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3511B1 -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511B1
KR0163511B1 KR1019950011056A KR19950011056A KR0163511B1 KR 0163511 B1 KR0163511 B1 KR 0163511B1 KR 1019950011056 A KR1019950011056 A KR 1019950011056A KR 19950011056 A KR19950011056 A KR 19950011056A KR 0163511 B1 KR0163511 B1 KR 016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itanium dioxide
pack
cosmetic composition
pack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350A (ko
Inventor
정래석
배덕환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5001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511B1/ko
Publication of KR96004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점토광물, 분산제, 피막제, 보습제 및 알콜을 함유하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체로는 이산화티탄, 카올린, 탈크 등의 흰 분체류를 사용하며, 점토광물로는 마그네슘알루미늄 실리케이트로 된 점토성 점증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팩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성,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건조속도가 빠르며, 피부자극성이 현저히 낮다.

Description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흰분체류, 점토광물, 분산제 및 피막제를 분산시켜 사용의 편리성, 각질제거력의 증대, 피막의 건조속도 증가 및 시각적인 효과를 높힌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 화장료는 크게 워쉬오프(wash-off)형과 필오프(peel-off)형의 두가지가 있다. 워쉬오프형의 팩류는 필오프형의 팩류에 비해 일반적으로 보습력과 유연효과등이 탁월하나 제형상의 특징으로 인해 필오프형의 팩류에 비해 피지제거등의 피부오염제거 효과가 적고, 사용후 씻어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반해 필오프형의 팩류는 사용시 유효성분에 의한 효과는 적으나, 상대적으로 워쉬오프형의 팩류에 비해 피부의 오염제거 능력이 우수하고 한 번에 떼어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피막제가 갖는 강한 흡착력에 의한 피부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산화티탄과 같은 흰 분체류는 광산란 효과가 우수하여 필오프형의 팩류에 이러한 흰 분체류를 분산시키면 시각적 효과와 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산화티탄의 경우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이산화티탄은 그 비중이 3∼5정도로 매우 무겁고 모양도 구형이어서 침강이 잘되고, 자체응집도가 높아 1차 입자로 거의 존재치 않는 등의 분산상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우수한 광산란 효과에도 불구하고 이산화티탄을 주로 하는 흰색의 분산팩은 거의 제품화가 되지 못하고 있지만, 상기의 특성등으로 인해 활발한 연구(AU 8435611, JP 57174355, US 4309411, KR 904085)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산화티탄을 주로 하여 제조된 팩은 사용후에 피부에 피막 잔존물이 남아 일일이 제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이산화티탄의 강한 흡착력으로 인해 피부에 자극을 주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게다가 팩 자체에도 경시에 따른 변취, 이산화티탄의 침전등 안전성의 문제가 항상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이산화티탄과 같은 분체류와 함께 점토광물, 분산제 및 피막제를 필오프형의 팩류에 분산시킬 경우 분산용이성, 사용편리성, 각질제거력의 증대, 피막의 건조속도 증가 및 시각적 효과를 높힌 팩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팩 화장료 조성물은 점토광물 0.5∼2.0중량%, 분산제 0.1∼3.0중량%, 보습제 0.5∼10중량%, 피막제 10∼16중량%, 알콜 4∼15중량%, 흰 분체류 4∼20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체류로서 이산화티탄(TiO2), 카올린, 탈크 등의 흰 분체류중에서 이산화티탄을 포함한 2종 이상을 사용하며, 이산화티탄의 경우에는 흰색의 가시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대략 그 지름의 직경이 200∼400㎚(0.2∼0.4㎛)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체류의 사용량이 4중량% 이하일 경우 시각적 효과의 향상이 미흡하며,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산이 어려우며, 팩효과가 떨어지므로 4∼20중량%가 바람직하다.
분체류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산제로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와 TEA-스테아레이트(Triethanolamine stearate)를 사용하며,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분자량이 약 3000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사용량은 0.1∼3.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분체류의 분산안정화 효과가 미흡하다.
피막제로는 피막강도가 우수하고 건조속도가 빠른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중 1종 이상을 사용한다. 피막제는 통상의 팩류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함량 범위인 10∼16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분체류의 분산안정화 및 팩효과의 증대를 위해 사용되는 점토광물은 스멕타이트(Smectite)류로서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MAS)로 이루어진 점토성 증점제이며, 그 조성에 따라 벤토나이트(bentonite),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rite), 바이델라이트(beidel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등으로 분류된다. 그 사용량은 0.5∼2.0중량%이며,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분산안정화 효과 및 팩효과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보습제로는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레스 G-26, 폴리에칠렌글리콜(300,400,1500,4000),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은 통상의 범위인 0.5∼10중량%이다.
이외에 본 발명의 팩 화장료 조성물에는 향료, 방부제등 통상의 첨가제가 함유될 수 있다.
한편 분산팩의 제조과정에서는 투입순서 및 교반조건에 따른 제반여건이 중요하며, 분산을 안정화시키는 메카니즘은 기계적 힘, 분산제 및 점도로 요약된다. 따라서 분체를 분산제를 이용하여 분산매중에 잘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여러종류의 혼합기(Rollermill, Bollmill 또는 Colloidmill등)를 이용하며, 분체를 분산매중에 분산시킴에 있어 투입, 혼합방법으로는 1)제조시에 분체, 분산매, 분산제의 3성분을 동시에 혼합하여 섞는 방법, 2)분산매중에 미리 분산제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 놓고 나중에 분체를 가하여 섞는 방법, 3)분체를 분산매중에 첨가하여 섞어 놓은 후 분산제를 가하여 다시 잘 섞는 방법, 4)미리 사용하는 분체의 입자 표면을 분산제로 피복시켜 놓고 제조시에 분산매중에서 섞는 방법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방법은 각각 특징이 있고 제조하는 제품의 종류, 제형 또는 분체 및 분산제의 종류에 따라 어떠힌 방법이 유리한가는 개개의 경우에 대해 검토, 선택할 필요가 있지만 어느 경우에서도 기계력을 이용하여 분산효율을 높혀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기계효율과 목적을 고려하여 조색성, 작업성이 좋은 분산방법을 선택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부분에 점토광물과 보습제를 차례로 넣고 혼합, 분산후 75∼85℃까지 가온하고 피막제를 용해한다. 그런 다음 온도를 60℃까지 낮추고 난 후에 다른 용기를 이용하여 알콜 부분을 혼합용해하여 첨가후 이산화티탄을 포함한 분체류를 첨가하고 분산시킨다.
이때 분체류는 분쇄기를 사용하여 가능한 1차 입자로 분쇄하여, 이렇게 분쇄된 분체류를 분산제를 이용하여 안정하게 분산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팩 화장료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2,3 및 비교예 1,2,3]
하기 표 1의 조성을 이용하여,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안정성 평가]
상기의 실시예 1,2,3 및 비교예 1,2,3에 따라 제조된 팩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정성 평가의 방법으로 제조 1일 후 원심분리와 3개월후(40℃)에 이산화티탄의 침전으로 인한 면의 불량과 침적 현상을 육안으로 판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원심분리기는 듀퐁사의 Sorval RC 28S 모델을 사용하여 9,244G 값으로 15분 분리후 비교하였다.
표 2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의 분산 팩과 비교예의 분산 팩간의 안정성에서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각질제거 및 건조속도 비교]
각질 제거 효과는 팔안쪽 부위 4×4cm 면적으로 일정량의 크림파운데이션을 도포후 팩 조성물을 그 위에 도포하여 10분 건조후 피막건조물을 색채색차계(CHROMA METER CR-200, Minolta)를 이용하여 그 값(△E)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이 클수록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건조 속도는 일정량(3g)에 대한 시간에 따른 건조감량을 측정하였다. ESPEC사의 항온 항습조(TEMP HUMID CHAMBER) SH-220을 이용하여 습도 70%, 온도 36.5℃로 유지한 후 팩 조성물을 샤알레 접시에 고루 편다음 건조감량을 측정하였으며, 건조속도가 빠를수록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의 팩 화장료가 비교예의 팩 화장료보다 건조속도가 빠르고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피부자극성 평가]
실시예 1,2,3 및 비교예 1,2,3에 따라 제조된 팩 화장료에 대하여 피시험자 3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점수를 평균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이 클수록 만점(10)에 가까운 수치를 얻게 되었다.
표 4에 따른 상대적 비교치에 의하면 이산화티탄의 양이 적을수록 그 수치가 낮으며,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자극성이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안전성, 각질제거, 건조속도, 피부자극성 평가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팩 화장료 조성물이 일반 팩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하며, 이외에도 피막제거후 잔존물의 개선에 있어서도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에 부드러워 도포가 쉽고, 시각적 효과도 우수하다.

Claims (3)

  1. 증점제로서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점토광물 0.5∼2.0중량%, 분산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스테아레이트 0.1∼3.0중량%, 보습제 0.5∼10중량%, 피막제로서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10∼16중량%, 알콜 4∼15중량% 및 분체로서 이산화티탄, 카올린 및 탈크 중에서 이산화티탄을 포함한 2종 이상의 흰 분체류 4∼20중량%를 함유하는 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탄은 직경 200∼400㎚의 것인 팩 화장료 조성물.
  3. 정제수에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점토광물 0.5∼2.0중량%와 보습제 0.5∼10중량%를 첨가하여 혼합, 분산하고 75∼85℃까지 가온한 후, 피막제로서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10∼16중량%를 첨가, 용해하여 수상을 제조하고, 이 수상을 60℃로 냉각시킨 다음 알콜상 4∼1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 용해후 이산화티탄, 카올린 및 탈크 중에서 이산화티탄을 포함한 2종 이상의 흰 분체류 4∼20중량%를 첨가, 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50011056A 1995-05-04 1995-05-04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016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056A KR0163511B1 (ko) 1995-05-04 1995-05-04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056A KR0163511B1 (ko) 1995-05-04 1995-05-04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350A KR960040350A (ko) 1996-12-17
KR0163511B1 true KR0163511B1 (ko) 1998-12-01

Family

ID=1941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056A KR0163511B1 (ko) 1995-05-04 1995-05-04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51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25B1 (ko) * 2000-09-07 2004-08-18 로레알 화장용 조성물 및 스킨 클렌징 마스크로서의 그의 용도
KR100584674B1 (ko) * 2004-08-23 2006-05-29 심호영 벤토나이트를 함유하는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667937B1 (ko)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87048B1 (ko) 2017-07-21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WO2018207985A1 (ko) * 2017-05-12 2018-11-15 한국콜마주식회사 두 단계로 색상이 변화하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0492A (ko) 2018-07-20 2019-01-30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KR102028745B1 (ko) * 2018-05-09 2019-10-04 주식회사 스킨리더 필-오프 팩 조성물
WO2023243935A1 (ko) * 2022-06-14 2023-12-21 이승창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50004407A (ko) 2023-06-29 2025-01-0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당류와 스타치를 이용한 천연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398B1 (ko) * 1996-12-26 2004-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틱형팩화장료및그의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25B1 (ko) * 2000-09-07 2004-08-18 로레알 화장용 조성물 및 스킨 클렌징 마스크로서의 그의 용도
KR100584674B1 (ko) * 2004-08-23 2006-05-29 심호영 벤토나이트를 함유하는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667937B1 (ko)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207985A1 (ko) * 2017-05-12 2018-11-15 한국콜마주식회사 두 단계로 색상이 변화하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7048B1 (ko) 2017-07-21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KR102028745B1 (ko) * 2018-05-09 2019-10-04 주식회사 스킨리더 필-오프 팩 조성물
KR20190010492A (ko) 2018-07-20 2019-01-30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WO2023243935A1 (ko) * 2022-06-14 2023-12-21 이승창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50004407A (ko) 2023-06-29 2025-01-0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당류와 스타치를 이용한 천연 필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350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644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EP1147761B1 (en) Composition for lipstick
JP5128937B2 (ja) 含水粉末化粧料
JPH08253706A (ja) 粒状複合材料、その製造法および粒状複合材料を含む化粧品
JPS5862106A (ja) 化粧料
KR19980701558A (ko) 화장 조성물(cosmetics)
KR0163511B1 (ko)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242667B2 (ja) TiO▲下2▼ナノ顔料と変形可能な中空ミクロスフィアを含有する無水化粧品組成物
CN112566611A (zh) 油性固态化妆品
KR20050053922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0191490A (ja) 超微粒子状酸化亜鉛・シリコ―ン分散体及びその製法、並びに紫外線遮蔽性化粧料
JP5289676B2 (ja) 粉末固型化粧料
CN114901240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JP4683536B2 (ja) 日焼け止め乳化化粧料
EP1402875B1 (en) Powdery composition
JP2002154923A (ja) 疎水化粉体を含む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3095872A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05232068A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6784907B2 (ja) 油性固形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20030012A1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以及包含其的化妆品
JP3401039B2 (ja) 化粧料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9227338A (ja) 固形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3492790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H10212211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