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3549B1 -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549B1
KR0173549B1 KR1019960027427A KR19960027427A KR0173549B1 KR 0173549 B1 KR0173549 B1 KR 0173549B1 KR 1019960027427 A KR1019960027427 A KR 1019960027427A KR 19960027427 A KR19960027427 A KR 19960027427A KR 0173549 B1 KR0173549 B1 KR 017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resent
composition
sta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454A (ko
Inventor
아키오 우스이
Original Assignee
아키오 우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키오 우스이 filed Critical 아키오 우스이
Publication of KR97000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16Materials undergoing chemical reactions when used
    • C09K5/18Non-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30/00Apparatus or devices using heat produced by exothermal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61F2007/0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with a fluid absorb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3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separating laminae between spaced secured areas [e.g., honeycomb expa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54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and simultaneously bonding [e.g., cut-sea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4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of continuous or running length bonded web
    • Y10T156/1085One web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03Paper containing [e.g., paperboard, cardboard, fiberboard, etc.]
    • Y10T428/1307Bag or tubular film [e.g., pouch, flexible food casing, envelop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제조시의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발열조성물의 발열반응을 억제하여,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나 응고를 방지하는 것으로, 또한 스크린인쇄나 코팅등의 인쇄, 전사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열조성물의 균등한 분포를 가능하게 하고, 더구나 발열조성물의 두께나 분포의 정밀도가 더욱 향상되어 제품품질의 안정화를 꾀할수 있는 것외에,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간편히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발열조성물을 흡수성의 발포필름·시트,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 혹은 이들의 위에 형성된 흡수층상에 전사함으로써, 발열조성물을 포대재에 균등하게 분포, 고정시킬 수 있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을 방지하며, 또한, 발열체의 박형화에 따라서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을 극력 피하는 잉크상태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구성]
본 발명은 발열물질과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와, 탄소성분 및/또는 금속으 염화물과 물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이용한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을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발열체의 단면모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발열체의 단면모식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발열체의 단면모식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발열체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발열체의 요부 단면도이다.
제6도는 발열조성물의 안정성을 조사하는 시험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재
2 : 본 발명물(잉크 내지 크림상의 발열조성물)
3, 3b : 기재 3a, 3c : PET 제습식부직포
4 : 피복재 4a : 폴리에틸렌제다공질 필름
4b : 나일론제 부직포 5 : 점착제층
10 : 비커 11 : 온도센서
L : 시일폭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발열조성물을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하여, 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포대재에 고속으로 전사함으로써 초박형(超薄形)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발열조성물을 포대내에 균등한 두께로 분포시킬수 있으며, 발열조성물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대내에 고정하여 그 이동을 방지하여, 엷고, 유연하고 사용감이 현저히 우수한 잉크상태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에 관한다.
[종래의 기술]
근래, 소위, 1회용의 형태로서, 통풍성 또는 기밀성을 가지는 필름상내지 시트상의 기재와, 통풍성을 가지는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로 된 편평한 포대내에 발열조성물을 봉입한 발열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 포대의 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속옷이든지 생체표면에 직접 붙일수 있도록 한 발열체도 이용되고 있고, 더욱, 이 점착제층에 찜질제를 함유 또는 담지시키어 온습포로 이용하기도 하고, 경피(經皮)흡수성약품을 함유 또는 담지시키어, 소위 약물의 경피흡수제로서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특개평2-149272호공보참조).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기재의 소정영역에 발열조성물을 투하한후, 통풍성을 가지는 피복재를 씌우고, 그다음에, 기재와 피복재의 주연부를 전체 주위에 걸치어 히트시일, 호트멜트계접착제 등에 의해서 봉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하여 제조된 발열체는 사용때까지의 발열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 기밀성의 외장내에 빌봉되어 보존되거나 유통에 제공된다.
종래의 발열조성물로서는, 발열반응에 필수인 금속가루 및 물과 그 외에 발열을 촉진하기 위한 카본이든지 활성탄 등의 탄소성분, 금속가루의 표면의 산화막을 파괴하여 발열반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금속의 염화물과 또한 목분(木粉) 등의 보수제(保水劑) 등을 배합한 분말상의 것이 사용하고 있다.
이 분말상의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어, 기재의 정지중에 분말상의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방법과, 기재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분말상의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투하구를 기재와 동속도로 이동시키면서 기재상에 분말상의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방법이 있지만, 제조의 고속화를 꾀하는 이외에는 후자의 방법이 우수하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와같이, 발열조성물이 분말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분말상의 발열조성물은 발열반응, 요컨대 산화반응이 발생하기 쉬운 최적의 상태로 배합되어 있고, 더구나 분말상으로 다공질체로 표면적이 넓고 공기와의 접촉이 지극히 양호한 외에 공기와 접촉하면 즉시 산화반응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발열조성물을 적정한 배합비로 배합하고 있는 사이, 및 발열조성물을 제조하여, 이것을 기재상에 투하하여 피복재로 피복하여 발열체를 제조하기까지의 사이에 공기와의 산화반응, 요컨대 발열반응이 일어나서, 발열조성물의 발열반응에의한 손실이 생김과 같이 발열조성물의 품질이 저하하는 외에, 발열반응에 의해서 생성한 생성물이 응고하여 여러 가지의 페해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응고물제거에의한 가공의 경우의 저하, 취급의 곤란성, 제조장치의 메인테이넌스의 번잡성, 제조장치의 가동 시간내지 작업자의 취업시간에 대한 제약, 응고물처리의 곤란성 등의 폐해를 초래한다.
또한, 발열조성물이 분말상이고, 전술한 것과 같이 발열체을 제조하고, 얻어진 발열체를 기밀성의 외포대내에 밀봉하기까지의 사이에 공기와의 산화반응이 발생하여, 발열체의 품질 저하, 그 신뢰성이 낮게 되는 등의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조성물의 산화반응을 막기위해서, 혼합장치를 기밀성으로 하고, 또한 혼합장치내의 공기를 질소치환하고 나서 발열조성물의 성분이 균일히 혼합되지만, 이렇게되면 혼합장치가 복잡하고 비싸게 되는 것 뿐만아니라, 발열조성물이나 발열체가 비싸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더욱, 발열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기재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어, 기재의 정지중에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의 정지, 기동을 빈번히 되풀이하기 때문에 제조속도가 느리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재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킴과 함께,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투하구를 기재와 동속도로 이동시키면서 기재상에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의 정지, 기동이 거의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속도를 높일수 잇다.
그렇지만, 이 경우, 발열조성물을 투하하는 투하구를 기재와 동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게 되는 외에, 발열조성물에는 수분의 첨가에 의해서 습윤성 부여되고 있고, 더구나 분말상에서는, 유동성이 모자라기 때문에, 그 기구를 이동시키는 속도에 큰 한계가 생기거나, 발열조성물의 충전성이 결핍되고, 또한 발열조성물의 충전량이 흩어지거나, 발열조성물이 포대재내에서 한쪽으로 편중되는 결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발열조성물은 수분에 의해서 습윤성이 부여되고 있지만, 수분의 배합율이 발열반응에 적당한 정도로 낮기 때문에, 분말상에서는 유동성이 모자라고, 이것을 단지 투하하는 것만으로서는 기재상의 소정범위내에 균등히 분포시키는 것이 현저히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이것 때문에, 피복재를 씌우고 시일을 할 때에, 로울러 등에 의해서 발열조성물의 분포를 어느정도, 균등화시키고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포대재의 송부방향으로 발열조성물의 분포가 치우치는 경향이 있고, 포대재의 송부방향의 발열조성물의 분포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발열체를 두텁게 하여, 에컨대 사용때에 손으로 흔드는 등에 의해 분포량의 치우침을 없애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발열체전체가 수 mm 정도로 두껍게 되어, 촉감이 버석버석하여 느낌이 나쁘고, 유연성이 저하하여 몸표면이 복잡한 요철이나 곡률이 작은 곡면에 동화하기 힘들게 되고 또한, 신장성 또는 신축성이 저하하여 신체의 동작에 따라서 변형하거나, 이동하는 등의 몸표면에의 추종성이 나쁘고, 뻣뻣하거나 위화감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런데, 구두의 속에 발열체를 넣어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는 발열체의 박육화를 꾀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수 mm 정도의 두꺼운 종래의 발열체로서는 큰 불만이 존재한다.
특히, 종래의 1회용형의 카이로는 발열조성물을 분말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발열체내부에서 발열조성물이 이동에 의해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신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열온도분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곳에 고정하여 사용하면 화상의 원인이 된다.
근래, 다공질막에 의한 발열때의 감압을 이용하여 발열조성물의 치우침을 방지한 제품이 보급되어 왔지만, 제조공정, 수송단계, 사용단계에서 완전히 치우침방지는 되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또한, 사용전에, 외포대(보존포대)안에 수납된 상태로서는, 발열체내부는 감압상태가 되지 않고 수송단계에서는 발열조성물이 발열체내로 이동할 수가 있고, 또한,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께의 균일성을 유지하여 발열때의 온도분포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발열조성물이 치우친 것은 불량품으로서 유통단계에서 반품되기도 하고, 소비자로부터의 교환요구를 들어주는 것이 현상이고, 이 결과, 수송단계에서 발열조성물의 두께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지극히 중요하다.
그래서, 특개소 62-347호공보에 있어서, 발열조성물을 접착제로 고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실제의 제조에 있어서는, 분체의 발열조성물을 발열체자루의 안쪽에 접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비록 가능하더라도 접착강도는 약하고 완전한 고정이 불가능하고 사용중에 박리되거나, 유연성이 모자란 판상으로 되기때문에 사용감이 나쁘게 되거나, 덧붙여, 접착제의 혼재에 의해서, 발열조성물과 공기와의 접촉이 나쁘게 되는 결과, 온도얼룩짐이나 온도 불균형의 원인이 되어, 실용성이 나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열조성물의 발열반응을 억제하여,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발열조성물의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 및 발열조성물의 응고에 따르는 여러 가지의 폐해를 방지하여, 고속이고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발열조성물을 포대체내에 균등히 분포, 고정시킴에 의하여 해당 발열조성물의 이동과, 치우침을 방지하는 외에,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는 발열체에 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하여 왔다.
그 결과, 1회용형 카이로 등의 발열원리는, 금속가루가 산화되는 때의 발열을 이용하는 것이어서, 이 산화반응, 요컨대 발열반응은, 특히 수분량이, 그 속도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이 산화반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수분이 지나치게 많아도, 지나치게 적어도 반응은 현저하게 느리고, 적절한 습기가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알맞은 습기가 있는 상태가, 수분과, 금속가루에의 공기(산소)의 공급의 밸런스가 이루어져서 산화반응, 요컨대 발열반응의 속도가 최대가 된다.
수분이 지나치게 적으면, 공기는 충분하지만 반응에 필요한 수분이 부족하고, 한편, 수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이 수분이 베리어층이 되어 금속가루에의 공기의 공급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반응은 느리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발열조성물을 점조화(粘稠化)시키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하면, 스크린인쇄나 코팅 등에 의한 적층이 지극 용이하고, 또한 고속이고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발열조성물을 포대재에 균등하게 분포시킬수 있는 외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발포필름·시트, 티슈페이퍼나 타올용지 등의 가정용 박엽지등과 골판지나 골판지중심 등의 두꺼운 종이(이하, 종이류라고 한다),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의 위에 적층하면, 이 잉크상태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은 침입·투묘성이 높고, 이것들의 필름 내지 시트의 세공(細孔)에 먹어들어가서 그 이동이나 치우침이 저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경우, 특히 이들의 필름내지 시트가 흡수성을 가져서, 이 필름 내지 시트의 위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적층하던가, 혹은 상기의 필름 내지 시트의 위에 더욱 흡수층을 형성하고, 이 흡수층상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적층하면, 해당 발열조성물의 전부 혹은 일부가 이 발포필름·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 혹은 이들의 위에 형성된 흡수층에 한층더 고정되기 쉽게 되는 결과, 그 이동, 편중이 방지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자는, 발열조성물을 잉크상태내지 크림상태로 형성하면, 분말상의 발열조성물에 비교하여, 표면적이 현저하고 작게 되어, 공기와의 접촉이 지극히 제한되어 공기와의 산화반응이 현저히 억제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에 있어서는, 과잉의 물 혹은 유리된 물 및/또는 수분을 포함한 겔이, 금속가루를 포위하여 공기차단층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공기속에서 지극히 안정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발열조성물중에 수분이 과다하게 배합되어 있으면, 요컨대 잉크상태의 발열조성물과 같이 수분이 지나치게 배합되어 있으면, 이 과잉수분이 배리어층으로서의 기능을 발현하여, 한층더, 공기와의 발열반응(산화반응)이 억제되어, 더욱 안정성이 향상하는 것이다.
한편,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은 반드시 수분이 지나치게 배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과 같이 비교적 수분이 적더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유리된 물 및/또는 수분을 포함한 겔(함수겔)이 금속가루를 포함한 공기차단층(배리어층)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함으로 공기중에서 안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잉크상태의 탄산소재와 같이, 과잉의 수분이 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과잉수분을, 지지체, 피복제 혹은 잉크상태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가하여 흡수재들중 적어도 1종에 흡수시키거나, 또한,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에 있어서도 유리된 물 및/또는 함수겔중의 수분의 일부들, 지지체, 피복제 혹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가하여 흡수재들중 적어도 1종에 흡수시킴에 의해 배리어층이 없어져서 발열조성물이 다공질로 되어 공기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되어 발열반응이 원활히 행하여 진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발열조성물을 배합하고 있는 사이, 및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제조하여, 이것을 기재상에 인쇄나 코팅 등에 의해서 적층한후, 피복재로 피복하여 발열체를 제조하기까지의 사이에 공기와의 산화반응, 요컨대 발열반응이 거의 발생하는 것이 없고, 발열조성물의 발열반응에 따르는 손실이나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가 방지되는 것 외에, 발열조성물의 응고가 방지된다. 이 때문에, 보류나 취급성이 향상하여, 제조장치의 메인테이넌스가 용이하고, 더구나 제조장치의 가동시간 내지 작업자의 취업시간에 대하여 제약이 없어진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또한, 발열조성물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열체를 제조하여, 얻어진 발열체를 기밀성의 외포대내에 밀봉하기까지의 사이에 공기와의 산화반응이 거의 없고, 따라서, 발열체의 품질이 안정되어, 그 신뢰성이 높게 되는 등의 이점이 발생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더욱,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은 공기속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혼합장치를 기밀성으로 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혼합장치내의 공기를 질소치환하는 필요도 없기 때문에, 간편한 혼합장치에서도 좋고, 따라서, 발열조성물이나 발열체가 염가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전술의 것과 같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사용하면, 스크린인쇄든지 코팅 등에 의한 전사, 적층이 지극히 용이하고, 또한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발열조성물을 포대에 균등하게 분포시킬수 있는 것 외에, 사용중이나 취급중에 방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이 저지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더욱, 본 발명자는 스크린인쇄 등의 인쇄나 코팅 등에의한 적층법에 의하면, 이발열체를 극히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발열체가 얇으면, 단위시간 당의 발열반응량이 저하하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이 저지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덧붙여서, 본 발명자는 흡수제의 점성수용액을 발포필름·시트, 종이,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 등의 포대제에 함침, 취기, 연입(練入), 인쇄 또는 코팅 등의 도장공법 등에 의해서 적층, 건조하기도 하거나, 흡수제를 압착이나 연입 등에 의해서 함유, 담지시키어 포대재에 흡수성을 부여한후, 그 위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스크린인쇄나 코팅등으로 전사, 적층하면 분체의 투입공정이 없어지고 장래의 의료용구나 의약품제조에 있어서의 GMP 기준을 만족시키는 공장 관리가 간단히 가능하게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런데, 본 발명자는, 과잉수분이나 유리된 물 혹은 함수겔중의 수분의 일부를 기재, 피복재 혹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가하여 흡수재들중 적어도 1종에 흡수시키면, 베리어층이 상실되어, 사용시에는 다공질의 발열조성물로 되어 공기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되는 결과, 우수한 발열특성이 얻어진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지식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이며, 발열체제조때의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발열조성물의 발열반응을 억제하여,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 및 발열조성물의 응고를 방지하는 것이고, 또한 스크린인쇄나 코팅 등의 인쇄, 전사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열조성물의 균등한 분포를 가능하게하며, 더구나 발열조성물의 두께나 분포의 정밀도가 높아서 제품의 품질의 향상을 꾀하는 것 외에,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간편히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발열조성물을 흡수성의 기재나 피복재, 혹은 이들의 위에 형성된 흡수층상에 전사, 적층함으로써 발열조성물을 포대재에 균등하게 분포, 고정시킬수 있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을 방지하는 것이고, 덧붙여서, 발열체의 박형화에 의하여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을 극력 피하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제의 점성수용액을 포대재에 함침, 취기, 연입, 인쇄 또는 코팅 등의 도장공법 등에 의해서 적층, 건조하거나, 흡수제를 압착 또는 연입등에 의해서 함유, 담지시키어 포대재에 흡수성을 부여한후, 그 위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스크린인쇄나 코팅등으로 전사, 적층하면 분체의 전사공정이 없어져서 장래의 의료용구나 의약품제조에 있어서의 GMP 기준을 만족시키는 공장 관리가 간단히 가능하게 되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
본 발명의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이하, 본 발명물이라고 한다)은, 상기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열물질과,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增粘劑)와, 탄소성분 및/또는 금속의 염화물과 물을 필수성분으로 하여,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발열체(이하, 본 발명발열체라고 한다.)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물이 시트상포대재내에 적층, 봉입되고, 이 포대재의 적어도 일부가 통풍성을 가지는 것으로, 더구나 상기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를 상기 시트상포대재에 흡수시키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제1의 발열체의 제조방법(이하, 본 발명 제1방법이라고 한다.)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형성하고, 이 본 발명물을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기재표면의 적어도 한곳의 소정영역에 적층한후, 이 본 발명물을 피복하는 것같이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또한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풍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제2의 발열체의 제조방법(이하, 본 발명 제2방법이라고 한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물을 형성하고, 이 본 발명물을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기재표면의 적어도 한 곳의 소정영역에 적층한 후, 이 본 발명물 상면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적층 혹은 살포하고, 이어서, 이 본 발명물 및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피복하는 것같이 필름상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또한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풍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제3의 발열체의 제조방법(이하, 본 발명 제3방법이라고 한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기재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고, 이어서, 그위에서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상기 본 발명물의 점성에 의해, 상기 기재와 피복재를 붙이고 합치어, 이어서, 얻어진 적층체를 임의의 형상으로 타공하여서, 또한 상기의 기재 또는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풍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물 및 발열체 및 본 발명 제1, 2, 3방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분발상의 것이 아니고,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시킨 발열조성물, 즉 본 발명물을 이용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본 발명물로서는,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이루어지어, 더구나 외력을 가하면 유동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면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에컨대 본 발명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있어서, 수분이든지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와 다른 성분과의 배합비율을 조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물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술하는 여러 가지의 메리트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물은 잉크상태내지 크림상태이기 때문이고, 예컨대 후도인쇄(厚塗印刷)그라비아인쇄, 오프세트인쇄, 스크린인쇄, 취기등 공지의 인쇄기술을 이용한 인쇄이거나, 또는 헤드 코터, 로울러, 아플리케이터-등에 의한 도공(塗工)이나 코팅에 의해서, 지극히 용이하게 전사, 적층할 수 있는 것외에,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본 발명물을 포대재에 균등하게 분포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물을 발포필름·시트, 종이,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의 위에 전사, 적층하면, 이 본 발명물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이기 때문이고, 침투·투묘성이 높고, 이것들의 필름 내지 시트의 세구멍에 먹어들어가서, 그 이동, 편중이 저지되고, 더구나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현저하게 작고, 공기의 공급량이 감소하여 산화반응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이 경우, 특히 이들의 필름 내지 시트가 흡수성을 가지어, 이 필름 내지 시트의 위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던가, 혹은 상기의 필름 내지 시트의 위에 더욱 흡수층을 형성하고, 이 흡수층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면, 해당 발열조성물의 전부 혹은 일부가 이 발포필름·시트, 종이,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 혹은 이들의 위에 형성된 흡수층에 한층더 고정되기 쉽게 되는 결과, 그 이동, 편중이 더욱 방지된다.
또한, 스크린인쇄나 코팅 등에 의한 적층법에 의하면, 이 발열체를 극히 얇게 할 수가 있고, 또한 발열체가 얇으면 단위시간 당의 발열반응량이 저하하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이 저지되지만, 본 발명물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더욱 층두께가 얇기 때문에, 발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이 저지된다.
그외에, 흡수제의 점성수용액을 발포필름·시트, 종이,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등의 시트상포대재에 함침, 취기, 인쇄 또는 코팅등의 도공등에 의해서 적층, 건조하거나, 흡수제를 압착 또는 연입등에 의해서 함유, 담지시키어 시트상포대재에 흡수성을 부여한후, 그 위에 본 발명물을 스크린인쇄나 코팅등으로 전사, 적층하면 분체의 투입공정이 없어져 장래의 의료용구나 의약품제조에 있어서의 GMP 기준을 만족시키는 공장 관리가 간단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수제로서는, 주로, 후술하는 흡수성폴리머나 증점제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조성물의 수분의 배합율, 더욱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를 배합, 조정하여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나 코팅 등에 의한 전사, 적층이 근히 용이하고, 또한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잇고, 더구나 잉여수분이 배리어층이 되기 때문에, 공기의 공급량이 감소하여 발열반응을 실질적으로 정지하는 결과, 한층더 공기속에서 안정되어,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 및 발열조성물의 응고가 일층 방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분말상발열조성물에 있어서는, 전술의 여러가지가 증대한 폐해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물과같이, 발열조성물을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시키면 스트린 인쇄나 코팅등에 의한 전사, 적층이 용이하고, 또한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이 잉여수분, 혹은 유리된 물이 없고 함수겔이 배리어층으로 되기 때문에 공기의 공급량이 감소하여 발열반응이 거의 생기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잉여수분 혹은 유리된 물, 또한 함수겔중의 수분의 일부를 기재 및/또는 피복재 등의 포대재에 흡수시키면, 배리어층이 상실하여, 더구나 수분이 포대재에 흡수됨에 따라 본 발명물이 다공질이 되는 결과, 공기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되어, 발열특성이 양호한 본 발명발열체가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물에 있어서는, 발열물질과,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와, 탄소성분 및/또는 금속의 열화물과 물을 필수성분으로 하여,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된 것을 열거할 수 있고, 그 배합비율은 발열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흡수성폴리머 0.1-7.5중량부 및/또는 증점제 0.1-10중량부와, 탄소성분 1.5-20중량부 및/또는 금속의 염화물 1-10중량부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또한 물이 배합되어,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우선, 그 고형성분만을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이것들의 성분을 균일히 혼합한후, 이것에 물 혹은 금속의 염화물의 수용액 내지 분산액을 가하여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하여도 좋고, 혹은 발열조성물의 전체성분을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이것들의 성분을 혼합하여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들 성분의 혼합장치로서는, 수분이 지나친 경우, 특히 잉크상태의 발열조성물의 경우에는 균일히 혼합할 수 있는 장치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수분이 비교적적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경우에는, 니더(kneader)나 믹서 등의 혼련장치가 발열조성물을 크림상태로 형성하기 쉽고, 더구나 발열물질의 표면을 유리된 물이나 함수겔이 덮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물은, 전술한 것과 같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지만, 그 점도(온도20℃)가, 이하의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1,000-7,500,000cps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열조성물의 점도가 1,000cps 미만으로 지나치게 낮으면, 발열조성물의 인쇄나 코팅 등에 의한 전사성이 나쁘게 되거나, 수분이 극히 과잉되어 지나치게 성분의 전사량이 부족하고, 발열시간이 짧게 되거나, 발열조성물의 기재상의 소정의 영역밖으로 퍼져나가거나, 전사후에 수분을 다량으로 기재 등에 흡수시킬 필요가 있고, 특수한 구조의 기재 등을 사용하거나, 발열체의 구조를 복잡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한편, 7,500,000cps를 초과하면 전사성이 나쁘게 되어 전사량에 불균형이 생기기도 하고, 표면에서 발열반응이 생기는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들의 이유로, 10,000-6,500,000cps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5,500,000 cps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도로는 2,000,000cps 미만의 경우에는,TOKI MEC INC. 제(VI SCOME TERBH형점도계)로, 더구나 # 7의 로타를 사용하고, 회전수 2rpm으로 하여, 비커내경(85ømm)의 비커를 사용하여 측정온도 20℃로 측정한 값이고, 또한, 2,000,000cps를 넘는 경우에는, 동기산업(주)사제(R110 형점도계, RE110U시스템, 검출헤드 RE100U, 콘트롤러 RC100A)로서, 더구나 SPP 로터를 쓰고, 회전수 0.2rpm(D= 0.4(1/S))로 하여, 측정온도 20℃로 측정한 값이다.
한편, 이 점도는 전사, 적층때의 값이다.
본 발명물의 성분으로서는, 수분이나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와, 다른 성분, 요컨대 발열반응에 필수인 발열물질 외에, 발열을 촉진하기 위한 카본이나 활성탄 등의 탄소성분 및/또는 금속가루의 표면의 산화피막을 파괴하여, 발열반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금 속의 염화물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소망에 따라서는, 무기계 혹은 유기계의 부수제, pH 조정제, 분산성을 높이는 계면활성제, 소포제(消泡劑)등이 배합되어,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물의 배합비율로서는, 사용하는 흡수성폴리머나 증점제의 종류, 발열물질 더욱 탄소성분의 종류, 금속의 염화물의 종류 등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발열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흡수성폴리머 0.1-7.5중량부, 중점제 0.1-10중량부, 탄소성분 1.5-20중량부 및 금속의 염화물 1-10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 혼합물에는 물을 덧붙여,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금속의 염화물의 소정량을 물에 용해 내지 분산하고, 이것을 흡수성폴리며 및/또는 증점제와 탄소성분 및/또는 금속의 염화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가하여,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와 같이 고형성분만을 균일하게 혼합한후, 물 혹은 금속의 염화물의 수용액 내지 분산액을 배합하는 대신에 상기 고형성분에 적량의 물을 가하여, 이 전체성분을 균일히 혼합하여 본 발명물을 얻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의 경우와 같이, 이 본 발명물은, 그 점도(온도20℃)가, 상기의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1,000-7,500,000cps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물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수분이나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와, 다른 성분, 즉 발열물질이나 탄소성분과 또한 금속의 염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원하는 발열특성이 얻어지면 덧붙여, 온도의 안정성을 일층 향상하고, 또한 발열시간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더욱, 소망에 따라, 무기계 혹을 유기계의 보수제, pH 조정제, 분산성을 높이는 계면활성제, 소포제등이 배합되어,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된 것도 유익하다.
즉, 발열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흡수성폴리머(중합체) 0.1-7.5중량부, 증점제 0.1-10중량부, 탄소성분 1.5-20중량부 및 금속의 염화물 1-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이 발열조성물에는 더욱 발열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계 혹은 유기계의 보수제 0.5-10중량부, pH 조정제 0.1-5중량부, 분산성을 높이는 계면활성제 0.1-5중량부 및 소포제 0.1-5중량부에서 선택된 1종이 배합되고, 본 발명물에 있어서는, 특히, 이 혼합물에는 물을 가하여,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금속의 염화물의 소정량을 물에 용해 내지 분산하고, 이것을 상기 혼합물에 가하여,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한 것이 특히 우수한 발열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형성분만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물 혹은 금속의 염화물의 수용액내지 분산액을 배합하는 대신에, 상기 고형성분에 적량의 물을 가하여, 이 전체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물을 얻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물은, 그 점도(온도20℃)가 상기의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1,000-7,500,000cps의 범위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물에 있어서, 흡수성폴리머로서는, 주로, 물이나 금속의 염화물수용액을 원활하고, 또한 대량으로 흡수하는 고분자재료를 들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특공소 49-43395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분-폴리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 특공소51-396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가교폴리 알킬렌옥시도, 특공소63-13495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비닐에스테르-에틸렌계불포화카르복실산공중합체염화물, 특공소54-30710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역상현탁중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자기가교폴리아크릴산염, 특개소54-200963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중합체와 환상무수물과의 반응생성물, 특개소59-84305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 아크릴산염가교물, N-비닐아세트아미드가교체(흡수제)(쇼오와전공주식회사제 상품명NA-010)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더욱, 이들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거나, 이들과 계면활성제를 조합시켜 친수성을 향상하여도 좋다. 이들 흡수성폴리머중에는 물이나 금속의 염화물수용액을 흡수하여 증점성을 부여하는 것이 있지만, 주로, 물이나 금속의 염화물수용액을 원활하고, 또는 대량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 흡수성폴리머로서는, 시판의 것을 사용하면 좋고, 예컨대 산요화성사제의 선웨트 IM-300, 선웨트 IM--300MPS, 선웨트 IM-1000, 선웨트 IM-1000MPS,선웨트 IM-5000, 선웨트 IM-5000MPS, 제철화학사제의 아쿠아가입 4S나 아쿠아키입4SH, Sumitomo화학사제의 스미카겔 NP-1020, 스미카겔 NP-1640, 스미카겔 SP-520, 스미카겔 N-1040, 쿠라레사제의 KI 겔201-K, KI 겔201K-F2, Nihon촉매사제의 아쿠아클릭 CS-6, 아쿠아클릭 CS-7, Arakawa화학제의 아라소푸 800 , 아라소푸 800F등이 그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시판의 흡수성폴리머중에서는, 물이나 금속의 염화물수용액을 신속히 흡수하고, 더구나 그들의 흡수량이 높은, 산요화성사제의 선웨트 IM-300MPS, 선웨트 IM-1000MPS, 선웨트 IM-5000MPS Sumitomo화학사제의 스미카겔 NP-1020, 스미카겔 NP-1040, 쿠라레사제의 KI 겔201-K, KI 겔201-F2, Arakawa화학사제의 아라소푸 800F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물에 있어서, 증점제로서는, 주로, 물이나 금속의 염화물수용액을 흡수하여, 조도(稠度)를 증대시키던가 틱소트로피(thixotropy)성을 부여하는 물질을 들 수 있고, 벤토나이트, 스테아르산염, 폴리아크릴산나트륨등의 폴리아크릴산염, 젤라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로카스트빈검, 구아검, 아라비아검, 알긴산나트륨등의 알긴산염, 펙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덱스트린, α화전분, 가공용전분등의 전분계흡수제, 카라기난, 한천등의 다당류계증점제, CMC, 식초산에틸셀롤로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또는 히드룩시프로필셀줄로즈등의 셀룰로즈유도체계증점제, 아크릴술폰산계고분자물질(예컨대, Nihon촉매주식회사제, 상품명 : CS-6HS), 수용성셀루로즈 에테르 또는 폴리 N-비닐아세트아미드등으로 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더욱, 이들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기도 하거나, 이들과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친수성을 향상하여도 좋다. 이것들의 증점제는, 주로, 물이든지 금속의 염화물수용액을 흡수하여, 조도를 증가시키던가,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수용성셀룰로즈 에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셀룰로즈를 메톡실기로 에테르화한 메틸셀룰로즈(Sin-etsu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 메틀로즈 SM15, 메틀로즈 SM25,메틀로즈 SM400, 메틀로즈 SM4000등), 셀룰로즈를 히드록시에톡실기로 에테르화한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루로즈 등의 수용성 셀룰로즈에테르 (Sin-etsu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 메틀로즈 60SH-50, 메틀로즈 60SH-4000, 메틀로즈 90SH-4000, 메틀로즈 90SH-30000, 메틀로즈 90SH-1100000등), 셀룰로즈를 히드록시에톡실기로 에테르화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Sin-etsu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 메틀로즈 60SH-50, 메틀로즈 60SH-4000, 메틀로즈 90SH-4000, 메틀로즈 90SH-30000, 메틀로즈 90SH-100000등), 다이이치공업제약제의 셀로겐 EP, 셀로겐 BSH-12, 세스카 MC, 세스카 MHEC, 세스카 MHPC등의 수용성 셀룰로즈에테르를 들수 있다.
이 수용성 셀룰로즈에테르의 수용액을 가열하면, 예컨대 소정온도(소정縕度)까지는 점도가 저하하지만, 더욱 이 온도이상으로 가열하면, 흡착수분을 방출하여 점도가 높아지고 겔화하여(이하, 이 현상을 엘겔화현상이라고 부른다.), 이 유리수분이 배리어층으로 되고 발열반응을 감소시키는 한편, 이 겔을 냉각하면, 수분을 흡착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수용성셀루로즈에테르의 증점개시온도는, 에테르화제의 종류, 치환율, 셀루로즈분자량, 용액으로서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 농도, 다른 첨가물을 첨가한 경우에는 그 첨가제의 종류나 첨가량(농도)등의 것 외에, 승온속도나 냉각속도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증점제로서 수용성셀룰로즈에테르를 쓰는 경우에는, 에테르화제의 종류, 치환율, 셀룰로즈분자량, 용액의 농도, 다른 첨가물의 종류나 첨가량(농도)등을 적당히 선택하기도 하거나, 발열체 조성물의 조성, 사용량등을 적당히 선택하고 승온속도나 냉각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최고발열온도를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수용성셀룰로즈에테르(예컨대, Sin-etsu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 메틀로즈SM4000)의 2중량% 수용액으로서는, 첨가물이 없는 경우, 증점개시온도는 55℃이지만, 염화나트륨(NaCl), 혹은 탄산나트륨(Na2CO3·10H2O)을 5중량% 첨가한 경우 등에는 증점개시온도는 40℃로 되고, 인체에 직접 적용하는 경우에는, 메틀로즈 SM4000는 안전온도(43℃)이하에서 흡착수분을 방출하여 발열반응을 억제한다.
이 메틀로즈 SM4000의 증점개시온도 Al2(SO4)3·18H2O를 5중량% 첨가한 경우에도45℃로 되고, 이온도에서 메틀로즈 SM4000는 흡착수분을 금속가루의 주위에 방출하여 발열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예컨대 수용성 셀룰로즈에테르(Sin-etsu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 메틀로즈 60SH-4000)의 2중량% 수용액으로서는, 첨가물이 없는 경우, 증점개시온도는 75℃이지만, 염화나트륨(NaCl)를 5중량% 첨가한 경우등에는 증점개시온도는 70℃로 되고, 탄산나트륨(Na2CO3·10H2O)을 5중량% 첨가한 경우 등에는 증점개시온도는 45℃로 되며, 이들의 온도에서 메틀로즈 60SH-4000는 흡착수분을 주위에 방출하여 발열반응을 억제한다.
더욱, 메틀로즈 60SH-4000의 증점개시온도는 Al2(SO4)3·18H2O를 5중량% 첨가한 경우에도 50℃로 되고, 이 온도에서 메틀로즈 60SH-4000가 흡착수분을 방출하여, 금속가루주위의 유리수분량을 증대시키어 발열반응을 억제한다.
상기 증점제의 증점개시온도를 조정하는 첨가물로서는, 전기의 염화나트륨이나, 탄산나트륨과 또는 황산알루미늄등의 무기물이나 수화물, 에탄올등의 저급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클리세린등의 다가알코올, 상기의 흡수성폴리머나 증점재등을 그 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폴리 N-비닐아세트아미드로서는, N-비닐아세트아미드를 라디칼 중합시키어 얻어지는 것이고, 물에 가용성인 직쇄구조의 것과, 물에 불용성인 가교구조를 가지는것등이 있고, 이 불용성의 폴리 N-비닐아세트아미드에는, 그 가교밀도의 차에 의해, 겔화제로서 작용하는 미크로겔을 들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N-비닐아세트아미드아크릴산 나트륨공중합체(쇼오와전공주식회사제 상품명GE 1167), N-비닐아세트 아미드호모폴리머(쇼오와 전공주식회사제 상품명GE-191)또는 N-비닐아세트아미드 가교체(미크로겔)(쇼오와전공주식회사제상품명GX-205)등으로 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들수 있고, 더욱, 이들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기도 하거나, 이들과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친수성을 향상하여도 좋다. 이것들의 증점제는 주로, 물이나 금속의 염화물수용액을 흡수하여, 조도를 증대시키든가 도는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물로서는 발열물질로서, 유기물을 쓰는 것도 가능하지만, 반응에 따라서 다른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철분, 아연가루, 알루미늄가루 또는 마그네슘분 혹은 이것들의 2종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합금의 분말, 또한, 이들중 2종이상을 혼합한 혼합금속분등이 사용되지만, 특히, 이들 금속분중에서는 안전성, 취급성, 코스트, 보전성및 안정성등의 관점을 종합하여 가장 우수한 철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성분으로서는 카본블랙, 흑연 또는 활성탄등이 그 예로서 열거되고, 금속의 염화물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등의 알칼리금속의 염화물,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염화물등을 그 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무기계 혹은 유기계의 보수제로서는, 물을 보수하여, 발열조성물중의 수분이 부족하고, 발열반응이 둔화하면 물을 방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발열조성물중의 공극율을 향상시키어 공기와 발열조성물과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퍼라이트, 크리스트바라이트, 바미큐라이트, 실리카계다공질물질, 규산 칼슘등의 규산염, 규석, 규조토, 알루미나등의 반토, 운모분이나 쿠레등의 반토규산질, 활석등의 고토규산질, 실리카분 또는 목분이나 펄프분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정제나 계면활성제 또한 소포제로서는 폴리인산나트륨등의 통상의 pH 조성제외에, 이 분야에서 쓰이는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물에 있어서는, 수분의 일부를 기재 및/ 또는 피복재등에 흡수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사용할 때에는 공기와의 접촉이 잘 되도록 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 발열체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발열체의 특징은, 본 발명물을 적어도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시트상포대재내에 적층, 봉입되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 본 발명물로서는 전술의 것을 들 수 있는 것이고, 더구나 상기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를 상기 시트 상포대재에 흡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 시트 상포대재가,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와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로부터 되어, 이 개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짐과 동시에 흡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인쇄든지 코팅등에 의해서, 초박형의 발열체가 형성되지만, 발열체가 얇게 형성되면, 포대내에 있어서의 발열조성물에 의한 공기중의 산소가 소비됨에 따르는 감압만으로서는, 발열체의 박형화(두께1mm정도이하),경량화를 꾀하면, 단위시간 당의 발열반응량이 저하하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감압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유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재및/ 또는 피복재등에 발열조성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시키어 그 이동, 편중을 막는것이 바람직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기재및/ 또는 피복재에 있어서의 적어도 본 발명물과의 접촉개소에서 그 표면에 물리적으로 요철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재및/ 또는 피복재가 흡수성을 가지는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기재및/ 또는 피복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물과의 접촉개소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물로부터의 흡수에 따르는 말착성과 이들의 요철에 의해서 본 발명물과의 결합성을 높이어 그 이동, 편중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기재및/ 또는 피복재가, 비통기성 혹은 통기성의 필름 또는 시트의 한면 혹은 양면에, 흡수성을 가지는 흡수재를 적층하고, 이것에 의해서, 기재및/ 또는 피복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물과의 접촉개소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물로부터의 흡수에 따르는 밀착성과 이들의 요철에 의해서 본 발명물과의 결합성을 높이어 그 이동, 편중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재및/ 또는 피복재로서는 흡수성을 가지는 흡수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흡수재로서는 흡수성을 가지는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흡수재로서는, 그 소재자체가 흡수성을 가지는가 아닌가를 막론하고, 결과적으로 흡수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성을 가지는 발포필름·시트(흡수성발포폴리우레탄등의 발포체)나 종이류, 흡수성을 가지는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든지 직포, 혹은 흡수성을 가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나 직포, 또는 흡수성의 다공질필름·시트등의 흡수재의 것외에 흡수성의 유무를 불문하고, 발포필름·시트,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에, 흡입제를 함유, 함침, 연입, 전사 또는 담지시키어 흡수성을 부여내지 증대시키기도 하고, 흡수성의 유무를 막론하고, 발포필름·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에, 본 발명물의 평면형상으로 절단한 흡수성의 발포필름·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등의 흡수성소재를 본 발명물의 한면 또는 양면에 가하여 흡수성이 부여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특히, 기재및/ 또는 피복재에 있어서의 적어도 본 발명물과의 접촉개소에는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재및/ 또는 피복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물과의 접촉개소에는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물의 주연부에 있어서, 기재와 피복재를 점착 또는 열접착 혹은 열융착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기재및/ 또는 피복재의 표면의 요철및/ 또는 흡수층에 본 발명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매설내지 접합하고,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물의 이동, 편중을 일층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물이 포대내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발열조성물이 편중되어 발열온도가 흩어지거나 특이하게 높은 온도로 발열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흡수층으로서는 전술한 흡수성폴리머및/ 또는 증점제로 형성된 층, 혹은 전술의 필름상내지 시트상의 흡수재를 들수 있다.
또한, 기재및/ 또는 피복재의 표면은 평활면만으로도 좋지만, 본 발명물과의 결합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적어도 38 dyne이상, 바람직하게는 40 dyne이상의 습윤지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재및/ 또는 피복재가, 표면이 평활한 필름 또는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표면을 코로나처리등의 물리적처리에 의해서 조황화(粗荒化) 즉 요철화하고, 이것에 의해서 습윤지수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재및/ 또는 피복재에 있어서의 본 발명물의 접촉개소에 흡수층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발열조성물의 수분을 흡수하는 힘에 의해서 해당 발열조성물에 있어서의 수분이외의 다른 성분이나 기재및/ 또는 피복재에 가가이 당겨지고, 그 일부분이 흡수층에 침윤하여 강력한 앵커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특별히 표면을 조황화하는 처리는 불필요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발열체로 사용되는 기재및/ 또는 피복재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조성물을 열원으로 하고 있는 결과, 기재와 피복재로 형성된 포대재의 적어도 한쪽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을 요하지만, 이 기재및/ 또는 피복재로서는, 단일층의 것과, 두께방향에 복수층을 적층한 것이 포함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적층으로는 히트셋트, 접착, 점착, 라미네이션등에 의해서 층이 전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접합되거나, 혹은 각층이 단지 포개여지고, 예컨대 주연부나 중앙부등의 국부로 층을 히트시일, 호트멜트계접착제 혹은 점착제등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물에 있어서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열조성물을 고속의 인쇄나 코팅등에 의해서 적층할 수 있고, 기재상에 전사, 인쇄, 모형처리한 판을 깊은 그라비아 인쇄, 취기 또는 코팅등에 의해서 적층함으로써, 예컨대, 기재의 송부속도가 매분160-200m/ 분 정도로 고속이고,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예컨대 0.02-1.5mm 정도의 얇은 막두께에, 더구나, 두께를 균일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물을 기재상에 놓을 수 있는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고정밀도로 또한 균일하게 적층하고, 또한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막두께를 예컨대 0.02-1.5mm 정도, 바람직하게는 0.1-0.5mm 정도에 얇게 하여 적층시킬 수 있는 결과, 전체로서, 0.5-2mm 정도의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처리의 고속화, 부착영역제어의 고정밀도화, 박육화및 막후의 균일화를 꾀하기 위해서, 롤필름상 또는 로울시트형상의 기재를 일정속도, 예컨대 160-200m/분 정도의 고속으로 보내면서, 그 기재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고, 더욱 그 위에서 롤필름상 또는 로울시트상 피복재를 피복하면 좋다. 이때, 본 발명물이 접착제와 같은 역활을 하여, 기재와 피복재를 접합하기 때문에, 반드시 발열조성물 주위를 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발열체는 이와 같이 필름상 도는 시트상의 기재표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막두께가 얇은 본 발명물을 적층시킨 후, 이 발열조성물을 덮도록 하는 것 같이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기재와 피복재를 본 발명물을 통해 이룬다. 즉, 본 발명물이 점착제와 같은 역활을 하는 것이다. 물론, 품질 및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하기 위해서, 기재와 피복재를, 본 발명물의 주위부에서, 점착, 열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서 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및/ 또는 피복재가, 단일층(단일의 필름또는 시트)의 경우에는, 전술의 것과 같이, 본 발명물의 이동, 편중을 막기 위해서, 표면평활성 필름·시트로서는 그 표면을 거친면(요철면)으로 하기도 하고, 발포필름·시트, 종이,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이 흡수성을 가지는 소재, 예컨대 흡수성의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때에는 그대로 쓰기도 하지만, 이들의 흡수성을 가지지 않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때에는, 이들에 흡수제를 함유, 함침, 전사 또는 담지시키어 흡수성를 발현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폰지등의 발포필름·시트, 종이, 부직포, 또는 직포등을 쓰면, 후술하는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기재가 복수층, 즉 2종이상의 필름 또는 시트를 적층한 것으로서는 전술의 것을 들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물을 기재와 피복재의 사이에 개재하는데 있어서, 기재표면에 적층된 본 발명물상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적층혹은 살포하여, 사용때의 발열온도의 시작을 빠르게 하거나, 사용때의 온도특성을 변화시키는 것도 좋다. 이 경우, 그 적층 혹은 살포량은, 온도특성을 악화시키기 않은 범위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1-250g/m2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흡수제로서는 상기의 흡수성폴리머나 증점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 상면에 탄소성분으로 코팅한 철분, 혹은 철분(A)과 탄소성분(B)와, 이 (A)와(B)의 합계량에 대하여 5중량% 이하의 물을 가한 혼합물이 적층되고, 이에 의해서 적층때의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거나, 사용때의 발열온도의 시작을 빠르게 하기도 하고, 또한 사용때의 온도특성을 변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탄소성분으로 철분을 코팅하는 방법으로서는, 압압형(狎壓型)의 혼합기, 예컨대 호소카와미클론사제 AM-15F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철분100중량부에 대하고, 탄소성분 0.1,10중량부의 비율로 하여, 회전수 500-1500rpm에서, 그리고 10-80분 혼련하여 얻어진다.
또한, 철분(A)과 탄소성분(B)와, 이 (A)와(B)의 합계량에 대하여 5중량% 이하의 물을 가한 혼합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호소카와미클론사제 AM-15F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철분100중량부에 대하고, 탄소성분 0.1-10중량부, 물 0.3-5중량부, 특히 물 0.5-3중량부의 비율로 하여, 회전수 500-1500rpm에서, 그리고 10-80분 혼련하여 얻어진다.
이와 같이 미량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분진의 비산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기재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고, 더욱이 본 발명물을 피복재로 피복할 때,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를 본 발명물의 적층형상으로 절단한 것, 특히 압지나 티슈페이퍼등의 가정용 박엽지등, 흡수성이 높은 필름 또는 시트를 본 발명물의 적층형상으로 절단한 것을 이용하여, 이것을 상기 본 발명물의한 면위에 재치하거나, 혹은 이것으로서 본 발명물의 양면을 협지하고, 이어서, 피복재로 봉하여도 좋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 또는 시트에 흡수제를 담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필름 또는 시트에 흡수제의 용액을 함침시키고, 용매를 증포시키거나, 혹은 필름 또는 시트에 흡수제를 내뿜어, 도착(塗着), 연입, 압착, 적층 또는 배합등에 의해서 부착시키거나, 흡수성의 섬유를 부직포나 직포에 짜넣거나, 혼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및/ 또는 피복재는 인장강도등이 필요한 기계적강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더구나, 몸표면에의 친밀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체로서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인체에 있어서의 만곡부나 신축부와 굴신부에 더욱안락하게 적용되고, 또한 이 신축부와 굴신부에 일층 더 쉽게 융화하기 위해서, 기재 및 피복재가, 즉 발열체의 포대재가, 신장성의 필름 혹은 시트, 특히, 신축성의 필름 혹은 시트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상포대재가 신장성의 소재, 특히 신축성의 소재로 형성된 것이, 극히 신축하기쉽고, 팔꿈치든지 무릎등의 관절부와 어개나 팔등의 인체에 있어서의 만곡부나 신축부와 굴신부에 한층 더 우수한 밀착성을 가지고, 더구나 사용중에 뻣뻣한 값이나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더욱 사용감이 양호한 것 외에, 사용중의 박리가 확실히 방지되기 때문에, 한층 더 우수한 온열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 신장성의 기재및 피복재로서는, 예컨대 신장성이 높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신축성의 기재 및 피복재, 요컨대 신축성의 필름 혹은 시트로서는, 신축성의 소재로 형성된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특히, 신축성으로서, 또한 본 발명물과의 결합성이 높은, 신축성의 발포필름·시트,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등을 들 수 있고, 이들자체가 흡수성을 가지든가 혹은 흡수성의 유무를 불문하고, 이들 자체에, 흡수제를 함유, 함침, 부착, 연입, 전사, 적층 또는 담지시키어 흡수성을 부여내지 향상시킨 것이, 본 발명물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배리어층을 제거하고, 본 발명물의 다공질로, 공기와의 접촉이 적당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의 필름 혹은 시트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천연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탄성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신축성이 높아 취급이 쉽고, 또한 열가소성탄성중합체는 열융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 발열체의 제조가 극히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 기재와 피복재가 점착성, 열융착성 혹은 열접착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문제가 안되지만, 품질과 신뢰성의 가열층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 기재와 피복재를 발열조성물의 주위부에 걸쳐서 점착, 열접착 혹은 열융착에으해 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고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부타디엔고무, 이소푸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클로로푸렌고무, 이소부틸렌이소푸렌고무, 폴리알킬렌·술피드, 실리콘고무, 폴리(클로로·트리폴로로에틸렌), 플루르프화비닐리덴-6플루오프화르로필렌·코폴리머, 우레탄고무, 프로필렌옥시드고무, 에피쿨로로히드린고무, 아크릴산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고폴리머, 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2-클로로에틸비닐에테르·코폴리머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탄성중합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올레핀계탄성중합체, 폴리우레탄계탄성중합체 또는 폴리에스테르계탄성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탄성중합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디엔·디폴리머,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코폴리머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재 및 피복재의 두께로서는, 용도에 의해서 크게 달라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발에 착용하는 경우 10,5000㎛, 인체에 직접 붙이어 사용하는 경우 10-500㎛정도, 특히 12-250㎛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는, 10-2500㎛, 특히, 12-1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및 피복재의 막후가 10㎛미만의 경우에는, 필요한 기계적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것외에, 막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기재의 막두께가 5000㎛을 넘는 경우에는 스폰지등의 발포체만으로도 유연성이 저하하여 몸표면에의 친밀성이 현저히 저하함과 같이, 몸표면의 변형이나 이동에 대하는 밀착이 저하하는 것외에 느낌이 나쁘게 되어, 또한, 발열체전체의 두께가 두껍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특히 기재의 두께를 10-2500㎛의 범위, 특히 12-1000㎛의 범위로 하면, 소요의 기계적강도가 얻어짐과 동시에, 소요의 유연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재및/ 또는 피복재로서는,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지는 발포 혹은 비발포의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지만, 발포된 필름 또는 시트에 본 발명물을 식입시켜서 그 이동과 편중을 일층 방지할 수 있다.
이 고분자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트레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등을 열거할 수 있다.
적층형의 기재나 피복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일부를 통기성을 가지는 필름 또는 시트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 통기성을 가지는 필름 또는 시트로서는, 발포 또는 비발포의 필름 또는 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도는 다공질필름·시트, 포등이 사용되고, 포로서는, 직포, 편포, 부직포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발포의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필름 또는 시트를 형성하는 때에 연신시키어 통기공을 형성하는 방법, 또한 이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특정성분을 추출하여 통기공을 형성하는 방법외에, 필름에 형성한 후에 펀칭이나 세침(細針) 등에 의한 천공에 의해 기계적으로 통기공을 형성하는 방법등을 들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다공질의 필름 또는 시트가 얻어진다.
또한,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지는 발포시킨 필름 또는 시트는, 발포에 의해 표리양면에 열린 독립기포 또는 연속기포가 형성되고, 또한, 발포후에 필름 또는 시트를 압박하여 그 내부에 형성된 독립기포 또는 연속기포를 파열시키어 표리양면에 연통시킴으로써 통기성이 부여된것으로, 발포에 의해서도 통기성을 가지지 않는 기밀성의 것을 들 수 있다.
종이류, 직포, 편포 혹은 부직포등의 포는 조직상, 표리양면에 연통하는 통기공 내지 통기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을 가진다. 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천연섬유, 비스코스섬유등의 천연소재를 쓴 재생섬유,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 및 이들중 2종이상의 혼합물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섬유로서는, 면, 삼등의 식물성 섬유, 비단, 짐승의 털등의 동물성 섬유를 들 수 있고, 또한, 합성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염화물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포대재에 있어서, 그 측방향 혹은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방향 또는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쪽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그 통기성은, 발열조성물의 반응속도 내지 발열온도의 제어에 큰 영향을 부여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온열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저온화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통기성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통기성을 고정밀도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투습도로써 필름 또는 시트의 통기성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투습도가 릿시법(Lyssy법 L80-4000H형)으로 50-10,000g/m2·24hr의 범위내로 해야하고, 특히 200-6,000g/m2·24hr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및/또는 피복재가 복수층의 통기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체로서의 투습도를 릿시법(Lyssy법)으로 50-10,000g/m2·24hr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습도가 50g/m2·24hr미만으로서는 발열량이 적어져서, 충분한 온열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한편, 10,000g/m2·24hr를 초과하면 발열온도가 높게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발열시간이 짧게 되는 우려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통기성필름의 투습도를 100-1,000g/m2·24hr의 범위로 함에 의하여, 안전하고 충분한 온열효과가 장시간에 걸치어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런데, 릿시법(Lyssy법)으로서는 세계각국의 공업규격에 준한 방법이고, 예컨대 JISZ0208로서는, 온도40℃, 상대습도차90% RH에 유지하도록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본 장치로는, 100%상대습도의 상태에 있는 하부챔버와, 고감도의 습도센서를 설치한 상부챔버의 경계면에 측정 샘플이 삽입되어, 습도센서가 있는 상부쳄버의 상대습도를 10%RH(100%-90%)에 유지하도록 하고, 이것을 중심으로하고, 약 ±1%의 폭(△RH) 즉 약 9%로부터 약11%로 습도가 증가하는데 필요한 시간(수초)를 측정하여, 미리 투과도 기지의 표준샘플을 이용하여 동일조건으로 행한 캘리브레이션이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투과도을 구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기밀성의 외포대재에 봉입하기 까지의 임의의 시점에서, 기재 또는 피복재에 있어서, 그 어느쪽이 한편의 노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그 어느쪽의 통기성을 갖는 쪽이, 직접 몸표면이나 착의에 해당 발열체를 점착,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점착제층으로서는 외리에 점착가능한 층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습포제 또는 점착제로 형성된 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으로서는, 용제형점착제, 유탁액형점착제 또는 호트멜트형점착제로 형성된 층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고무계점착제, 아세트산비닐계점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점착제, 폴리비닐아세탈계점착제, 염화비닐계점착제, 아크릴계점착제, 폴리아미드계점착제, 폴리에틸렌계점착제, 셀룰로즈계점착제, 폴리술파이드점착제 또는 호트멜트형고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점착제로 형성된 층을 들수 있지만, 이들중, 피부점착성이 양호하고, 더구나 피부자극이 적은 것 외에, 온열을 부여하더라도 점착력의 저하가 적은 등의 이유에 의하여, 고무계점착제, 아크릴계점착제 또는 호트멜트형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점착제로 형성된 층이 바람직하고, 특히 호트멜트형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점착제의 층은, 초기점착력이 강하고, 가온때의 점착성이 대단히 우수하다.
이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5-1000㎛, 특히, 10-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착제층의 두께가, 5㎛미만이 되면 소요의 점착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한편, 1000㎛을 넘으면 부풀어서 사용감이 나쁘게 되는 것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 발열체로 쓰이는 호트멜트형고분자물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A-B-A형블록공중합체, 포화폴리에스테르계고분자물질, 폴리아미드계고분자물질, 아크릴게고분자물질, 우레탄계고분자물질, 폴리올레핀계고분자물질 또는 폴리올레핀계공중합체 혹은 이것을의 변성체, 혹은 이것들의 2종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변성체로는, 호트멜트형고분자물질의 성분의 일부를 다른 성분으로 대체하여 호트멜트형고분자물질의 성질, 예컨대 호트멜트형고분자물질의 점착성의 개선이나 안정성등을 변화시키는 것을 뜻한다.
상기 A-B-A형블록공중합체에 있어서, A블록은 스티렌, 메틸스티렌등의 단일비닐치환방향족화합물A로, 비탄성종합체블록이고, B블록은 부타디엔, 이소프렌등의 공역 디엔의 탄성중합체블록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블록공중합체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A-B-A형블록공중합체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칼리훌렉스 TR-1101, 칼리훌렉스 TR-1107, 칼리훌렉스 TR-1111(shell화학제), 혹은 필립 패트롤리엄제의 솔푸렌 418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 점착제에는, 소망에 의해, 다른 성분, 예컨대 다른 점착제, 점착제부여제, 노화방지제, 충전제, 점착조정제, 점착개량제, 착색제, 소화제, 증점제, 개질제, 곰팡이방지제, 항균제, 살균제, 소취제 또는 탈취제등이 적당향 배합되더라도 좋다.
이 점착제층은, 직접 기재 또는 피복재의 어느쪽 한편의 노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시킬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기재 또는 피복재에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기재 또는 피복재의 노출면을 거칠게 하기도 하고, 기재 또는 피복재의 노출면을 종이, 직포, 편포, 부직포, 발포필름등의 표면이 거친 필름 또는 시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발열체에 있어서는, 기재및/ 또는 피복재의 노출면에서의 점착제층이, 습포제를 함유하는 습포층, 혹은 경피흡수성약품을 함유 또는 담지하고 있는 약품함유층인 것이, 온열효과에 부가하여, 습포효과나 약품에 의한 치료 내지 약리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에 경피흡수성의 약품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국소치료효과를 향상시키거나, 전신치료효과를 향상시키거나, 온열효과에 의해서 순환이 활발해진 혈액등에 약물을 흡수시키어 더욱 효과적으로 생체내의 각부에 약물을 순환시킬 수 있기때문에, 각부위의 투여효과를 더욱 높이는 데에 있어서 극히 바람직하다.
상기 겸피흡수성약품으로서는, 경피흡수성의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피부자극제, 진통소염제, 중추신경작용제(수면진정제, 항간질제, 정신신경용 약제), 이뇨제, 혈압강하제, 관(冠)혈관확장제, 진해거담제, 항히스타민제, 부정맥용 약제, 강심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마취제등을 들수있다. 이들 약품은 일종 또는 필요에 응해서 2종이상 배합되어 쓰인다.
이 약품의 함유량으로서는 약효를 기대할 수 있는 범위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약리효과나 경제성과 점착력등의 관점에서, 경피흡수성의 약물의 함유량이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25중량부, 특히 0.5-15중량부의 범위로 적당히 결정된다.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는, 소망에 의해, 원적외선효과를 발현시키는데에 있어서, 발열조성물중 및 /또는 발열체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측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의 분말 혹은 성형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발열체조성물과 같이, 혹은 이것 대신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을 쓸수 있고, 이 세라믹은 해당 발열조성물과 같이 포대재에 봉입하거나, 본 발명물과 같이 하여 담지체에 담지시키거나 할 수가 있어, 또한 이 세라믹은 점착층에 담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발열체의 제조에 있어서, 경피흡수성약품을 쓰는 경우에는, 상술한 발열체, 혹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등을 병용하여, 온열효과에 의해 혈행등의 전신작용을 높이는 것에 의해, 약품의 경피흡수성을 높이어 전신치료효과나 국소치료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발열체는, 겨울철에는, 단지, 인체에 온열을 공급하여 추위를 이기게하여, 쾌적히 지낼수 있는것 뿐만아니라, 국소응고, 동통 및 추위에 따르는 증상, 예컨대 견비통, 근육통, 근육응고, 요통, 손발냉증, 신경통, 류마티즘, 타박상, 염좌등의 질환에 사용되고, 온열에 의한 치료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속하는 발열체에 있어서는, 기재 및 /또는 피복재나, 비통기성 혹은 통기성 필름 또는 시트의 한 면 혹은 양면에 적층된 발포필름·시트,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로 형성되어 있어서, 한면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적층하여, 발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특히 이 경우에 있어서, 다른 면에 부직포든지 직포를 사용하면 느낌이 좋게 되고 사용감이 양호하게 되기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 제1방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시킨 발열조성물, 즉 본 발명물을 제조하는 공정(A)을 설치한다.
본 발명물로서는 전술의 것과 같은 것을 들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전체성분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이어서, 균일하게 혼합하더라도 좋고 이 대신에, 상기 전체성분중 고형성분만을 혼합기에 투입한후, 이 혼합기로 이들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이것에 물, 혹은 금속의 염화물의 수용액 또는 분산액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것에 의해서, 전술의 본 발명물을 얻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각 고형성분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이어서, 이것을 균일하게 혼합한후, 여기에 물을 투입, 혼합하여, 얻어진 본 발명물의 품질은 안정된 것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제1방법으로 쓰이는 혼합기로서는 본 발명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리본 믹서, 스파프탄믹서, 스크류블렌더, 로울 믹서, 벤버리믹서 또는 니더-등을 들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수분이 잉여의 경우, 예컨대 잉크상태의 발열조성물의 때에는 어떠한 혼합장치를 쓰더라도 좋다. 한편,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때에는, 수분의 비율이 비교적 적고, 따라서, 믹서나 니더-등과 같이, 성분을 가압하면서 개어넣는 것 같은 장치가, 발열조성물을 크림상태로 하기 쉽고, 더구나 짜내여진 수분이 유리물이 되거나,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제조후, 이 유리된 물을 발열물질주변의 겔이 흡수하는 결과, 이 유리 된 물 혹은 함수겔이 배리어층(공기차단층)으로서의 역활을 하여, 발열조성물의 안정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정(A)으로 얻어진 본 발명물을,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표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전사, 적층하는 공정(B)을 실시한다.
여기서 쓰이는 기재로서는 본 발명발열체로 설명한 것과 같이 때문에,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또한, 이 공정(B)에 있어서는, 기재표면에 스크린인쇄등의 인쇄나 코팅에 의해서 본 발명물이 임의의 형상으로 전사, 적층되지만, 이 본 발명물은, 기재표면에 있어서의 폭방향에서 1개소 혹은 2개소이상 적층하거나, 기재의 길이 방향으로 엇갈리게 적층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을 피복하도록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는 공정(C)을 실시한다.
여기서 쓰이는 피복재로서는 본 발명발열체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이 경우, 기재와 피복재를 본 발명물을 통해 합친다. 즉 본 발명물이 점착제와 같은 역활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기재와 피복재를, 본 발명물의 주위부에서, 봉착할 필요는 없지만, 품질이나 신뢰성을 더욱 향상하기위해서, 기재와 피복재를, 본 발명물의 주위부에서, 점착, 열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서 봉하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거,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서 발열하는 본 발명발열체를 얻는 것이기 때문이고,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 제2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의 한 면 혹은 양면에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흡수재를 놓고, 이 흡수재에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를 흡수시켜도 좋다.
이 흡수재로서는 상술한 것을 들수 있다.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거, 이하에 기술하는 여러가지의 메리트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요컨대 본 발명물을 사용하면, 스크린인쇄등의 인쇄나 코팅등에 의한 적층이 극히 용이하고, 또한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발열조성물을 포대재에 균등하게 분포시킬수 있는 것 외에, 본 발명물을, 발포필름·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 필름·시트로 형성된 기재나 피복재로 협착하면, 이 본 발명물은 침입·투묘성이 높아서, 이들의 기재나 피복재의 세공에 식입되어, 그 이동, 편중이 저지된다.
이 경우, 특히 기재 및/또는 피복재가 흡수성을 가지고, 이 기재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던가, 혹은 상기 기재상에 더욱 흡수층을 적층하고, 이 흡수층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여, 피복재로 피복하면, 해당 발열조성물의 전부 혹은 일부가 흡수성의 기재 및/또는 피복재, 혹은 이것들의 위에 형성된 흡수층에 일층 고정되기 쉽게 되는 결과, 그 이동, 편중이 방지된다.
또한, 인쇄나 코팅등에 의한 적층법에 의하면, 이 발열체를 극히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발열체가 얇으면, 단위시간 당의 발열반응량이 저하하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이 지지되는 것 외에, 유연하게 외피의 신축에 추종하기 쉽고, 사용감이 양호하게 된다.
덧붙여서,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흡수제의 점성수용액을, 발포필름·시트, 종이,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등의 시트상포대재에, 함침, 취기, 연입, 인쇄 또는 코닝등의 도장공법등에 의해서 적층, 건조하거나, 흡수제를 압착이나 연입등에 의해서 함유, 파지시키고, 즉 시트상포대재에 흡수성을 부여한후, 그 위에 본 발명물을 스크린인쇄나 코팅등으로 전사, 적층하면 분체의 투입공정이 없어지게 되어 장래의 의료용구나 의약품제조에 있어서의 GMP 기준을 만족하는 공장관리가 간단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쓰이는 흡수제로서는, 전술의 흡수성폴리머나 증점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의 메리트가 있지만, 특히, 본 발명물은, 인쇄나 코팅등에 의한 전사, 적층이 극히 용이하고, 또한 고속으로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분말상의 발열조성물과 비교하여, 표면적이 현저하게 작고, 공기의 공급량이 감소하여 발열반응을 실질적으로 정지하는 결과,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 및 발열조성물의 응고가 방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 잉여수분이나 유리된 물과 함수겔중의 수분의 일부를 기재 및/또는 피복재등의 포대재에 흡수시키면, 배리어층이 상실하여, 발열조성물이 다공질이 되어 공기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되는 결과, 사용때의 온도특성은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 제2방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제2방법은, 본 발명물을 형성하여, 이 본 발명물을,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표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적측한 후, 이 본 발명물 상면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적층 혹은 살포하고, 이어서, 이 발열조성물, 및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피복하는 것같이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또한,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 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제2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의 한 면 혹은 양면에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흡수재를 놓고, 이 흡수재에 본 발명물의 수분이 일부를 흡수시켜도 좋다.
이 흡수재로서는 상술한 것을 들수있다. 이경우, 본 발명물의 한면 혹은 양면과는, 본 발명물을 상면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적충 혹은 살포한 상태로 그 한 면 혹은 양면의 것을 말한다.
따라서, 피복재가, 본 발명물,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및 흡수재를 피복하는 것같이 피복된다.
본 발명 제2방법에 있어서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서 발열하는 본 발명발열체를 얻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포대재의 적어도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으로, 또한, 기재 및 피복재로서는 본 발명발열체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즉, 본 발명 제2방법은,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물 상면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적층 혹은 살포하고, 이어서, 이 발열조성물, 및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덮는 것같이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를 피복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고, 그 밖에 점은 본 발명 제1방법과 같기 때문에,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 제3방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고, 이어서, 그 위에서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상기 본 발명물의 점성에 의해,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를 합쳐서 적층체를 얻는다.
이 경우, 본 발명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를 붙여도 좋은 것이다.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본 발명물로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것을 들수 있으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도, 전술한 경우와 같이,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가 흡수성의 기재 및/ 또는 피복재에 흡수될때까지는, 공기와 접촉하더라도 본 발명물의 산화반응, 요컨대 발열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발열조성물의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 및 발열조성물의 응고가 확실히 방지되는 것외에, 본 발명물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로 적층할 수 있고, 더구나 본 발명물이 점성을 갖고 있어서, 포대재와의 접착도 되고 발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을 방지하고, 또한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을 극력 피할 수 있다.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 기재상에 본 발명물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헤드 코타등의 코타, 로울러, 아플리케이터-등에 의하는 도공이나 코팅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서 발열하는 본 발명발열체를 얻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또는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또한, 기재 및 피복재로서는 본 발명발열체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이어서, 얻어진 적층체를 임의의 형상으로 타발(打拔)하여 발열체를 얻는 것이다. 따라서, 기재와 피복재는 그 타공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 볼때, 기재 및 피복재로서는 종이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하는 공정은, 해당 적층체를 정지시켜도 좋고, 이 경우에는 동시에 적층체의 송부방향 및 이에 직각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복수의 적층체를 동시에 타발하는 것에 의해 한번에 다량의 발열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결과, 코스트 다운을 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예컨대 롤필름상 또는 로울시트상의 기재를 예컨대 매분 160~200m/분으로 보냄이면서, 그 위에 본 발명물을 적층시킨후, 롤 필름상 또는 로울시트상의 피복재를 로울로 그 위에 안내하는 방법으로 피복재를 본 발명물에 씌우고, 이에 의해서, 적층체를 얻는 경우에는 타발공정에서 적층체를 정지시키기 위해서, 일단, 적층체를 로울상에 권취하고, 이 로울을 간헐적으로 풀어 내면서 타발할 필요가 있게 되어,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됨 동시에, 제조시간이 길게 되는 것외에, 타발작업이 간헐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이는데에 있어서 한계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제조공정을 간단히 함과 동시에, 제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적층체를 그 제조때의 송부속도, 예컨대 매분 160~200m/분으로 보내면서, 롤프레스를 사용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타공하고,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발열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롤플레스를 쓰는 경우에는, 연속하여 적층체의 타공을 할 수 있는 것외에 적층체의 제조와 타공을 일관해서 연조업할 수 있기때문에, 단시간에 다량의 발열체를 완성시킬수 있는 결과, 적층체를 정지시키고 타발하는 방법에 비교하면 대단히 대폭적인 코스트 다운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적층체에 있어서 폭방향에 1개소 혹은 2개소 이상 연속하여 타발하거나, 적층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엇갈리게 복수 연속하여 타발함으로써, 단시간에 더욱 다량의 본 발명발열체를 제조하고, 한층더 대폭적인 코스트 다운을 꾀할 수 있다.
이 적층재의 타공형상에 관하여는, 얻어진 발열체의 용도에 응해서, 임의 부위를 덮는 형상으로 타발한다. 즉,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 얻어진 적층체가 원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타발하지만, 이 타발에 의하여 얻어진 본 발명발열체는, 예컨대 발용, 어깨용, 허리용등,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의 점성에 의해서, 기재와 피복재가 협쳐지지만, 합쳐진후에, 수분의 일부가 기재와 피복재에 흡수되고, 더구나 이 발열체는 비통기성의 외포대재에 봉입되어 유통되는 결과, 그대로 상품으로서 판매되더라도 좋다.
그렇지만, 이 타발된 본 발명발열체를 2매의 필름 또는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 개재와 동시에, 또는 , 이 개재후에, 2매의 필름 또는 시트를 해당 본 발명발열체 이상의 대형으로 타공하고, 타공과 동시에, 혹은 타공후에, 상기 본 발명발열체의 주연부에서, 상기 2매의 필름 또는 시트를 봉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2매의 필름 또는 시트중 적어도 한편 또는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이리 하여 더욱 신뢰성이 높은 본 발명발열체가 얻어진다.
즉, 이 공정에 의해서 임의 형상의 본 발명발열체가 얻어지지만, 그 내부의 발열조성물에 공급되는 공기량이 이 2매의 필름의 통기성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고, 이 때문에 본 발명물에의 통기성관리는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의 기재 및/또는 피복재의 통기관리와 같게 투습성을 기준으로 하여 관리되는 것이고, 또한, 투습도, 즉 2매의 필름중 1매의 필름과 기재 또는 피복재와의 적층필름 내지 시트의 투습도는 본 발명물 및 본 발명발열체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2매의 필름 또는 시트는 비통기성의 것과 통기성의 것을 들 수 있고, 더구나, 이것은, 점착성을 갖는 것 외에, 열접착성 내지 열융착성의 것을 들수 있다.
상기 점착성을 가진는 필름 또는 시트로서는, 베이스필름 또는 베이스시트에 있어서, 그 전면에 호트멜트계의 점착제로 통기성의 점착층을 형성하거나, 혹은 그 전면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통기성 혹은 비통기성의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고, 이 베이스필름 또는 베이스시트로서는 그 자체가 열접착성 내지 열융착성을 갖는가의 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긴 모양의 발열체를 형성한 이후이면, 이 긴형상의 발열체의 타발전에, 그 타발과 동시에, 혹은 타발후에 2매의 필름 또는 시트를 발열체의 주연부에서 봉착된다.
여기에 있어, 발열체이상으로 대형으로 타발하면, 해당 발열체의 크기이상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특히, 발열체의 형상과 닮은형 혹은 거의 닮은형으로서, 그 형상보다 수mm-20mm폭정도로 전제주위에 걸치어 연장된 대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이 연장부분을 봉착하고, 즉 발열체의 주연부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필름 또는 시트를, 점착, 열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서 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본 발명 제1-3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발열체의 어느 한쪽의 노출면의 전체면 또는 일부에 점착체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어느 다른 쪽의 적어도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제층으로서는 습포제를 함유하는 찜질층, 혹은 경피흡수성약물을 함유 또는 파지시킨 약물함유층이라도 좋지만, 이들은 본 발명발열체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이 점착제층에는, 원적외선 방사체 또는 자기체중의 적어도 1종이 함유 또는 파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 제1-3방법에서, 얻어진 발열체는 그 제조로부터 사용되기까지의 사이에 본 발명물중의 수분의 일부가 기재 및/또는 피복재 혹은 본 발명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놓인 흡수재에 흡수시키거나, 본 발명물중의 유리된 물 또는 함수겔중의 수분의 일부가 기재 및/ 또는 피복재 혹은 본 발명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놓인 흡수재에 흡수되는 결과, 다공질로서 공기와의 접촉이 양호하고, 더구나 공기와 잡촉하면 빠르게 발열반응이 생기는 발열체가 얻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본 발명발열체는, 제1도의 단면모식도에 도시한 것처럼, 세로130mm, 가로95mm의 직사각형의 편평한 포대(포대재)(1)내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요컨대 본 발명물(2)을 봉입한 것으로, 상기 포대(1)는, 이 경우, 비통기성을 가지는 기재(3)와, 통기성을 가지는 피복재(4)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기재(3)의 노출면에는 두께100㎛의 점착제층(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3)는 충분한 유연성이 얻어지도록, 두께40㎛의 비통기성 폴리에틸렌필름(3b)에서, 그 한 면에 흡수성폴리머함유 폴리에스테르부직포(두께 210㎛ 산요화성사제선에트 IM-5000MPS10g/m2)(3a)를, 또한, 기타 면에 레이욘섬유함유량 60중량%의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혼합부직포(두께 140㎛)(3c)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피복재(4)는 기계적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충분한 유연성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예컨대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제다공질필름(4a)의 한 면에 두께 150㎛의 나일론제부직포(4b)를 적층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 이 피복재(4)의 투습도는 투습량이 릿시법으로 400g/m2·24hr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더욱, 상기 접착제층(5)은 이피가축에 점착하기 위한 것이고, 이 점착제층(5)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틸렌블록공중합체계의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물은(2)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이다. 즉, 유효성분인 철분(통화철분사제DKP)70중량부에 대하여, 탄소성분으로서의 활성탄(노릿트사제 GL-50)10중량부, 금속의 염화물로서 식염(염화나트륨)2중량부, 증점제로서(Sin-etsu화학사제 상품명 메틀로즈 60SH-4000) 0.7중량부, 계면활성제 카오주식회사제상품명 데몰 EP 0.2중량부 및 pH 조정제로서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0.1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배합물에 물을 가하여,온도 20℃에서의 점도가 250,000cps 정도가 되도록 조제한다.
요컨대, 활성탄, 증점제,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식염 및 철분의 순으로, 또한 상기 배합비율로 혼합기(특수기화공업주식회사제 T. K. high 비스 mix2P-100형 용량 100 liter)에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후, 다시 교반하면서 물을 투입하고, 15분간 혼련을 한다.
그 후, 블레이드, 용기내의 부착물을 청소하고 다시, 20분간 혼련하고, 점도측정 및 비중측정을 한다. 점도가 하기방법으로 25만cps 전후로 되도록 수분조정을 한다. 수분량은 철분(동화철분사제 DKP) 100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이었다. 얻어진 본 발명물은 점도가 23만cps 이었다.
한편 블레이드의 회전수는 출발부터 종료까지 10rpm으로 행하였다.
이 본 발명물을 10℃로 1시간 보존한바 점도가 상승하지만, 다시 혼련하면 점도가 하기방법으로 25만cps이고, 이것을 기재(3)상에 스크린인쇄에 의해서 적층하였다. 이 경우도 블레이드의 회전수는 출발으로부터 종료까지 10rpm에서 행하였다.
또한, 상기 점도는 TOKI MEC INC. 제(VISCOMETER BH형 점도계)로, # 7의 로타를 사용하고, 회전수 2rpm으로 하여, 비커내경(85ømm)의 비커를 사용하고 측정온도 20℃로 측정한 값이다.
이 본 발명물(2)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표면적이 작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제한되는 것외에, 유리된 물 내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겔이 철분과 공기와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단위시간 당의 산화량이 현저히 제한되는 결과, 그 위에 필림상 혹은 시트 상의 피복재로 적층 되고, 발열체가 얻어지기 까지의 사이의 산화반응이 거의 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물(2)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점조체고, 이 본 발명물(2)은 스크린인쇄에 의해서 기재(3)에 있어서 이 흡수성폴리머함유 폴리에스테르부직포(3a)표면에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적층영역의 제어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막후를 대단히 얇고, 더구나 균일히 제어할 수 있는게 되고, 또한 기재(3)에 있어서의 흡수성폴리머함유 폴리에스테르 혼합부직포(3a)와 본 발명물(2)과의 결합력에 의해서 본 발명물(2)이 포대(1)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물(2)의 막후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발열체를 초박형으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로서는, 폭 130mm의 폴필름상의 기재(3)를 매분 180m의 속도로 수평으로 송부하면서, 그 상면에 본 발명물(2)을 막두께 약 0.5mm 스크린인쇄하고, 이 스크린인쇄의 직후에 피복재(4)를 피복하고, 연이어서, 그 인쇄영역의 주위를 히트시일에 의해서 봉하고, 폭방향의 히트시일영역의 중앙에서 잇달아 제단함으로써, 각 발열체의 주위의 시일폭(L)이 7mm에서, 더구나 초박형의 봄 발명발열체를 제조하였다.
또, 재단된 각 본 발명발열체는, 잇따라, 포장공정에 보내지고, 도시하지않은 기밀성을 가지는 외포대내에 봉입된다.
본 발명물(2)은, 기재(3)표면에 스크린인쇄된 다음, 그 수분의 일부가 서서히 기재(3)에 흡수되는 것이고, 또한, 그 위에서 피복재(4)가 피복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물(2)이 기재(3)에 스크린인쇄되고 나서 외포대에 봉입되기까지의 시간은 극히 단시간이고, 그사이에 발열반응이 가능하게 되는 정도로 본 발명물(2)의 수분이 기재(3)에 흡수되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제조공정에서의 본 발명물(2)의 발열이 일어나는 염려는 거의 없고,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이나, 발열조성물의 품질저하가 발생할 염려는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물(2)의 배합으로부터 기재(3)에서 스크린인쇄까지의 공정에서 본 발명물이 응고하는 염려도 거의 없어지고, 응고에 의한 보류의 저하, 조업의 중단, 조업시간에 재한 제약, 제조장치의 세정의 곤란성 및 위험성, 제조장치의 세정의 빈번성, 응고물처리의 곤란성등의 여러가지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포대에 봉입한후, 24시간 경과하고 나서 외포대를 찢어서 사람의 몸표면에 점착시키어, 통상으로 사용한바 1, 2분정도롤 발열온도가 약 38℃까지 승온하고, 이후 38-41℃로 9시간이상에 걸쳐서 발열하였다. 이 사용중, 본 발명물(2)은 전혀 포대(1)내에서 이동함이 없이, 전면에 걸쳐 평균적인 발열이 확인 되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는 본 발명발열체는, 제2도의 단면모식도에 도시한 것처럼, 세로 130mm, 가로 95mm의 직사각형의 편평인 포대(포대재)(1)내에 본 발명물(2)을 봉입한 것으로, 상기 포대(1)는, 비통기성을 가지는 기재(3)와, 통기성을 가지는 피복재(4)로 이루어지고, 이 경우, 상기 기재(3)의 노출면에는 두께 100㎛의 스티렌-이소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계의 점착제층(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3)는, 충분한 유연성이 얻어지도록, 두께 40㎛의 폴리에틸렌필름(3b)의 양면에, 두께 140㎛로 또한 레이욘섬유 함유량 60중량%의 레이욘·폴리에스테르 혼합부직포(3a·3c)를 라미네이트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피복재(4), 상기 본 발명물(2) 및 상기 접착제층(5)으로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물(2)을 스크린인쇄로 기재(3)표면에 적층시키어, 그 후, 본 발명물(2) 표면에, 수작업으로 흡수제(Nihon 촉매제고흡수성수지 아쿠아클릭 CS-6HS)를 살포하고 흡수층(눈금량 20g/m2)(6)을 형성하고, 그 후, 피복재(4)를 씌우고 히트시일주위를 히트시일에 의해서 봉함으로써, 각 발열체의 주위의 시일폭(L)이 7mm로, 더구나 초박형의 본 발명발열체를 제조하였다.
결국,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2)의 수분의 일부가 흡수층(6)에도 흡수되는 것을 제외하면, 이 본 발명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이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전례의 것과 같고, 따라서, 그들의 작용 내지 효과도 상기 제1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하는 본 발명발열체는, 제3도의 단면모식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흡수층(6)과 본 발명물(2)과의 상하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전례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본 발명발열체는, 기재(3)상에, 이하의 방법으로 평량(坪量)20g/m2의 흡수층(6)을 형성하였다. 즉, 흡수제(Nihon 촉매제고흡수성수지 아쿠아클릭 CS16HS)를 사용하고, 그의 4중량%의 수용액을 스크린인쇄로 두께 500㎛로 인쇄하고, 이것을 건조하여 평량 20g/m2의 흡수층(6)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 관하는 본 발명발열체는, 상기 기재(3)에 있어서의 흡수층(6)의 표면에 상기 본 발명물(2)을 스크린인쇄하여 제조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례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결국, 이 본 발명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이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전례의 것과 같고, 따라서, 그들의 작용 내지 효과는 전례와 같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하는 제4실시예로서 신체중 어깨를 가온하기 위한 본 발명발열체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깨를 덥히는 본 발명발열체의 일예로서, 제4도에 이 어깨용의 본 발명발열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발열체는, 흡수성을 가지는 기재(3)을 풀어 내면서, 이 기재(3)상에 본 발명물(2)을 평면에서 보아 표단(瓢簞)형상으로 스크린인쇄하고, 이어서, 이 본 발명물(2)의 주위의 노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위에 피복재(4)를 로울러로 안내, 적층하고, 이에 의해서, 기재(3)와 피복재(4)를 상기 발열조성물(2)을 협지하여 접착한 다음, 상기 기재(1)의 노출면에 두께 50㎛의 점착제층(5)을 형성하고, 이리하여 얻어진 긴형상의 발열체를 로울프레스로 본 발명물(2)로부터 7mm 정도의 크기로 넓히고, 다음에 어깨의 소망부분을 덮는 형상으로, 이 실시예로서는, 평면에서 보아 표단형상에 타발하는 순서로 제조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재(3)와 피복재(4)와의 본 발명물(2)에 의해서 합쳐진다.
제5도의 요부단면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기재(3)로서는, 눈금량 80g/m2정도의 흡수성의 레이욘부적포(3a)와 비통기성을 가지는 두께 50㎛정도의 폴리에틸렌시트(3b)를 라미네이트하고, 이 기재(3)에 있어서, 그 레이욘부직포(3a)상에 본 발명물(2)이 직접접촉하도록 인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복재(4)는 눈금량 80g/m2정도의 흡수성의 레이욘부직포(4a)상에 통기성을 가지는 두께 50μm정도의 폴리에틸렌시트(46)를 라미네이트한 것으로 그의 투습도는 300g/m2. 24hr의 것이며, 이 피복재(4)에 있어서, 본 발명물(2)이 직접접촉하도록 해당 피복재(4)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층(5)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블록공중합체계의 것이 사용되고, 이 접착제층(5)의 기재(3)에의 점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미리 상기 기재(3)의 폴리에틸렌시트(3b)의 노출면을 코로나처리에 의해 40 dyne이상의 습윤지수를 가지는 정도로 거칠게 만들었다.
상기 본 발명물(2)은, 발열물질인 철분(통화철분사제DKP)100중량부에 대하여, 흡수성폴리머로서(산요화성사제상품명 선웨트 IM-5000MPS) 0.21중량부, 증점제로서(다이이치 공업제약사제상품명 셀로겐 EP) 1.4중량부, 활성탄 노릿트사제 SA-SUPER) 4.21중량부,금속의 염화물로서 염화나트륨 4.87중량부 및 pH 조정제로서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0.2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배합물에 물을 가하여, 온도 20℃에서의 점도가 300만 cps 정도가 되도록 조제하고 있다.
요컨대, 활성탄, 증점제, 흡수성폴리머, pH 조정제, 식염 및 철분의 순으로, 또한 상기 배합비율로 혼합기(특수기화공업주식회사제 T. K. high 비스 mix2P-100형용량 100liter)에 투입, 5분간 교반한 다음, 다시 교반하면서 물을 투입하여, 15분간 혼련한다.
그 후, 블레이드, 용기내의 부착물을 청소하고 다시, 20분간 혼련하고, 점도측정 및 비중측정을 한다. 점도가 하기방법으로 300만cps 전후로 되도록 수분조정을 한다. 이경우, 수분량은 철분(동화철부사제 DKP) 100중량부에 대하여, 29.79중량부이었다. 얻어진 본 발명물은 점도가 303만cps 이었다.
한편, 블레이드의 회전수는 출발부터 종료까지 10rpm으로 행하였다.
이 본 발명물을 10℃로 1시간 보존한바 점도가 상승하지만, 다시 혼련하면 점도가 하기방법으로 305만cps이고, 이것을 기재(3)상에 스크린인쇄에 의해서 적층하였다.
이 경우도 블레이드의 회전수는 출발으로부터 종료까지 10rpm에서 행하였다.
또한, 이 점도는, 동기산업(주)사제(R110 형점도계, RE110U시스템, 검출헤드 RE100U, 콘트롤러RC100A)로 더구나 SPP 로터를 사용하고, 회전수 0.2rpm D=0.4(1/S))로 하고, 측정온도 20℃에서 측정한 값이다.
따라서, 이 본 발명물(2)은 유리된 물 내지 수분을 포함하는 겔이 철분과 공기와의 접촉을 방해하는 배리어층으로서 기능을 발휘하고, 그 결과, 발열반응이 거의 생기지 않은 것이 인정되었다.
기재(3)상에 상기 본 발명물(2)을, 두께 820㎛이 되도록, 스크린인쇄하면, 이 본 발명물중의 유리된 물 내지 수분을 포함하는 겔중의 수분이, 기재(3)에 있어서의 흡수성의 레이욘부직포(3a)에 흡수되기 시작하여, 다시 피복제(4)를 씌운후에는, 이 피복재(4)에 있어서의 레이욘 부직포(4a)에 흡수되어, 이윽고, 발열조성물(2)의 수분의 배합율이 설정된 발열온도를 발생시키도록 최적의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상기 유리된 물 내지 수분을 포함하는 겔중의 수분이, 기재(3) 및 피복재(4)에 흡수되고, 소정이 배합율에 도달하기 까지에는 빗나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대하여, 얻어진 본 발명발열체가 비통기성포대에 봉입되기까지의 시간은 지극히 단시간으로서, 그 사이에 본 발명물(2)의 수분배합율이 소정의 발열온도를 생기는 것에 최적의 배합율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이 본 발명발열체를 비통기성자루에 봉입하기 까지 본 발명물(2)이 발열하는 일은 없고, 발열반응의 생성물이 응고하여 여러가지의 폐해, 예컨대 보류저하, 취급의 곤란성, 제조장치의 메인테이넌스의 번잡성, 제조장치의 가동시간 내지 작업자의 취업시간에 대한 제약, 응고물처리의 곤란성등의 폐해발생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이 본 발명발열체가 비통시성포대에 봉입되어, 유통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손에 닿기까지는, 본 발명물(2)중의 잉여수분이 기재(3)에서 흡수성의 레이욘부직포(3a)와 피복재(4)에 있어서의 흡수성의 레이욘부직포(4a)에 흡수되어, 소정의 발열온도를 얻기에 적합한 수분배합율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통성기성포대를 찢어서 공기에 접촉하기까지 발열조성물(2)의 품질이 저하하는 일이 없고, 발열조성물(2)의 품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것외에, 비통기성포대를 찢고 본 발명발열체를 꺼내면 즉시 발열반응이 개시되고, 빠르게 소정의 발열온도까지 승온한다.
더구나, 본 발명물(2)은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인쇄나 코팅등의 기술에 의해서 기재(3)상에 적충할 수 있는 결과, 유동성이 없는 종래의 분말상발열조성물을 단지 기재(3)상에 투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정확히 또한 고속이고 소정의 범위에 또한 균일한 두께로 적층할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발열체를 비통기성포대에 봉입하고, 이것을 10일간방치후, 비통기성포대를 찢어 본 발명발열체를 취출하고, 이어서, 이것을 점착제층(5)을 사용하여, 어깨부에 직접점착시키고 사용한바, 6시간이상에 걸쳐서 우수한 온열효과가 얻어졌다.
상기 본 발명발열체를 적용할때, 이 발열체가 초박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유연하게 되는 결과, 어깨에의 감촉이 유화하게 되고, 어깨의 만곡부에 용이하게 밀착하여, 어깨의 움직임에 대단히 잘 추종하여 변형하고, 적용부위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고, 또한, 본 발명발열체가 사용중에 적용부위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이, 우수한 채난효과가 얻어져, 효과적으로 어깨부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더욱, 이의 사용때에, 발열조성물(2)의 이동이 없이, 본 발명발열체의 발열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저온화상도 없고, 안전성이 높게 된다.
다음에,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에 속하는 제5실기예로서의 배부(背部)를 가온하기 위한 본 발명발열체를 제4실시예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본 발명물(2)은, 발연물질인 철분(동화철분사제DKP) 100중량부에 대하여, 활성탄(노릿트사제SA-SUPER) 7.0중량부, 보수제로서 규조토(오브라이트 2.0중량부, 증점제로서(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상품명 셀로겐 EP) 1.4중량부, 흡수성폴리머로서(산요화성사제 상품명 선웨트 IM-5000MPS) 0.3중량부, 금속의 염화물로서 염화나트륨 5.0중량부 및 pH조정제로서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0.3중량부를 혼합하여, 이 배합물에 물을 덧붙여, 온도 20℃에서의 점도가 250만cps 정도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즉, 활성탄, 규조토, 증점제, 흡수성폴리머, pH 조정제, 및 염화나트륨의 순으로 하여 상기 배합비율로 혼합기(특수기화공겅주식회사제 T. K. high 비스 mix2P-100형 용량 100liter)에 투입하고, 밀봉상태에 뚜껑을 덮은 다음,회전수 10rpm에서 교반하면서 투입구로부터 철분을 투입하여 3분간 교반하고, 다시 교반하면서 물을 투입하여, 회전수를 15rpm으로 상승하여 5분간혼합한후, 일단 정지한다.
이어서, 혼합기의 블레이드, 케이징에의 부착물을 청소한후, 다시, 회전수 1rpm에서 5분간 혼합하고, 점도측정 및 비중측정을 한다. 점도가 하기방법으로 250만cps전후로 되도록 수분조정을 한다. 이 경우, 수분량은 철분(동화철분사제DKP 100중량부에 대하여, 42.0중량부이었다. 얻어진 본 발명물의 비중은 2,428g/㎖이고, 점도는 252만cps 이었다.
이 본 발명물을 10℃로 1시간 보존한바 점도가 상승하여서, 다시 혼련하고, 점도가 하기방법으로 255만cps 이고, 이것을 기재(3)상에 스크린인쇄에 의해서 적층하였다.
이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수는 10rpm에서 행하였다.
또한, 이 점도는, 동기산업(주)사제(R110 형점도계, RE110U시스템, 검출헤드 RE100U, 콘트롤러RC100A)에서, 그리고 SPP 로터를 사용하고, 회전수 0.2rpm ( D=0.4(1/lS))로 하고, 측정온도 20℃로 측정한 값이다.
따라서, 이 본 발명물(2)은 유리된 물 내지 수분을 포함하는 겔이 철분과 공기와의 접촉을 방해하는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여, 그 결과, 발열반응이 거의 생기지 않은 것이 인정되었다.
얻어진 본 발명발열체를 비통기성포대에 봉입하여, 이것을 10일간방치후, 비통기성포대를 찢어서 본 발명발열체를 취출하고, 이어서, 이것을 점착제층(5)을 사용하여 뒷면에 직접 점착시키어 사용한바, 6시간이상에 걸쳐서 우수한 온열효과가 얻어졌다.
상기 본 발명발열체의 적용의 때에, 이 발열체가 초박형으로 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유연하게 되는 결과, 등에의 감촉이 유화하게 되고 또는, 등의 움직임에 대단히 잘 추종하여 변형하고 또는 적용부위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고, 또한, 본 발명 발열체가 사용중에 적용부위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고, 우수한 채난효과가 얻어져서, 효과적으로 어깨부를 따뜻하게 한다는 것이 안정되었다.
더욱, 이 사용의 때에 발열조성물(2)의 이동이 없고, 본 발명발열체의 발열온도분포가 균일하고, 저온화상도 없고, 안전성이 높은 것이 인정되었다.
다음에, 이하의 방법으로 발열실험을 하였다.
철분(동화철분제DKP) 70중량부, 탄소성분으로서의 활성탄(노릿트제 활성탄 GL 150) 10중량부, 금속의 염화물로서 염화나트륨 2중량부, 중점제(Sin-etsu화학제 메틀로즈 60SH-4000) 0.7중량부, 계면활성제(카오주식회사제, 상품명 : 데몰 EP )0.2중량부 및 pH 조정제(트리폴리인산 나트륨) 0.1중량부에 물을 지나치게 덧붙여, 온도 20℃로, 점도가 1만cps와 680만cps의 잉크상 내지 크림상태의 점액체를 제조하였다.
점도가 1만cps의 본 발명물과, 점도가 680만cps의 본 발명물을 이용하여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그 발열조성물을 200㎖의 비커(10)에 넣고, 그 표면과 중앙에 있어서의 표면에서 10mm아래의 위치D에 온도센서(11)를 각각 삽입하여, 그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점도가 1만cps의 발열조성물은, 표면 및 중앙 모두가, 20분정도에서는 전혀 온도상승이 인지되지 않았고, 점도가 680만cps의 발열조성물로서는, 표면에서는 5분정도에서 온도상승이 인정되었지만, 중앙에서는 5분 정도로서는 거의 온도상승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로서 철분 60중량부, 10중량%의 식염수 25중량부, 활성탄 13중량부 및 목분 14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발열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철분, 식염 및 활성탄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점도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이 발열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와 같은 발열실험을 한바, 이 것은 표면 및 중앙 모두 즉시 온도상승이 인정되고, 2분정도로 60℃를 넘는 것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1-3을 조합하여도 좋고, 또한, 본 발명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 특히 흡수성이 높은 종이류를 대고,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를 흡수함와 같이 본 발명물을 이 종이류에 한층더 강고히 고정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발열조성물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발열조성물을 인쇄나 코팅 등에 의해서 기재에 적층시킬수 있고, 더구나 적층 영역을 고정밀도로 제어하고, 또한, 대단히 얇은 막두께로, 또한 균일히 본 발명물을 기재에 적층할 수 있는 결과, 고속이고 처박형의 본 발명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물은 기재표면에 적층되고, 그 위에서 피복재로 피복된후, 기재 및/또는 피복재와 흡수층 등에 과잉수분혹은 유리된 물 또는 함수겔중의 수분을 흡수시키기 때문에, 제조때에 있어서, 본 발명물의 발열반응이 거의 없고,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본 발명물의 품질 저하나 본 발명물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외에, 사용때까지는, 본 발명물중의 수분의 일부가 기재 및/또는 피복재와 흡수층 등에 흡수되는 결과, 사용때에 있어서의 본 발명물의 수분의 배합율이 발열반응에 알맞은 상태로 되고, 공기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되어, 원하는 발열온도가 얻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더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물은 인쇄나 코팅에 의해 기재에 적층되고, 본 발명물은 점착성이 있기 때문이고, 해당 본 발명물이 기재나 피복재 혹은 흡수층 등에 접착, 고정되며, 따라서, 이 본 발병물의 포대내에서의 이동이 확실히 방지되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온도의 불균형이 없게 되고, 포대내로 발열조성물이 편중되어 고온개소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저온화상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시킨 발열조성물, 즉 본 발명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나 코팅 등에 의해서 해당 발열조성물을 초박형으로, 또한 균일히 적층할 수 있고, 그 결과, 발열체가 초박형으로, 유연성이 높고, 어깨 등의 만곡부나 굴곡부에의 추종성이 지극히 양호하고, 사용감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시킨 발열조성물을 사용함으로, 과잉수분 혹은 유리된 물이 없고 함수겔이 배리어층으로 되어, 제조사에 본 발명물이 발열반응을 생기게 하는 것이 현저히 적어지어, 제조시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나 응고가 방지되는 한편, 사용시까지 발열조성물중의 상기 수분이 포대재에 흡수되어, 사용시의 발열조성물의 수분의 배합율이 발열반응에 알맞은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사용시에 원하는 발열온도를 얻을 수 있는 등, 품질이 우수하고, 신뢰성이 현저하게 높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더구나,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는, 포대재와 본 발명물과의 결합력에 의해서 해당 발열조성물의 포대재내에서의 이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의 불균형을 없애고, 포대재내에서 발열조성물이 편중되고 부분적으로 고온의 발열개소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그 결과, 저온화상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 본 발명물이 직접 접촉하는 개소가 흡수성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물중의 잉여수분 혹은 유리된 물이 없고 함수겔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에 따라서 해당 발열조성물이 기재 및/ 또는 피복재 혹은 흡수층에 가까이 당겨지고, 본 발명물의 일부가 기재 및/ 또는 피복재 혹은 흡수재에 식입되어 앵커효과를 생기게 하고 이 앵커효과에 의해 본 발명물을 기재 및/ 또는 피복재 혹은 흡수층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재 및/ 또는 피복재와 본 발명물과의 접촉개소가, 흡수성의 발포필름·시트,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로 형성되어 있으면, 본 발명물과의 결합성이 더욱 양호하여, 본 발명물의 이동, 편중이 일층더 확실히 방지되어, 본 발명물의 치우침에 따르는 여러 가지의 폐해가 더욱 확실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 기재 및 피복재가 신장성, 특히 신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임의의 부위가 복잡한 요철형상으로 발열체를 밀착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외에, 동작에 의한 요철형상의 변화에 대하여 추종성이 높게되고, 발열체의 박리 내지 적용부위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확실히 방지되어, 생체와의 밀착성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우수한 채난효과나 혈행축진효과가 얻어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 기재 및/또는 피복재 혹은 흡수층이 흡수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사용때까지 본 발명물중의 수분의 일부를 흡수하여, 본 발명물중의 수분 배합율을 발열에 알맞은 배합율에 조정할 수가 있는 결과, 사용에 있어서 기밀성포대를 찢으면 즉시 발열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어서, 빠르게 소요의 발열온도가 얻어지게 됨과 동시에, 발열반응의 진행에 따라 발열조성물로부터 증산된 수분을 기재 및/또는 피복재로부터의 방수에 의해 보충할 수 있고, 장시간에 걸쳐 소요의 발열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 본 발명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 특히 흡수성이 높은 종이류를 대고,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를 흡수함과 동시에 본 발명물을 이 종이류에 더욱 강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발열체에 있어서, 점착제층에 원적외선방사체, 자기체 도는 경피흡수성약품중의 적어도 1종을 함유 또는 파지시키면, 원적외선가열효과, 적외선치료효과, 자기치료효과, 약품에 의한 치료효과등이 얻어지는 것은 물론, 이것들의 효과가 발열체의 발열에 의한 혈행촉진 등의 전신작용이나 국부작용과 상승적으로 촉진하여 일층더 그 효과가 높아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을 형성하고, 이 발열조성물을 전사나 인쇄 등에 의해서 기재에 적층시킬수 있는 것이고, 적층영역을 고정밀도로 제어하여, 다시, 대단히 엷은 막두께로, 또한 균일히 발열조성물을 기재에 적층할 수 있는 결과, 고속으로 초박형의 본 발명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의 수분의 배합율을 높게 하여 잉크상 내지 크림상태로 점액화시키어 기재에 적층시키고, 이다음, 기재 및/또는 피복재 혹은 흡수층에 수분을 흡수시키기 때문에, 제조시에 본 발명물의 발열반응이 거의 없고, 제조시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발열조성물의 품질 저하나 응고가 방지될 수 있는 것외에, 사용시까지 본 발명물중의 수분의 일부를 기재 및/또는 피복재 혹은 흡수층에 흡수시키는 것에 따라 수분의 배합율이 발열반응에 알맞은 상태가 되어, 신뢰성이 높은 본 발명 발열체가 얻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본 발명물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기재상에 놓을 수 있는 소정의 범위에 낭비 없이 정확히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온이 필요한 임의의 부위를 효과적으로 가온하는 본 발명발열체가 얻어진다.
그 결과, 우수한 채난효과나 혈행촉진이 효과적으로 얻어지는 것외에, 종래와 같이 주위에서 발열조성물의 분진 쓰레기의 방산이 없고, 장래의 의료용구나 의약품제조에 있어서의 GNP 기준을 완전히 만족하는 공장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각별현서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 제1방법에 있어서는, 기재상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인쇄나 코팅에 의해서 적층하고, 그 위에 피복재를 씌워 본 발명발열체를 형성하고, 또한, 이 발열체를 포장하기 까지의 공정을 일관해서 극히 단시간내에 행할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에서 발열조성물이 발열가능한 조건이 되는 일이 없고, 제조공정중에 본 발명물이 발열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발열체의 제조중에 본 발명물의 품질 저하나 응고 등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결과, 보유의 저하, 취급의 곤란성, 제조장치의 메인테이넌스의 번잡성, 제조장치의 가동시간 내지 작업자의 취업시간에 대한 제약, 응고물처리의 곤란성 등의 여러가지 폐해를 없애줄 수 있어, 고품질로 신뢰성이 높은 본 발명발열체를 더욱 염가로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제2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 즉 수분의 배합율을 높게 하여 잉크상 내지 크림상태로 점액화시킨 발열조성물을 형성하고, 이 본 발명물을,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표면에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적층시킨후, 이 본 발명물 상면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적층 혹은 살포하고, 이어서, 이들을 피복하는 것같이,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운 다음, 기재와 피복재를 본 발명물로 접착하고, 더구나 상기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를 기재나 피복재 또는 흡수제 등에 흡수시키도록 한 것으로, 적층영역을 고정밀도로 제어하고 또한, 대단히 얇은 막두께로, 또한 균일하게 본 발명물을 기재에 적층하기도 하거나, 고속으로 초박형의 본 발명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외에, 철분 등의 적층 혹은 살포에 의해서, 사용초기의 시작이 양호하고, 온도특성을 양호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 제2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물중의 발열물질이 잉여수분 혹은 유리된 물이 없고 함수겔에 의해서 피복되어, 공기중의 산소와의 접촉이 과잉수분 등에 의해서 억제되어 있는 결과, 발열조성물의 발열반응이 방지되어, 제조때의 발열반응에 의한 손실, 본 발명물의 품질 저하 및 응고가 방지되는 한편, 발열체를 제조한후는, 본 발명물중의 상기 수분이 적층 혹은 살포된 흡수제나 기재와 피복재에 흡수되고, 따라서, 발열체의 제조후, 사용때까지의 사이에 발열조성물중의 수분의 배합율이 발열반응에 알맞은 상태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 제2방법에 있어서는, 기재상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앤쇄나 코팅에 의해서 적층하고, 그 위에서 피복재를 씌우고 발열체를 형성하고, 더욱, 이 발열체를 포장하기까지의 공정을 일관해서 극히 단시간내에 행할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에서 발열조성물이 발열가능한 조건이 되는 일이 없어서, 제조공정중에 본 발명물이 발열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발열체의 제조중에 본 발명물의 품질 저하나 응고 등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결과, 보유의 저하, 취급의 곤란성, 제조장치의 메인테이넌스의 번잡성, 제조장치의 가동시간 내지 작업자의취업시간에 대한 제약, 응고물처리의 곤란성 등의 여러 가지의 폐해를 없앨 수 있어, 고품질로 신뢰성이 높은 본 발명발열체를 일층 저렴하게 염가로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제3방법에 있어서는,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기재상에, 본 발명물, 요컨대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적층하고, 이어서, 그 위에서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상기 본 발명물의 점성에 의해,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를 합치고, 이어서, 얻어진 적층체를 임의의 형상으로 타발, 그리고 상기의 기재 또는 피복재 중 적어도 한편 또는 일부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초박형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본 발명물, 즉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잉여수분 등에 의한 배리어층의 형성에 의해, 발열반응을 억제하여, 제조시의 발열손실, 본 발명물의 품질 저하 및 본 발명물의 응고에 다르는 여러 가지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잇는 것외에, 본 발명물을 포대내에 균등하게 분포, 고정시키는 것에 따라 해당 발열조성물의 이동, 편중을 방지하여, 이 결과, 발열조성물의 지나친 발열반응을 극력 피하여 저온화상을 방지하고, 안전히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 제1-3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 특히 흡수성이 높은 종이류를 대고, 본 발명물의 수분의 일부를 흡수함와 같이 본 발명물을 이 종이류에 더욱 강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3)

  1. 발열물질과, 흡수성폴리머 및/또는 증점제와, 탄소성분 및/또는 금속의 염화물과 물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발열조성물에는, 무기계 혹은 유기계의 보수재,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및 소포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배합되고, 전체로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은 그 점도(온도 20℃)가 1,000-7,50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4.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이 시트상 포대재내에 적층, 봉입되어 되고, 이 포대재의 적어도 일부가 통기성을 갖는 것이며, 또한 상기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수분의 일부를 상기 시트상 포대재에 흡수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5. 제4항에 있어서, 시트상 포대재가,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기재와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로 이루어지고, 이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짐과 동시에, 흡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상면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적층 혹은 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상면에 탄소성분으로 코팅한 철분, 혹은 철분(A)과 탄소성분(B)와, 이 (A)와(B)의 합계량에, 대하여 5중량% 이하의 물을 가한 혼합물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8. 제4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주위부에서, 기재와 피복재가 전체 돌레영역 혹은 부분적으로 점착 또는 열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서 봉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9. 제4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재 및/또는 피복재가 흡수성을 가지는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0. 제4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재 및/또는 피복재에 있어서의 적어도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과의 접촉개소에는 흡수성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1. 제10항에 있어서, 흡수층이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2. 제4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재 및/또는 피복재가, 비통기성 혹은 통기성의 필름 또는 시트의 내면 혹은 양면에,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3. 제9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흡수재가 흡수성을 가지는 발포필름·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4. 제13항에 있어서, 흡수재가 발포필름·시트, 종이류, 부직포, 직포 또는 다공질필름·시트에, 흡수제를 함유, 함침, 연입, 적층, 전사 또는 담지시켜서 흡수성이 부여 혹은 증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5. 제4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재 및 피복재가 신장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6. 제4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포대재에 있어서, 그 측방, 혹은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또는 일부가 통기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7. 제4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재 및 피복재에 있어서, 어느 한편의 노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습포제를 함유하는 습포층, 혹은 경피흡수성약품을 함유 또는 담지하고 있는 약품함유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19.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시킨 발열조성물을 형성하고, 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기제상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적층한 다음, 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피복하는 것같이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또한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
  20.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로 점조화시킨 발열조성물을 형성하고, 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기재상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소의 소정영역에 적층한 다음, 이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상면에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1종을 적층 혹은 살포하고, 이어서, 이 발열조성물, 및 철분, 탄소성분 또는 흡수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피복하는 것같이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또한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
  21.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기재상에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을 적층하고, 이어서, 그 위에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피복재를 씌우고, 상기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점성에 의해, 상기의 기재와 피복재를 첩합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적층제를 임의의 형상으로 타발하고, 또한 상기의 기재 또는 피복재중 적어도 한편 혹은 일부가 통기성을 가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서 얻어진 발열체를 2매의 필름 또는 시트의 사이에 개재시키고, 이 개재와 동시에, 또는, 이 개재후에, 2매의 필름 또는 시트를 발열체이상의 대형으로 타발하고, 타발과 동시에, 혹은 타발후에, 상기 발열체의 주연부에 있어서, 상기 2매의 필름 또는 시트를 봉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의 한 면 혹은 양면에는 필름상 내지 시트상의 흡수재가 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19960027427A 1995-07-08 1996-07-08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KR0173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603595 1995-07-08
JP95-196035 1995-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454A KR970006454A (ko) 1997-02-21
KR0173549B1 true KR0173549B1 (ko) 1999-03-20

Family

ID=1635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427A KR0173549B1 (ko) 1995-07-08 1996-07-08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6436128B1 (ko)
KR (1) KR0173549B1 (ko)
DE (1) DE19627245B4 (ko)
FR (1) FR2736351B1 (ko)
GB (1) GB2303208B (ko)
IT (1) IT1283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406A1 (en) 1998-09-06 2002-02-21 Naoki Minami United exothermic medium and heating element using it
AU2222800A (en) * 1999-01-04 2000-07-24 Medivance, Incorporated Improved cooling/heating pad and system
EP1171195B1 (en) 1999-04-16 2005-03-1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lectrotransport delivery system comprising internal sensors
AU5922400A (en) * 1999-07-08 2001-01-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xothermic topical delivery device
US6890553B1 (en) 1999-07-08 2005-05-1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xothermic topical delivery device
AU6076200A (en) 1999-07-08 2001-01-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xothermic bandage
AU767061B2 (en) * 1999-08-13 2003-10-30 Procter & Gamble Company, The Individual autonomous heater
US7113821B1 (en) 1999-08-25 2006-09-2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issue electroperforation for enhanced drug delivery
US7133717B2 (en) 1999-08-25 2006-11-07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issue electroperforation for enhanced drug delivery and diagnostic sampling
KR19990084121A (ko) * 1999-09-15 1999-12-06 송병문 다기능 자외선 식기 살균 건조기
JP2001212167A (ja) * 2000-01-31 2001-08-07 Japan Pionics Co Ltd 発熱袋
US7404815B2 (en) 2000-05-01 2008-07-29 Lifescan, Inc. Tissue ablation by shear force for sampling biological fluids and delivering active agents
US7235187B2 (en) * 2000-07-13 2007-06-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livering a volatile component via a controlled exothermic reaction
US20030101984A1 (en) * 2000-07-13 2003-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reaction mixtures for controlling exothermic reactions
US7081211B2 (en) * 2000-07-13 2006-07-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 reaction mixtures and apparatuses for delivering a volatile component via a controlled exothermic reaction
US6958389B2 (en) * 2000-09-08 2005-10-25 San-Ei Gen F.F.I. Inc. Tetraphenylbacteriochlorin derivativ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0382347B1 (ko) * 2000-10-30 2003-05-0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시트상 자기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DE60110936T2 (de) * 2001-02-26 2006-0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roma freisetzendes mittel mit verbesserter stabilität und verminderter schaumbildung
US6642427B2 (en) * 2001-05-14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temperature change element
JP3757132B2 (ja) * 2001-06-05 2006-03-22 織田寝装株式会社 水蒸気発生具
JP2003129041A (ja) * 2001-10-25 2003-05-08 Maikooru Kk 発熱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熱体並びにこの発熱体の製造方法
JP2003336042A (ja) * 2002-05-20 2003-11-28 Maikooru Kk 吸水性ポリマー入り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4093348B2 (ja) * 2002-05-20 2008-06-04 マイコール株式会社 足温用発熱体及び足温用発熱体の製造方法
BR0311690A (pt) * 2002-06-13 2005-03-22 Found Promotion Ind Science Processo de produção de pó metálico e compacto de alimentação de composto metálico
JP4323155B2 (ja) * 2002-10-31 2009-09-02 マイコール株式会社 発熱体
JP2004208978A (ja) * 2002-12-27 2004-07-29 Mycoal Products Corp 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AU2004220390B8 (en) * 2003-03-12 2009-12-17 Bundesdruckerei Gmbh Method for production of a book cover insert and a book cover insert and a book-type security document comprising a book cover insert
US20040178384A1 (en) * 2003-03-13 2004-09-16 Kaoru Usui Heat-generating composition, heater made using heat-gener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A2497874A1 (en) * 2003-08-11 2005-02-11 Mycoal Products Corporation Heat generating body
US7211070B2 (en) * 2003-12-01 2007-05-01 Abraham Ebbie Soroudi Device and method for exothermic treatment of eyelid diseases
US6974470B2 (en) * 2004-02-27 2005-12-13 Kao Corporation Heat-generative, steam generation sheet for face
US7513893B2 (en) * 2004-03-12 2009-04-07 Abraham Ebbie Soroudi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eyelid diseases
CN1985132B (zh) * 2004-05-06 2011-10-05 坦普拉技术公司 用于自加热容器的恒温控制
WO2006006650A1 (ja) * 2004-07-14 2006-01-19 Mycoal Products Corporation 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WO2006006661A1 (ja) * 2004-07-14 2006-01-19 Mycoal Products Corporation 発熱体、これを用いた保温方法及び型成形発熱用包材
JPWO2006006651A1 (ja) * 2004-07-14 2008-05-01 マイコール株式会社 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206549A1 (en) * 2004-07-14 2008-08-28 Mycoal Products Corporation, Heat Generating Body
US20060067994A1 (en) * 2004-09-30 2006-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for providing therapy to a body
CN2803027Y (zh) * 2004-12-07 2006-08-09 徐享宏 末梢神经保暖装置
US7763061B2 (en) 2004-12-23 2010-07-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mal coverings
US8168852B2 (en) * 2004-12-23 2012-05-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ctivated carbon substrates
US7816285B2 (en) * 2004-12-23 2010-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ed application of activated carbon ink
US7338516B2 (en) 2004-12-23 2008-03-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applying an exothermic coating to a substrate
US20060178717A1 (en) * 2005-02-10 2006-08-10 Christa Harris Adjustable disposable surgical thermal blanket
US20060282138A1 (en) * 2005-06-10 2006-12-14 Ohshin Mlp Co., Ltd. Exothermic structure that is directly applied to skin
US20070060988A1 (en) 2005-07-18 2007-03-15 Grenon Stephen M Melting meibomian gland obstructions
US7981145B2 (en) 2005-07-18 2011-07-19 Tearscience Inc. Treatment of meibomian glands
US20090043365A1 (en) 2005-07-18 2009-02-12 Kolis Scientific,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as a means of preventing or treating open-angle glaucoma
US8915253B2 (en) * 2005-07-18 2014-12-23 Tearscien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gland dysfunction employing heated medium
US20080114423A1 (en) 2006-05-15 2008-05-15 Grenon Stephen M Apparatus for inner eyelid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US7655829B2 (en) 2005-07-29 2010-0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ad with activated carbon ink for odor control
US7794649B2 (en) * 2005-09-23 2010-09-14 Wyeth Llc Method of making heat cells comprising exothermic compositions having absorbent gelling material
US7878187B2 (en) * 2005-09-23 2011-02-01 Wyeth Llc Heat cells comprising exothermic compositions having absorbent gelling material
US8137392B2 (en) * 2005-12-15 2012-03-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formable thermal device
US20070142882A1 (en) * 2005-12-15 2007-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mal device having a controlled heating profile
US7686840B2 (en) 2005-12-15 2010-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rable exothermic coating
US7794486B2 (en) * 2005-12-15 2010-09-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apeutic kit employing a thermal insert
US20070148448A1 (en) *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including cooling agents
US20070148446A1 (en) *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s including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and processes of producing the same
US20070145619A1 (en) *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es for producing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US7442439B2 (en) 2005-12-28 2008-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ed heat delivery vehicles
US20070148459A1 (en) *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US20070202185A1 (en) * 2005-12-28 2007-08-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Having Fugitive Layers
US20070149435A1 (en) *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sing composition including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US20070145618A1 (en) *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making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US7914891B2 (en) 2005-12-28 2011-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s including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and phase change materials
US7654412B2 (en) 2006-05-30 2010-0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warm wet wipes
US7497351B2 (en) 2006-05-30 2009-03-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ing system
US7648046B2 (en) * 2006-05-30 2010-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warm wet wipes
US8425578B2 (en) 2006-08-31 2013-04-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rming product
US20100089381A1 (en) * 2006-10-25 2010-04-15 Tempra Technology, Inc. Portable flameless heat pack
US8192841B2 (en) 2006-12-14 2012-06-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 having an aqueous core
US7517582B2 (en) 2006-12-14 2009-04-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persaturated solutions using crystallization enthalpy to impart temperature change to wet wipes
US20080147152A1 (en) 2006-12-15 2008-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activated warming device
RU2497487C2 (ru) * 2007-03-20 2013-11-10 Вайет Тепл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8187697B2 (en) * 2007-04-30 2012-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oling product
US20090149925A1 (en) * 2007-12-05 2009-06-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mperature Indicator for Warming Products
US20090149772A1 (en) * 2007-12-05 2009-06-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mperature Indicator for Cooling Products
JP5415526B2 (ja) 2008-05-15 2014-02-12 ワイス・エルエルシー 可搬式湿熱システム
US20110040264A1 (en) * 2008-06-10 2011-02-17 Cuban Element, Inc. Medicated footwear
US7924142B2 (en) 2008-06-30 2011-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ed self-warming wipe substrates
US9709260B2 (en) 2010-06-18 2017-07-18 Kao Corporation Heat generating device
JP5816149B2 (ja) 2011-10-18 2015-11-18 花王株式会社 被酸化性金属含有塗布物の製造方法
SG11201402659PA (en) * 2011-12-21 2014-10-30 Kao Corp Heating element and heating implement
TWI504388B (zh) * 2011-12-21 2015-10-21 Kao Corp 蒸氣溫熱器具
US9574764B2 (en) 2012-05-25 2017-02-21 S. C. Johnson & Son, Inc. Portable steam generating device
US9826727B2 (en) * 2012-07-27 2017-11-28 John Balcarek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hermal-based pest control
CN104385421B (zh) * 2013-11-17 2016-08-17 黎雅伟 纤维板材的制作方法
US10046325B2 (en) 2015-03-27 2018-08-14 Rechargeable Battery Corporation Self-heating device for warming of biological samples
JP6715104B2 (ja) 2015-07-21 2020-07-01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JP6721300B2 (ja) * 2015-07-21 2020-07-15 花王株式会社 発熱具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43119A1 (ja) * 2015-09-11 2017-03-16 小林製薬株式会社 発熱具
MX2019011577A (es) * 2017-05-08 2019-12-19 Avery Dennison Corp Composicion adhesiva sensible a presion reactiva de alto rendimiento.
US11629280B2 (en) 2017-05-18 2023-04-18 Kao Corporation Iron powder for exothermic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therefor, exothermic composition using said iron powder, and exothermic body production method
WO2019028183A1 (en) * 2017-08-01 2019-02-07 Rechargeable Battery Corporation CONFIGURATIONS, DESIGNS AND APPLICATIONS OF OXYGEN ACTIVATED POROUS HEATING DEVICE
US12156832B2 (en) 2020-01-07 2024-12-03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multi-layer cosmetic pads and use thereof
KR102512950B1 (ko) * 2021-08-19 2023-03-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가변적인 곡률을 갖는 타이어 벨트 성형드럼
US20230408208A1 (en) * 2022-06-08 2023-12-21 Schawbel Technologies Llc Disposable heating element assembly
KR102785933B1 (ko) * 2022-11-01 2025-03-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성형 드럼
FI20235289A1 (en) 2023-03-13 2024-09-14 Kl Tech Oy A self-heating and/or cooling thermal layer and a product containing such a lay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2061A (en) * 1962-06-22 1964-05-05 Exomet Exothermic composition containing perlite
US3162558A (en) * 1963-04-25 1964-12-22 Exomet Moldable exothermic composition
US3273211A (en) * 1963-11-29 1966-09-20 Archer Daniels Midland Co Process of molding exothermic compositions
US3759631A (en) 1972-07-05 1973-09-18 United Aircraft Corp Compound bearing for connecting a helicopter blade to a helicopter rotor
US3976049A (en) * 1973-07-04 1976-08-24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Structure of warmer
USRE32026E (en) * 1973-07-04 1985-11-12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Structure of warmer
US3903011A (en) * 1973-08-01 1975-09-02 Readi Temp Exo-thermic heat transfer
JPS5139672A (ja) 1974-09-26 1976-04-02 Grelan Pharmaceutical Co Futsusokankagobutsuno seizoho
JPS5313495A (en) 1976-07-23 1978-02-07 Toshiba Corp Automatic depositing system
JPS6050804B2 (ja) 1977-07-15 1985-11-11 株式会社クラレ 吸水性高分子材料の製造法
JPS5430710A (en) 1977-08-12 1979-03-07 Oki Electric Ind Co Ltd Decentralized mounting method for path-selective relay
GB2011057B (en) * 1977-12-23 1982-06-30 Jones R C H Heating or cooling device
US4203418A (en) * 1978-08-21 1980-05-20 Donnelly William R Exothermic composition and hot pack
JPS55126817U (ko) * 1979-03-05 1980-09-08
US4268272A (en) * 1979-05-22 1981-05-19 Eiichi Ito Exothermic composition and warming bag containing the same
JPS5620450A (en) * 1979-07-30 1981-02-26 Mitsubishi Rayon Co Exothermic composition
JPS5984305A (ja) 1982-11-06 1984-05-16 Brother Ind Ltd 磁気テ−プ
JPS6220583A (ja) * 1985-07-18 1987-01-29 Kiribai Kagaku Kogyo Kk 発熱剤組成物
JPS649280A (en) * 1987-03-31 1989-01-12 Tamehiko Ikeda Chemical body warmer and heat generating composition therefor
JPH01271479A (ja) * 1988-04-22 1989-10-30 Gakken Co Ltd 発熱・蓄熱剤及び該発熱・蓄熱剤を用いた発熱・保温装置
JPH02142561A (ja) * 1988-11-25 1990-05-31 Takashi Seike 発熱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49272A (ja) * 1988-11-30 1990-06-07 Maikoole Kairo Kk 使いすてカイロ
GB2233081A (en) * 1989-04-15 1991-01-02 Richard Cedric Hart Jones Heating or cooling device
US5178139A (en) * 1990-03-05 1993-01-12 Stephen P. Angelillo Absorbent pad and thermal pack
US5342412A (en) * 1991-02-25 1994-08-30 Kiribai Chemical Industry Co., Ltd. Disposable body warmer
US5534021A (en) * 1994-09-01 1996-07-09 Dvoretzky; Israel Heating pad for providing heat therapy
JPH08206147A (ja) * 1995-02-06 1996-08-13 Akio Usui 発熱体及びこれを用いる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03208B (en) 1998-01-21
US6863682B2 (en) 2005-03-08
ITMI961406A1 (it) 1998-01-08
FR2736351A1 (fr) 1997-01-10
GB2303208A (en) 1997-02-12
US20020161420A1 (en) 2002-10-31
DE19627245A1 (de) 1997-01-09
FR2736351B1 (fr) 2000-07-13
GB9613986D0 (en) 1996-09-04
ITMI961406A0 (ko) 1996-07-08
US6436128B1 (en) 2002-08-20
DE19627245B4 (de) 2005-06-30
KR970006454A (ko) 1997-02-21
IT1283976B1 (it) 1998-05-07
US20020151947A1 (en)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549B1 (ko) 잉크상태 내지 크림상태의 발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 발열체의 제조방법
JP3344686B2 (ja) インキ状ないしクリーム状の発熱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熱体並びにこの発熱体の製造方法
US6264681B1 (en) Foot warming exothermic device
CA2202296C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oot warming exothermic device and the foot warming exothermic device
TWI289446B (en) Foot-warming exothermic body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foot-warming exothermic body
US6099556A (en) Method of controlling exothermic reaction of an exothermic composition, the exothermic composition, an exothermic device and an application pad
JP4970646B2 (ja) 発熱体の製造方法
US20040015220A1 (en) Sheet-shaped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W200414897A (en) Exothermic composition and exothermic element
JP4323155B2 (ja) 発熱体
US20060251880A1 (en) Absorbent hydrogel composites
JPH08231386A (ja) 温熱貼付剤
JP2007319359A (ja) 発熱体
JPH11299817A (ja) 美顔用粘着性発熱シート
JPWO2006006665A1 (ja) 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H11206801A (ja) 発熱体用包材及びこれを用いた発熱体
JPH08336554A (ja) 発熱体及びこれを用いる貼付剤
JP2002336290A (ja) 流動性発熱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熱体
JP2000000260A (ja) 発熱体
JPH10155827A (ja) 発熱体
JPH10263002A (ja) 発熱体
JP2001087302A (ja) 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673456B2 (ja) 外用貼付剤
JPH10353A (ja) インキ状ないしクリーム状の脱酸素剤及びこれを用いた脱酸素シート並びにこの脱酸素シートの製造方法
JPH10216167A (ja) 発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