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9443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443B1
KR0169443B1 KR1019960019795A KR19960019795A KR0169443B1 KR 0169443 B1 KR0169443 B1 KR 0169443B1 KR 1019960019795 A KR1019960019795 A KR 1019960019795A KR 19960019795 A KR19960019795 A KR 19960019795A KR 0169443 B1 KR0169443 B1 KR 016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ad
display devi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724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443B1/ko
Publication of KR98000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보호형 박막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쪽에 배선과 연결된 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드의 일부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액정 기판, 이 액정 기판의 노출된 패드를 완전히 덮는 이방성 도전막, 이방성 도전막의 한 면이 접착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이방성 도전막이 패드의 노출된 부분을 완전히 덮도록 접착되므로 기판 사이에 잔존하는 수분의 전기 화학적 작용으로 인한 전류의 누설과 패드내 배선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ge carrier package : TCP)의 접합부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접합부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접합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1 : 패드(pad)
12 : 보호막 20 : 이방성 도전막
21 : 도전 입자 22 : 열 경화성 수지
23 : ITO 패드 30 :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
31 :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32 : 공통 전극
40 : 봉합재
50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ge carrier package:TCP)
51 : 동박막 52 : 아웃 리드(out lead)
53 :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ge Carrier Package : TCP)의 접합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기판, 구동 회로부, 후광부로 구성된다. 이들 중 액정 기판과 구동 회로부는 여러 방식으로 접속되는데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방식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과 COG(chip on glass) 방식이다.
TAB 접속 방식은, 동박막에 패턴을 식각하고 그 동박막에 열압착된 대규모 집적 회로를 수지로 몰딩(molding)하여 열경화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TAB Tage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열압착시키는 방식이다. TAB 방식의 접속에서는 열압착시 이방성 전도막을 사용하므로 고밀도의 실장이 가능하며 액정 표시 장치의 소형화와 경량화에 유리하다. 한편, 특수 압착 기구가 필요하며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조 조건이 필요하다.
COG 접속 방식은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선을 형성하고 그 배선에 직접 대규모 집적 회로 칩을 접합하는 방식으로서, TAB Tape가 필요치 않아 싸고 얇고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규모 집적회로를 직접 접합하는데 있어 고난도의 기술을 요하므로 기술의 개발을 통한 수율 형상의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패드 보호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ge Carrier Package)의 접합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컬러 필터(color filter)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 필터 기판(3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으로 이루어진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의 접합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동박막(51)의 아웃 리드(out lead)(52) 면에 집적 회로(53)가 부착되어 있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는 이방성 도전막(20)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과 연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한 면에는 크롬 성분의 배선(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의 일부에는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막(12)이 덮여 있다. 또한 노출된 배선(11) 부분은 ITO(indium tin oxide) 패드(23)가 덮고 있다.
이방성 도전막(20)은 그 내부에 도전 입자(21)를 가지며 열 경화성 수지(22)로 이루어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 위의 ITO 패드(23)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의 아웃 리드(52)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열경화성 수지(22)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를 접합하는 역할을 하며, 도전 입자(21)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ITO 패드(23)의 일부에만 이방성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어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ITO 패드(23)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난다.
또한 컬러 필터 기판(3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과 마주 보도록 장착되는데 이 두 기판은 액정 물질을 기판 사이에 봉입하는 역할을 하는 봉합재(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컬러 필터 기판(30)의 한 면의 일부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공통 전극(32)이 코팅되어 있다.
봉합재(40)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보호막(12)과 컬러 필터 기판(30)의 공통 전극(32)의 면과 접하는데 블랙 매트릭스(31)는 공통 전극(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형태를 가지며 봉합재(40)보다 외곽으로 블랙 매트릭스(31)가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접합부 구조에서는, ITO 패드(23)의 일부가 이방성 도전막(20)으로 덮이지 않고 밖으로 드러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 또는 보관, 사용 중에 발생한 습기가 액정 기판 사이에 잔존할 수 있는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에 신호전압이 걸리면 노출되어 있는 ITO 패드(23)를 통해 전류가 누설되어 컬러 필터 기판(30)의 ITO 공통 전극(32)으로 흘러 들어가며 이 전류는 블랙 매트릭스(31)와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켜 크롬을 부식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수분이 극성을 띠기 때문에 일어나는데 전류는 기판(10, 30) 사이에 존재하는 이온화된 수분을 경로로 하여 전달된다. 컬러 필터 기판(30) 상의 ITO 공통 전극(32)에 공통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도 기판(10, 30) 사이의 수분을 경로로 하여 앞에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 위의 크롬 배선 패드(11)의 부식을 초래한다. 또한, 봉합재(40)가 블랙 매트릭스(31)의 끝보다 액정 화면의 안쪽에 위치하므로 블랙 매트릭스의 일부가 수분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크롬막의 부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 제조 공정의 추가없이 패드의 부식을 막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한 쪽에 배선과 연결된 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드의 일부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액정 기판, 이 액정 기판의 노출된 패드를 완전히 덮는 이방성 도전막, 이방성 도전막의 한 면이 접착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이방성 도전막이 패드의 노출된 부분을 완전히 덮도록 접착되므로 기판 사이에 잔존하는 수분의 전기 화학적 작용으로 인한 전류의 누설과 패드내 배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접합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제3도는 액정 기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접합부의 사시도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액정 기판(10, 30),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 이방성 도전막(20)으로 이루어진다.
액정 표시 기판은 컬러 필터 기판(30)과 이보다 폭이 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을 포함하는데, 컬러 필터 기판(30) 면에는 크롬성분의 블랙 매트릭스(31)가 덮여 있으며, 그 위에 컬러 필터 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블랙 매트릭스(31)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 필터 기판(30)의 전면에는 ITO 공통 전극(32)이 형성되어 있는데, ITO 공통 전극(32)은 블랙 매트릭스(31)와 절연되도록 패터닝되어 있거나 공통 전극(32)과 블랙 매트릭스(31) 사이에 유기 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을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한쪽 면에는 크롬 성분의 배선(11)이 증착되어 있으며 그 위에 200-400nm의 질화 실리콘이나 500-2000nm의 아크릴 수지 같은 유기 절연 물질로 구성된 보호막(12)이 퇴적되어 있다.
이 보호막(12)의 일부가 식각되어 있어 배선(11)의 일정한 부분이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ITO 패드(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호막(12)이 식각되는 부분은 컬러 필터 기판(30)의 끝보다 충분히(예를 들면 0.4mm 이상) 바깥으로 하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끝보다는 충분히 안쪽이어야 한다. 또는 식각된 부분의 폭은 접착된 이방성 도전막(20)의 폭보다 충분히 작게(예를 들면 0.5mm 이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컬러 필터 기판(30)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 사이의 액정 물질을 밀봉하는 봉합재(40)는 컬러 필터 기판(30)과 박막 구동기판(10)이 마주보도록 접착시킨다. 이때 블랙 매트릭스(31)의 끝의 위치는 봉합재(40)보다 액정 표시 장치의 안에 위치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는 동박 필름(51)의 한 면에 아웃 리드(out lead)(52)가 되어 있고 아웃 리드(52)된 부분에 집적 회로(53)가 열압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의 아웃 리드(52) 면은 이방성 도전막(20)을 매개로 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과 연결되어 있다.
이방성 도전막(20)의 열 경화성 수지(22)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노출된 패드(23)를 완전히 덮어 싸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의 아웃 리드(52)에 열 압착되어 있다. 열 경화성 수지(22) 안에는 금속 코팅된 플라스틱 볼(blaa)인 도전 입자(21)가 박혀 있어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 상의 전류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에 전달한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의 아웃 리드(52)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옆단에 접속되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에 장착되어 있는 직접 회로(53)로부터의 전류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의 공통 전극(23)을 통해 기판(10)에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노출된 ITO 패드(23)가 이방성 도전막(20)에 완전히 덮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류의 누설 및 그에 따른 크롬막의 부식을 방지하며, 블랙 매트릭스(31)의 끝이 봉합재(40)의 외곽보다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결함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부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31)와 공통 전극(32)을 절연시키거나 패드(23) 주위를 실리콘 봉지재로 덮어주는 경우, 외부와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아. 본 발명에 따른 패드 보호형 액정 표시 장치는 이방성 도전막으로 패드를 완전히 감싸주어 공정의 추가나 난이도의 증가 없이도 패드막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한 쪽에 배선과 연결된 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액정기판, 상기 노출된 패드를 완전히 덮는 이방성 도전막, 상기 이방성 도전막의 한 면과 접착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크롬 성분의 막인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보호막에 의해 덮여 있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200-400nm의 질화 실리콘이나 500-2000nm의 아크릴 수지인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ITO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6. 다수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선과 외부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드가 일부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블랙 매트릭스와 상기 블랙 매트릭스 면을 덮어싸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판과 접착되어 있는 제2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구동하는 집적 회로 칩이 부착되어 있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상기 제1 기판의 패드와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연결하는 이방성 도전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도전막은 상기 패드를 완전히 덮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크롬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200-400nm의 질화 실리콘이나 500-2000nm의 아크릴 수지의 보호막으로 덮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ITO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크롬 성분의 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ITO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절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분리되도록 패터닝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접착시키며 상기 제2 기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봉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재의 끝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보다 상기 제2 기판 밖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도전막은 접착제 역할을 하는 열 경화성 수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에 박혀 있는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입자는 금속 코팅된 플라스틱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액정 표시 장치.
KR1019960019795A 1996-06-04 1996-06-04 액정 표시 장치 KR016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795A KR0169443B1 (ko) 1996-06-04 1996-06-04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795A KR0169443B1 (ko) 1996-06-04 1996-06-04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724A KR980003724A (ko) 1998-03-30
KR0169443B1 true KR0169443B1 (ko) 1999-03-20

Family

ID=1946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795A KR0169443B1 (ko) 1996-06-04 1996-06-04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4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039B1 (ko) * 1998-07-31 200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790525B1 (ko) * 1999-07-22 2007-12-3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콘택트 구조 및 반도체장치
KR100885844B1 (ko) * 2002-10-18 2009-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8135A (ko) * 2012-09-20 2014-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039B1 (ko) * 1998-07-31 200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790525B1 (ko) * 1999-07-22 2007-12-3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콘택트 구조 및 반도체장치
US7411211B1 (en) 1999-07-22 2008-08-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US7626202B2 (en) 1999-07-22 2009-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US7956359B2 (en) 1999-07-22 2011-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US8258515B2 (en) 1999-07-22 2012-09-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US8368076B2 (en) 1999-07-22 2013-0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US8624253B2 (en) 1999-07-22 2014-01-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885844B1 (ko) * 2002-10-18 2009-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8135A (ko) * 2012-09-20 2014-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724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6329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erminal protected from break down
US482629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tion metal film wiring which is covered by polyimide layer having low viscosity under 1.0 poise before curing
US7492434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anisotropic-conductive adhesive film
US80313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0794451B1 (en)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EP0337775B1 (en) Electronic apparatus
JP2753549B2 (ja) 液晶表示デバイス
US1214261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5117300A (en) Electrical circuit device with different types of conductor paths
US5790220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with a black resin film covered an exposed portion of the wiring region on the outside of the sealing layer
JPS6394645A (ja) 電子装置
CN101106117A (zh) 显示面板与其控制电路封装结构
US7463326B2 (en) Tape carrier packag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016944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581856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557260B1 (ko) 액정표시장치
CN101988994B (zh) 焊垫、晶片-基板接合的封装构造及液晶显示面板
KR20060037635A (ko) 액정 표시 패널
KR10081633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구동 집적회로 부착방법
JPH10214046A (ja) チップオンガラスモジュール
CN211928940U (zh) 一种显示装置
CN1959485A (zh) 液晶显示面板装置及该液晶显示面板装置用的卷带型封装
JPH11258618A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法
JPH08292445A (ja) 液晶表示装置
JPH06148671A (ja) パネルの実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