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2608B1 -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608B1
KR0162608B1 KR1019950064219A KR19950064219A KR0162608B1 KR 0162608 B1 KR0162608 B1 KR 0162608B1 KR 1019950064219 A KR1019950064219 A KR 1019950064219A KR 19950064219 A KR19950064219 A KR 19950064219A KR 0162608 B1 KR0162608 B1 KR 0162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extension number
code
area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669A (ko
Inventor
이승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6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608B1/ko
Publication of KR97005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27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not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9Wire identification arrangements; Number assignment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사설 교환기에 접속되어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에 상기 사설 교환기로부터 호서어비스를 받는 내선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에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자동 중계대에서의 내선 번호 등록 방법을 개선한다. 즉, 사설 교환기로부터 호서어비스를 받는 각 가입자 번호를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에 모두 등록하던 것을 최소한의 내선 번호의 입력만으로도 사설 교환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내선 번호를 등록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 중계대의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에 내선 번호 등록 영역과, 상기 등록될 내선 번호로부터 연속되는 내선 번호의 개수를 표시하는 속성코드를 저장하는 속성코드저장 영역을 설치한다. 상기 속성코드는 동일 어드레스에 저장된 내선 번호로부터 다음 어드레스에 저장된 내선번호까지 연속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교환 시스템의 자동 중계대

Description

사설 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
제1도는 자동 중계대가 접속된 사설 교환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의 제어 흐름도.
제3도는 종래의 등록 방법에 의해 등록된 메모리 맵 테이블.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의 제어 흐름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맵 테이블.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등록모드시의 표시의 일예시도.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자동 중계대(Automatic attendant)에서 사용되는 내선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소의 메모리로서 많은 가입자를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 중계대라함은 외부로부터의 착신호에 자동으로 응답하고 외부에서 전화한 사람이 통화를 원하는 내선 가입자에 상기 착신호를 전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가 단말 장치로 구내 사설 자동 교환기(PABX) 혹은 간이 구내 교환기(키텔리폰 시스템이라고도 함)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제1도에는 자동 중계대가 접속된 사설 교환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12는 국선라인(Central office line)(14)와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국선회로(Trunk card)와 내선(16) 혹은 또다른 내선(18)과의 정합기능을 가지는 가입자회로(Subcriber line circuit)를 포함하여 가지고 국선(14)의 호를 내선(16) 혹은(18)로 연결하여 호 서어비스(혹은 이와 반대로의 호서어비스)를 할수 있는 일반적인 사설교환기(PABX)을 의미한다. 그리고, 20은 교환기의 부가 단말장치인 자동 중계대이며, 22는 일반 전화기이다.
상기 제1도에서 내선(16,18)들 각각은 고유의 내선 번호(구내 가입자 번호)를 사설교환기로부터 부여(실제적으로는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포트에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됨)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 중계대(20)는 각종 신호처리를 하기위한 중앙처리장치와 각종 데이터를 저장·출력하기 위한 메모리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도와 같이 연결된 전화교환 시스템에서는 국선(14)으로 전화가 착신시에 자동으로 자동 중계대(20)가 접속된 내선(18)으로 호가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
이러한 부가 단말 장치의 특징은 전화가 착신시에 자동응답하여 미리설정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상기 국선(14)으로 송출한다. 즉, 국선(14)으로부터 전화가 착신에 상기 착신호는 사설교환기(14)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내선(18)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부가 단말장치인 자동중계대(20)는 상기 착신에 자동응답하여 미리설정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송출하고, 국선(14)으로 입력되어 사설교환기(12)내의 통화경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중화음(DTMF:Dual tone multi-freqency)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의 자동응답 메시지는 통화를 원하는 내선 번호(가입자 번호 혹은 구내 전화 번호라고도 함)를 누르라는 내용이 포함된 응답 메시지 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응답 메시지를 청취한 상대방이 내선 번호를 DTMF로서 입력시키면, 이는 자동 중계대(20)로 입력된다.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해당내선으로 기존의 교환원이 전화를 전환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신호를 호전환될 수 있도록하는 호전환 신호를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 혹은 간이 교환기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동 중계대(20)에는 외부로부터 전송되어온 내선 번호가 사용하지 않는 내선 번호인지 사용하는 내선 번호인지를 정확히 인식하여야 한다. 즉, 외부로부터 착신된 호의 호전환 신호(DTMF로서 상대방 전화 가입자 선택한 내선번호)가 사용하지 않는 내선 번호인 경우에는 즉시 사용하지 않는 내선 번호라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여야 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자동 중계대(20)에는 사설교환기(12)에 연결되어 호서어비스를 받는 각 내선의 모든 전화번호를 정확히 등록하여야 할 필요가 있게된다.
제2도는 종래의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등록 방법에 의해 등록된 메모리 맵 테이블로서, 이는 자동 중계대(20)내에 위치된 메모리이다.
이하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자동 중계대(20)에서의 내선 번호 등록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지금,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중계대(20)의 내선 번호 등록 방법은 내선(16)에 접속된 일반 전화기(22)로 자동 중계대(18)가 접속된 내선(18)의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서 시작된다. 제1도에 도시된 내선(16)의 전화기(22)로 자동 중계대(20)를 호출하면,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내선의 착신에 자동 응답하여 연결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내선(16)의 전화기(22)로 송출한다.
만약, 자동 중계대(20)가 자동응답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연결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연결 신호음을 송출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 메시지 혹은 신호음을 청취한 사용자가 전화기(22)의 키패드들를 이용하여 비밀번호와 등록코드를 입력시키면, 자동 중계대(20)는 제2도와 같은 등록모드의 루틴을 수행한다.
제2도와 같은 등록 모드로 천이한 자동 중계대(20)는 내선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메모리의 등록 어드레스를 초기화하고, 통화로가 형성된 전화기(22)로부터 내선 번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색한다. 여기서, 등록 어드레스를 초기화한다는 것은 제3도와 같이 구성된 등록 메모리의 초기 어드레스를 제일 처음에 기록할 장소로 선택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초기화를 수행한 상태에서 사용자(혹은 운용자)가 통화로가 형성된 전화기(22)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내선 번호를 입력시키면, 자동 중계대(20)는 해당하는 메모리의 등록 어드레스에 상기 입력되는 내선 번호를 등록(기록)하고, 등록완료코드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등록완료코드는 자동 중계대(20)의 등록 동작을 중지하는 코드로서 예를들면, #68형태의 코드이다.
상기 검색과정에서 등록코드가 아니라면 자동 중계대(20)는 제3도와 같이 구성된 등록 메모리의 등록 어드레스를 증가하여 다음의 등록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검색과정에서 등록완료코드가 입력 되었다면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등록모드를 해제하고 등록모드를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와 같은 제어 수순에 의해 사설교환기(12)에 수용된 내선 번호를 자동 중계대(20)에 등록하는 경우 내선번호 등록 메모리에는 하나의 어드레스 영역에 하나의 내선 번호가 등록되어 제3도와 같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중계대의 내선 번호 등록방법은, 내선 번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많은 메모리를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사설교환기(12)에 수용된 모든 내선 번호를 한 개씩 등록함으로써 사용 내선수가 많은 경우 엄청난 크기의 등록 메모리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가격의 상승요인이 되어 왔다. 예를들어, 사설교환기(12)에 수용된 내선 가입자가 200가입자이고, 내선 번호가 200번부터 399번까지인 경우, 200개의 내선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메모리는 200개×3디지트가 필요로하게됨을 알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디지트를 표현하는 데이터 비트가 4비트이라면, 총 600디지트의 내선 번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총 300바이트의 저장용량이 필요로하게 되고, 등록된 내선 번호를 서치하는 시간도 많이 걸려 호전환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그 등록방법도 내선 번호 200번부터 399번까지를 하나하나 수동으로 입력하여야 함으로써 자동 중계대(20)에 내선 번호를 등록하는 방법도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크기의 메모리로서 사설교환기에 수용된 내선 번호를 자동 중계대에 등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설 교환기에 수용된 내선 번호를 그룹으로 지정함으로서 신속히 등록할 수 있는 등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국선으로부터의 착신호를 미리 설정된 착신 내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착신 내선으로부터의 호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호를 전환연결하는 교환기와, 상기 착신내선에 연결되어 착신에 자동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송출하고 입력되는 내선 번호를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로부터 서치하여 호전환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자동 중계대를 구비한 자동 중계대의 내선 번호 등록 방법에 있어서, 등록어드레스를 초기화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로 부터의 코드신호의 입력을 검색하는 초기화과정과, 상기 입력코드가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인 경우에 응답하여 임시버퍼에 상기 입력되는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임시 저장 과정과, 상기 입력코드가 어드레스 변경코드인 경우에 응답하여 해당 어드레스를 목적지의 어드레스 영역으로 변경하는 어드레스 변경과정과, 상기 입력코드가 등록완료코드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임시저장된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를 실제 내선번호 테이블내의 저장장소 및 속성코드 저장장소에 등록하는 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의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전술한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중계대(20)의 동작 제어 수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맵 테이블로서, 이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중계대(20)의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의 맵이다. 이 메모리 맵의 구성은 매 어드레스(ADD)마다 3디지트(3개의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내선번호 저장 영역(12비트의 영역)(DTN)과, 속성코드가 저장되는 속성코드영역(SUR)이 있다. 이때 상기 내선 번호는 3개의 숫자로 구성된 경우의 예이고, 속성코드는 1개의 숫자 혹은 문자(기호)의 데이터로서 4비트의 길이를 가진다.
제5a도 및 제5b도에서의 속성코드영역(SUR)의 속성코드는 숫자와 문자기호로 구별된다. 여기서 숫자는 현재의 어드레스(ADD)의 내선 번호 저장영역(DTN)으로부터 연속하여 몇 개의 내선 번호를 자동으로 의사(擬似)등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코드이다. 예를들어, 현재의 어드레스(ADD)의 내선 번호영역(DTN)에 400번이 저장되고, 속성코드영역(SUR)에 숫자 7이 저장된 경우라면, 상기 내선 번호영역(DTN)에 저장된 내선 번호 400번으로부터 7이 가산된 407번까지 내선 번호가 연속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즉, 실제적으로 4개의 디지트를 등록하여 8개의 내선 가입자 번호를 자동으로 등록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속성코드영역(SUR)에 저장되는 코드가 기호 *로 등록되면 이는 현재의 어드레스의 내선 번호저장영역(DTN)으로부터 다음 어드레스의 내선 번호저장영역(DTN)에 저장된 내선 번호까지 내선 번호가 연속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제5a도의 어드레스 00H의 내선 번호영역(DTN)에 200번의 내선 번호가 저장되고, 속성코드영역(SUR)에 *의 속성코드가 저장된 상태에서 다음의 어드레스 01H의 내선 번호영역(DTN)에 내선 번호 399가 저장되면, 내선 번호 200부터 399번까지 연속등록되었음을 의미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등록모드시의 표시의 일예시도로서, 이는 등록모드시에 자동 중계대(20)에서 표시되는 일예이다. 제6도에서 앞선 2개의 표시 상태는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이고, 다음의 위치에 있는 4개의 표시상태는 내선 번호, 그리고, 마지막 표시상태는 속성코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중계대(20)의 내선 번호 자동 등록방법과,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등록된 내선 번호를 서치하여 호전환신호를 사설교환기(12)로 전송하는 관계를 설명한다.
지금, 운용자가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중계대(20)의 내부에 위치된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내선 번호를 등록하려면, 전술한 바와같이 내선(16)에 접속된 일반전화기(22)를 이용하여 자동 중계대(20)를 호출하여 통화로를 연결한 후 비밀번호와 등록코드를 입력시켜야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이 실행되면, 전술한 동작에 의해 자동 중계대(20)는 제4도와 같은 등록모드의 루틴을 수행한다.
제4도와 같은 등록모드의 루틴을 수행하는 자동 중계대(20)는 제4도의 42과정에서 제5a도와 같이 구성된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의 등록 어드레스를 초기화함과 동시에 제6도와 같은 표시 포멧을 디스플레이한다. 제6도와 같은 표시 포멧의 제일 앞선 위치에는 초기화된 등록 어드레스가 표시된다. 여기서 등록 어드레스를 초기화한다는 것은 제5a도와 같은 메모리 맵을 가지는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의 초기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4도의 42과정에서 등록 번지를 초기화하고,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6도와 같은 표시 포멧을 디스플레이한 자동 중계대(20)는 제4도 44과정과 46과정에서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 혹은 어드레스 변경코드가 입력되는가를 검색한다. 만약, 상기 44, 46과정에서 해당하는 코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라 판단하면, 자동 중계대(20)는 60과정에서 등록완료코드의 입력상태를 검색하고, 등록완료코드도 입력되지 않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제62과정에서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검색과정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도록 아무런 코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 중계대(20)은 등록모드를 해제한다.
만약, 상기와 같은 코드 입력검색과정에서 제6도와 같은 메시지를 보는 운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내선 번호 및 속성코드를 전화기(22)를 이용하여 DTMF로 입력시키면 이는 사설교환기(12)의 통화로를 통하여 자동 중계대(20)로 입력되며,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제4도 44과정에서 내선 번호 및 속성코드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내선 번호와 속성코드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한 자동 중계대(20)는 내부의 램 영역에 임시로 설정된 임시버퍼 상기 입력되는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44과정, 46과정, 60과정, 62과정 등의 검색을 통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코드의 입력상태를 검색한다. 여기서, 속성코드라함은 내선 번호의 수신에 연속하여 수신되는 코드를 의미하며, 이역시 DTMF신호로서 수신된다. 예를들어, 내선번호의 개수(디지트 수)가 3자리라면, 3자리의 숫자 다음에 수신되는 숫자 혹은 문자기호(예로서 *)를 속성코드로 인식한다.
본 발명에서 속성코드는 숫자 혹은 문자 기호로서 설정되는데, 숫자의 속성코드는 현재의 어드레스의 내선 번호 저장영역(DTN)에 저장된 내선 번호의 값에 속성코드의 숫자 만큼 가산된 내선 번호까지 자동을 등록하기 위함이고, 문자기호의 속성코드는 현재의 어드레스의 내선 번호 저장영역(DTN)에 저장된 내선 번호의 값으로부터 다음번의 어드레스의 내선 번호 저장영역(DTN)에 저장된 내선 번호의 값까지 연속적으로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기와 같은 검색에 의해 등록코드(예로서 #70)가 입력되었다고 전술한 60과정에 의해 판단되면, 자동 중계대(20)는 제4도의 56과정에서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의 입력이 완료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즉, 3자리의 내선번호와 1자리의 속성코드가 입력된료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검색과정에 의해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의 입력완 완료됨을 판단한 자동 중계대(20)는 58과정에서 진술한 44, 50과정에 의해 임시버퍼에 저장된 내선번호와 속성코드를 초기화된 등록 어드레스가 지시하는 내선번호 영역(DTN) 및 속성코드영역(SUR)에 저장하고 등록모드를 해제한다. 그러나, 등록완료코드가 입력된 상태에서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등록모드를 해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3자의 내선번호와 1자리의 속성코드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상태에서 등록완료코드가 입력되면, 자동 중계대(20)는 초기화된 등록 어드레스 번지가 지시하는 내선번호영역(DTN)에 상기 3자리의 내선번호를 저장함과 동시에 현재 어드레스의 속성코드영역(SUR)에 자동으로 1자리의 속성코드를 저장하게 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등록 어드레스(00H)의 내선 번호영역(DTN)에 200번의 내선 번호를 입력하고, *의 속성코드를 입력한 경우에는 자동 중계대(20)는 자동으로 등록 어드레스(00H)의 내선번호영역(DTN)에 200를 기록함과 동시에 속성코드영역(SUR)에 *의 속성코드를 기록하여 현재의 어드레스(00H)의 내선 번호영역(DTN)에 저장된 내선번호399까지 내선번호가 연속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등록어드레스가 02H인 상태에서 전술한 44과정 및 50과정에 의해 임시버퍼에 저장된 내선번호가 400, 속성코드가 5인 상태에서 등록완료코드가 입력된 상태라면,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58과정에서 자동으로 현재 어드레스(02H)의 내선영역(DIN)에 400를 기록함과 동시에 속성코드영역(SUR)에 자동으로 5을 저장하여 내선번호 400으로부터 405번의 내선번호까지 등록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만약, 전술한 제4도의 44과정에서 내선 번호 및 속성코드가 입력되지 않고 46과정에서 어드레스 변경코드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제4도의 48과정에서 제6도와 같이 표시되는 내선번호를 현재 입력된 내선번호로 변경한다. 예컨대, 현재의 어드레스가 01H인 상태에서 어드레스 변경코드에 의해 변경된 어드레스가 03H인 경우에는 등록위치를 03H의 어드레스로 변경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내선 번호 등록메모리에 등록된 상태를 살피면 제5a도와 같다. 제5a도에는 총 219개의 내선 번호를 등록한 경우의 일예이다. 즉, 내선 번호 200번부터 399번까지의 200개의 내선 가입자와, 내선 번호 400번부터 405번까지의 6개의 내선 가입자와, 내선 번호 410번부터 407번까지의 8개의 내선 가입자와, 내선 번호 420번의 단일 내선 가입자 및 내선 번호 430번부터 433번까지의 4개의 내선 가입자들을 등록한 일예를 도시한 메모리 맵이다.
제5a도를 참조하면, 어드레스(00H)와 어드레스(01H)의 두 개의 버퍼영역 총 4바이트의 크기로써 내선 번호 200번부터 399번까지의 총 200개의 내선 가입자를 등록한 예이다. 여기서 어드레스(001H)의 속성코드영역(SUR)에 저장된 속성코드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00H)의 내선 번호영역(DTN)에 저장된 내선 번호 200부터 다음의 어드레스(01H)의 내선 번호영역(DTN)에 저장된 내선 번호 399번까지 연속등록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12)에 수용된 내선 번호를 자동 중계대(20)에 등록시 최소한의 크기로서 등록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내선 번호를 등록한 자동 중계대(20)가 착신호에 응답하여 내선 번호를 서치(Search)하여 호전환신호를 사설교환기(12)로 전송하여 외부의 호가 내선가입자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지금, 국선(14)로부터 착신호가 입력되면 사설교환기(12)는 상기 국선(14)으로의 착신을 자동 중계대(20)가 접속된 내선(18)으로 착신시킨다. 이때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착신에 자동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자동응답메세지를 사설 교환기(12)를 통하여 송출한 후 입력되는 신호(DTMF)를 분석한다. 여기서, 자동응답메세지의 예로서는 감사합니다. 여기는 000주식회사입니다. 통화를 원하는 내선 번호를 입력하여 주시면 바로 연결하여 드리겠습니다등의 음성 메시지이다.
상기 자동응답메세지를 청취한 외부의 호출자가 통화를 원하는 내선 번호를 MFC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DTMF신호로서 입력하면, 이는 곧 자동 중계대(2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자동 중계대(20)는 수신된 DTMF신호를 분석(DTMF수신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통화내선 번호로 인식)하고, 수신된 내선 번호가 내선 번호 등록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수신된 내선 번호가 내선 번호 등록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다.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내선 번호가 404번인 경우, 자동 중계대(20)는 내부의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의 전어드레스에 저장된 내선 번호의 내용을 서치하여 최상위 자리, 즉, 백단위 자리가 4XX로 등록되어 있는 것이 있는가를 검색한다. 백단위자리가 4로 등록된 내선 번호가 있는 경우 해당 어드레스의 속성코드를 읽어 *인가를 검색한다. 속성코드가 *인 경우 차기 어드레스에 등록된 내선 번호의 값을 읽어 404의 값과 같거나 큰가를 검색한다. 상기의 검색결과 차기 어드레스에 등록된 내선 번호의 값이 수신된 내선 번호 404와 같거나 크다고 판단되면 자동 중계대(20)는 사설 교환기(12)에 등록된 내선 번호라고 인식하고 호전환코드를 사설 교환기(12)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와 같은 속성코드의 검색결과 *코드가 아니라면 자동 중계대(20)는 어드레스(02H)의 내선 번호저장영역(DTN)에 저장된 번호 400에 상기 속성코드영역(SUR)에 저장된 속성코드의 값을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값 405과 등록번호 400의 사이에 상기 수신된 내선 번호 404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한다. 이와 같은 검색결과 해당 어드레스의 내선 번호 영역에 저장된 내선 번호와 상기 내선 번호에 속성코드가 가산된 값에 상기 수신된 내선 번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자동 중계대(20)는 사설 교환기(12)에 등록된 내선 번호라고 인식하고 호전환코드를 사설교환기(12)로 전송한다. 여기서, 호전환코드라함은 훅크 플레쉬 신호와 내선 번호 혹은 호전환을 위한 디지트와 내선 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자동 중계대(20)로부터 호전환코드를 입력한 사설 교환기(12)는 상기 자동 중계대(20)로부터 전송된 호전환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국선(14)의 통화로를 상기 호전환코드에 포함된 내선 번호 가입자로 전환착신 시킨다. 따라서 국선(14)으로부터의 착신이 자동 중계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내선에 연결되어 외부의 착신호를 자동으로 중계하는 자동 중계대에 상기 사설 교환기에 사용되는 내선 번호의 등록을 최소의 정보단위로 입력시킴으로써 메모리를 효율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착신호 입력시 내선 번호의 검색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통화의 연결으로 신속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국선으로부터의 착신호를 미리 설정된 착신 내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착신 내선으로부터의 호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호를 전환연결하는 교환기와, 상기 착신내선에 연결되어 착신에 자동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송출하고 입력되는 내선 번호를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로부터 서치하여 호전환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자동 중계대를 구비한 자동 중계대의 내선 번호 등록 방법에 있어서, 어드레스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내선 번호 등록 메모리의 등록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선택과정과,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의 내선 번호 저장 영역과 상기 저장될 내선 번호로부터 몇 개의 연속 번호를 자동 등록할 것 인가를 결정하는 속성코드를 저장하는 속성코드영역을 표시하는 등록 표시 과정과, 내선 번호 영역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내선 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내선 번호의 연속 속성을 결정하는 속성코드를 상기 속성코드의 영역에 저장하는 내선 번호 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자동 중계대의 내선 번호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내선 번호 등록과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를 임시버퍼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임시버퍼에 저장된 내선번호 및 속성코드를 등록완료코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내선등록 메모리내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내선번호 영역 및 속성영역에 저장하는 저장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계대의 내선 번호 등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코드는, 상기 내선번호 영역에 저장된 내선번호에 가산되어진 만 큼의 번호까지의 가입자 번호를 자동 등록하는 숫자의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
  4.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에 연결되어 호 서어비스를 받는 다수의 가입자와, 상기 교환기에 연결된 가입자의 내선 번호를 등록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착신에 응답히여 자동응답메세지를 송출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입자 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서치하여 상기 교환기로 호전환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를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1영역에 상기 교환기로부터 호 서어비스를 받는 내선 가입자의 하위 가입자 번호를 저장하는 가입자 번호 저장 과정과, 상기 제1영역에 연속하는 속성영역에 상기 저장된 하위 가입자 번호로부터 연속됨을 나타내는 코드를 저장하는 속성코드 저장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코드는,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가입자 번호에 가산되어진 만큼의 번호까지의 가입자 번호를 자동 등록하는 숫자의 코드임을 특징을 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 등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코드는,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가입자 번호로부터 차기의 가입자 번호 등록 위치인 제2영역에 등록된 가입자 번호까지 연속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문자의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등록 방법.
KR1019950064219A 1995-12-29 1995-12-29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KR0162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219A KR0162608B1 (ko) 1995-12-29 1995-12-29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219A KR0162608B1 (ko) 1995-12-29 1995-12-29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669A KR970056669A (ko) 1997-07-31
KR0162608B1 true KR0162608B1 (ko) 1998-12-01

Family

ID=1944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4219A KR0162608B1 (ko) 1995-12-29 1995-12-29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6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669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0742B2 (ja) 構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9990085981A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JPH08242296A (ja) 個人電話番号を有する加入者への呼接続システム
JPS6384358A (ja) 電子式構内交換機
KR0162608B1 (ko)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KR100212061B1 (ko) 자동응답기능을 구비한 키폰전화기의 자동중계대 구현방법
KR100724958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JP3344987B2 (ja) 構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7110020B2 (ja) デイジタル電話の転送方法
JP2597555B2 (ja) ディジタル交換システム
KR100255317B1 (ko) 키폰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KR100797703B1 (ko) 키폰 시스템에서 착신호에 대한 호전환 구현 방법
KR900006776B1 (ko) 전자교환기에 사설교환기 수용시 착신가입자 회선의 제한적 호출처리방법
JPS61294956A (ja) レパ−トリダイヤル方式
JPH0267062A (ja) 発信種別表示方式
JPH05207186A (ja) 端末装置
KR980007378A (ko) 교환기의 발신측 전화 자동 호출방법 및 장치
JPH04133529A (ja) 通信ルート選択方式
JPH01321755A (ja) 通信端末装置
JPH05327910A (ja) 不在転送時の着信呼情報蓄積呼出しシステム
JPH04290094A (ja) ダイヤルインの着信番号表示方法
JPH11266311A (ja) 複数電話機同時呼出制御方式
KR20020056434A (ko) 외부 음성저장장치가 구비된 키폰시스템
JP2000299730A (ja) ナンバーディスプレイ電話機の通知情報付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