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5208B1 -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208B1
KR0175208B1 KR1019950019901A KR19950019901A KR0175208B1 KR 0175208 B1 KR0175208 B1 KR 0175208B1 KR 1019950019901 A KR1019950019901 A KR 1019950019901A KR 19950019901 A KR19950019901 A KR 19950019901A KR 0175208 B1 KR0175208 B1 KR 017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liquid
container
content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127A (ko
Inventor
김경숙
Original Assignee
김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숙 filed Critical 김경숙
Priority to KR101995001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208B1/ko
Publication of KR970006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세제, 액체 화장액, 샴프 또는 액체 조미료 등의 유성재료(이하내용액이라함)을 수납하는 용기에 장착하여 용기안의 내용액을 필요로하는 양만을 토출하도록 하며, 내용액을 사용하지 아니할때에는 내용액이 누설되지 아니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자하는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통캡을 용기에 조립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외통캡의 상판에는 내용액토출구멍과 밸브시트를 갖는 내용액토출부를 형성하며, 밸브봉에 밸브헤드와 탄성 밸브다리를 갖는 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를 상기 내용액토출부에 탄성적으로 조립하면, 밸브가 내용액토출부를 밀착되도록 하여 되는 것이며, 내용액토출부에 밸브봉과 밸브헤드와 밸브다리를 갖는 밸브가 탄성적으로 조립된 외통캡을, 용기에 체결하고, 용기본체를 누르면 밸브와 내용토출부와의 사이에 내용액 유출틈새가 생기며, 용기본체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밸브는 내용액토출부를 밀착하여 닫아 막도록 되는 것임.

Description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제1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분해단면도.
제3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조립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단면도.
제7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페캡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도.
제9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도.
제10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단면도.
제12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또다른 실시예의 조립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C-C선 단면도.
제14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캡 2 : 밸브
3 : 가이드부
본 발명은 액체 세제, 액체 화장액, 샴프 또는 액체 조미료 등의 유성재료(이하내용액이라함)를 수납하는 용기에 장착하여 용기안의 내용액을 필요로하는 양만을 토출하도록 하며, 내용액을 사용하지 아니할때에는 내용액이 누설되지 아니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자하는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에 과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병이나 프라스틱 용기내의 내용액을 토출하여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용기 입구에 장착하고 있는 캡을 용기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필요한 량의 내용액을 토출하여 사용하며, 필요한 량만큼의 내용액의 토출작업이 완료되면 용기입구를 캡으로 덮어 씌우도록 되어 있어, 내용액을 사용하고자 할때마다 용기로부터 캡을 벗겨내거나 덮어닿는 작업을 하여야하는 불편이 있어왔다.
그리하여 근래에와서 캡을 용기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아니하고 캡을 용기입구에 장착한체로 용기안의 내용액을 토출할수 있도록 하고자하는 캡이 고안되고 있으며, 그 하나의 예를들면 캡의 상면 중앙부에는 내용액토출구를 천공하고, 이 내용액토출구를 닫아덮거나 열도록 하는 개폐변을 형성하여, 이 개폐변을 힌지를 개재하여 캡상부의 어느 한쪽에 연결하여 되는 것으로, 용기안의 내용액을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손으로 개폐변만을 열고 난다음 용기본체를 눌러 용기안의 내용액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며, 사용하지 아니할때에는 손으로 개폐캡을 닫아 덮도록 하는 캡이 알려지고 있다.
또하나의 예로서는, 캡상부의 중앙에 회동이 가능한 레버를 수용할 수 있는 베어링부를 형성하여 이 베어링부에 내용액 토출구를 천공하고, 직선 형상으로 길게 내용액토출구가 천설된 넉클(Knuckle)부를 구비한 회동부 레버를 별도로 형성하여, 이 회동부레버를 캡의 베어링부에 끼워 조립하여 되는 것으로, 회동부를 회동하여 사용상태 또는 불사용상태(보관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개폐변을 개폐하면서 내용액을 토출하도록 한캡은 사용시마다 손으로 개폐변을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결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개폐변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힌지부를 반복하여 사용하므로서 힌지부가 파손되는 일이 많았으며, 또한 캡상부의 베어링부에 회동레버를 조립한것에 있어서는, 회동가동부의 조작이 불편할 뿐만아니라 캡의 구조가 복잡하여 내용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조립부의 가공 정밀도를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어,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캡의 내용액토출구멍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면서,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밸브를 수납장착하므로서 용기본체를 손으로 누르면 자동개폐캡에 장착된 밸브가 자동적으로 열리면서 캡의 토출구멍을 개배하여, 용기안의 내용액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며, 또 용기본체를 누르고 있던 손을 놓으면 용기본체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캡에 장착된 밸브의 유출마개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캡의 토출구멍을 닫아 막아, 용기안의 내용액이 외부로 토출되지 아니하는 보관상태로 되도록 하는 자동 개폐캡 및 유동액 자동 토출방법을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이하에 첨부도면과 함께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구성을 기재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제4도까지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하나의 실시예를 분해사시도와 분해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은 용기(B)의 내용액주입구(B1)에 장착되여 사용되는 내용액토출부를 갖는 외통캡(1)과, 이 외통캡(1)에 수납되어 탄력적으로 상하 운동하면서 내용액토출구멍을 개폐하는 밸브(2)와를 구비한다.
외통캡(1)은 용기(B)의 주입구(B1)에 직접 장착되는 부분인 캡몸체(11)를 형성하여, 이 캡몸체(11)의 내면에는 용기(B)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12)가 가공되며, 상기 캡몸체(11)의 상부 상판(13)에는 내용액을 토출하는 내용액토출부(14)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내용액토출부(14)의 토출부몸체(14A)의 중심부에는 내용액토출구멍(14B)이 가공되여 있으며, 상기 토출부몸체(14A)의 상단부에는 밸브시트(14C)를 형성하여, 이 밸브시트(14C)에는 상기 밸브(2)의 헤드가 면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개폐밸브(2)는 상기 외부캡(3)의 내용액토출부(14)에 조립되여 상·하운동하면서 상기 내용액토출구멍(14B)을 닫아막거나 또는 열어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내용액토출구멍(14B)을 관통하는 길이와, 상기 토출구멍(14B)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하여 밸브봉(21)을 형성하고, 이 밸브봉(21)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용액토출부(14)의 밸브시트(14C)를 닫아 덮을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밸브헤드(22)를 형성부착하며, 상기 밸브봉(21)의 하단부에는 탄성복원성을 갖는 재질로 밸브다리(23)를 형성부착하되, 이때에 상기 밸브다리(23)의 다른 한쪽 끝단은 밸브헤드(22)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밸브다리(23)의 다른 한쪽 끝단을 밸브봉(21)의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위와같이 형성되는 밸브(2)를 상기 내용액토출부(14)에 조립하였을때에는 밸브다리(23)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헤드(22)는 항상 상기 토출부(14)의 밸브시트(14C)에 밀착상태로 접촉되도록 한다.
위에서 밸브봉(21)과 밸브헤드(22)와 밸브다리(23)는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이들을 상호 접합할수도 있겠으나,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사출성형 하여도 될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을 조립할때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다리(23)를 밸브봉(21)쪽으로 오므리고, 밸브다리(23)쪽으로부터 밸브(2)를 외통캡(1)의 내용액토출구멍(14B)쪽으로 밀어 넣어 밸브봉(21)과 밸브다리(23)를 내용액토출구멍(14B)안을 관통하여 외부캡(1)의 안쪽에까지 들어가게 한다음 지금까지 오무려져 있던 밸브다리(23)를 펼치면 밸브다리(23)는 벌어지면서 외통캡(1)의 상판부(13)내면에 밀착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밸브다리(23)는 밸브헤드(22)를 상기 내용액토출부(14)의 밸브시트(14C)쪽으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밸브헤드(22)를 밸브시트(14C)에 밀착상태로 닫아 덮게 되는 것이다.
밸브(2)를 외통캡(1)이 내용액토출부(14)에 조립하는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밸브(2)를 성형할때에 밸브봉(21)과 밸브헤드(22)나 또는 밸브다리(23)중 어느하나를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이렇게 별도로 형성된 밸브봉(21)을 내용액토출구멍(14B)의 상부쪽이나 하부쪽으로부터 끼워놓고 이 밸브봉(21)에 밸브헤드(22)나 또는 밸브다리(23)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될 것이다.
제5도에서 제8도까지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자동개폐캡에 있어서, 외통캡(1)의 내용액토출부(14)에 밸브(2)를 수납 조립하여, 밸브봉(21)과 밸브헤드(22)가 내용액토출부(14)에서 상·하강 운동하도록 된 것은 제1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것이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내용액토출구멍(14B)에 가이드부(3)를 형성부착하므로서, 상기 밸브(2)가 상·하강운동을 할때에, 밸브봉(21)의 운동상태를 정확하게 안내하도록 하고자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가이드부(3)는 몇개의 가이드편(3A, 제1도에서는 4개의 가이드편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음)을 형성하여, 이 가이드편(3A)의 한쪽면을 상기 내용액토출구멍(14B)내면에 방사상으로 접합하면, 가이드편(3A)의 다른한쪽면은 상기 밸브봉(21)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하나의 가이드편(3A)과 이와 이옷하는 다른 하나의 가이편(3A)과의 사이 간격은 내용액을 토출할때 내용액이 흐르는 유출통로(14C)가 되는 것이다.
제9도에는 가이드부(3)를 형성할때에 가이드편(3A)을 가이드테(3B)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0도에서 제13도까지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캡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자동개폐캡에 있어서, 외통캡(1)의 내용액토출부(14)에 밸브를 수납조립하여 밸브(2)가 내용액토출부(14)에서 상·하강운동하도록 된 것은 제5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것이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부를 내용액투입부쪽에 형성하지 아니하고 밸브쪽에 직접 형성하는 점에 있어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밸브(5)를 형성할때에는 밸브봉(51)의 상단부에 밸브헤드(52)를 형성하고, 밸브봉(51)의 하단부에 밸브다리(53)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봉(51)에는 제5도의 가이드편(3A)과 유사한 가이드편(54)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편(54)를 밸브봉(51)에 일체로 형성한 밸브(5)를 상기 내용액토출부(14)에 조립하므로서, 상기 가이드편(54)은 제5도에 도시된 가이드부(3)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같이 형성되는 자동개폐캡의 사용상태를 제14도와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용기(B)의 내용액투입구(B1)를 통하여 내용액을 주입한다음, 상기와 같이 외통캡(1)에 밸브(2)를 조립하고 있는 자동개폐캡(C)을 내용액주입구(B1)에 나사체결하면, 밸브(2)의 밸브다리(23,53)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밸브헤드(22,52)는 내용액토출구멍(14B)을 밀폐시키고 있으므로, 용기(B)안의 내용액은 외부로 누설되지 아니하는 보관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제14도의 (a)도)
이 상태에서 용기안의 내용액을 토출하여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제14도의 (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B)를 거꾸로 세운다음 용기본체(B2)를 손으로 쥐고 화살표 E방향으로 누르면, 내용액은 외통캡(1)의 내용액토출구멍(14B)쪽(화살표 G방향)으로 나오려는 압력이 작용하여 이 압력이 밸브헤드(22,52)를 내리누르는 힘을 작용하여, 밸브헤드(22,52)와 함께 밸브봉(21,51)은 밸브다리(23,53)의 버티는 탄성력을 이기고 화살표 B방향을 운동하게 되며, 따라서 밸브헤드(22,52)와 내용액토출구멍(14B)과의 사이에 유출틈새가 생기므로 이틈새 사이로 용기안의 내용액이 화살표 K방향으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필요한 양만크의 내용액을 토출하고 나면, 용기본체(B3)를 바로 세우면서 동시에 쥐어누르고 있던 손의 힘을 제거하면, 용기본체(B3)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동시에 밸브헤드(22,52)에 작용하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므로서 밸브헤드(22,52)와 밸브봉(21,51)은 밸브다리(23,53)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음, 밸브헤드(22,52)가 내용액토출부(14)의 밸브시트(14C)에 밀착 상태로 접촉되면서 밸브의 운동은 정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는 내용액이 외부로 토출되지 아니하는 보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외동캡(1)에 밸브가 탄성적으로 조립되여 용기본체에 외력을 작용할때와 작용하지 아니할때에 따라 밸브가 상·하강운동하면서 내용액토출구멍을 열어주거나 막아닫도록 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내용액의 사용과 보관이 매우 편리하도록된 것이다.

Claims (2)

  1. 외통캡을 용기에 조립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외통캡(1)의 상판에는 내용액토출구멍(14B)과 밸브시트(14C)를 갖는 내용액토출부(14)를 형성하며, 밸브봉(21)에 밸브헤드(22)와 탄성 밸브다리(23)를 갖는 밸브(2)를 형성하고, 밸브(2)를 상기 내용액토출부(14)에 탄성적으로 조립하면 밸브(12)가 내용액토출부(14)를 밀착되도록 하여 되는 자동개폐캡.
  2. 내용액토출부(14)에 밸브봉(21)과 밸브헤드(22)와 밸브다리(23)를 갖는 밸브(2)가 탄성적으로 조립된 외통캡(1)을, 용기안(B)에 체결하고, 용기본체(B2)를 누르면 밸브(2)와 내용토출부(14)와의 사이에 내용액 유출틈새가 생기며, 용기본체(B2)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밸브(2)는 내용액토출부(14)를 밀착하여 닫아 막도록 되는 내용액토출방법.
KR1019950019901A 1995-07-07 1995-07-07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KR017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901A KR0175208B1 (ko) 1995-07-07 1995-07-07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901A KR0175208B1 (ko) 1995-07-07 1995-07-07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127A KR970006127A (ko) 1997-02-19
KR0175208B1 true KR0175208B1 (ko) 1999-04-15

Family

ID=1942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901A KR0175208B1 (ko) 1995-07-07 1995-07-07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233A2 (ko) * 2009-04-22 2010-10-28 (주)연우 액체보관용기용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752A (ko) * 2002-03-12 2002-03-27 최부식 증기압축기를 이용한 저온증발식 단일공정 폐수증발 처리장치
KR20020059321A (ko) * 2002-06-21 2002-07-12 안돈례 병마개 조립체
KR101295212B1 (ko) * 2012-04-04 2013-08-13 여태수 매직 캡
KR101295211B1 (ko) * 2012-04-04 2013-08-13 여태수 노터치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233A2 (ko) * 2009-04-22 2010-10-28 (주)연우 액체보관용기용 디스펜서
WO2010123233A3 (ko) * 2009-04-22 2011-03-31 (주)연우 액체보관용기용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127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064B2 (en)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EP1371579B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TWI548569B (zh) 擠壓容器
KR200408260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JPH03212360A (ja) 半液体物質分与器を作動させるプシュボタン
US20210187530A1 (en) Spray pump
KR0175208B1 (ko)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KR100785915B1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US7922042B2 (en) Tilting flap pump
KR200446883Y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CN111655067A (zh) 流体容器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90103120A (ko) 펌프 디스펜서
KR20090002806U (ko) 펌프 디스펜서
KR20220112079A (ko) 화장품용 미스트 디스펜서
KR20210097351A (ko)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960001767B1 (ko) 자동 개폐 캡 및 내용액 토출방법
KR102625263B1 (ko) 펌프형 샴푸용기
KR20090023056A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KR950003864Y1 (ko) 자동 개폐 캡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200204024Y1 (ko) 도립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수동식 정량 펌프
KR200218004Y1 (ko) 수동식 스프레이 펌프의 리필용 엑츄에이터
KR920003668Y1 (ko) 자동 개폐식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