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3344B1 -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344B1
KR0173344B1 KR1019950025001A KR19950025001A KR0173344B1 KR 0173344 B1 KR0173344 B1 KR 0173344B1 KR 1019950025001 A KR1019950025001 A KR 1019950025001A KR 19950025001 A KR19950025001 A KR 19950025001A KR 0173344 B1 KR0173344 B1 KR 017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jam
image forming
paper jam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030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344B1/ko
Priority to US08/660,106 priority patent/US5678123A/en
Publication of KR97001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03G2215/00552Purge of recording medium at j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자동으로 용지 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용지 잼 발생시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용지 잼을 제거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중에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 경로상에서 용지 잼이 발생되는 것을 검출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후 화상형성장치의 엔진부를 구동시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있는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여 용지 잼을 제거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메카니즘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회로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잼 제거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전기 12 : 감광드럼
14 :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 16 : 현상기
18 : 급지카셋트 20 : 픽업 롤러
22 : 이송 롤러 24 : 레지스터 롤러
26 : 전사기 28 : 정착기
30, 32 : 배지 롤러 34 : 엔진구동모터
36 : 용지 이송 경로 38 : 인터페이스
40 : 콘트롤러 42 : I/O 인터페이스
44 : 센서회로 46 : 조작판넬
48 : 프린트 엔진부 S1, S2 : 제1, 제2센서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 잼(Paper jam)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프린트 또는 복사중에 용지가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걸리는 현상, 즉 용지 잼이 빈번히 발생한다. 상기 용지 잼의 원인으로는 용지의 상태 불량, 용지가 이송 경로상의 특정 부분에 걸리거나 미끄러짐, 이송 경로상의 부품 고장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용지 잼의 종류를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 있는 용지의 상태에 따라 용지 상태가 불량인 경우와 정상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용지 상태가 불량인 경우는 용지 자체가 심하게 구겨지거나 찢어진 상태로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용지 상태가 정상인 용지 잼은 용지에는 이상이 없고 단순히 급지 실패나 미끄러짐 또는 시스템의 오동작, 시스템 동작중의 전원 차단등으로 인해 용지 이송 경로상에 멈추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상기와 같은 용지 잼이 발생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여 왔었다. 그러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cover) 또는 해당 부분을 개방하거나 급지카셋트를 빼내어 걸려있는 용지를 제거하였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용지 상태가 정상인 용지 잼은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있는 용지를 사용자가 직접 제거하지 않고서도 화상형성장치가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에 1993년 출원된 특허출원 제93-9002호, 제93-21773호, 제93-8997호 등이 있다. 상기한 기술들을 요약하면. 용지 잼 발생시 사용자가 초기화모드 또는 잼 제거모드를 설정하면, 화상형성장치는 그에 응답하여 엔진부의 각종 롤러, 감광드럼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있는 용지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용지 잼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초기화모드 또는 잼 제거모드는 장치의 커버 개폐, 급지카셋트의 탈착, 조작판넬상의 특정키 입력, 전원의 오프후, 온등에 의해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용지 잼 제거방법은 용지 잼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만 하였다. 이에따라 용지상태가 정상으로서 자동으로 용지 잼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용지 잼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잼 발생시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용지 잼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중에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 경로상에서 용지 잼이 발생되는 것을 검출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후 엔진부를 구동시켜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있는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여 용지 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을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 중 레이저 빔 프린터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예로서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의 개략적인 메카니즘(mechanism) 구조를 보인 것이다. 대전기(10)는 감광드럼(12)상에 균일한 전하를 형성케 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laser scanner unit)(14)는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빔(L)을 발생하여 감광드럼(12)을 노광시킴으로써 감광드럼(12)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기(16)는 감광드럼(12)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toner)와 같은 현상제를 전달한다. 픽업 롤러(20)는 급지카셋트(18)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급지시킨다. 이송 롤러(22)는 픽업 롤러(20)에 의해 급지되는 요지를 레지스터(register)롤러(24)로 이송한다. 레지스터 롤러(24)는 이송 롤러(22)로부터 이송되는 요지의 선단을 정렬하여 전사기(26)로 이송한다. 전사기(26)는 감광드럼(12)상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를 용지에 전사시킨다. 정착기(28)는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에 정착시킨다. 배지 롤러(30,32)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엔진구동모터(34)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롤러와 감광드럼을 포함한 각 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모터이다. 미설명 참조부호 36는 용지의 이송 경로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1도와 같은 프린터에는 각 부의 동작상태 또는 용지의 이송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들 중 용지 잼의 검출과 관련되는 센서들을 제1도에 예를들어 나타내었는데, 제1센서(S1)는 이송 롤러(22)와 레지스터 롤러(24)사이의 용지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고 제2센서(S2)는 정착기(28)와 배지 롤러(30) 사이의 용지 이송 경로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제2센서(S1,S2)는 예를들어 반사형 포토 센서가 사용되어진다.
한편 상기한 제1도와 같이 구성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회로는 일반적으로 제2도와 같이 구성된다. 인터페이스(38)는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호스트 컴퓨터로 출력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콘트롤러(40)는 인터페이스(38)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을 하며 호스트 컴퓨터와 조작판넬(46)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에 따라 프린트 엔진부(48)를 제어하여 프린팅을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I/O(Input/Output)인터페이스(42)는 콘트롤러(40)와 센서회로(44), 조작판넬(46), 프린트 엔진부(48)사이에 연결되어 콘트롤러(40)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센서회로(44)는 상기한 제1,제2센서(S1,S2)를 포함하여 프린터 각 부의 동작상태, 용지의 이송상태, 현상제량등을 검출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도시하지 않았음)을 구동하며 각 센서들의 출력신호를 I/O인터페이스(42)를 통해 콘트롤러(40)에 인가한다. 조작판넬(46)은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과 프린터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 프린트 엔진부(48)는 용지의 이송과 프린팅을 위한 상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부를 포함하며 콘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프린팅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구성되는 프린터가 통상적인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인터페이스(38)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프린트 명령이 인가되면, 콘트롤러(40)는 통상적인 프린트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대기모드라 함은 프린터가 초기화동작 및 웜-업(warm-up) 수행후 프린트 가능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엔진구동모터(34)를 구동시킴으로써 대전기(10), 감광드럼(12),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14), 현상기(16), 전사기(26), 정착기(28), 각종 롤러등 프린트 엔진부(48)의 각 부분을 미리 설정된 시간적인 순서에 의거하여 동작시키며 용지도 급지카셋트(18)로부터 해당 시점에 급지하기 시작하여 프린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프린트 동작중에 콘트롤러(40)는 센서회로(44)를 통해 제1, 제2 센서(S1,S2)의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용지 이송 경로(36)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용지 잼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여 조작판넬(46)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통상적으로 픽업 롤러(20)를 구동하여 급지카셋트(18)의 용지를 급지하기 시작한 후 설정된 시간내에 용지가 제1센서(S1)에 도달하지 않거나, 용지가 제1센서(S1)를 거쳐 설정된 시간내에 제2센서(S2)에 도달하지 않거나, 용지가 제2센서(S2)에 도달한 후 설정된 시간내에 제2센서(S2)를 빠져 나가지 않을 경우 용지 잼으로 검출한다. 상기한 각각의 설정 시간들은 각 구간마다 고유의 필요한 동작에 따라 설정된다.
이때 용지 잼의 원인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송 경로(36)상에 걸려있는 용지의 상태에 따라 용지 상태가 불량인 경우와 정상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용지 상태가 정상인 용지 잼을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제거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잼 제거를 위한 콘트롤러(40)의 수행 흐름도를 보인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용지 잼 제거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용지 잼이 발생되면, 콘트롤러(40)는 (100)단계에서 엔진구동모터(34)를 정지시킴으로써 프린트 동작을 중지한다. 이후, (102)단계에서 내부의 타이머를 구동시키기 시작하고 (104)-(106)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용지 잼 상태가 해제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용지 잼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거됨에 따라 용지 잼 상태가 해제되는가를 센서회로(44)를 통해 제1,제2센서(S1,S2)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 용지 잼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거되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수동으로 제거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직접 화상형성장치의 커버(cover) 또는 해당 부분을 개방하거나 급지카셋트(18)를 빼내어 걸려있는 용지를 제거하는 경우이고, 자동으로 제거되는 경우는 용지 이송 경로(36)상에 걸려있는 용지를 사용자가 초기화모드 또는 잼 제거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엔진구동모터(34)의 구동에 의해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만일 상기 설정된 시간내에 용지 잼상태가 해제될 경우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이와달리 상기 설정 시간내에 용지 잼이 해제되지 않을 경우 (108)-(110)단계에서 엔진구동모터(34)를 구동시키기 시작하여 프린트 엔진부(48)의 각 부를 구동시켜 용지 이송 경로(36)상에 걸려있는 용지를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하여 용지 잼을 제거한다. 이때 픽업 롤러(20), 레지스터 롤러(34), 감광드럼(12), 정착기(28)의 롤러등이 엔진구동모터(3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용지 이송 경로(36)상에 걸려있던 정상 상태의 용지가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용지 잼을 제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조작판넬(46)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후 (112)단계에서 엔진구동모터(34)를 정지시킨 후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지 잼 발생시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용지 상태가 정상인 용지 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잼 발생시 설정시간내에 사용자에 의해 용지 잼상태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용지 잼을 제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잼 발생 즉시 자동으로 용지 잼을 제거하여도 된다. 그리고 용지 잼 제거시 용지 잼을 제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생략 할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적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복사기, LPH(LED Print Head) 프린터, 일반용지(Plain Paper) 팩시밀리등 모든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3)

  1.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중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 경로상에 용지가 걸리는 용지 잼이 발생되는 것을 검출하는 잼발생 검출과정과, 상기 용지 잼이 발생되는 것을 검출하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 있는 용지가 제거되어 상기 용지 잼상태가 해제되는가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검사하는 잼 해제 검사과정과, 상기 설정 시간내에 상기 용지 잼 상태가 해제될 경우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해제과정과, 상기 설정 시간내에 상기 용지 잼 상태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엔진부를 구동시켜 상기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있는 용지 상태가 정상인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용지 잼을 제거하는 잼 제거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잼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 제거과정이, 상기 용지 잼 제거시 용지 잼을 제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잼 제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 해제 검사과정이, 상기 용지 이송 경로상에 걸려있는 용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거됨에 따라 상기 용지 잼상태가 해제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잼 제거방법.
KR1019950025001A 1995-08-14 1995-08-1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KR017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001A KR0173344B1 (ko) 1995-08-14 1995-08-1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US08/660,106 US5678123A (en) 1995-08-14 1996-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paper jam in image 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001A KR0173344B1 (ko) 1995-08-14 1995-08-1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030A KR970012030A (ko) 1997-03-29
KR0173344B1 true KR0173344B1 (ko) 1999-04-01

Family

ID=1942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001A KR0173344B1 (ko) 1995-08-14 1995-08-14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78123A (ko)
KR (1) KR0173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350B2 (ja) * 1995-08-28 2002-09-17 ミノルタ株式会社 複写装置
JP3673572B2 (ja) * 1995-10-0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0174230B1 (ko) * 1996-04-18 1999-05-15 김광호 레이저 프린터에서 잼 발생시 종이 배출 방법
US5815766A (en) * 1997-03-31 1998-09-2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 convenient copy sheet jam clearance in an electrostatographic machine
KR100230320B1 (ko) * 1997-07-30 1999-11-15 윤종용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방법
KR100341323B1 (ko) * 1999-11-20 2002-06-21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용지 이송 제어방법
KR100416554B1 (ko) * 2001-12-26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제어방법
KR100491579B1 (ko) * 2003-07-01 2005-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용지 잼 판단 방법
JP2005221518A (ja) * 2004-02-03 2005-08-18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346474B2 (ja) * 2004-03-02 2009-10-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7744077B2 (en) * 2004-09-03 2010-06-29 Lexmark International, Inc. Jam-door open sensing using media sensor and method for use thereof
JP4120636B2 (ja) * 2004-11-25 2008-07-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給紙装置
JP2007041025A (ja) * 2005-07-29 2007-02-15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84337A (ja) * 2005-08-26 2007-04-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用紙水付与装置
JP4054822B2 (ja) * 2005-08-31 2008-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484731B2 (en) * 2006-08-28 2009-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and method
US8626050B2 (en) 2007-02-28 2014-01-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heets fed from a detachable sheet feeding unit using detected sheet intervals
JP5444982B2 (ja) * 2009-09-15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搬送制御方法
JP2011062873A (ja) * 2009-09-16 2011-03-31 Riso Kagaku Corp 印刷装置
JP6256330B2 (ja) * 2014-12-26 2018-01-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100B2 (ja) * 1987-04-14 1994-09-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ジヤム検出表示装置
JP2681995B2 (ja) * 1988-04-21 1997-11-26 ミノルタ株式会社 作像装置
JP2667440B2 (ja) * 1988-05-18 1997-10-2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2764816B2 (ja) * 1988-12-28 1998-06-11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合成・両面複写機
JP2543296Y2 (ja) * 1989-11-09 1997-08-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両面画像記録装置
KR0132039B1 (ko) * 1993-05-24 1998-10-01 김광호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잼 제거방법
KR0141676B1 (ko) * 1993-05-24 1998-07-15 김광호 전자사진현상방식을 이용한 장치의 잼제거방법
KR0122535B1 (ko) * 1993-10-20 1997-11-17 윤종용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잼 제거방법 및 장치
KR0149197B1 (ko) * 1994-06-14 1998-12-15 우석형 잼 자동제거를 위한 잼용지 자동배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78123A (en) 1997-10-14
KR970012030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344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KR100256608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에러 처리방법
KR0132039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잼 제거방법
KR0122535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잼 제거방법 및 장치
KR20040077518A (ko) 화상 형성 장치
KR20100019257A (ko) 화상형성장치의 듀플렉스 잼 복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230320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방법
JP200908403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検出方法
JPH08286586A (ja) 画像形成装置
KR0141676B1 (ko) 전자사진현상방식을 이용한 장치의 잼제거방법
KR0164383B1 (ko) 화상형성장치의 웜업 제어방법
US54445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int engine of a page printing device
JP4541514B2 (ja) 画像形成装置
JP2787505B2 (ja) ペーパージャム検出装置
KR100285748B1 (ko) 전사전압제어장치및방법
KR0174610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장치의 잼 제거방법
KR0159676B1 (ko) 용지 장착 및 잼 검출장치와 그 방법
JP201000887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4439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6122257A (ja) 画像形成装置
KR960014062B1 (ko) 프린터의 기록지 이송오류 자동복귀방법
JPH0612224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02419B1 (ko) 사무용기기의 수동급지 방법 및 장치
KR19980057419A (ko) 화상형성장치의 압축롤러 용지말림 방지방법
KR19980057456A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용지말림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8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