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3918B1 -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918B1
KR0163918B1 KR1019950019295A KR19950019295A KR0163918B1 KR 0163918 B1 KR0163918 B1 KR 0163918B1 KR 1019950019295 A KR1019950019295 A KR 1019950019295A KR 19950019295 A KR19950019295 A KR 19950019295A KR 0163918 B1 KR0163918 B1 KR 016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signal
terminal
mo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761A (ko
Inventor
김용호
조현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918B1/ko
Priority to US08/677,346 priority patent/US5773945A/en
Priority to JP8173523A priority patent/JPH0923673A/ja
Priority to DE19626789A priority patent/DE19626789A1/de
Publication of KR97000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06Calibration or setting of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Specific system operational feature
    • Y10S388/902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Specific system operational feature
    • Y10S388/903Protective, e.g. voltage or current limit

Landscapes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기(M)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신호변환수단(30)과, 상기 신호변환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 다음, 그 값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신호적분수단(40)과, 상기 신호적분수단(4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판단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수단(50)과, 상기 신호변환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일정 크기 이상의 과전류일 경우에 상기 신호적분수단(40)의 과전류 적분값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수단(60,70,8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류 전동기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는 데에 있어서, 전동기 전압을 적분하여 그 신호를 비교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직류 전동기가 구속되었을 때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초기 시동에 의한 순간적인 과전류(SS1)나, 동작 중이라도 발생하는 순간적인 과전류(SS2), 그리고 기계적인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미약한 과전류(SS3)의 경우를 실제적인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SS4)와 정확하게 구분함으로써, 기계장치가 구속되어 있을 때에는 초기 강제 동작을 하지 않고, 적은 용량의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노이즈 및 순간 과부하에 대해 오동작하지 않고 정확하게 동작하며, 실제의 구속에 의한 큰 과전류에 대하여 빠르게 동작할 뿐만 아니라, 전동기(M)가 구속되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되는 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한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고,
제2도의 (a)∼(d)는 제1도의 각 지점에서의 파형도이고,
제3도는 일반적인 직류 전동기의 전류 파형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고,
제5도의 (a)∼(d)는 제4도의 각 지점에서의 파형도이고,
제6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다.
이 발명은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 말하자면,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에 있어서, 초기 강제 동작을 하지 않고, 적은 용량의 커패시터(capacitor)를 사용하여 노이즈 및 순간 과부하에 강하며, 구속에 의한 큰 과전류에 대하여 빠르게 동작하며, 또한 일정 변위보다 아주 큰 과전류에 대해서는 그 최소 동작시간을 보장하여 너무 빨리 동작함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일반적인 직류 전동기의 전류 파형도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는 제3도와 같은 파형도를 가지고 구동되는데, 처음에(t0) 전동기가 시작하면 일정한 기간동안(A) 전류량이 많아졌다가 정상 동작 상태로 돌아와서, 기계적인 구속이 있기 전까지(B) 일정한 전류가 흐르면서 전동기가 구동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다가, 기계적이 구속이 생기면 전동기는 구동되지 않고 전원은 계속 공급됨으로 인해 전류 구속분이 상승하고, 상승된 전류 구속분이 전동기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기계적 릴레이(relay) 또는 반도체 전력 소자를 이용하여 직류 전동기를 동작시킬 때, 기계적 구속 등에 의해 직류 전동기가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전원 공급을 중단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이 전동기가 구속되었을 때에는 직류 전동기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릴레이 또는 반도체 전력 소자를 오프(off)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과전류를 검출하는 데에 있어서, 초기 작동시 발생되는 과전류나 기계장치에 걸리는 것에 의한 과부하 때문에 발생하는 과전류에 대해서는 과전류 보호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둔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초기 동작시 발생하는 과전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초기 동작이 정상 동작으로 작동되기까지의 시간, 즉 약 0.2∼0.4초의 초기 과도시간 동안 과전류 검출을 하지 않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초기 과도시간 동안 과전류 검출을 배제하기 위한 회로가 복잡하고, 또, 그 시간동안은 회로가 구속되었을 경우에도 회로가 강제로 동작하므로 동작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방법에서 단순히 저역통과필터(LPF, 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초기과도시간 동안 과전류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때 사용되는 커패시터의 용량이 커야 하는 문제점과, 기계장치에 윤활유가 너무 적거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동작하는 중에 저주파수 성분이면서 기준 전류값보다 약간 상회하는 동작 전류값에서도 쉽게 오동작하는 경우의 문제점, 그리고 실제로 기계장치가 구속되는 경우에 그 응답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과전류로부터 전동기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고,
제2도의 (a)∼(d)는 제1도의 각 지점에서의 파형도이다.
제2도의 (a)는 초기에입력되는 시동신호의 파형도이고,
(b)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동기 전압과 제1비교기준전압의 파형도이고,
(c)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적분 전압과 제2비교기준전압의 파형도이고,
(d)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리셋신호의 파형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의 구성은,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자(I)와 리셋(reset)신호를 입력받는 리셋단자(R)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출력단자(O)를 통해 전동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전동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동기 구동부(20)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 구동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기(M)와,
상기 전동기(M)에 흐르는 전류신호의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30)와,
상기 신호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 다음, 그 값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신호적분주(40)와,
상기 신호적분부(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0)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의 구성은,
상기 제어부(10)의 출력단자(O)가 베이스(base)로 연결되고 에미터(emitter)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2)와, 전원(VDC)이 일측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collecter)가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된 릴레이(RY)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릴레이(RY)는 전원(vdc)이 일측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가 타측단자에 연결된 전자석(EM2)과, 상기 전자석(EM)의 일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전동기(M)의 일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변환부(30)의 구성은,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s)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적분부(40)의 구성은,
상기 신호변환부(30) 저항(Rs)의 일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입력저항(Rin)과, 상기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비교기준전압(Vref1)이 비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산증폭기(OP4)와, 상기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연산증폭기(OP4)의 출력단자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in)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과전류 판단부(50)의 구성은,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제1연산증폭기(OP4)의 출력신호가 반전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제2비교기준전압(Vref2)이 비반전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2연산증폭기(OP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과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입력단자(I)로 제2도의 (a)와 같은 구동신호(OS)가 입력되면, 제어부(10)에서 전동기 구동부(20)로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고, 그에 따라 상기 릴레이(RY)가 온되어 스위치(S2)가 닫히면서 전동기 구동 전원(VDC)이 전동기(M)에 전달되어 상기 전동기(M)가 구동된다.
전동기(M)가 구동되면서 전동기 전류(IM)가 흐르게 되는데, 신호변환부(30)의 저항(Rs)에 의해 상기 전동기(M) 타측단자에서의 전동기 전압(Vs)이 제2도의 (b)와 같이 측정된다.
상기 신호적분부(40)는 상기 전동기 전압(Vs)을 입력저항(Rin)을 거쳐서 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에서, 입력저항(Rin)의 크기는 상기 신호변환부(30)의 저항(Rs)의 크기에 비해 훨씬 크므로, 저항(Rs)의 신호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에서 입력받는 신호를 제1비교기준전압(Vref1)과 비교하여 적분한 뒤, 제2도의 (c)와 같이 적분 전압(Vamp)를 출력한다.
과전류 판단부(50)의 제2연산증폭기(OP5)는 상기 신호적분부(40)에서 출력된 적분전압(Vamp)을 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아서, 제2비교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여, 상기 적분 전압(Vamp)이 제2비교기준전압(Vref2)보다 더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로 제2도의 (d)와 같은 리셋신호(RS)를 출력시킨다.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상기 가전류 판단부(50)의 제2연산증폭기(OP5)에서 리셋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리셋신호를 리셋단자(R)를 통해 입력받아, 전동기를 오프(off)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제2도에서의 (b)에서 보면, 초기 시동전원(OS)이 인가되어 전동기의 초기 작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과전류(SS1)가 생기는데, 이때의 전동기 전압(Vs)을 제1비교기준전압(Vref1)과 비교하면, 이때 감지된 전동기 전압(Vs)이 제1비교기준전압(Vref1)보다 크지만 이때의 과전류로 인해 전동기를 멈추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2도의 (c)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전동기 전압(Vs)의 적분된 값인 적분전압(Vamp)을 제2비교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였다.
상기와 같이 비교하면, 비록 초기 시동에 의한 과전류가 생겼지마, 그 값이 전동기를 파손시킬 만큼 전류량이 되지 않다고 판단하였기에, 전동기의 작동을 멈추는 리셋신호(RS)를 출력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전동기 구동 중에 순간적으로 구속이 생길 수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도 순간의 과전류(SS2)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동기 전압(Vs)은 제1비교기준전압(Vref1)보다 크지만 전동기의 동작을 멈추어야 하는 상황은 아니다.
따라서, 적분 전압(Vamp)을 구하여 이 값을 제1비교기준전압(Vref2)와 비교해 보면, 제2비교기준전압(Vref2)의 값이 더 크므로 리셋신호(RS)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기계장치와 전동기 사이의 마찰력이 커짐으로 인해, 전류는 작지만 긴 시간 동안 과전류(SS3)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전동기가 파손될 만큼의 상황은 아니므로 전동기를 멈출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때에도 적분 전압(Vamp)을 제1비교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면, 리셋신호(RS)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런데, 기계장치에 연결된 전동기의 동작이 완료되거나 제동되어 전동기가 구속된 경우에 발생되는 과전류(SS4)에 대해서는 전동기 전압(Vs)이 제1비교기준전압(Vref1)보다 큰 것은 물론, 적분 전압(Vamp)의 크기도 제2비교기준전압(Vref2)보다 크게 되어 리셋신호(RS)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이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동기(M)를 멈추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초기 시동에 의한 순간적인 과전류(SS1)나, 동작중이라도 발생하는 순간적인 가전류(SS2), 그리고 기계적인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미약한 과전류(SS3)의 경우를 실제적인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SS4)와 구분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일정한 기준전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기준전류에 대해서 과전류분을 적분하는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과전류가 커질수록 보호회로가 동작하는시간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과전류가 엄청나게 클 경우에는 그 동작시간이 너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류 전동기의 과전류 검출장치에 있어서, 초기 강제 동작을 하지 않고, 적은 용량의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노이즈 및 순간 과부하에 강하며, 구속에 의한 큰 과전류에 대하여 빠르게 동작하며, 또한 일정 변위보다 아주 큰 과전류에 대해서는 그 최소 동작시간을 보장하여 너무 빨리 동작함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 다음, 그 값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신호적분수단과;
상기 신호적분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일정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판단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수단과;
상기 신호변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설정된 전압보다 클 경우에 상기 신호적분수단(40)에 입력되는 전압을 가변시켜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의 적분값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회로 보호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이 발명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고,
제5도의 (a)∼(d)는 제4도의 각 지점에서의 파형도이다.
제5도의 (a)는 초기에 입력되는 시동신호의 파형도이고,
(b)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동기 전압과 제1비교기준전압의 파형도이고,
(c)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적분 전압과 제2비교기준전압의 파형도이고,
(d)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리셋신호의 파형도이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의 구성은,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자(I)와 리셋신호를 입력받는 리셋단자(R)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출력단자(O)를 통해 전동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전동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동기 구동부(20)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 구동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기(M)와,
상기 전동기(M)에 흐르는 전류신호의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30)와.
상기 신호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 다음, 그 값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신호적분부(40)와,
상기 신호적분부(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0)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부(50)와.
상기 신호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일정 크기 이상의 과전류일 경우에 상기 신호적분부(40)의 과전류 적분값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부(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의 구성은,
상기 제어부(10)의 출력단자(O)가 베이스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2)와, 전원(VDC)이 일측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가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된 릴레이(RY)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릴레이(RY)의 구성은,
전원(VDC)이 일측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가 타측단자에 연결된 전자석(EM2)과, 상기 전자석(EM)의 일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전동기(M)의 일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변환부(30)의 구성은,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s)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적분부(40)의 구성은,
상기 신호변환부(30) 저항(Rs)의 일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입력저항(Rin)과, 상기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비교기준전압(Vref1)이 비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산증폭기(OP4)와, 상기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의 출력단자에 타측단자가 연결하고 있는 커패시터(Cin)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과전류 판단부(50)의 구성은,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제1연산증폭기(OP4)의 출력신호가 반전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제2비교기준전압(Vref2)이 비반전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2연산증폭기(OP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부(60)의 구성은,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전류원(I8)과, 상기 전류원(I6)의 출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고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입력단자(I)로 제5도의 (a)와 같은 구동신호(OS)가 입력되면, 제어부(10)에서 전동기 구동부(20)로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2)가 온되고, 그에 따라 상기 릴레이(RY)가 온되어 스위치(S2)가 닫히면서 전동기 구동 전원(VDC)이 전동기(M)에 전달되어 상기 전동기(M)가 구동된다.
전동기(M)가 구동되면서 전동기 전류(IM)가 흐르게 되는데, 신호변환부(30)의 저항(Rs)에 으해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서의 전동기 전압(Vs)이 제5도의 (b)와 같이 측정된다.
상기 신호적분부(40)는 상기 전동기 전압(Vs)을 입력저항(Rin)을 거쳐서 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에서, 입력저항(Rin)의 크기는 상기 신호변환부(30)의 저항(Rs)의 크기에 비해 훨씬 크므로, 저항(Rs)의 신호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제1비교기준전압(Vref1)과 비교하여 적분한 뒤, 제5도의 (c)와 같이 적분 전압(Vamp)를 출력한다.
과전류 판단부(50)는 상기 신호적분부(40)에서 출력된 적분 전압(Vamp)을 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아서, 제2비교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여, 상기 적분전압(Vamp)이 제2비교기준전압(Vref2)보다 더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로 제5도의 (d)와 같은 리셋신호(RS)를 출력시킨다.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상기 과전류 판단부(50)에서 리셋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리셋신호를 리셋단자(R)를 통해 입력받아, 전동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제5도에서의 (b)에서 보면, 초기 시동전원(OS)이 인가되어 전동기의 초기 작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과전류(SS1)가 생기는데, 이때의 전동기 전압(Vs)을 제1비교기준전압(Vref1)과 비교하면, 이때 감지된 전동기 전압(Vs)이 제1비교기준전압(Vref1)보다 크지만 이때의 과전류로 인해 전동기를 멈추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5도의 (c)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전동기 전압(Vs)의 적분된 값인 적분 전압(Vamp)을 제2비교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였다.
상기와 같이 비교하면, 비록 초기 시동에 의한 과전류가 생겼지만 그 값이 전동기를 파손시킬만큼 전류량이 되지 않다고 판단하였기에, 전동기의 작동을 멈추는 리셋신호(RS)를 출력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전동기 구동 중에 순간적으로 구속이 생길 수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도 순간적인 과전류(SS2)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동기 전압(Vs)은 제1비교기준전압(Vref1)보다 크지만 전동기의 동작을 멈추어야 하는 상황은 아니다.
따라서, 적분 전압(Vamp)을 구하여 이 값을 제2비교기준전압(Vref2)와 비교해 보면, 제2비교기준전압(Vref2)의 값이 더 크므로 리셋신호(RS)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기계장치와 전동기 사이의 마찰력이 커짐으로 인해, 전류는 작지만 긴 시간동안 과전류(SS3)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전동기가 파손될 만큼의 상황은 아니므로 전동기를 멈출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때에도 적분 전압(Vamp)을 제1비교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면, 리셋신호(RS)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런데, 기계장치에 연결된 전동기의 동작이 완료되거나 제동되어 전동기가 구속된 경우에 발생되는 과전류(SS4,SS5,SS6)에 대해서는 전동기 전압(Vs)이 제1비교기준전압(Vref1)보다 큰 것은 물론, 적분 전압(Vamp)의 크기도 제2비교기준전압(Vref2)보다 크게 되어 리셋신호(RS)를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10)에서는 이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동기(M)를 멈추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동기 전압(Vs)의 크기가 아래의 식(1)과 같이 제1기준전압(Vref1)의 2배가 되면,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으로 입력되는 구속전류(IiN, SS5)의 크기는 아래의 식 (2)와 같이 되어 커패시터(Cin)를 충전시키며, 그 전류는 커패시터 전류(IC)와 같다.
그리고, 직류 전동기(M)가 구속되어 일정식나(t=t5∼t8)동안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경우보다 직류 전동기(M)의 구속전류(Iin)가 '2배' 더 크다면, 그 전압(Vs)은 아래의 식 (3)과 같이, 상기 신호적분부(40)이 입력저항(Rin)으로 입력되는 입력전류(IiN, SS4)의 크기는 아래의 식(4)와 같이 되어 커패시터(Cin)를 충전시키며, 커패시터 전류(Ic)의 크기는 상기의 경우보다 '3배'가 커진다.
즉, 과전류 보호회로가 실제로 동작하는 시간(t5∼t6)은 상기 구속전류(Iin)가 '2배'가 되기 전의 경우의 과전류 보호회로 동작시간(t5∼t8)의 '1/3'로 줄어든다.
또, 구속전류(Iin)의 크기가 3배로 커지면, 그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의 동작시간은 '1/5'로 줄어들고, 구속전류가 커질수록 과전류 보호회로의 동작시간은 구속전류의 크기가 커지는 비율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하게 되어, 극단적으로 구속전류가 아주 크게 되면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하는 시간이 너무 짧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과전류 시간 보상부(60)가 동작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을 보상하게 된다.
구속전류(Iin)의 크기가 일정값 이상이면 그에 따른 전동기 전압(Vs)이 상승하고,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부(60)의 스위치(S6)가 온되어 그에 따른 보상전류(It)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커패시터 전류(Ic)가 아래의 식(5)와 같이 됨으로써, 직류 전동기(M)가 구속되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되는 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속전류(Iin)의 크기가 '3배'인 경우, 즉, 전동기 전압(Vs)의 크기가 제1기준전압(Vref1)의 '6배'인 경우 상기 구속전류(Iin)의 크기는 아래의 식(6)과 같이 계산되고, 그때의 보상전류(It)의 크기가 아래의 식(7)과 같다고 하면, 이때의 커패시터 전류(Ic)는 아래의 식 (8)과 같이 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 시동에 의한 순간적인 과전류(SS1)나, 동작 중이라도 발생하는 순간적인 과전류(SS2), 그리고 기계적인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미약한 과전류(SS3)의 경우를 실제적인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SS4,SS5,SS6)와 구분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기(M)가 구속되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되는 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의 구성은,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자(I)와 리셋신호를 입력받는 리셋단자(R)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출력단자(O)를 통해 전동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전동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동기 구동부(20)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 구동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기(M)와,
상기 전동기(M)에 흐르는 전류신호의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30)와,
상기 신호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 다음, 그 값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신호적분부(40)와,
상기 신호적분부(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0)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부(50)와,
상기 신호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일정 크기 이상의 과전류일 경우에 상기 신호적분부(40)의 과전류 적분값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부(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와, 신호변환부(30)와, 신호적분부(40)와, 과전류 판단부(50)이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과전류 동작시간 보상부(70)의 구성은,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7)과, 상기 저항(R7)의 타측단자가 베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컬렉터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과전류 시간 보상부(70)가 동작하지 않을 때의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똑같이 동작하며,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직류 전동기가 구속됨에 따라 과전류가 인가되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하며,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부(7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계장치에 연결된 전동기의 동작이 완료되거나 제동되어 전동기가 구속된 경우에 발생되는 과전류(SS4,SS5,SS6)에 대해서, 전동기 전압(Vs)이 제1비교기준전압(Vref1)보다 큰 것은 물론, 적분 전압(Vamp)의 크기도 제1비교기준전압(Vref2)보다 크게 되어 리셋신호(RS)를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10)에서는 이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동기(M)를 멈추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동기 전압(Vs)의 크기가 상기 식(1)과 같이 제1기준전압(Vref1)의 2배가 되면,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으로 입력되는 구속전류(Iin, SS5)의 크기는 상기 식 (2)와 같이 되어 커패시터(Cin)를 충전시키며, 그 전류는 커패시터 전류(Ic)와 같다.
그리고, 직류 전동기(M)가 구속되어 일정시간(t=t5∼t8)동안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경우보다 직류 전동기(M)의 구속전류(Iin)가 '2배' 더 크다면, 그 전압(Vs)은 상기 식(3)과 같이 되고,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으로 입력되는 입력전류(Iin, SS4)의 크기는 상기 식(4)와 같이 되어 커패시터(Cin)를 충전시키며, 커패시터 전류(Ic)의 크기는 상기의 경우보다 '3배'가 커진다.
즉, 과전류 보호회로가 실제로 동자가는 시간(t5∼t6)은 상기 구속전류(Iin)가 '2배'가 되기 전의 경우의 과전류 보호회로 동작시간(t5∼t8)의 '1/3'로 줄어든다.
또, 구속전류(Iin)의 크기가 3배로 커지면, 그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의 동작시간은 '1/5/로 줄어들고, 구속전류가 커질수록 과전류 보호회로의 동작시간은 구속전류의 크기가 커지는 비율보다 더 큰 비율로 감소하게 되어, 극단적으로 구속전류가 아주 크게 되면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하는 시간이 너무 짧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과전류 시간 보상부(70)가 동작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을 보상하게 된다.
구속전류(Iin)의 크기가 일정값 이상이면 그에 따른 전동기 전압(Vs)이 상승하고, 과전류 시간 보상부(70)의 저항(R7)을 통해 상기 전동기 전압(Vs)이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로 인가되는데, 상기 전동기 전압(Vs)가 상기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에미터간 구동전압(Vbe)보다 크면, 아래의 식(9)와 같은 베이스전류(Ib)가 흐르고, 상기 트랜지스터가 온되어 그에 따른 보상전류(It)가 흐르게 되며, 그 값은 아래의 식 (10)과 같이 된다.
여기서, β는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전류증폭율이다.
따라서, 커패시터 전류(Ic)가 아래의 식 (11)과 같이 됨으로써, 직류 전동기(M)가 구속되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되는 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할 수 있으며, 보상전류(It)의 크기를 구속전류(Iin)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초기 시동에 의한 순간적인 과전류(SS1)이나, 동작 중이라도 발생하는 순간적인 과전류(SS2), 그리고 기계적인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미약한 과전류(SS3)의 경우를 실제적인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SS4,SS5,SS6)와 구분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기(M)가 구속되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되는 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가장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적용한 회로도이다.
제7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의 구성은,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자(I)와 리셋신호를 입력받는 리셋단자(R)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출력단자(O)를 통해 전동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전동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동기 구동부(20)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 구동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기(M)와,
상기 전동기(M)에 흐르는 전류신호의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30)와,
상기 신호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 다음, 그 값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신호적분부(40)와,
상기 신호적분부(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전압고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0)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부(50)와,
상기 신호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일정 크기 이상의 과전류일 경우에 상기 신호적분부(40)의 과전류 적분값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부(8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동기 구동부(20)와, 신호변환부(30)와, 신호적분부(40)와, 과전류 판단부(50)의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부(80)의 구성은,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저항(R81)과, 상기 제1저항(R81)의 타측단자가 비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3연산증폭기(OP8)와, 일측단자가 상기 제3연산증폭기(OP8)의 타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저항(R82)과, 상기 제2저항(R82)의 일측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제3연산증폭기(OP8)의 출력단자가 타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저항(R83)과, 상기 제3연산증폭기(OP8)의 출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4저항(R84)과, 상기 제4저항(R84)의 타측단자가 베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컬렉터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과전류 시간 보상부(80)가 동작하지 않을 때의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똑같이 동작하며,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직류 전동기가 구속됨에 따라 인가도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하여,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부(8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계장치에 연결된 전동기의 동작이 완료되거나 제동되어 전동기가 구속된 경우에 발생되는 과전류(SS4,SS5,SS6)에 대해서, 전동기 전압(Vs)이 매우 작거나, 구속전류(Iin)는 크더라도 상기 구속전류(Iin)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30)의 저항(Rs)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그 크기가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전동기 전압(Vs)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부(80)의 트랜지스터(Q8)가 동작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과전류의 제1저항(R81)을 통해 과전류 신호를 검출하고, 제2저항(R82) 및 제3저항(R83)을 이용하여 제3연산증폭기(OP8)를 통해 아래의 식 (12)와 같이 그 신호를 증폭하며, 제4저항(R84)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트랜지스터(QR84)의 베이스로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Q8)를 온시킨다.
즉, 원래의 전동기 전압(Vs)이 상기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에 비해 작더라도 그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부(80)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직류 전동기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는 데에 있어서, 전동기 전압을 적분하여 그 신호를 비교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직류전동기가 구속되었을 때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초기 시동에 의한 순간적인 과전류(SS1)나, 동작 중이라도 발생하는 순간적인 과전류(SS2), 그리고 기계적인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미약한 과전류(SS3)의 경우를 실제적인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SS4)와 정확하게 구분함으로써, 기계장치가 구속되어 있을 때에는 초기 강제 동작을 하지 않고, 적은 용량의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노이즈 및 순간 과부하에 대해 오동작하지 않고 정확하게 동작하며, 실제의 구속에 의한 큰 과전류에 대하여 빠르게 동작할 뿐만 아니라, 전동기(M)가 구속되어 실제로 과전류 보호회로가 동작되는 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전동기(M)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신호 변환수단(30)과; 상기 신호변환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 다음, 그 값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신호적분수단(40)과; 상기 신호적분수단(4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일정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판단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수단(50)과; 상기 신호변환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설정된 전압보다 클 경우에 상기 신호적분수단(40)에 입력되는 전압을 가변시켜 전동기 구속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류의 적분값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회로 보호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과전류 시간 보상 수단(60,70,80)으로 이루어진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수단(30)의 구성은,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s)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적분수단(40)의 구성은, 상기 신호변환수단(30)의 저항(Rs)의 일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입력저항(Rin)과; 상기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비교기준전압(Vref1)이 비반전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산증폭기(OP4)와; 상기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연산증폭기(OP4)의 출력단자에 타측단자가 연결된 커패시터(Cin)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저항(Rin)은, 상기 신호변환수단(30)의 저항(Rs)의 값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상기 저항(Rs)의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 수단(60)은, 상기 신호적분수단(40)의 과전류 적분값을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 일정한 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수단(60)의 구성은,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전류원(I8)과; 상기 전류원(I6)의 출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고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6)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수단(70)은, 상기 신호적분수단(40)의 과전류 적분값을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과전류 적분값의 감소분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수단(70)의 구성은,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7)과; 상기 저항(R7)의 타측단자가 베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컬렉터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7)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수단(80)은, 상기 신호적분수단(40)의 과전류 적분값을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작을 경우에도 동작하여, 구속전류의 크기에 상관없이 과전류에 의한 동작시간의 최저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시간 보상수단(80)의 구성은, 상기 전동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저항(R81)과; 상기 제1저항(R81)의 타측단자가 비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3연산증폭기(OP8)와; 일측단자가 상기 제3연산증폭기(OP8)의 타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저항(R82)과; 상기 제2저항(R82)의 일측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제3연산증폭기(OP8)의 출력단자가 타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저항(R83)과, 상기 제3연산증폭기(OP8)의 출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4저항(R82)과; 상기 제4저항(R84)의 타측단자가 베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적분부(40)의 입력저항(Rin)의 타측단자가 컬렉터로 연결되고 에미터자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8)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KR1019950019295A 1995-07-03 1995-07-03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KR016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295A KR0163918B1 (ko) 1995-07-03 1995-07-03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US08/677,346 US5773945A (en) 1995-07-03 1996-07-02 Time-compensated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for DC motor
JP8173523A JPH0923673A (ja) 1995-07-03 1996-07-03 直流電動機過電流検出装置
DE19626789A DE19626789A1 (de) 1995-07-03 1996-07-03 Zeitkompensationsüberstromerfassungsschaltung für einen Gleichstrom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295A KR0163918B1 (ko) 1995-07-03 1995-07-03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761A KR970008761A (ko) 1997-02-24
KR0163918B1 true KR0163918B1 (ko) 1999-04-15

Family

ID=1941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295A KR0163918B1 (ko) 1995-07-03 1995-07-03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73945A (ko)
JP (1) JPH0923673A (ko)
KR (1) KR0163918B1 (ko)
DE (1) DE19626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565B1 (ko) * 2004-09-09 2013-09-04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액츄에이터 위치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3984U (ko) * 1979-02-27 1980-09-03
DE19637631A1 (de) * 1996-09-16 1998-04-02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r Erkennung von Einklemmsituationen bei elektrischen Antrieben
JP3656412B2 (ja) 1998-07-03 2005-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電力制御装置
DE19833984A1 (de) * 1998-07-10 2000-01-13 Ellenberger & Poensgen Schutzschalteinrichtung
US6055902A (en) * 1998-12-22 2000-05-02 J. V. Manufacturing, Inc. Compaction apparatus with electrical ram motion control responsive to motor current
US7207251B2 (en) 1999-02-05 2007-04-24 Hitachi Koki Co., Ltd. Cutter with laser generator that irradiates cutting position on workpiece to facilitate alignment of blade with cutting position
US6259587B1 (en) * 1999-06-17 2001-07-10 Minimed Inc. Direct current motor safety circuits for fluid delivery systems
US6198241B1 (en) * 1999-07-07 2001-03-06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Motor protection for a powered door system
KR20020052631A (ko) * 2000-12-26 2002-07-04 밍 루 전기 파워 조향 장치의 모터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77859A (ko) * 2002-09-13 2002-10-14 정은수 엠블렘
US6742448B1 (en) 2002-12-09 2004-06-01 J. U. Manufacturing Co., Inc. Baler with doors and platen positions interlocks
US6894448B2 (en) * 2003-06-12 2005-05-17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irect current motor condition monitoring and exercising system
CN101047356B (zh) * 2006-03-31 2012-07-04 深圳赛意法微电子有限公司 用于电机驱动器的过电流检测电路
JP5228733B2 (ja) * 2008-09-19 2013-07-0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流制限装置、電磁クラッチ装置及び駆動力配分装置
US8937825B2 (en) * 2009-12-10 2015-01-20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Timing controlled AC to DC converter
US8369114B2 (en) * 2009-12-14 2013-02-05 Top Victory Investments Ltd. Power supply with output overcurrent detection and error latch protection
JP5779126B2 (ja) * 2012-03-15 2015-09-16 株式会社東芝 移動式原子炉出力測定装置およびその駆動トルク監視方法
US11228306B2 (en) * 2017-07-27 2022-01-18 Diodes Incorporated Power switch over-power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282A (en) * 1969-04-01 1971-06-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urrent limiting system for motor control
JPS57113726A (en) * 1980-12-29 1982-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vercurrent breaking device for miniature dc motor
US4532567A (en) * 1983-02-18 1985-07-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stall protection circuit
US5159516A (en) * 1991-03-14 1992-10-27 Fuji Electric Co., Ltd. Overcurrent-detection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565B1 (ko) * 2004-09-09 2013-09-04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액츄에이터 위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26789A1 (de) 1997-01-09
KR970008761A (ko) 1997-02-24
JPH0923673A (ja) 1997-01-21
US5773945A (en) 199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918B1 (ko) 시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US7046533B2 (en) DC/DC converter
US6201375B1 (en) Overvoltage sensing and correction circuitry and method for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KR0132521B1 (ko) 직류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US20060091961A1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with fast current limiting control
US6735064B2 (en) Inrush current suppressing device
JP3761507B2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
KR0145614B1 (ko) 온도보상 기능을 갖는 직류 전동기 과전류 검출장치
JP3101998B2 (ja) 過電流検出回路
US5917639A (en) Optical receiver
US5568343A (en) Circuit for protecting switching power source from overloads and shot circuits
EP1744430A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 over current in a motor for a vehicle
EP0528668A2 (en) Semiconductor protection against high energy transients
KR101030958B1 (ko) 저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US4381531A (en) Alternating current motor protection system
JP3251803B2 (ja) 過電流保護回路及び過電圧保護回路
JP3463748B2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
JPH0527340B2 (ko)
JP2606481B2 (ja) 自動レベルトリガ装置
KR0167206B1 (ko) 전자식 회로 차단기의 과전류 차단 제어 장치
JPS6277872A (ja) 過電力保護装置
JPH0631430Y2 (ja) 直流試験装置
KR100192957B1 (ko) 직류 전동기의 초기 돌입전류에 의한 오동작 방지회로
KR100671491B1 (ko) 전자기기의 냉각팬 정지시 자동 전원차단장치
KR910002600B1 (ko) 전동기의 과부하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