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9897B1 -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897B1
KR0169897B1 KR1019960014576A KR19960014576A KR0169897B1 KR 0169897 B1 KR0169897 B1 KR 0169897B1 KR 1019960014576 A KR1019960014576 A KR 1019960014576A KR 19960014576 A KR19960014576 A KR 19960014576A KR 0169897 B1 KR0169897 B1 KR 016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uel
canister
control system
fue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135A (ko
Inventor
김완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1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897B1/ko
Publication of KR97007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니스터(Canister)와 엔진 사이의 관로가 길어질때 관로상에 증발가스의 응축연료가 통기저항을 증가시켜 퍼지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캐니스터의 대형화가 용이하여 증발가스 규제에 대한 대처가 용이한 응축된 액체연료의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시스템은 연료탱크로부터 증발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제어 밸브의 개방에 따라 엔진으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와 퍼지제어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관로상에서 액화된 액체연료를 포집하여 상기 연료탱크로 리턴시키기 위한 액체연료 포집수단과, 상기 액체연료 포집수단과 연료탱크 사이의 관로 상에 배치되어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기 위한 1웨이 첵크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니스터(Canister)와 엔진 사이의 관로가 길어질때 관로상에 증발가스의 응축연료가 통기저항을 증가시켜 퍼지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응축된 액체연료의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연료로 사용되는 액체연료는 연료탱크에 저장된 상태에서 연료펌프에 의해 엔진으로 공급되고 있다. 이경우 연료탱크에는 액체연료, 즉 가솔린 또는 경유로 부터 증발된 HC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증발가스는 연료 급유시의 뚜껑을 열때 또는 연료 주입구의 불완전 밀폐로 인하여 차량의 운행이나 정지시에 연료탱크로 부터 누출된 증발가스가 대기로 방출되고 있어 광학 스모그 현상과 인체의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는 일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따라 각국은 연소 배기가스 중의 오염 물질량을 규제함과 동시에 이러한 증발가스의 대기방출량을 일정치 이하로 억제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증발가스의 대기방출량을 줄이고 연료의 절감시키기 위한 종래의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은 연료탱크(1)에 설치되어 연료가 차콜 캐니스터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위한 세퍼레이터(3)와, 엔진 정지시에 연료탱크(1)의 증발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차콜 캐니스터(5)와, 엔진제어유닛(ECU)의 제어에 따라 캐니스터(5)로 부터 흡기 매니폴드(7)로 공급되는 증발 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한 퍼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9)와, 시스템 제어용 ECU(11)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연료탱크(1)의 압력조절용 첵크 밸브이다.
이러한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은 연료탱크(1)에서 증발된 HC 가스를 캐니스터(5)에 포집하며, 엔진 작동 상태에 따라 ECU(11)가 최상의 엔진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퍼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9)를 제어하여 흡기 매니폴드(7)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그런데 상기 시스템에서는 캐니스터와 엔진 사이의 관로가 호스/파이프/튜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관로상에서 주변온도의 하강시 증발가스가 응축되어 액체로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된 액체연료는 관로의 단면적을 줄여주어 통기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퍼지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부미지역의 신증발가스 및 ORVR(On 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캐니스터가 대형화 되면서 장착의 용이성 때문에 차량의 후방(연료탱크 주변)에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경우에는 캐니스터와 엔진 사이의 관로가 길어지게 되어 상기한 문제가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또한 캐니스터가 대형화 되는데 따라 엔진으로 유입되는 증발가스의 공급량도 증가하게 되어 공연비(A/F)의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뒤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캐니스터와 엔진 사이의 관로가 길어질때 관로상에 증발가스의 응축연료가 통기저항을 증가시켜 퍼지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에따라 캐니스터의 대형화가 용이하여 신증발가스 규제의 대응이 쉽게될 수 있으며, 엔진으로 유입되는 증발가스의 감소로 공연비의 제어가 용이해지고, 응축된 연료의 리턴에 따라 연료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응축된 액체연료의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제어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의 제어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3 : 세퍼레이터
5 : 캐니스터 7 : 흡기 매니폴드
9 : 퍼지제어 밸브 11 : ECU
13 : 첵 밸브 21 : 베이퍼 챔버
23 : 1웨이 첵 밸브 25 : 제4관로
27 : 제1관로 29 : 제2관로
31 : 제3관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탱크로부터 증발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제어 밸브의 개방에 따라 엔진으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와 퍼지제어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관로상에서 액화된 액체연료를 포집하여 상기 연료탱크로 리턴시키기 위한 액체연료 포집수단과, 상기 액체연료 포집수단과 연료탱크 사이의 관로 상에 배치되어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기 위한 1웨이 첵크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캐니스터와 퍼지제어 밸브 사이의 관로상에 설치된 베이퍼 챔버에 의해 증발가스 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응축된 액체연료를 포집하고 포집된 액체연료를 피드백 라인을 통하여 연료탱크로 리턴시킨다.
따라서 대형화된 캐니스터를 연료탱크 근처에 설치하여 캐니스터와 엔진 사이의 관로가 길어질때 관로상에 증발가스의 응축연료가 통기저항을 증가시켜 퍼지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에따라 캐니스터의 대형화가 용이하여 신증발가스 규제의 대응이 쉽게될 수 있으며, 엔진으로 유입되는 증발가스의 감소로 공연비의 제어가 용이해지고, 응축된 연료의 리턴에 따라 연료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의 제어 계통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시스템에서는 연료탱크(1)로 부터 제1관로(27) 상의 탱크 압력조절용 2웨이 첵크 밸브(13)를 통하여 증발가스가 포집되는 캐니스터(5)가 연결되어 있고, 캐니스터(5)의 출구는 제2관로(29)를 통하여 베이퍼 챔버(21)의 입구에 연결되며, 베이퍼 챔버(21)의 상측 출구는 제3관로(31)를 통하여 퍼지제어 밸브(9)에 연결되고, 베이퍼 챔버의 하측 출구는 역방향 흐름을 저지하기 위한 1웨이 첵크 밸브(23)와 제4관로(25)를 통하여 연료탱크(1)로 리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퍼지제어 밸브(9)의 출구는 엔진 또는 서지탱크로 연결되며, ECU의 제어에 따라 개폐된다.
이하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시스템에서는 연료탱크(1)에서 증발된 증발가스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될 경우 제1관로(27) 상의 2웨이 밸브(13)를 통하여 캐니스터(5)에 포집된다. 이경우 캐니스터는 증발가스의 포집 용량을 크게 대형화하여 연료탱크(1)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캐니스터(5)에 포집된 증발가스는 그후 ECU의 제어에 따라 퍼지제어 밸브(9)가 개방되어 상대적으로 긴 제2관로(29)를 통하여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로 공급되는 도중에 베이퍼 챔버(21)를 거치게 된다.
이때 베이퍼 챔버(21) 내에서 응축된 액체연료와 제2관로(29) 상에서 응축된 액체연료는 하측 출구로 부터 제4관로(25) 상의 1웨이 첵크 밸브(23)를 통하여 연료탱크(1)로 리턴되며, 챔버 내에 포집된 증발가스는 제3관로(31) 상의 퍼지제어 밸브(9)를 통하여 엔진측의 흡기 매니폴드로 흡수된다.
이 구조는 베이퍼 챔버 이외에 별도의 제어장치 등을 두지 않고 액화된 액체연료를 연료탱크로 피드백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캐니스터와 퍼지제어 밸브 사이의 관로상에 설치된 베이퍼 챔버에 의해 증발가스 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응축된 액체연료를 포집하고 포집된 액체연료를 피드백 라인을 통하여 연료탱크로 리턴시킨다.
따라서 캐니스터와 엔진 사이의 관로 상에서 응축연료에 의한 통기저항을 감소시켜 퍼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따라 캐니스터의 대형화가 용이하여 신증발가스 규제의 대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엔진으로 유입되는 증발가스의 감소로 공연비의 제어가 용이해지고, 응축된 연료의 리턴에 따라 연료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연료탱크로부터 증발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제어 밸브의 개방에 따라 엔진으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와 퍼지제어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관로상에서 액화된 액체연료를 포집하여 상기 연료탱크로 리턴시키기 위한 액체연료 포집수단과, 상기 액체연료 포집수단과 연료탱크 사이의 관로 상에 배치되어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기 위한 1웨이 첵크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연료 포집수단은 입구가 제1관로를 통하여 상기 캐니스터에 연결되고, 증발가스용 제1출구가 상기 퍼지제어 밸브에 연결되며, 액체연료용 제2출구가 상기 1웨이 첵크 밸브에 연결되는 베이퍼 챔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KR1019960014576A 1996-05-04 1996-05-04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KR016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576A KR0169897B1 (ko) 1996-05-04 1996-05-04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576A KR0169897B1 (ko) 1996-05-04 1996-05-04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135A KR970074135A (ko) 1997-12-10
KR0169897B1 true KR0169897B1 (ko) 1999-01-15

Family

ID=1945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576A KR0169897B1 (ko) 1996-05-04 1996-05-04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8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135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69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US6460517B1 (en) Canister purge system
JPH0725263U (ja) 車輛用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KR100214698B1 (ko)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콘트롤장치
JPH10184466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US6679228B1 (en) Low evaporative emissions integrated air fuel module
US7086390B2 (en) Integrated fuel tank and vapor containment system
JP3705398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0169897B1 (ko)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KR0169896B1 (ko) 액체연료 리턴구조를 갖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JPH09209849A (ja) 車両における給油時の蒸発燃料捕集装置
JPH0539758A (ja) タンクエバポシステム
JP3106608B2 (ja) 蒸発燃料制御装置
US11767812B1 (en) Intake manifold and corresponding fuel system for a vehicle
US10876499B2 (en) Purge ejector assembly for a vehicle
JP307484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4330364A (ja) エバポ装置
KR100201493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저감장치
JPH0124369Y2 (ko)
CN114109662A (zh) 用于车辆的燃料系统
JPS5910375Y2 (ja) 燃料タンク内の蒸発燃料処理装置
KR19990019558U (ko) 캐니스터의 연료유입 차단장치
JPS5827087Y2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燃料蒸発防止装置
KR200226521Y1 (ko) 차콜캐니스터의구조
JP3620445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捕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