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0718B1 -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718B1
KR0170718B1 KR1019950059532A KR19950059532A KR0170718B1 KR 0170718 B1 KR0170718 B1 KR 0170718B1 KR 1019950059532 A KR1019950059532 A KR 1019950059532A KR 19950059532 A KR19950059532 A KR 19950059532A KR 0170718 B1 KR0170718 B1 KR 017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ape
gear
reel table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899A (ko
Inventor
엄재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5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718B1/ko
Priority to US08/756,246 priority patent/US5813621A/en
Priority to JP8331325A priority patent/JPH09180300A/ja
Publication of KR97005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adapted for use with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or configurations; adapt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에 대해 개시한다. 이 메카니즘에는 릴베이스(160)(170)를 안정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릴테이블을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각 해제레버를 해제시키는 각각의 해제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구조를 간단히 할 뿐만 아니라, 릴테이블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제1도는 통상의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분리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메카니즘을 나타낸 개략도.
제6도 및 제7도는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상태로 릴테이블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배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요부 측면도.
제9도는 샤프트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10도는 제1해제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제11도는 최종기어를 나타낸 단면도.
제12도 내지 제13도는 제11도의 개략 평면도.
제14도는 릴베이스에 설치되는 릴테이블 및 릴 모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크부재 110, 120 : 제1,2관통구멍
160, 170 : 제1,2릴베이스 180, 190 : 제1,2샤프트
210, 220 : 릴테이블 250 : 구동모터
260, 270 : 기어열
본 발명은 VTR, CAMCORDER 및 D-VCR(Digital-Video Cassette Recorder)와 같은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크기가 다른 두종류 이상의 테이프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릴테이블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채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 해제레버를 작동시키는 메카니즘과, 릴테이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가지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카세트(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기 테이프가 권회되는 공급릴(11)과 감기릴(12)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각 릴(11)(12)의 하부 플랜지(13)(14)에는 기어(13')(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두 릴(11)(12)이 공회전되어 테이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두 릴을 제동시키는 제동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동수단은 두 릴(11)(12)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의 스토퍼(15)(1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스토퍼(15)(16)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한 각 하부 플랜지(13)(14)의 기어(13')(14')와 맞물리도록 탄성편(15')(16')에 의해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두 스토퍼(15)(16) 사이에는 두 스토퍼를 모두 기어 (13')(14')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레버(1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레버(17)의 일단부(17)는 테이프 카세트(10)의 저면부에 형성된 구멍(19)에 대응된 위치에 놓이게 되며, 그 타단부(17')는 회전시 상기한 각 스토퍼(15)(16)의 타단부를 연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레코더에는 테이프 카세트(10)가 안착될 때에 상기한 릴(11)(12)들이 스토퍼(15)(16)로부터 해제되도록 해제레버(17)를 회전시키는 해제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400)(300)에서는 상기한 해제레버(17)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멍(401)(301)의 위치가 다르므로, 각 테이프 카세트(400)(300)에 대응하는 해제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이 채용된 테이프 레코더에는 릴테이블을 안정하게 위치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사항이 채용된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은 헤드드럼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기구가 설치되고,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각각 소정길이를 가지는 제1,2관통구멍이 형성된 데크부재와;
테이프가 감기는 한쌍의 릴을 록킹시키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를 각각 가지는 크기가 다른 제1,2테이프 카세트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1,2관통구멍내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릴테이블과;
상기 한쌍의 릴테이블이 각각 탑재되며 상기 데크부재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제1,2릴베이스와;
상기 제1,2관통구멍의 각 일측가장자리에 소정의 지지수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2베이스의 일측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샤프트와;
상기 제1,2릴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제1,2테이프 카세트의 각 해제레버를 각각 록킹해제시키는 제1,2해제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각 일단이 상기 데크부재의 저면에 고정되며, 각 타단에 상기 각 제1,2샤프트의 저면 및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각 제1,2샤프트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된 제1,2지지부재와,
상기 데크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2샤프트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각 제1,2릴베이스의 타측에 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부재에 고정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릴베이스의 랙기어부를 연결하는 제1기어열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2릴베이스의 랙기어부를 연결하는 제2기어열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각 릴테이블이 상기 제1,2테이프 카세트 안착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각 릴테이블을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이 더 구비함이 바람직한 바, 이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상기 제1,2기어열중 상기 제1,2릴베이스의 랙기어부와 연결되는 각 최종기어는 각 랙기어부와 맞물리는 제1기어와, 이 제1기어와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2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1,2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릴테이블이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서 소정위치로 이동된 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에 의해서 릴테이블들이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므로 각 릴테이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1,2해제수단이 고정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메카니즘을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을 나타낸 제5도 및 그 배면도를 나타낸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헤드드럼(130)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기구(미도시)등이 설치되는 데크부재로서, 그 데크부재(100)에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각각 소정길이를 가지는 제1,2관통구멍(110)(1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부재(100)의 저면에는 한쌍의 제1,2릴베이스(160)(17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릴테이블(210)(220)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릴베이스(160)(170)의 저면에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릴테이블(210)을 구동시키는 릴 모터(16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릴베이스(170)의 저면에도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3도, 제4도 및 제14도를 참조하면, 상기 각 릴테이블(210)(220)에는 크기가 작은 제1테이프카세트(300)가 안착되는 제1안착면(211)과, 크기가 큰 제2테이프 카세트(400)가 안착되는 제2안착면(2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2테이프 카세트(300)(400)의 내부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가 감기는 한쌍의 릴을 록킹시키는 스토퍼(15)(16)와 이 스토퍼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17)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메카니즘에는 상기 제1,2테이프 카세트(300)(400)의 각 해제레버(17)를 각각 록킹해제시키는 제1,2해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관통구멍(110)(120)의 각 일측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지지수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의 일측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샤프트(180)(1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는 상기 제1,2샤프트(180)(190)를 따라 소정의 이동수단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제6도,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일단이 상기 데크부재(100)의 저면에 고정되며 각 타단에 상기 각 제1,2샤프트(180)(190)의 저면 및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231)와 각 제1,2샤프트(180)(190)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2지지부(232)가 형성된 탄성의 제1,2지지부재(230)(240)와, 상기 데크부재(1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2샤프트(180)(19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고정핀(233)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1,2릴베이스(160)(170)의 타측에 랙기어부(161)(171)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부재(100)에 고정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50)와, 상기 구동모터(250)와 상기 제1릴베이스(160)의 랙기어부(161)를 연결하는 제1기어열(260)과, 상기 구동모터(250)와 상기 제2릴베이스(170)의 랙기어부(171)를 연결하는 제2기어열(270)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각 릴테이블(210)(220)이 상기 제1,2테이프 카세트(300)(400) 안착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각 릴테이블(210)(220)을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 탄성바이어스수단은 각 릴테이블(210)(220)을 안착위치에서 유동을 방지시키며 안착위치를 안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제6도, 제8도 및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1,2기어열(260)(270)중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의 랙기어부(161)(171)와 연결되는 각 최종기어(265)(275)는 각 랙기어부(161)(171)와 맞물리는 제1기어(266)와, 이 제1기어(266)와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50)와 연결되는 제2기어(267)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2기어(266)(267)사이에는 상기 제1,2기어(266)(267)와 동축으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1기어(266)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기어(267)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26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266)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걸림돌기(266a)가 형성되어 있고, 제2기어(267)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걸림돌기(267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부재(268)의 양단부는 각각 걸림돌기(266a)(267a)에 걸려지게 되며, 각 제1,2릴베이스(160)(170)는 최종위치에서 스프링부재(268)가 수축됨으로써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게 된다.
상기 제1테이프 카세트(300)의 해제레버(17)를 작동시키는 상기 제1해제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6도, 제7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면, 상기 데크부재(10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그 대향면에 각각 슬릿홈(284a)(284b)을 가지는 원통형부재(284)와, 상기 원통형부재(284)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릿홈(284a)(284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282)(283)와 상기 데크부재(100)의 상부로 출몰가능하며 상기 제1테이프 카세트(300)의 해제레버를 동작시키는 제1해제핀(281)을 가지는 승강부재(280)와, 상기 원통형부재(284)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부재(280)를 상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285)와, 상기 제1테이프 카세트(300)가 상기 릴테이블(210)(2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승강부재(280)의 하강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방지수단은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의 상면에 상기 한쌍의 돌기(282)(283)가 지지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가 제1테이프 카세트(300)의 안착을 위해 이동된 위치에서는 제6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릴베이스(160)(170)의 상면에 상기한 돌기(282)(283)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테이프 카세트(400)의 안착을 위해 제1,2릴베이스(160)(170)가 하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는 각 제1,2릴베이스(160)(170)가 상기한 돌기(282)(283)와 분리되도록 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테이프 카세트(400)가 안착될 때 상기 승강부재(280)는 그 안착되는 제2테이프 카세트(400)에 의해서 가압되어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테이프 카세트(400)의 해제레버를 작동시키는 상기 제2해제수단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부재(100)의 상면에 상기 제2테이프 카세트(400)의 해제레버를 작동시키는 제2해제핀(141)을 가지는 고정부재(140)를 고정설치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제1테이프 카세트(300)를 기록/재생하고자 할 때에, 구동모터(250)가 구동되면 그 동력은 제1,2기어열(260)(270)을 통해 각 제1,2릴베이스(160)(170)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각 릴베이스(160)(170)는 제1,2샤프트(180)(190)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각 릴테이블(210)(22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한편, 릴테이블(210)(220)의 최종위치에서 상기 각 제1,2릴베이스(160)(170)는 상기한 탄성바이어스수단에 의해서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릴테이블(210)(220)이 소정위치에 정지되면, 제1테이프 카세트(300)를 릴테이블(210)(220)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2테이프 카세트(300)의 해제레버는 제1해제핀(281)에 의해서 해제되게 된다. 여기서 제1해제핀(281)은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에 의해서 승강부재(280)가 지지되므로 하강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2테이프 카세트(400)를 기록/재생하고자 할 경우, 구동모터(250)를 반대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한 제1,2릴베이스(160)(170)를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각 릴테이블(210)(220)은 제2테이프 카세트(400)가 안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된다. 이어서 제2테이프 카세트(400)를 릴테이블(210)(220)에 안착시키게되면, 제2테이프 카세트(400)의 해제레버는 제2해제핀(141)에 의해서 작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릴베이스(160)(170)는 상기 승강부재(280)로부터 이탈되게 되므로 제1해제핀(281)은 안착되는 제2테이프 카세트(400)에 의해서 가압되어 하강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제1,2샤프트(180)(190)는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여 릴테이블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둘째, 각 릴테이블은 상기한 탄성바이어스수단에 의해서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게 되므로 릴테이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의 각 해제레버를 작동시키는 제1,2해제수단을 각기 구성함으로써 상호 간섭됨이 없이 구동시킬 수 있고 그 구조를 간단히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8)

  1. 헤드드럼과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기구가 설치되고,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각각 소정길이를 가지는 제1,2관통구멍이 형성된 데크부재와; 테이프가 감기는 한쌍의 릴을 록킹시키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를 해제시키는 해제레버를 각각 가지는 크기가 다른 제1,2테이프 카세트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1,2관통구멍내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릴테이블과; 상기 한쌍의 릴테이블이 각각 탑재되며 상기 데크부재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제1,2릴베이스와; 상기 제1,2관통구멍의 각 일측가장자리에 소정의 지지수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2베이스의 일측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샤프트와; 상기 제1,2릴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제1,2테이프 카세트의 각 해제레버를 각각 록킹해제시키는 제1,2해제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각 일단이 상기 데크부재의 저면에 고정되며, 각 타단에 상기 각 제1,2샤프트의 저면 및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각 제1,2샤프트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된 탄성의 제1,2지지부재와, 상기 데크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2샤프트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각 제1,2릴베이스의 타측에 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부재에 고정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릴베이스의 랙기어부를 연결하는 제1기어열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2릴베이스의 랙기어부를 연결하는 제2기어열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릴테이블이 상기 제1,2테이프 카세트 안착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각 릴테이블을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이 더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상기 제1,2기어열중 상기 제1,2릴베이스의 랙기어부와 연결되는 각 최종기어는 각 랙기어부와 맞물리는 제1기어와, 이 제1기어와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2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1,2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해제수단은 상기 데크부재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그 대향면에 각각 슬릿홈을 가지는 원통형부재와, 상기 원통형부재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릿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와 상기 데크부재의 상부로 출몰가능하며 상기 제1테이프 카세트의 해제레버를 동작시키는 제1해제핀을 가지는 승강부재와, 상기 원통형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릴테이블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수단은 상기 제1,2릴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한쌍의 돌기가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해제수단은 상기 데크부재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테이프 카세트의 해제레버를 작동시키는 제2해제핀을 가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KR1019950059532A 1995-12-27 1995-12-2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KR017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532A KR0170718B1 (ko) 1995-12-27 1995-12-2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US08/756,246 US5813621A (en) 1995-12-27 1996-11-25 Reel table moving mechanism of tape recorder
JP8331325A JPH09180300A (ja) 1995-12-27 1996-12-11 テープレコーダのリールテーブル移動機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532A KR0170718B1 (ko) 1995-12-27 1995-12-2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899A KR970050899A (ko) 1997-07-29
KR0170718B1 true KR0170718B1 (ko) 1999-04-15

Family

ID=1944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532A KR0170718B1 (ko) 1995-12-27 1995-12-2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13621A (ko)
JP (1) JPH09180300A (ko)
KR (1) KR0170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023B1 (ko) * 1997-02-14 2000-01-15 윤종용 자기기록재생기의릴및테이프카세트감지스위치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545A (ja) * 1983-08-12 1985-03-02 Sony Corp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H0648588Y2 (ja) * 1985-12-18 1994-12-12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位置決め装置
DE3626942A1 (de) * 1986-08-08 1988-02-11 Bosch Gmbh Robert Wickelvorrichtung fuer magnetbandkassetten unterschiedlicher abmessungen
US4984109A (en) * 1988-06-15 1991-01-08 Hitachi, Ltd. Reel support positioning device for a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ccommodating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JPH02281451A (ja) * 1989-04-21 1990-11-19 Sony Corp リール台装置
JPH02285546A (ja) * 1989-04-27 1990-11-22 Sony Corp リール台シフト装置の移動台位置決め機構
JP3094611B2 (ja) * 1991-12-27 2000-10-03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供給巻取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するテープカセット
JP2986318B2 (ja) * 1993-11-30 1999-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960016897B1 (ko) * 1994-01-07 199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용 릴테이블 이송장치
KR0170334B1 (ko) * 1995-05-18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기의 릴 브레이크 메카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13621A (en) 1998-09-29
JPH09180300A (ja) 1997-07-11
KR970050899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88058A (en) Mechanism for tape decks
US5315462A (en) Cartridge loading device having side-locking mechanism
EP0404426B1 (en)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00008358B1 (ko) 회전헤드형 자기기록재생장치
US3429519A (en) Tape cartridge positioning and driving apparatus
JPH0510280Y2 (ko)
JPH0447787Y2 (ko)
KR017071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US5029036A (en)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KR0176551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JPS6020177Y2 (ja) テ−プレコ−ダの連結機構
KR10020774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허브 로킹 해제 장치
US4378575A (en) Tape cassette device
US4368493A (en) Tape cassette device
KR200210796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폴 베이스 안착장치
JPH0528575Y2 (ko)
KR9400115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릴 브레이크 장치
US5269480A (en) Adaptor for rewinding or fast-forwarding an 8 mm video tape in a video home system video tape rewinder
JPH0447777Y2 (ko)
KR20020418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188932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메카니즘
JPH0656680B2 (ja) テ−プ駆動装置のオ−トストツプ機構
JPS6128262Y2 (ko)
KR10043637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레일 정렬장치
KR100715853B1 (ko) 헤드크리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자기기록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