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879B1 - 반도체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4879B1 KR0164879B1 KR1019940013683A KR19940013683A KR0164879B1 KR 0164879 B1 KR0164879 B1 KR 0164879B1 KR 1019940013683 A KR1019940013683 A KR 1019940013683A KR 19940013683 A KR19940013683 A KR 19940013683A KR 0164879 B1 KR0164879 B1 KR 01648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on data
- data line
- line pair
- predetermined number
- pai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01000898299 Acinetobacter lwoffii Catechol 1,2-dioxygen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898284 Acinetobacter lwoffii Catechol 1,2-dioxygen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4770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000945639 Homo sapiens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3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34346 Homo sapiens T-cell surface antigen CD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80827 Homo sapiens T-cell surface glycoprotein CD1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716149 Homo sapiens T-cell surface glycoprotein CD1b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716124 Homo sapiens T-cell surface glycoprotein CD1c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9)
- 선택된 메모리셀로부터 1비트의 데이타를 출력하고, 선정된 개수의 데이타 비트를 선정된 개수의 선택된 메모리셀에 동시에 기록하기 위해, 선정된 개수의 메모리셀 블록이 제공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메모리셀 블록은 매트릭스 형상의 행(rows)과 열(columns)로 배치된 메모리셀을 갖는 메모리셀 어레이와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동일한 행에 배치된 메모리셀을 선택하기 위한 선정된 개수의 각각의 워드선과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동일한 열에 배치된 메모리셀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상기 워드선 중 하나에 의해 선택돈 메모리셀 중 하나로 그리고 그로부터 데이타를 전송 및 수신하는 각각의 선정된 개수의 비트선 쌍과 복수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에 상기 선정된 개수의 비트선 쌍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선정된 개수의 각각의 제1 컬럼 디코더 유닛과 선정된 개수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를 위해 각각 제공되어 그 외부로부터 부여된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타 입력선 쌍을 각각 갖는 선정된 개수의 기록 수단 - 상기 데이타 입력선 쌍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는 선정된 개수의 비트로된 데이타가 동시에 기록될 수 있도록 상기 선정된 개수의 선택된 메모리셀 중 하나에 기록됨과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를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선정된 개수의 제2 컬럼 디코더 유닛과 상기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접속되고,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와 제2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인, 상기 선정된 개수의 비트선 쌍 중 하나를 통해 선택된 메모리셀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고, 이 판독 데이타를 1비트 데이타로서 외부에 출력하는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의 각각의 개수, 상기 선정된 제1 컬럼 디코더 유닛의 개수 및 상기 선정된 기록 수단의 개수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컬럼 디코더 유닛에서,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은 상기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과 상기 제2 공통 데이타선 쌍 사이에는 제2 스위칭 수단이 접속되며 이 제2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2 컬럼 디코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를 상기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록 수단에서, 상기 데이타 입력선 쌍및 상기 대응하는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간에는 기록 스위칭 수단(write switching means)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1 컬럼 디코드 신호의 논리 연산(logical operation)에 의해 얻어진 스위치 제어신호(switch control signal)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의 상기 선정된 각각의 개수는, 상기 제1 컬럼 디코더 유닛의 선정된 개수와 상기 기록 수단의 선정된 개수인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컬럼 디코더 유닛에서, 상기 비트선 쌍은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제1 스위칭 수단은 상기 비트선 쌍과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간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1 컬럼 디코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비트선 쌍 중 선정된 개수의 비트선을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컬럼 디코더 유닛에서,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은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제2 스위칭 수단은 각각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과 공통 제2 데이타선 쌍 간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2 컬럼 디코드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를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록 수단에서, 상기 데이타 입력선 쌍과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대응하는 선 간에는 기록 스위칭 수단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1 컬럼 디코드 신호의 논리 연산에 의해 얻어진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블록의 개수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럼 디코더 유닛에서,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은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제2 스위칭 수단은 각각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과 제2 공통 데이타선 쌍 간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2 컬럼 디코드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를 상기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록 수단에서, 상기 데이타 입력선 쌍과 상기 대응하는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간에는 기록 스위칭 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1 컬럼 디코드 신호의 논리 연산에 의해 얻어진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각각의 상기 선정된 개수는, 상기 제1 컬럼 디코더 유닛의 선정된 개수와 상기 기록 수단의 선정된 개수인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컬럼 디코더 유닛에서, 상기 비트선 쌍은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트선 쌍과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간에는 제1 스위칭 수단이 접속되고; 이 제1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1 컬럼 디코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비트선 쌍 중 상기 선정된 개수의 비트선을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럼 디코더 유닛에서, 제1 공통 데이타선 쌍은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1 공통 데이타선 쌍과 제2 공통 데이타선 쌍 간에는 제2 스위칭 수단이 연결되며; 이 제2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2 컬럼 디코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중 하나를 상기 제2 공통 데이타선 쌍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록 수단에서, 데이타 입력선 쌍과 대응하는 제1 공통 데이타선 쌍 간에는 기록 스위칭 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스위칭 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된 제1 컬럼 디코드 신호의 논리 연산에 의해 얻어진 스위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4766693A JP3129880B2 (ja) | 1993-06-18 | 1993-06-18 | 半導体記憶装置 |
JP93-147666 | 1993-06-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1765A KR950001765A (ko) | 1995-01-03 |
KR0164879B1 true KR0164879B1 (ko) | 1999-02-01 |
Family
ID=1543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13683A KR0164879B1 (ko) | 1993-06-18 | 1994-06-17 | 반도체 기억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479373A (ko) |
EP (1) | EP0630025B1 (ko) |
JP (1) | JP3129880B2 (ko) |
KR (1) | KR0164879B1 (ko) |
DE (1) | DE69420195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85283A (en) * | 1993-11-19 | 2000-07-04 | Kabushiki Kaisha Toshiba | Data selecting memory device and selected data transfer device |
KR0179097B1 (ko) * | 1995-04-07 | 1999-04-15 | 김주용 | 데이타 리드/라이트 방법 및 장치 |
WO1997049251A1 (en) * | 1996-06-18 | 1997-12-24 | Compuserve Incorporated | Integrated voice, facsimile and electronic mail messag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61061A (ja) * | 1983-02-10 | 1984-09-11 | Fujitsu Ltd | 半導体記憶装置 |
JPH02292647A (ja) * | 1989-05-02 | 1990-12-04 | Toshiba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JP2531829B2 (ja) * | 1990-05-01 | 1996-09-04 | 株式会社東芝 | スタティック型メモリ |
KR100208142B1 (ko) * | 1990-09-26 | 1999-07-15 | 가나이 쓰도무 | 반도체 메모리 |
JPH04325991A (ja) * | 1991-04-26 | 1992-11-16 | Fujitsu Ltd | 半導体記憶装置 |
JP3057836B2 (ja) * | 1991-08-19 | 2000-07-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
1993
- 1993-06-18 JP JP14766693A patent/JP312988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06-17 US US08/259,973 patent/US547937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6-17 DE DE69420195T patent/DE69420195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6-17 EP EP94109409A patent/EP063002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6-17 KR KR1019940013683A patent/KR01648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630025B1 (en) | 1999-08-25 |
JP3129880B2 (ja) | 2001-01-31 |
DE69420195D1 (de) | 1999-09-30 |
DE69420195T2 (de) | 2000-01-05 |
EP0630025A2 (en) | 1994-12-21 |
JPH07141885A (ja) | 1995-06-02 |
US5479373A (en) | 1995-12-26 |
KR950001765A (ko) | 1995-01-03 |
EP0630025A3 (en) | 1995-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37747A (en) | Redundary circuit with a spare main decoder responsive to an address of a defective cell in a selected cell block | |
US4908798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memory cell arrays and a redundant memory cell array associated with a small number of write-in and sense amplifying circuits | |
KR960001778B1 (ko) | 이중포트메모리 및 그 데이터 전송방법 | |
US5185744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est circuit | |
KR960015578A (ko) | 버스트 동작중에 리프레시 동작이 가능한 반도체 기억장치 | |
US4287575A (en) | High speed high density, multi-port random access memory cell | |
KR980011441A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KR930022206A (ko) | 비트라인 스위치 어레이를 가진 전자 컴퓨터 메모리 | |
KR100235144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US6055202A (en) | Multi-bank architecture for a wide I/O DRAM | |
JPH11144464A (ja) |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 |
US5267212A (en) | Random access memory with rapid test pattern writing | |
KR0139305B1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US6330202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write data line | |
KR100263574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0164879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US5305258A (en) | Semiconductor memory and memory cell | |
US6404693B1 (en) |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that select sub-array blocks and input/output line pairs based on input/output bandwidth,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 |
US6426913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layout method thereof | |
US4875189A (en) |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nibble mode operation | |
US6330198B1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US5828618A (en) | Line memory | |
US6188634B1 (en) | Semiconductor memory having memory bank decoders disposed symmetrically on a chip | |
US6226219B1 (en) | Semiconductor memory with a plurality of memory banks | |
US6141235A (en) | Stacked cache memory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8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