임 동기를 찾는 모듈을 별도로 가질 필요가 없어 효율적이며, 비디오 스위칭이 발생하여도 H.221 리프레이밍/멀티플랙싱시에는 기준동기를 사용하여 모든 채널이 동기화되므로 결국 모든 단말이 동기화되어 있어 입력된 데이타가 변화하여도 단말은 여전히 프레임 동기를 잃어버리지 않아 항상 유효한 데이타를 수신하게 되어 원활한 스위칭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ses reference synchronization,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separate module for finding frame synchronization for each unit, and it is efficient. Even when video switching occurs, H.221 relaying / multiplexing requires reference synchronization. Since all channels are synchronized using the terminal, all terminals are synchronized, and thus, even though the input data is changed, the terminal still loses frame synchronization and thus receives valid data at all times, thereby enabling smooth switching.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5)

소정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지점 사이의 화상회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처리절차를 수행하는 라인 인터페이스수단과, 기준동기발생수단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의 특정 프레임 구조를 상기 기준동기에 맞추어 검색 및 확립하는 프레이밍수단과, 상기 프레이밍수단에서 동기화된 오디오, 화상, 데이타로 이루어진 복합데이타를 상기 기준동기에 맞추어 각각의 독립된 데이타로 추출해 내어 버스상에 전달하는 데이타 분리추출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추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데이타들로부터 에너지가 큰 단말들을 추출해내어 이들을 혼합하는 오디오믹싱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추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각 단말의 화상으로부터 원하는 단말의 화상을 추출 및 공급해주는 비디오스위칭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추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처리하는 데이타처리수단과, 상기 프레이밍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입출력을 제어하며, 다중 그룹의 화상회의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오디오믹싱수단과 비디오스위칭수단과 데이타처리수단에서 각각 처리된 데이타를 상기 기준동기에 맞추어 하나의 복합데이타 구조로 다시 조합하는 데이타조합수단과, 상기 조합된 데이타를 상기 기준동기에 맞추어 상기 특정 프레임 구조를 갖는 데이타로 재변환시켜 상기 라인인터페이스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리프레이밍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conferencing between multiple points using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line interface mea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procedure for connecting to said communication network, reference synchronization generating means, and received via said communication network; Framing means for retrieving and establishing a specific frame structure of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and composite data consisting of audio, image, and data synchronized by the framing means are extracted into each independent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and on the bus. A data separating extraction means to be transmitted, audio mixing means for extracting and mixing the terminals having high energy from the audio data inputted from the data separating extracting means, and a desired terminal from the image of each terminal inputted from the data separating extracting means. To extract and feed images Switching means, data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ata separating and extracting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framing means, and collectively controlling multiple video conferences; Data combining means for combin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audio mixing means, the video switching means, and the data processing means into one complex data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and matching the combined data to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And re-rambling means for reconverting the data having a frame structure to the line interface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동기발생수단이, 각 채널데이타를 저장하는 다수의 흘수 프레임버퍼와, 각 채널데이타를 저장하는 다수의 짝수 프레임버퍼와, 망동기신호를 일정 갯수 카운트하며, 초기 카운트 값에 대응하여 제1특정값을 마지막 카운트 값에 대응하여 제2특정값을 갖는 기준동기를 발생하는 기준동기카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generat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draft frame buffers storing each channel data, a plurality of even frame buffers storing each channel data,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network synchronizing signals; And a reference synchronization counter which generates a reference synchronization having a second specific value in response to the last count value. 제1항 혹은 제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종합정보통신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configured as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프레임버퍼와 짝수 프레임버퍼는 32채널에 대하여 한쌍씩 짝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툭징으로 하는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odd frame buffer and the even frame buffer are configured to pair in pairs for 32 channels. 종합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지점 사이의 화상회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처리절차를 수행하는 라인 인터페이스수단과, 32채널에 대하여 한쌍씩 짝을 이루는, 각 채널데이타를 저장하는 다수의 홀수 및 짝수 프레임버퍼와, 망동기신호를 일정 갯수 카운트하며, 초기 카운트 값에 대응하여 제1특정값을 마지막 카운트 값에 대응하여 제2특정값을 갖는 기준동기를 기준동기라인에 출력하는 기준동기 카운터로 이루어진 기준동기발생수단과,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의 특정 프레임 구조를 상기 기준동기에서 상기 제1특정값을 검출시 검색 및 확립하는 프레이밍수단과, 상기 프레이밍수단에서 동기화된 오디오, 화상, 데이타로 이루어진 복합데이타를 상기 기준동기에서 상기 제1특정값을 검출시 각각의 독립된 데이타로 추출해내어 버스상에 전달하는 데이타 분리추출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추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데이타들을 혼합하는 오디오믹싱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추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각 단말의 화상으로부터 원하는 단말의 화상을 추출 및 공급해주는 비디오스위칭수단과, 상기 데이타 분리추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처리하는 데이타처리수단과, 상기 프레이밍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입출력을 제어하며, 다중 그룹의 화상회의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오디오믹싱수단과 비디오스위칭수단과 데이타처리수단에서 각각 처리된 데이타를 상기 기준동기에서 상기 제1특정값을 검출시 하나의 복합데이타 구조로 다시 조합하는 데이타조합수단과, 상기 조합된 데이타를 상기 기준동기에서 상기 제1특정값을 검출시 상기 특정 프레임 구조를 갖는 데이타로 재변환시켜 상기 라인인터페이스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리프레이밍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conferencing between multiple points using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pair of line interface mea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procedure for connecting to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paired for 32 channels; A plurality of odd and even frame buffers storing each channel data,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network synchronizer signal are counted, and a reference synchronous having a second specific value corresponding to an initial count value and a first specific value corresponding to a last count value. Reference synchronization generating means comprising a reference synchronization counter for outputting to a reference synchronization line, and a framing means for retrieving and establishing a specific frame structure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upon detecting the first specific value in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And composite data consisting of audio, image, and data synchronized by the framing means in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Data separation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the first specific value into respective independent data and delivering it on a bus, audio mixing means for mixing audio data input from the data separating extracting means, and input from the data separating extracting means. Video switching means for extracting and supplying an image of a desired terminal from the images of the respective terminals, data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ata separation extracting means, and input / output contro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framing means. Control data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video conferencing of multiple groups, and data processed by the audio mixing means, the video switching means, and the data processing means, respectively, when the first specific value is detected in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Data combining means for combining back into a structure; To re-convert the data into data having the first detection when the specific values of certain frame structure in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consists of reframing means for providing to the line interface means.
KR1019950050721A 1995-12-15 1995-12-15 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using standard synchronization Expired - Fee Related KR0176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721A KR0176632B1 (en) 1995-12-15 1995-12-15 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using standard synchron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721A KR0176632B1 (en) 1995-12-15 1995-12-15 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using standard synchroniz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788A KR970057788A (en) 1997-07-31
KR0176632B1 true KR0176632B1 (en) 1999-05-01

Family

ID=1944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721A Expired - Fee Related KR0176632B1 (en) 1995-12-15 1995-12-15 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using standard synchroniz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63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788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6662A (en) Video conference control system using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A2231780C (en) Telecommunications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DE69103551T2 (en) Multiple media ISDN communication system.
KR0176632B1 (en) Synchronous integrated video conference control device using standard synchronization
JP3251619B2 (en) Control method for ISDN audiovisual terminal device
JP2768248B2 (en) Multipoint video conference system
JP3001683B2 (en) Multipoint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KR0153613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timing of interface circuit in isdn
KR100216588B1 (en) Multipoint Control Device in Broadb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JPH0897816A (en) Data receiver
JPH0662398A (en) Pictur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246747B1 (en) Multipoint Video Conference Control System and Its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0137696B1 (en)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Line Interface Circuit
JP3492006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3177829B2 (en) Variable capacity transmission method in time division transmission system
JPH03286642A (en) Multi-medium communication equipment
KR0153937B1 (en) An interfacing apparatus between b-isdn frame multiplexer and atm network
JP333067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 video communication device
JPH06284419A (en) Multi-point video conference system
JPH02162889A (en) Multiple place video converence connecting system
JPH03252236A (en) Data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H06326678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multi-frame synchronization
JPH04183032A (en) Multiplexing system
JPS63108832A (en) Inter-channel synchronizing device for packet deassembling part
JPS63283328A (en) Time-divisio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