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3490B1 -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490B1
KR0163490B1 KR1019960009786A KR19960009786A KR0163490B1 KR 0163490 B1 KR0163490 B1 KR 0163490B1 KR 1019960009786 A KR1019960009786 A KR 1019960009786A KR 19960009786 A KR19960009786 A KR 19960009786A KR 0163490 B1 KR0163490 B1 KR 016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lever
slider
lock p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656A (ko
Inventor
박장원
진성우
배기영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주식회사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주식회사성우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1996000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490B1/ko
Publication of KR97006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60R22/203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sl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차량의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좌석벨트에 있어 상기 좌석벨트의 인출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높이를 조절하여 주므로서 보다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는 프레임(10)의 T홈(12)사이에 슬라이더(50)가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50)의 양측면에 리브(5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53)의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53)는 스프링(55)이 설치됨과 동시에 레바(60)의 힌지축으로 작동하며 상기 레바(60)의 일단에는 로크핀(57)이 설치되고 타단은 슬라이드버튼(58)의 하면에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서, 탑승자가 자신이 원하는 소정 위치로 슬라이더(50)를 옮긴 후 슬라이드 버튼(58)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레바(60)의 단부측을 눌러주는 스프링(55)의 탄력에 의하여 레바(60)가 원위치 되면서 로크핀(57)을 하측으로 밀어 내리게 되어 로크핀(57)을 프레임(10)의 구멍(15)에 끼울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제2도는 종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결합상태의 작용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가이드
12 : T홈 15 : 구멍
50 : 슬라이더 51 : 로크핀가이드
52 : 장착너트 53 : 리브
54 : 보스 55 : 스프링
57 : 로크핀 58 : 버튼
60 : 레바 70 : 카바
71 : 통공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좌석벨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좌석벨트의 인출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높이를 조절하여 주므로써 보다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좌석벨트는 갑작스런 사고 발생시 승객을 차량의 시트에 밀착시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써 착용시 편안한 자세의 유지와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좌석 벨트의 인출점이 어깨와 목의 중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운전자 또는 승객의 신장이 다양한 차이가 발생하므로 좌석에 앉는 위치에서 좌석벨트의 인출점을 조절하여 줄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좌석벨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장치로써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내에 부착되는 프레임(10)의 가이드 홈에 슬라이더(20)를 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좌석벨트 장착너트(21)와 가이드 로크(2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로크(22)의 중앙 통공(22a)에 슬라이드 되는 로크핀(27)이 설치되고 장착너트(21)외측에는 슬라이드 버튼(28)을 설치하되 상기 로크핀(27)과 슬라이드 버튼(28)은 중앙의 레바(25)에 의해 서로 시이소오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핀(27)과 카바(30) 사이에는 스프링(29)이 탄지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는 슬라이더(20)가 차체에 장착된 프레임(10)의 전면 가이드(11)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슬라이드 버튼(28)을 눌러주면 슬라이드 버튼(28)의 하면이 레바(25)의 일단을 눌러주게 된다.
이때 레바(25)는 중앙의 핀(2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타단부가 로크핀(27)의 플렌지부(27')를 올려 주게 되므로 로크핀(27)의 단부가 프레임(10)의 구멍(15)으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슬라이더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20)를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시킨 뒤 슬라이드 버튼(28)을 눌러주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29)의 탄력에 의해 로크핀(27)은 프레임(10)의 구멍(15)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슬라이더(20)에 고정된 좌석벨트의 인출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는 슬라이더(20)가 프레임(10)상에 설치될 때 슬라이더(20)가 프레임(10)의 가이드(11)의 양면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어 장착 높이가 높아 차체에서 많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며, 또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시 매카니즘의 간섭으로 인하여 슬라이더가 떨림 현상을 일으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와 프레임간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인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드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슬라이더와 프레임간의 접촉면적을 줄여 슬라이더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의 T홈 내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돌출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가 프레임상에 안정되게 장착되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더라도 진동에 의한 떨림을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억제토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바 작동의 중심적인 힌지의 중심 높이를 로크핀의 상하 운동의 중심선에 오도록 설치하여 로크핀의 기울어짐을 최소로 하여 로크핀, 로크핀 가이드, 프레임 구멍간의 마찰을 최소로 하여 레바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프레임은 벽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T홈에는 슬라이더를 설치하되 상기슬라이더에는 로크핀 가이드와 좌석벨트 장착 너트가 설치되며 슬라이더의 양측에 돌출된 보스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레바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레바가 탄력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차체에 장착되는 프레임(10)은 양측벽의 가이드(11)와 중간에 T홈(12)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10)의 벽면에는 다수개의 걸림구멍(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T홈(12)에는 슬라이더(5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50)는 로크핀 가이드(51)와 좌석벨트 장착 너트(52)가 고정 설치되며, 또한 양측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리브(53)를 구비하며 상기 리브(53)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보스(54)가 돌출되어 스프링(55)이 설치됨과 동시에 레바(60)의 힌지축 역할을 한다.
상기레바(60)는 중간부가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부(62)를 기점으로 일측은 낮고 일측은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레바의 일측이 스프링(55)의 고리(55')에 걸림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작용한다.
로크핀 가이드(51)의 구멍(51')에는 로크핀(57)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며 슬라이드 버튼(58)은 좌석벨트 장착 너트(53)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어 레바(60)의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버튼(58)의 일측 플랜지부(58a)를 받치며 상기 레바의 타단은 로크핀(57)의 구멍(57a)에 삽입되며 카바(70)의 통공(71)을 통해 좌석 벨트 장착너트(52)와 슬라이드 버튼(58)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우선 차체에 장착된 프레임(10)의 T홈(12)사이로 슬라이더(50)의 바닥면을 삽입하도록 한 다음 카바(70)에 돌출되어 좌석벨트가 장착되는 좌석벨트 장착너트(52)의 주면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버튼(58)을 압압하며 로크핀(57)이 프레임(10)의 구멍(15)에서 벗어나게 되어 슬라이더는 자유상태가 되어 프레임(10)의 T홈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써 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탑승자가 탐승한 상태에서 좌석벨트의 인출점의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 좌석벨트의 인출고리가 장착된 좌석벨트 장착 너트(52)의 외주에 설치된 슬라이드 버튼(58)을 압압하면 플랜지(58a)에 접촉하고 있던 레바(60)의 단부가 내려가게 된다. 이때 레바(60)는 중간 부위에 설치된 보스(54)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써 레바의 단부가 늘려짐에 따라 타측 단부가 올라오게 된다. 이때 단부에 조립된 로크핀(57)이 상승함에 따라 로크핀(57)의 단부가 프레임(10)의 벽면에 형성된 구멍(15)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슬라이더(50)는 상,하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제4도(a)참조).
이때 레바(60)작동의 중심적인 보스(54)의 높이가 로크핀(57)의 상,하 운동의 중심선에 오도록 설치하면 호크핀(57)의 기울어짐이 최소가 되어 로크핀(57)가이드 로크 프레임(10)간의 마찰을 줄여 레버가 원할히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는 자신이 원하는 소정 위치로 슬라이더(50)를 옮긴 후 슬라이더버튼(58)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레바(60)의 단부측을 눌러주는 스프링(55)의 탄력에 의하여 레바(60)가 원위치 되면서 로크핀(57)을 하측으로 밀어 내리게 되어 로크핀(57)을 프레임(10)의 구멍(15)에 끼울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로크핀(57)의 단부가 구멍(15)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더(50)를 상하로 약간 움직여 주면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구멍중 소정 위치에 끼워져 고정설치 된다(제4도(b)참조). 따라서, 탑승자는 좌석벨트의 인출점을 편안한 위치에 두게되어 착용감이 편안하며 만약의 경우 비상사태시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슬라이더가 T홈내에서 슬라이드 되어 안정되게 작동함으로써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며, 고속주행시에도 떨림 현상이 없어 소음발생이 없으므로 안정된 주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차체에 설치되는 좌석벨트의 인출점의 위치를 조정하여 좌석벨트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설치되는 프레임(10)의 T홈(12) 사이에 슬라이더(50)가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50)의 양측면에 리브(5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53)의 내측으로 돌츨된 보스(54)는 스프링(55)이 설치됨과 동시에 레바(60)의 힌지축으로 작동하며 상기 레바(60)의 일단에는 로크핀(57)이 설치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버튼(58)의 하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55)의 탄력은 레바(60)를 눌러주는 방향으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레바(60) 작동의 중심적인 보스(54)의 높이가 로크핀(57)의 상하운동의 중심선에 오도록 설치하면 로크핀(57)의 기울어짐이 최소가 되어 로크핀(57)가이드, 프레임의 구멍(15)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19960009786A 1996-04-01 1996-04-01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KR0163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786A KR0163490B1 (ko) 1996-04-01 1996-04-01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786A KR0163490B1 (ko) 1996-04-01 1996-04-01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56A KR970069656A (ko) 1997-11-07
KR0163490B1 true KR0163490B1 (ko) 1998-12-15

Family

ID=1945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786A KR0163490B1 (ko) 1996-04-01 1996-04-01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238B1 (ko) * 2012-06-25 2013-08-07 씨티엠(주) 슬라이더 제조방법
CN114103868A (zh) * 2021-11-29 2022-03-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高度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56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412B1 (ko) 자동차시트슬라이드장치
US865738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rest assembly
KR0163490B1 (ko)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US8172330B2 (en) Headrest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the same
CN211195937U (zh) 一种靠背高度调节机构和安全座椅
KR101774697B1 (ko) 혼 스위치를 가진 운전석 에어백장치
KR102002710B1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어셈블리
KR102644383B1 (ko)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KR10197250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0157841B1 (ko)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KR20010106597A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
KR0163492B1 (ko)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KR960010530Y1 (ko) 자동차의 시이트벨트 높이 조정장치
KR19990023924U (ko) 차량용 모니터 장착 구조물
KR200209009Y1 (ko) 헤드 레스트 어셈블리
KR011712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KR0138873Y1 (ko) 차량의 시트벨트 가이드용 어퍼 앵커 플레이트 커버의 간격 조절장치
KR0115990Y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0189258B1 (ko) 컨솔박스 구조
KR011854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구
KR19980031302A (ko)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구조
KR20220154388A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0118731Y1 (ko) 푸쉬형 폴 가이드
KR200388016Y1 (ko) 조수석공간확보 및 수납공간확보 가능한 차량용 글로브박스
KR200142522Y1 (ko) 차량용 앞 시트 백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