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772B1 - 신호전송회로 및 신호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전송회로 및 신호전송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4772B1 KR0174772B1 KR1019950031992A KR19950031992A KR0174772B1 KR 0174772 B1 KR0174772 B1 KR 0174772B1 KR 1019950031992 A KR1019950031992 A KR 1019950031992A KR 19950031992 A KR19950031992 A KR 19950031992A KR 0174772 B1 KR0174772 B1 KR 01747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ismatch
- signals
- lines
- transmitt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9)
- 전송해야 할 제 1 및 제 2신호를 제 1 및 제 2신호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회로로서, 상기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제 1불일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신호생성회로와, 상기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제 2불일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와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 1 및 제 2불일치 신호를 받아, 상기 제 1신호 및 제 1불일치 신호의 조, 및 상기 제 2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의 조중 어느 한 조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조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전송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제1항에 있어서, 선택수단은, 제 1신호 및 제 1불일치 신호의 조, 및 상기 제 2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의 조를 교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불일치 신호로서 전송해야 할 신호와 상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불일치 신호로서 전송해야 할 신호를 시간적으로 지연한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4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직렬로 배치된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5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불일치 신호로서 전송해야 할 신호의 전류량을 변경한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6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신호선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는 임피던스 변경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7항에 있어서, 선택수단과 제 1 및 제 2신호선 사이에 배치된 전압제어수단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전압제어수단은, 제 1신호선의 진폭전압 및 제 2신호선의 진폭전압을 전원전압 미만의 소진폭이 되도록 상기 선택수단에서 출력되는 차동신호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전위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신호수신회로를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신호수신회로는,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된 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양 신호를 전원 전압의 전위차를 갖는 차동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선택수단은, 제 1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1선택수단과, 제 2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2선택수단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선택수단은 제 1신호와, 제 2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제 2불일치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상기 제 2선택수단은, 제 2신호와 제 1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제 1불일치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0항에 있어서, 제 1선택수단은, 제 1신호 및 제 1불일치 신호를 교대로 선택하고, 제 2선택수단은, 제 2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를 교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1항에 있어서, 제 1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1선택수단과, 제 2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2선택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선택수단은, 제 1신호와 제 2신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상기 제 2선택수단은. 제 1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제 1불일치 신호와, 제 2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제 2불일치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제 1선택수단은, 제 1신호와 제 2신호를 교대로 선택하고, 제 2선택수단은, 제 1불일치 신호와 제 1불일치 신호를 교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3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선택수단과 제 1 및 제 2신호선 사이에 배치되는 절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절환수단은, 제 1선택수단에서 제 1신호선 또는 제 2신호선으로의 출력 송출을 절환함과 동시에, 제 2선택수단에서 제 2신호선 또는 제 1신호선으로서 출력 송출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선택수단의 후단에 2열로 배치되는 1단 또는 복수단의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 중 최초단을 구성하는 2개의 기억수단은, 선택수단에서 출력되는 2개의 신호로 이루어지는 차동신호를 기억하고, 상기 최초단을 제거한 각 단의 2개의 기억수단은, 전단의 기억수단에서 출력되는 2개의 신호로 이루어지는 차동신호를 기억하고, 최후단 2개의 기억수단은, 그 기억한 차동신호를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전압제어수단은, 선택수단에서 출력되는 2개의 신호로 이루어지는 차동신호 중 어느 한쪽의 신호를 받는 1입력. 1출력형의 제 1드라이버와, 상기 선택수단에서 출력되는 다른쪽의 신호를 받는 1입력. 1출력형의 제 2드라이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드라이버는 제 1신호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 2드라이버는 제 2신호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전압제어수단은 차동입력. 차동출력형의 제 1 및 제 2드라이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드라이버는, 선택수단에서 출력되는 2개의 신호로 이루어지는 차동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9항에 있어서 신호수신회로는, 제 1 및 제 2신호선 쌍방에 접속된 차동입력. 차동출력형의 제 1 및 제 2리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리시버의 어느 한쪽은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서 차동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8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리시버는 교대로 제 1 및 제 2신호선에서 차동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9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 중 어느 한쪽의 신호선에는, 다른쪽의 신호선과 비교하고, 전송선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의 반사주기의 약 반 정도의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소자가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선택수단과 제 1 및 제 2신호선 사이에 배치되고, 차동신호의 송출 후에서 다음으로 이어지는 차동신호의 송출개시 때까지의 사이에 열리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이 열려있는 기간에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을 같은 전위로 프리챠지하는 프리챠지수단을 별도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1항에 있어서, 천이검출수단은, 전송해야 할 2개의 신호를 입력하고, 이 양 신호의 내용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에 천이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할 때에 일치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천이검출수단의 천이검출신호를 받았을 때, 프리챠지수단에 의한 제 1 및 제 2신호선의 프리챠지를 허용하고, 상기 천이검출수단의 일치검출신호를 받았을 때, 프리챠지수단에 의한 제 1 및 제 2신호선의 프리챠지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2항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복수의 신호를, 이들 신호와 같은 수의 복수 신호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회로로서, 상기 복수개의 신호선 중 2개씩을 1조로 하되, 각 조는, 전송해야 할 2개의 신호 중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제 1불일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신호생성회로와, 전송해야 할 2개의 신호 중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제 2불일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와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 1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를 받아, 상기 제 1신호 및 제 1불일치 신호의 조, 및 상기 제 2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의 조중 어느 한 조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조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전송하는 선택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3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불일치 신호로서 전송해야 할 신호를 시간적으로 지연한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4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직렬로 배치된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5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불일치 신호로서 전송해야 할 신호의 전류량을 변경한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6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신호선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는 임피던스 변경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전송해야 할 복수의 신호를, 이들 신호와 같은 수 의 복수 신호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회로로서, 상기 복수개의 신호선 중 2개씩을 1조로 하되, 각 조는, 전송해야 할 2개의 신호 중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제 1불일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신호생성회로와, 전송해야 할 2개의 신호 중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제 2불일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와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 1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를 받아, 상기 제 1신호 및 제 1불일치 신호의 조, 및 상기 제 2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의 조중 어느 한 조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조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전송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과 제 1 및 제 2신호선 사이에 배치된 전압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제어수단은, 제 1전위가 공급되는 제 1공급단자, 및 제 2전위가 공급되는 제 2공급단자가 가짐과 동시에, 상기 선택수단의 차동신호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를 받아, 그 한쪽 신호를 상기 제 1전위의 신호로, 그 다른쪽 신호를 상기 제 2전위의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이 양 신호를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출력하고, 상기 각 조의 전압제어수단은, 제 1전원과 이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제 2전원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고, 최상단 전압제어수단의 제 1공급단자는 상기 1전원에 접속되고, 최하단 전압제어수단의 제 2공급단자는 상기 제 2전원에 접속되고, 상기 최상단 및 최하단 전압제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어수단 이외의 전압제어수단은, 제 1공급단자가 그 상단에 위치하는 전압제어수단의 제 2공급단자에 접속되고, 제 2공급단자가 그 하단에 위치하는 전압제어수단의 제 1공급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8항에 있어서, 각 조의 선택수단은, 제 1신호 및 제 1불일치 신호의 조, 및 상기 제 2신호 및 제 2불일치 신호의 조를 교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9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불일치 신호로서 전송해야 할 신호를 시간적으로 지연한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30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직렬로 배치된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8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불일치 신호로서 전송해야 할 신호의 전류량을 변경한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32항에 있어서,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생성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신호선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는 임피던스 변경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8항에 있어서, 제 1공급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이 제 1전원 전압의 1/2이상인 전압제어수단은 P형 MOSFE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8항에 있어서, 제 1공급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이 제 1전원 전압의 1/2미만인 전압제어수단은, N형 MOSFE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제28항에 있어서, 제 1전원 전위와 제 2전원 전위의 전위차는, 상기 각 조의 제 1 및 제 2신호선 사이 전위차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회로.
- 전송해야 할 제 1 및 제 2신호를 제 1 및 제 2신호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를 받은 후, 상기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1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되고, 그 후, 상기 제 2신호와는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제 1신호와는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1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공정은 복수회 반복되고,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공정도 복수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공정은 1회 행하고,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공정은 복수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공정은 1회 행하고,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공정도, 1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하는 신호와 상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해야 할 신호를 시간적으로 지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해야 할 신호의 전류량을 변경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0항에 있어서, 제 1신호 및 그 불일치 신호는 클록 1주기의 전반 기간에 송출되고, 제 2신호 및 그 불일치 신호는 상기 클록 1주기 후반 기간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신호를 송출할 때에, 이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신호를, 그 각 신호의 전위에 따라 제 1전위, 또는 상기 제 1전위와 전원전압 미만의 전위차에 있는 제 2전위로 변환하여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전송해야 할 제 1 및 제 2신호를 제 1 및 제 2신호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를 받은 후,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을 동일 전위로 프리챠지하고, 그 후, 상기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1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고, 계속해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을 동일 프리챠지하고, 그 후, 상기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을 프리챠지하는 공정, 제 1신호의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1신호를 송출하는 공정을 1조로 하여, 복수회 반복한 후, 제 1 및 제 2신호선을 프리챠지하는 공정, 제 2신호의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송출하는 공정을 1조로 하여, 복수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을 프리챠지하는 공정, 제 1공정의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1신호를 송출하는 공정을 1조로 하여, 1회 행한 후, 제 1 및 제 2신호선을 프리챠지하는 공정, 제 2신호의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송출하는 공정을 1조로 하여, 복수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을 프리챠지하는 공정, 제 1신호의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송출하는 공정을 1조로 하여, 1회 행한 후, 제 1 및 제 2신호선을 프리챠지하는 공정, 제 2신호의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송출하는 공정을 1조로 하여, 1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하는 신호와 상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해야 할 신호를 시간적으로 지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해야 할 신호의 전류량을 변경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9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의 최초 프리챠지는 클록 전반주기의 기간 중 전반 기간에 행하고, 제 1신호 및 그 불일치 신호의 송출은 상기 클록 전반주기의 기간 중 하반 기간에 행하고, 제 1 및 제 2신호선의 다음 프리챠지는 클록 후반주기의 기간 중 전반기간에 행하고, 제 2신호 및 그 불일치 신호의 송출은 상기 클록 후반주기의 기간 중 후반 기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신호를 송출할 때에, 이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신호를 그 각 신호의 전위에 따라, 제 1전위, 또는 상기 제 1전위와 전원전압 미만의 전위차에 있는 제 2전위로 변환하여, 제 1 및 제 2신호선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받은 제 1 및 제 2신호의 내용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일치할 때, 제 1신호 및 그 불일치 신호 송출 후의 제 1 및 제 2신호의 프리챠지는 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전송해야 할 복수의 신호를, 이들 신호와 같은 수의 복수 신호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방법으로, 상기 복수개의 신호선 중 2개씩 1조로 하되, 각 조는, 전송해야 할 제 1 및 제 2신호를 받은 후, 상기 제 1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1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자기 조의 2개의 신호선에 송출하고, 그 후, 상기 제 2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하지 않은 불일치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불일치 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차동신호로서, 상기 2개의 신호선에 송출하고, 게다가, 상기 복수의 조에서, 소정의 2조마다 한쪽의 조에서 전위가 하강하는 신호선과, 다른쪽의 조에서 전위가 상승하는 신호선을 접속하여, 상기 전위가 하강하는 신호선이 지닌 전하를 상기 전위가 상승하는 신호선에서 재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56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하는 신호와 상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56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해야 할 신호를 시간적으로 지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 제56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는, 전송해야 할 신호의 전류량을 변경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006395 | 1995-07-17 | ||
JP95-180063 | 1995-07-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8175A KR970008175A (ko) | 1997-02-24 |
KR0174772B1 true KR0174772B1 (ko) | 1999-04-01 |
Family
ID=1607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1992A KR0174772B1 (ko) | 1995-07-17 | 1995-09-26 | 신호전송회로 및 신호전송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6055276A (ko) |
KR (1) | KR01747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7487A (ja) * | 2000-02-14 | 2001-11-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装置 |
TWI382383B (zh) * | 2007-03-22 | 2013-01-11 |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 用於顯示器之時序控制器的差動訊號輸出電路 |
JP5743427B2 (ja) * | 2010-05-14 | 2015-07-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リント配線板及び記録ヘッド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83813A (ja) * | 1991-03-13 | 1992-10-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クロック伝送回路 |
-
1995
- 1995-09-26 KR KR1019950031992A patent/KR01747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10-04 US US08/538,858 patent/US605527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055276A (en) | 2000-04-25 |
KR970008175A (ko) | 1997-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15096B2 (en) | Interface circuit device for performing data sampling at optimum strobe timing by using stored data window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trobe timing | |
US6259288B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a DLL circuit and a special power supply circuit for the DLL circuit | |
US6965648B1 (en) | Source synchronous link integrity validation | |
US4603403A (en) | Data output circuit for dynamic memory device | |
US737357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xpect data from a captured bit pattern, and memory device using same | |
US6330627B1 (en) | System for fast data transfer between memory modules and controller using two clock lines each having a go line portion and a return line portion | |
US6194916B1 (en) | Phase comparator circuit for high speed signals in delay locked loop circuit | |
KR920008032B1 (ko) | 동작모우드 설정회로 | |
KR100274901B1 (ko) | 반도체집적회로 | |
JP3642798B2 (ja) | 半導体メモリ装置の分離ゲート制御回路 | |
US6563747B2 (en) | Integrated data input sorting and timing circuit for double data rate (DD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
EP1168369B1 (en) |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9990072870A (ko) | 반도체집적회로 | |
US11222688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KR100656448B1 (ko) | 반도체 메모리의 dbi 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 |
KR0174772B1 (ko) | 신호전송회로 및 신호전송방법 | |
US6320420B1 (en) | Domino logic element realizing high speed dynamic logic circuit | |
US6310826B2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test circuit | |
US6998879B2 (en) | Level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ing logic level of input signal | |
US5952861A (en) | Dynamic pulse register with scan functionality | |
US6130558A (en) | Data transfer circuit and method for a semiconductor memory | |
US5898735A (en) | Circuit an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 |
US5973531A (en) | Method for generating a pulse output in a dynamic register | |
JP3164493B2 (ja) | 信号伝送回路及び信号伝送方法 | |
US7359259B2 (en) |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data signal on a line pair, as well a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for this purpo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19990702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1999080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0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