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0176B1 -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176B1
KR0170176B1 KR1019960001184A KR19960001184A KR0170176B1 KR 0170176 B1 KR0170176 B1 KR 0170176B1 KR 1019960001184 A KR1019960001184 A KR 1019960001184A KR 19960001184 A KR19960001184 A KR 19960001184A KR 0170176 B1 KR0170176 B1 KR 0170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afety valve
valve
valve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708A (ko
Inventor
요시야스 이토오
마사노리 시미즈
아야요시 와키타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최창선
Publication of KR96002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밸브케이스의 전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또 끼워붙임이 확실히 되기 때문에 맞붙임성이 뛰어나고, 맞붙임공정의 자동화에 적절한 연소기기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수지의 일체성형품이고, 밸브보디(1)의 밸브구멍(관통구멍; 11)에 끼워짐과 아울러, 가스유입구(14)에 대응하는 부분에 트인구멍이 형성되고, 일단에 안전밸브구멍을 가지는 통형상 안전밸브케이스(60)와, 안전밸브케이스(60)의 후에 밸브구멍(11)에 끼워지고, 흡착축(87)이 돌출형성된 일단측이 소경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간에 안전밸브케이스(60)의 후단이 걸어멈춰지는 단(81)이 형성된 케이싱(80)을 가지는 전자액추에이터(8) 및 흡착축(87)의 선단에 부착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스프링(77)에 의해 안전밸브구멍에 눌려 접해져서 안전밸브구멍을 막고, 전자액추에이터(8)에 의해 흡착되어 안전밸브구멍을 개방하는 안전밸브체(76)를 가지는 마그넷 유닛(7)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제1도는 연소기기의 연소제어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연소기기의 연소제어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연소기기의 연소제어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안전밸브케이스의 정면단면도 및 저면도.
제5도는 마그넷 유닛의 정면도.
제6도는 마그넷 유닛의 단면도.
제7도는 테이블풍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보디 6 : 안전밸브
7 : 마그넷 유닛 8 : 전자액추에이터
11 : 밸브구멍(관통구멍) 14 : 유입구
15 : 유출구 50 : 작동봉
60 : 안전밸브케이스 61 : 트인구멍
63 : 안전밸브구멍(밸브구멍) 68 : 축지지부
76 : 안전밸브체(밸브체) 77 : 솔레노이드스프링
80 : 케이싱 81 : 단
86 : 전자 솔레노이드 87 : 흡착축(흡착체 : 아마추어)
100 : 점·소화기구(조작수단) A : O링(실링)
본 발명은 연소용 가스 또는 석유를 연로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소제어장치의 밸브보디에 설치되는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풍로 등의 연소기기에는, 점·소화기구의 조작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실화센서(착화센서)에 의해 연소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은 밸브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전자식 안전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이 안전밸브는 관통구멍(밸브구멍)을 가지는 밸브보디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보다디의 일단측에 설치된 점·소화기구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 설치된 작동봉이 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이 작동봉이 안전밸브체를 눌러서 밸브를 개방한다.
이 안전밸브는 버너의 연소를 검지하는 실화센서(착화센서)의 출력, 또는 실화센서가 출력하는 정상연소신호에 의해 밸브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실화 또는 이상연소가 발생할 때, 케이싱의 내부에 흡착체와 전자솔레노이드를 장착한 전자액추에이터의 흡인력이 손실되어, 설치된 솔레노이드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으로 밸브를 폐쇄한다. 이 안전밸브는 상기 관통구멍의 타단부에 끼워져, 일단면에 밸브구멍을 가지고, 측면에 가스유입구로 연이어 통하는 트인구멍을 가지는 통형상의 수지제 안전밸브케이스와, 전자액추에이터 및 설치된 솔레노이드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밸브구멍을 막고, 전자액추에이터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밸브구멍을 개방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진 마그넷 유닛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안전밸브는 안전밸브케이스를 밸브보디의 관통구멍에 끼우고, 안전밸브케이스에 전자솔레노이드의 전체를 끼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전밸브케이스의 길이가 길고, 자동맞붙임에 있어서 안전밸브케이스의 끼움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마그넷 유닛을 끼워넣는 경우가 있어, 맞붙임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 전지를 밸브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원으로 하는 안전밸브로서, 전지의 긴수명화를 위해 미약전류코일을 사용한 전자액추에이터를 채용한 경우에는, 전자솔레노이드가 대형화된다. 이것은 건전지를 전원으로 한 마그넷 유닛에서는, 전지소모를 될 수 있는 한 적게할 필요가 있고, 코일의 감은 수를 많게 하여 흡착동작하는 전류를 저하시키는 수단을 채택하고 있다. 감은 수가 많은 코일을 내장하기 위하여, 열전대의 기전력을 전원으로 하는 마그넷 유닛에 비교하여 솔레노이드가 대형이 된다. 이 때문에 안전밸브케이스 및 밸브보디도 대형이 되어, 기기의 콤팩트화에 지장이 생긴다.
이 발명의 목적은 안전밸브케이스 전길이의 단축이 가능하고, 또 안전밸브케이스의 끼워붙임이 확실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맞붙임성이 뛰어나고, 맞붙임공정의 자동화가 용이한 연소기기의 안전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은 연소용 가스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단에 유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타단측의 측벽에 상기 관통구멍과 교차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연소기기의 밸브보디와, 상기 관통구멍의 일단측에 형성된 조작수단과,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되면서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탄지되어 변위(變位)하는 작동봉과, 상기 관통구멍의 타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작동봉에 의해 밸브개방동작이 되는 안전밸브이고, 수지의 일체성형품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타단부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트인구멍이 설치되고, 일단에 벨브구멍을 가지는 통형상 안전밸브케이스와, 상기 안전밸브케이스 후에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짐과 아울러 흡착체가 돌출형성된 일단측이 소경(小徑)으로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안전밸브케이스의 후단이 걸어멈춰지는 단이 형성된 케이싱을 가지는 전자액추에이터 및 상기 흡착체의 선단에 부착되고, 솔레노이드스프링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에 눌려 접해져서 상기 밸브구멍을 막고, 상기 전자액추에이터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밸브구멍을 개방하는 밸브체를 가지는 마그넷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안전밸브는, 상기 안전밸브케이스는 수지의 일체성형품이고, 상기 밸브보디의 일단에 상기 작동봉의 타단부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안전밸브는 상기 전자액추에이터의 케이싱의 타단측은 상기 일단측보다 대경(大徑)부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에 상기 전자액추에이터의 전자솔레노이드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안전밸브는, 상기 케이싱의 대경부와 상기 관통구멍 사이를 실링으로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안전밸브케이스를 관통구멍에 끼워넣고, 다음에 마그넷 유닛을 끼움으로써, 안전밸브케이스의 불완전한 끼워맞춤이 마그넷 유닛을 끼워넣을 때에 수정된다. 이 때문에 맞붙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동맞붙임에 적절하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구성에서는 작동봉의 선단을 정확하게 축중심에 일치시킬 수 있고, 안전밸브의 밸브축과 동중심으로 설정하기가 쉽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의 구성에서는 케이싱의 대경부에 미약전류코일을 수용함에 따라 밸브보디의 지름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대형의 미약전류코일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종래형의 실화센서의 기전력에 의해 안전밸브를 밸브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자솔레노이드의 겸용도 가능하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구성에서는 안전밸브케이스의 걸림돌조의 파손 또는 위치어긋남이 발생하는 등에 의해 안전밸브케이스에 의한 밸브보디의 관통구멍과 마그넷 유닛 사이의 밀봉성이 손상되어도, 안전밸브자체의 실성이 O링(A)에 의해 유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제1도∼제3도는 풍로버너(B)(제3도에 표시)의 점·소화기구(조작수단; 100), 화력증감기구(200) 및 점화시의 화력조절기구(300)를 포함한 연소제어 유닛(U)을 나타낸다. 연소제어 유닛(U)은 제7도에 표시한 테이블풍로(T)의 내부에 장착된다. 테이블풍로(T)의 전면에는 점·소화기구(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점·소화버튼(10)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탄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점·소화버튼(10)의 상측은 화력증감기구(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식 조작부(2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조작부(20)의 슬라이드 위치는, 제3도, 제7도에 있어서 우단이 약화력, 중간이 중화력 좌단이 강화력으로 되어 있다.
점·소화기구(100)는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수평적으로 부착된 통형상의 밸브보디를 가진다. 밸브보디(1)의 앞부(도시 우측)의 윗면에는 화력증감기구(200)의 화력조절밸브보디(2B)가 세로로 체결(締結)되어 있다. 화력조절밸브보디(2B)는 통형상을 나타내고, 가스유로로 되어 있는 내강(內腔)의 상단부에는 화력조절밸브(2)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보디(1)에는 밸브구멍(관통구멍; 11)이 형성됨과 아울러, 밸브보디(1)의 전단측(표시 좌단측)에는 제3도, 제7도에 나타낸 점·소화버튼(10)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기구(3)가 체결되어 있다.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단에는, 화력조정밸브(2)를 동작시키고, 풍로버너(B)의 화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레버(4)가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조작레버(4)는 이 실시예에서는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단면에 체결된 상자형상의 브래킷(41)의 윗벽면에 지지점(4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레저(4)의 전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식 조작부(20)가 고착되어 있다.
스위치기구(3)는 나사에 의해 밸브보디(1)의 전단면에 체결되어 단면이 대략 +자형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틀체(31)와, 상기 가이드틀체(31)내에 전후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워진 작동차(32)를 구비한다. 작동차(32)는 정면 형상이 대략 +자형으로 되어 있고, 봉형상기부(33), 이 봉형상기부(33)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날개형상의 레버작용부(34), 봉형상기부(33)에서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마이크로 스위치 작동부(35)를 가진다.
작동자(32)는 가이드틀체(31) 사이에 개장된 스프링(37)에 의해 전방(도시좌측)에 탄지되어 있다. 가이드틀체(31)의 좌측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도시생략)가 부착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작동부(35)의 변위에 동반하여 개폐한다. 작동자(32)는 제1도, 제3도에 나타낸 돌출위치(소화위치)에서 밀어넣어지면, 제2도에 나타낸 밀어넣는 위치(점화위치)에 도달한다. 이 상태에서 밀어넣음을 개방하면 도시하지 않은 하트캠 또는 변형 하트캠에 의한 푸시푸시기구(P)에 의해 중간위치(연소위치)에 걸어멈춰지고, 중간위치에서 재차 밀어넣어지면 본래의 돌출위치(소화위치)로 되돌아 간다.
밸브보디(1)의 밸브구멍(관통구멍; 11)은 동축심을 가지고, 밸브구멍(11)내에는 선단이 작동자(32)의 봉형상기부(33)의 선단(도시 우단)에 맞닿은 작동봉(50)이, 전후움직임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밸브구멍(11)의 전단부(1A)는 소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봉(50)의 전단부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동작이 자유롭게 끼워지고, 끼워맞춤면에는 밀봉부재가 개장되어 있다. 중간부(1B)는 단벽(12)을 끼워 앞부가 중간지름, 후부가 대경으로 형성되고, 가스통로로 되어 있다. 밸브구멍(11)의 중간부에는 메인벨브(5)가 설치되고, 우측부에는 안전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구멍(11)의 후단부(1C)는 중간부(1B)의 후부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되고, 후에 서술할 안전밸브(6)의 장착부로 되어 있다. 후단부(1C)의 앞부(도시좌측)에는 하측으로 원형의 트인구멍인 유입구(14)가 형성되고, 중간부(1B)의 앞부에는 상측으로 구멍을 트고 화력조정밸브보디(2B)에 연이어 통한 유출구(15)가 형성되어 가스유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메인밸브(5)는 작동봉(50)의 중간에 형성한 홈(51)에 부착한 고무제의 메인밸브체(52)와 금속제의 등판(53)을 끼워 상기 메인밸브체(52)에 설치된 리턴스프링(54)과, 상기 단벽(12)에 형성된 메인밸브구멍(55)으로 구성된다. 리턴스프링(54)의 후단은 후에 서술할 안전밸브케이스(60)의 선단면에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다. 작동봉(50)은 리턴스프링(54)에 의해 전방으로 탄지되어 있고, 작동자(작동子; 32)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변위한다.
안전밸브(6)는 밸브구멍(11)의 후단부(1C)에 끼워진 수지제 통형상 안전밸브케이스(60)와, 선단부분이 이 안전밸브케이스(60)에 끼워진 마그넷 유닛(7)으로 이루어진다.
안전밸브케이스(60)는 폴리아세탈(POM), 나이론(PA) 등의 수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고, 제4a도 및 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후단이 개방하고, 상기 유입구(14)에 대응하는 부분에 트인구멍(61)을 가지는 박육의 원통부(62)를 가진다. 상기 원통부(62)의 전단측에는 중심이 안전밸브구멍(63)으로 되어 있는 후육(厚肉)의 밸브구멍부(64)가 대략 동일 외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62)의 후단에는 상기 트인구멍(61)에서 180도 회전한 위치로, 반원형의 절결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트인구멍(61)에는 반원형의 절결부(65)에서 180도 회전한 위치에, 걸림편(6A)을 가지는 걸림돌조(66)가 후측에서 앞측을 향하여 트인구멍(61)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65)는 안전밸브케이스를 밸브구멍(11)의 후단부(1C)에 끼워넣을 때의 안전밸브케이스(60)의 축회전위치를 인식 또는 검지하기 위한 표시이다. 표시는 다른 형상의 절결, 돌기, 기타 시인(視認) 또는 검지 가능한 임의의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걸림돌조(66)는 안전밸브케이스(60)가 밸브구멍(11)의 후단부(1C)에 끼워졌을 때, 상기 유입구(14)의 구멍벽에 걸리고, 빠져멈추는 작용을 완수한 맞붙임의 자동화가 유효하다. 밸브구멍부(64)의 외주에는 O링홈(73)이 형성되고 O링(67)이 끼워져 있다. 밸브구멍부(64)의 전단면에는 케이지(Cage)형상의 축지지부(68)가 연이어 설치되고, 축지지부(68)의 선단에는 작동봉(50)의 선단부(5A)를 슬라이드동작이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구멍(69)이 동축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그넷 유닛(7)은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액추에이터(8)와 그 후단면에 고정된 개폐장치체(70)와, 개폐장치체(70)가 고착된 플랜지(71)부착단자(72)와, 상기 전자액추에이터(8)의 전단측에 형성된 밸브기구(74)으로 이루어진다. 개폐장치체(70) 외주에는 O링홈(73)이 주위에 형성되고, O링(A)이 끼워져 있다.
전자액추에이터(8)는 중간단(81)을 끼워 앞측의 소경부(82), 후측의 대경부(83)으로 이루어진 단부착 원통형상 케이싱(80)을 가진다. 대경부(83)내에는 말굽형의 철심(鐵芯; 84)에 보빈(Bobbin)이 부착된 코일(85)을 바깥에서 끼운 전자솔레이드(86)가 수용되어 있고, 소경부(82)에는 흡착축[흡착체 : 아마추어(Armature); 87]의 후단부(88)가 삽입되어 있다. 흡착축(88)의 전단부(89)는 케이싱(80)에서 전단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밸브기구(74)는, 상기 흡착축의 전단부(89)에 고리형상을 댄 판(75)과 함께 고착된 고리형상의 고무제 안전밸브체(76)와, 상기 고리형상을 댄 판(75)과 케이싱(80)의 전단면 사이에 끼워진 솔레노이드스프링(77)으로 되어 있다. 안전밸브체(76)는 솔레노이드스프링(77)에 의해 상기 안전밸브구멍(63)에 눌러 접해진 상기 안전밸브구멍(63)을 막고, 상기 전자액추에이터(8)로의 통전에 의해 흡착축(87)이 전자솔레노이드(86)에 흡착되어 상기 안전밸브구멍(63)을 개방한다.
안전밸브(6)는 다음과 같이 부착된다. 반원형의 절결부(65)를 위로하여 안전밸브케이스(60)를 밸브보디(1) 밸브구멍(11)의 후단부(1C)에 삽입한다. 안전밸브케이스(60)는, 전단의 외주가 후단부(1C)와 중간부(1B) 후부와의 내지름차에 의해 밸브구멍(11)의 내벽에 걸어맞춰져서 멈춘다. 이 누름에 의해 걸림돌조(66)는 내측으로 변위하여 후단부(1C)내를 삽입통과하고, 유입구(14)를 통과하면 걸림부(6A)가 유입구(14)의 둘레에 걸려 고정된다.
다음은 마그넷 유닛(7)을 밸브구멍(11)에 끼우고, 플랜지(71)를 밸브보디(1)의 후단면에 체결한다. 이 때, 단(81)이 안전밸브케이스(60)의 후단을 밸브구멍(11) 속으로 밀어넣기 때문에, 앞공정에서 안전밸브케이스(60)가 불완전하게 끼워졌을 때에도 안전밸브케이스(60)를 확실하게 적정위치로 밀어넣을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안전밸브케이스(60)의 맞붙임이 정상으로 행해졌는가에 대한 여부확인이 곤란한 자동맞붙임공정에 있어서도 맞붙임 불량품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O링홈(73)에 끼워진 O링(A)에 의해, 전자액추에이터(8)와 밸브보디(1)의 밸브구멍(11) 사이가 밀봉된다. O링(A)은 걸림돌조(66)가 파손되는 등, 안전밸브케이스(60)가 손상되면서, 마그넷 유닛(7)과 밸브구멍(11) 사이에 밀봉성이 손상되어도, 밸브보디(1)의 밸브구멍(11)과 마그넷 유닛(7)의 케이싱(80)과의 사이에 밀봉을 확보하는 작용을 가진다.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내강은 가스통로(21)로 되어 있고, 가스통로(21)의 상단부에는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체(22)가 슬라이드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밸브체(22)의 밸브구멍은 풍로버너(B)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유출로(24)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체(22)는 상단부가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고, 노출부에는 밸브체(22)를 회동시키기 위한 니들핀(23)이 직교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니들핀(23)은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자형상의 브래킷(41)의 우측벽에 형성된 캠홈으로서 작용하는 경사슬릿(40)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경사슬릿(40)은 니들핀(23)의 회동량을 밸브체(22)의 축방향의 이동량으로 변환하여 화력조정밸브(2)의 밸브개방도를 증감시킨다.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우측벽에는 지지점(91)에서 화력조정밸브보디(2B)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판형상의 되돌림레버(9)가 부착되어 있다. 되돌림레버(9)의 하단에는, 상기 작동자의 레버작용부(34)에 맞닿아 역점(力點)이 되는 띠강판(Strip)형상의 역점팔(92)이, 화력조정밸브보디(2B)의 전면측에 직각으로 접어구부린 것과 같이 하여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되돌림레버(9)의 상단에는 상기 니들핀(23)에 걸어맞춰지는 슬릿(93)이 긴쪽방향(대략 윗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화력조정을 위한 조작레버(4)에 걸어맞춰지는 반원형의 작용팔(94)이 판면위에 상기 슬릿(9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Claims (4)

  1. 연소용 가스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단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타단측 측벽에 상기 관통구멍과 교차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연소기기의 밸브보디와,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단에 설치된 조작수단과,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탄지되어 변위하는 작동봉과, 상기 관통구멍의 타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작동봉에 의해 밸브 개방동작이 이루어지는 안전밸브로서, 수지의 일체 성형품이고, 상기 관통구멍의 타단부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트인구멍이 형성되고, 일단에 밸브구멍을 가지는 통형상 안전밸브케이스와, 상기 안전밸브케이스 후측으로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흡착체가 돌출형성된 일단측이 소경으로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안전밸브케이스의 후단이 걸리는 단부가 형성된 케이싱을 가지는 전자액추에이터 및 상기 흡착체 선단에 부착되고, 솔레노이드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전밸브구멍에 눌려 접해져서 상기 밸브구멍을 막고, 상기 전자액추에이터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밸브구멍을 개방하는 밸브체를 가지는 마그넷 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케이스는 상기 밸브보디의 일단에 상기 작동봉의 타단부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타단측은 상기 일단측보다 대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에 상기 전자액추에이터의 전자솔레노이드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대경부와 상기 관통구멍 사이를 실링으로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KR1019960001184A 1995-01-26 1996-01-19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KR0170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11044A JP3034436B2 (ja) 1995-01-26 1995-01-26 燃焼機器の安全弁
JP95-11044 1995-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08A KR960029708A (ko) 1996-08-17
KR0170176B1 true KR0170176B1 (ko) 1999-03-20

Family

ID=1176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184A KR0170176B1 (ko) 1995-01-26 1996-01-19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034436B2 (ko)
KR (1) KR0170176B1 (ko)
CN (1) CN1154803C (ko)
TW (1) TW3059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378B1 (ko) * 1999-04-12 2001-11-07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코아
JP4592626B2 (ja) * 2006-03-24 2010-12-01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バルブ装置
JP5415500B2 (ja) * 2011-09-22 2014-02-12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弁装置
EP3222914B1 (en) * 2016-03-23 2019-01-09 Orkli, S. Coop. Gas safety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00656A (ja) 1996-08-06
KR960029708A (ko) 1996-08-17
JP3034436B2 (ja) 2000-04-17
TW305918B (ko) 1997-05-21
CN1154803C (zh) 2004-06-23
CN1137109A (zh) 1996-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538A (en) Pump device for a fuel vapor reten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70176B1 (ko) 연소기기의 안전밸브
US6528748B2 (en) In-line flow switch assembly including magnetic sensitive plunger and microswitch actuator
US4378543A (en) Latch relay with manual reset and test
JPH09210237A (ja) ガス通路遮断弁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ガスメータ
US4142851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gas leakage
JPH05141565A (ja) 圧力制御機構を備えた電磁弁
JP5543414B2 (ja) ガス弁装置
JPH04203806A (ja) ガス遮断弁装置
JPH0842729A (ja) ガスメータにおける双方向遮断弁の復帰装置
US3973550A (en) Engine shut-down device
US2674255A (en) Safety fuel valve
US5765522A (en) Solenoid for stopping engine
US2624358A (en) Safety control fuel valve
JP3756252B2 (ja) 燃焼機器の安全弁
CN220134755U (zh) 电磁作动器和熄火保护装置
JP3136136B2 (ja) ガスメータの製造方法
KR200329532Y1 (ko) 가스 밸브 안전 잠금 알림 장치
CN221075443U (zh) 一种气动阀限位装置
KR890002278Y1 (ko) 가스기구의 조작장치
JPH0357355B2 (ko)
JP2012241854A (ja) ガス遮断弁およびモータ安全弁
KR20050011347A (ko) 가스 밸브 안전 잠금 알림 장치 및 방법
JPH0942505A (ja) 安全弁
KR100210659B1 (ko) 전자변을 이용한 가스자동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