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4414B1 - 자동차의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414B1
KR0174414B1 KR1019960060768A KR19960060768A KR0174414B1 KR 0174414 B1 KR0174414 B1 KR 0174414B1 KR 1019960060768 A KR1019960060768 A KR 1019960060768A KR 19960060768 A KR19960060768 A KR 19960060768A KR 0174414 B1 KR0174414 B1 KR 0174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support plate
buckle
ch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465A (ko
Inventor
홍성호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4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4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1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버클이 구비되고 일정간격으로 랜싱 가공되어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일단이 플로어부에 고정되고 돌기들이 대응 결합되도록 순차적으로 점증하는 구멍들이 형성된 연결편을 구비하여 차량의 충돌시 연결편의 구멍들에 의해 지지플레이트의 돌기들이 순차적으로 변형되면서 가슴벨트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극소화시키므로 인체의 흉부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충돌시 착용자의 가슴부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시트벨트는 주행주으이 탑승자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시켜 차량 충돌시 인체와 차량 내부의 소정부위가 부딪힘에 따라 발생되는 2차적 상해를 감소시키는 부품이다.
이러한 종래 시트벨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1) 일측에 리트랙터(2)가 설치도어 있고 그 상측의 센터필라부(3)에 지지부(4)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트랙터(2)와 지지부(4), 그리고 다시 리트랙터(2)로 연결되도록 벨트(5)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 벨트(5) 중간 부분에는 탱크플래이트(6)가 구비되어 벨트(5)를 가슴벨트(5a)와 허리벨트(5b)로 양분하고 있다.
한편, 시트(1) 타측의 플로어부에는 관통구멍(8a)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8)가 고정되어 있고, 그 단부에 버클(7)이 구비되어 있어 상술한 탱크플래이트(6)가 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시트벨트는 탑승자가 시트(1)에 앉은 상태에서 벨트(5)를 당겨서 래트랙터(2)로 부터 인출시킨 후 탱크플래이트(6)를 버클(7)에 결합시켜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시트벨트의 벨트(5)나 지지플레이트(8)는 탄력이 거의 없어 외부의 충격에 거의 변형되지 않아 차량 충돌시 급정지에 따른 극대화된 인체의 관성력이 가슴벨트(5a)에 모두 전달되어 극대화된 관성력만큼의 큰 충격이 인체의 흉부에 그대로 전달되어 심장파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플레이트와 연결편에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하여 인체의 관성력을 어느 정도 흡수하도록 하므로 가슴벨트에 의한 흉부의 충격을 극소화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의 시트벨트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그 결합 단면도
도 4a-4c는 자동차의 충돌시 시트벨트의 요부가 변형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이는 부분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2 : 리트랙터
4 : 지지부 5a : 가슴벨트
6 : 탱크플레이트 10 : 지지플레이트
14 : 변형돌기 20 : 연결편
22 : 작동구멍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시트벨트는, 시트 일측의 플로어부에 지지플레이트가 고정되고 그 단부에 버클이 구비되어 벨트 중간에 구비된 탱크플레이트를 상기 버클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시트벨트에 있어서, 일단에 버클이 구비되고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랜싱가공되어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단면이 채널형이고 일단이 플로어부에 고정되며 돌기들이 끼워지도록 대응면에 고정단부 반대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증하는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된 연결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의하면, 극대화된 인체의 관성력이 가슴벨트에 전달되면서 어느 정도 감소되므로 가슴벨트에 의한 흉부 압박이 극소화되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요부를 발췌한 부분 분리 사시도로서, 일측에 버클(12)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10)와, 일단이 플로어부(23)에 고정되고 짖플레이트(10)가 결합되는 연결편(20)이 구비된다.
먼저 지지플레이트(10)는 직사각형 금속판 형상의 결합부(13)와, 그 일측으로 부터 연장형성되고 단부에 버클(12)이 고정된 연장부(11)로 대분되는바, 이 결합부(13)에는 일정간격을 따라 랜싱(lancing)가공되어 제 1, 2, 3 및 제 4돌기(14a)(14b)(14c)(14d)(이들을 변형돌기라 칭한다)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0)가 결합되는 연결편(20)은 단면이 체널형이고 일단이 플로어부(23)에 고정되도록 관통구멍(21a)이 형성된 고정부(21)가 구비되며, 결합부(13)의 변형돌기(14)에 대응되도록 제 1, 2, 3 및 제 4구멍(22a)(22b)(22c)(22d)
(이들을 작동구멍이라 칭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구멍(22)은 고정부(21) 반대측으로 갈수록 구멍의 높이가 점증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구멍(22a)의 높이를 D1, 제 2구멍(22b)의 높이를 D2, 제 3구멍(22c)의 높이를 D3, 제 4구멍(22d)의 높이를 D4라 할 때 D1 < D2 < D3 < D4 가 된다.
한편 변형돌기(14)들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돌기(14a)와 제 2돌기(14b)와의 거리를 d1, 제 2돌기(14b)와 제 3돌기(14c)와의 거리를 d2, 제 3돌기(14c)와 제 4돌기(14d)와의 거리를 d3라 할 때, d1 = d2 = d3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의 변형돌기(14) 중 제 1돌기(14a)를 연결편(20)의 작동구멍(22) 중 제 1구멍(22a) 상단에 지지되도록 결합하면 제 2, 3 및 제 4돌기(14b)(14c)(14d)들은 제 2, 3 및 제 4구멍(22b)(22c)(22d)의 상단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점증된 이격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0)가 연결편(20)에 결합되고 연결편(20)의 고정부(21)가 고정볼트(24)에 의해 플로어부(23)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착용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인체의 관성력에 의해 가슴벨트(5a)에 충격력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0)가 전방측으로 당겨지게 되는바, 이때 연결편(20)은 플로어부(2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1구멍(22a) 상단에 지지된 제 1돌기(14a)가 상향되려는 지지플레이트(10)에 의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어지면서 제 1구멍(22a)에서 이탈된다.
여기서 인체의 관성력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가 계속 당겨짐에 따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돌기(14b)가 제 2구멍(22b)의 상단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되면서 제 2돌기(14b)가 제 2구멍(22b)으로 부터 이탈되며, 제 3돌기(14c)와 제 4돌기(14d)도 제 1 및 제 2돌기(14a)(14b)와 마찬가지로 제 3 및 제 4구멍(22c)(22d) 상단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절곡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급정지시 극대화된 관성력은 변형돌기(14)들을 변형시키면서 그 힘이 감소되므로 가슴벨트가 흉부를 압박하는 충격력도 그 만큼 감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는 연결편(20)의 작동구멍(22)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의 변형돌기(14)가 순차적으로 변형되면서 가슴벨트(5a)에 가해진 충격력을 극소화시켜 인체의 흉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시 인체가 시트에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보호할 뿐 아니라 가슴벨트에 의해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최소화하여 심장파열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트 일측의 플로어부에 지지플레이트가 고정되고 그 단부에 버클이 구비되어 벨트 중간에 구비된 탱크플레이트를 상기 버클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시트벨트에 있어서,
    일단에 버클(12)이 구비되고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와,
    단면이 채널형이고 일단이 플로어부(23)에 고정되며 상기 돌기들이 끼워지도록 대응면에 상기 고정단부 반대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증하는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된 연결편(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KR1019960060768A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시트벨트 Expired - Fee Related KR017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68A KR0174414B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68A KR0174414B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65A KR19980041465A (ko) 1998-08-17
KR0174414B1 true KR0174414B1 (ko) 1999-10-01

Family

ID=1948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768A Expired - Fee Related KR0174414B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64B1 (ko) * 2006-10-19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벨트용 랩퓨즈 벨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64B1 (ko) * 2006-10-19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벨트용 랩퓨즈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65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444B2 (en) Energy absorbing seat anchor restraint system for child safety seats
US7651157B2 (en) Safety device
US5618059A (en) Seat belt buckle device for a vehicle
KR017441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US7316442B2 (en)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of seat rail for vehicle
US20070035158A1 (en) Deformable fix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a safety net for the cargo space of a motor vehicle
KR100315566B1 (ko) 소성변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로드 리미터
KR100353063B1 (ko) 전단 소성변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로드 리미터구조
KR0185881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텅플레이트완충장치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6578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충격 다단 감쇄구
KR100206435B1 (ko) 시트벨트 브라켓트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40007464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SU779114A1 (ru) Кронштейн дл креплени аварийно- запирающегос вт г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заднего ремн безопасности в кузов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456567B1 (ko) 로드 리미트 기능을 갖는 시트 벨트 버클 구조
KR014622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충격 다단 감쇄구
KR0177255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1021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버클 충격흡수 장치
KR19990026386U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장력리미트장치
KR100265687B1 (ko) 차량 실내 충격 흡수용 브래킷
KR014538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10031001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11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110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