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0068B1 - 다중화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화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068B1
KR0160068B1 KR1019950006517A KR19950006517A KR0160068B1 KR 0160068 B1 KR0160068 B1 KR 0160068B1 KR 1019950006517 A KR1019950006517 A KR 1019950006517A KR 19950006517 A KR19950006517 A KR 19950006517A KR 0160068 B1 KR0160068 B1 KR 016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ata
input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미찌 구도
도시로 기누가사
다꾸야 이마이데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0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비디오카메라 및 그것에서 발생하는 화상데이타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장치, 더 나아가서는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의 회로규모 및 화상입력부와 비디오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신호선수를 저감하기 위해서 촬상소자 및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를 갖고,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신호선을 거쳐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부여하고,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입력부로 부터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모드전환회로를 또 구비하고, 모드전환회로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하는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출력부를 다중화한 데이타를 출력가능한 제1의 모드와 출력불가능한 제2의 모드 사이에서 전환함과 동시에 입력부를 출력부가 제2의 모드일때 제어데이타를 입력가능한 제3의 모드로 하고, 출력부가 제1의 모드일때 제어데이타를 입력불가능한 제4의 모드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달성되고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를 연결하는 신호선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화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카메라,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상입력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타, 동작데이타, 제어데이타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상입력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 부의 신호파형을 도시한 타이밍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소프트웨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 및 거기에서 발생되는 화상데이타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장치, 더 나아가서는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텔레비전 회의장치나 화상처리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장치 등에 적합한 비디오카메라, 영상입력장치 및 화상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회의장치나 화상처리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등에 비디오카메라에서 얻은 화상을 입력하는 것이 근래에 실행되고 있다. 통상, 이를 위한 장치로서는 화상을 촬상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비디오카메라부분 및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신호를 텔레비젼 회의장치나 컴퓨터 내부의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카메라부는 텔레비젼 회의장치 본체나 컴퓨터 본체와는 다른 케이스에 수용되는 경우가 많고, 본체내에 수용되는 화상입력장치와의 사이는 케이블 등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텔레비젼 회의장치나 컴퓨터 내부에 있어서 화상데이타는 디지탈데이타로서 취급되고 있다. 또, 카메라내부의 화상신호처리에 대해서도 디지탈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신호를 아날로그형식보다 디지탈형식으로 전송한쪽이 아날로그/디지탈변환의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어 회로의 규모 삭감 및 화질향상의 점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 39, No. 3, 1993년 8월, pp. 467∼47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근의 이러한 종류의 비디오카메라 및 화상입력장치에서는 비디오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입력장치부 사이가 디지탈신호용 케이블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사이의 화상데이타 전송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의 디지탈신호에 의해 실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CCD 등에 의해 촬상되어 리드된 화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변환하는 색변환회로 등의 신호처리회로를 가메라측에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카메라측의 회로규모가 증대하거나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갯수의 증가에 접속케이블이 굵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화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화상입력장치로 전송할 때에는 휘도신호용과 색차신호용으로 따로따로 신호선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 회의장치나 화상처리기능을 갖는 컴퓨터 등으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공급하기 위한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의 회로규모를 삭감하는 것 및 화상입력부와 비디오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신호선 갯수를 삭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따르면,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갖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부여하는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하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출력부를 상기 다중화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부를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로 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로 하는 모드전환회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사이에 접속된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하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늰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로부터의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신호선을 거쳐 상기 비디오카메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입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고 상기 출력부를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3 모드로 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4 모드로 하는 모드전환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해서,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는 촬상소자(CCD)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가 그 성분 그대로, 즉 색신호변환(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의 변환)되지 않고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되어 출력되지 때문에, 화상입력장치측에 있어서 이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색신호변환과 신호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는 색신호변환 등의 회로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회로규모가 삭감된다. 또,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화상데이타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변환해서 화상입력장치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휘도신호용 및 색차신호용으로 신호선을 따로따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신호는 색신호변환되지 않고 그대로 화상입력장치측으로 전성되기 때문에, 색신호변환해서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비디오 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사이의 신호선 갯수를 약1/2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갖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신호선을 거쳐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부여하는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를 출력하는 검출회로,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다중화하고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의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해서 출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1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출력부 및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는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고,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고,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5 모드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고, 상기 출력부가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4 모드에 있고, 상기 출려부가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블랭킹기간내의 제1 기간동안 상기 제3 모드로 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상기 블랭킹기간내로서 상기 제1 기간과는 적어도 다른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제5 모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1에에 의하면, 비디오카메라는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블랭킹기간내의 임의의 기간에 동작데이타를 신호선을 거쳐 화상입력장치측으로 송출한다.
또, 화상입력장치는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블랭킹기간 내의 다른 기간에 제어데이타를 신호선을 거쳐 비디오카메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서,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데이타부분과 동작데이타 및 제어데이타를 동일신호선을 이용해서 시분할 다중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사이의 신호선 갯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상데이타 이외의 데이타(제어데이타, 동작데이타)를 블랭킹기간내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데이타를 전송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카메라,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의 실시에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를 갖는 화상입력시스템의 구성도이며, 화상입력시스템의 1예로서 텔레비젼 회의장치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본 발명은 텔레비젼회의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를 갖는 컴퓨터를 신호선에 의해 격리시켜 배치하도록 하여 비디오카메라의 소형화 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비디오카메라(16)은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 등과 화상입력장치(34)로부터의 제어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50) 및 화상입력장치(34)로부터의 동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52)를 거쳐서 화상입력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입력장치(34)는 컴퓨터(100)에 내장되고, 비디오카메라(16)과 컴퓨터(100)으로 텔레비젼 회의장치를 구성한다. 화상입력장치(34)는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내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라는 것은 이 예에 있어서는 컴퓨터(100)의 화상입력장치(34)를 제외한 부분에 상당하는 것이다.
컴퓨터(100)에 있어서는 화상입력장치(34)로부터의 화상데이타가 버스(60)을 거쳐서 화상압력회로(코덱(CODEC))(62)로 보내지고, 예를 들면 ITU-T H. 261 권고에 개시된 알고리듬에 의해서 전송에 적합한 데이타량으로 압축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64), 네트워크(예를 들면 LAN)를 거쳐서 다른 텔레비젼회의장치(200)으로 보내진다. 또, 화상입력장치(34)로부터의 화상데이타는 버스(60)을 거쳐서 프레임버퍼(68)에 저장되고, 이 프레임버퍼에서 리드된 화상데이타는 모니터디스플레이(70)에 표시된다. CPU(80)은 텔레비젼 회의장치 본체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CPU(80)의 제어데이타 및 제어프로그램 등은 메모리(82), 외부기억장치(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구동장치(HDD))(84)에 저장된다.
다음에, 비디오카메라(16)에 대해서 설명한다.
렌즈(1)에서 조리개(2)를 거쳐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3)상에 결상된 영상은 CCD(3)에서 화상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화상신호는 상관더블샘플링(CDS; Correlated Double Sampling)/자동이득조정(AGC; Automatic Gain Control)회로(4)에 있어서 상관더블샘플링처리 및 자동이득조정이 실시되고, 아날로그/디지탈(A/D)변환기(5)에 있어서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된다. 멀티플렉서(MPX)(6)은 카메라의 광학계에 대해 마련된 렌즈위치 검출회로(검출센서)(8) 및 조리개위치 검출회로(9)에서 출력되는 렌즈(1)의 포커스거리 및 조리개(2)의 개구값의 동작데이타 및 A/D변환기(5)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시분할 다중해서, 송신부 또는 출력부로서 기능하는 버퍼 예를 들면 3상태버퍼(7)을 거쳐서 화상입력장치(100)측에 연결된 신호선(50)상으로 송출한다. 데이타분리회로(12)는 화상입력장치(100)측에서 신호선(50)을 거쳐 송출되는 제어데이타를 수신부 또는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리시버(13)을 거쳐서 수신하고, CDS/AGC회로(4), 포커스렌즈 구동회로(10), 조리개 구동회로(11) 등의 광학계의 구동회로로 송출한다. 구동펄스 발생회로(14) 및 타이밍(모드) 전환신호 발생회로(15)는 화상입력장치(34)에서 신호선(52)를 거쳐 전송되어 오는 동기신호를 입력한다. 구동펄스 발생회로(14)는 이 동기신호에 따라서 CCD(3)의 구동펄스를 생성한다.
타이밍(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15)는 멀티플렉서(6)으로의 타이밍(모드)전환신호와 3상태버퍼(7), 데이타분리회로(12) 및 리시버(13)의 타이밍(모드)전환신호를 생성한다.
화상입력장치(34)는 비디오카메라(16)에서 신호선(52)를 거쳐 전송되는 화상데이타와 동작데이타를 수신부 또는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리시버(21)에 의해 수신하고 데이타 분리회로(22)로 보낸다. 데이타 분리회로(22)는 디지탈화상데이타와 동작데이타를 분리하고,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색성분 분리회로(23)으로 보내고 동작데이타를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로 보낸다. 색성분 분리회로(23)은 CCD(3)에서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신호성분 예를 들면 녹색(G), 시안(Cy), 마젠타(Mg), 노란색(YI)을 분리한다. 매트릭스 연산회로(24)는 G, Cy, Mg, YI의 각 신호에서 휘도신호Y와 색차성분신호C를 계산에 의해 구하고, 휘도신호를 휘도신호 처리회로(25)로 보내고 색차성분신호C를 색차신호 처리회로(26)로 보낸다. 휘도신호 처리회로(25) 및 색차신호 처리회로(26)의 출력은 프레임버퍼(27)에 일단 축적된 후, 인터페이스(I/F)회로(28)을 거쳐서 버스(60)에 인가되고 코덱(CODEC)(62) 등에 의해 신호처리된다. 제어데이타 연산회로(31)은 휘도신호 처리회로(25)와 색차신호 처리회로(26)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에서 비디오카메라(16)의 포커스제어정보, 조리개제어정보, AGC제어정보 및 화상입력장치(34)의 화이트밸런스 제어정보 등을 구하고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로 보낸다.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는 데이타 분리회로(22)에 의해 분리된 동작데이타와 제어데이타 연산회로(31)로부터의 상기 각종 제어정보에 따라서 비디오카메라(16) 및 화상입력장치(34)의 각부의 제어데이타값을 계산하고, 비디오카메라(16)의 제어데이타를 송신부 또는 출력부로서 기능하는 버퍼 예를 들면 3상태버퍼(30)을 통해 비디오카메라(16)으로 보내고, 또한 화상입력장치(34)내의 색성분 분리회로(23), 매트릭스 연산회로(24), 휘도신호 처리회로(25), 색차신호 처리회로(26)에 그 제어데이타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제어데이타 연산회로(31) 및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USP 5, 382, 9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동기신호 발생회로(32)는 화상입력장치(34)와 비디오카메라(16)의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동기신호를 발생하고, 그것을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 타이밍 전환신호 발생회로(33), 제어데이타 연산회로(31) 및 프레임버퍼(27)에 인가함과 동시에 신호선(52)를 거쳐서 비디오카메라(16)으로 송출한다.
타이밍전환신호 발생회로(33)은 리시버(21)이 비디오카메라(16)에서 전송되어 오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모드(입력가능 모드)와 3상태버퍼(30)이 비디오카메라(16)으로 제어데이타를 송출하는 모드(제어데이타 출력가능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타이밍(모드) 전환신호(44)를 발생하여 리시버(21) 및 3상태버퍼(30)에 인가한다. 타이밍전환신호 발생회로(33)은 또, 데이타 분리회로(22)가 비디오카메라(16)에서 전송되어 오는 데이타에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추룰하는 모드(화상데이타 분리/추출가능 모드)와 동작데이타를 추출하는 모드(동작데이타 분리/추출가능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타이밍(모드)전환신호(46)을 발생하여 데이타분리회로(22)에 인가한다.
마찬가지로, 비디오카메라(16)내의 타이밍전환신호 발생회로(15)는 동기신호 발생회로(32)로부터의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리시버(13)이 화상입력장치(34)에서 전송되어 오는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모드(입력가능 모드)와 3상태버퍼(7)이 화상입력장치(34)로 데이타(디지탈화상데이타와 동작데이타)를 송출하는 모드(출력가능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타이밍(모드)전환신호(40)을 발생해서 각각 리시버(13) 및 3상태버퍼(7)에 인가한다. 이 타이밍(모드)전화신호(40)은 또, 데이타분리회로(12)에도 인가되고, 데이타분리회로(12)가 화상입력장치(34)에서 전송되어 오는 제어데이타를 각 제어회로(4), (10), (11), (14)용의 개개의 제어데이타로 분리하는 모드로 되도록 한다. 타이밍 전환신호 발생회로(15)는 또,MPX(6)이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모드와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타이밍(모드)전환신호(42)를 발생하여 MPX(6)에 인가한다.
제2도는 제1도의 화상입력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카메라(16)과 화상입력장치(34) 사이에서 수수(授受)되는 화상데이타, 동작데이타 및 제어데이타의 관계를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제 3도는 비디오카메라(16)과 화상입력장치(34)에 있어서의 데이타의 수수를 설명하기 위한 각 부의 신호 및 데이타의 타이밍도이다.
제2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데이타는 예를 들면 조리개의 현재값과 렌즈위치의 현재값을 나타내는 데이타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 기간TVB내에 비디오카메라에서 출력된다. 또,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데이타는 예를 들면 조리개 설정값, 렌즈위치 설정값 및 AGC이득 설정값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간내에 화상입력장치에서 출력된다.
다음에, 제3도를 사용해서 제1도의 화상입력시스템의 각 부에서의 데이타 및 신호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의 (a)는 동기신호 발생회로(32)로부터의 동기신호(c-sync신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NTSC방식인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이 동기신호는 수직블랭킹기간TVB(시각t1-n∼t3)를 포함하고, 도면중 1H는 수평주사기간을 나타낸다.
비디오카메라내의 타이밍 발생회로(15)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타이밍(모드)전환신호(40), (42)를 발생한다. 타이밍(모드)전환신호(40)은 제3도의 (d)와 같이,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간TVB내의 임의의 기간 예를 들면 시각t2∼t3동안의 1수평주사기간 동안에만 하이레벨로 된다. 또, 타이밍(모드)전환신호(42)는 제3도의 (b)와 같이,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간TVB동안에만 하이레벨로 된다. 또한, 이 타이밍(모드)전환신호(42)는 제3도의 (b)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간TVB내의 상기 기간t2∼t3이외의 기간 예를 들면 1수평주사기간(t1∼t2)동안에만 하이레벨로 해도 좋다.
비디오카메라(16)에 있어서는 타이밍전환신호(40)이 예를 들면 로우레벨인 동안에는 리시버(13) 및 데이타분리회로(12)는 오프상태로 되어 각각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 및 데이타분리가 불가능한 상태로 되며, 하이레벨인 동안에는 온상태로 되어 각각 입력가능상태 및 데이타분리가능상태로 된다. 한편, 3상태버퍼(7)은 타이밍전환신호(40)이 예를 들면 로우레벨인 동안에는 온상태(출력가능상태)로 되고, 하이레벨인 동안에는 오프상태(출력불가능상태)로 된다. 또, MPX(6)은 타이밍전환신호(42)가 하이레벨인 동안에는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로우레벨인 동안에는 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제3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카메라(16)의 3상태버퍼(7)로부터는 시각t1∼t2동안에 동작데이타가, 기간t3이후의 수직블랭킹기간을 제외한 기간에는 화상데이타가 화상입력장치(34)에 인가된다. 또, 화상입력장치로부터의 제어데이타는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가내로서 동작데이타가 비디오카메라에서 출력되고 있지 않은 기간, 예를 들면 기간 t2∼t3동안에 리시버(13)에 입력되어 데이타분리회로(12)에 인가된다. 데이타분리회로(12)에서는 타이밍 전환신호(40)의 상승(온)과 동기해서 제어데이타를 분리한다. 데이타 분리회로(12)는 예를 들면 타이밍 전환신호(40)의 상승이후에 입력되는 제어데이타 비트수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서 조리개설정값, 렌즈위치 설정값 및 AGC 이득 설정값의 각 제어데이타를 분리 및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분리회로(12)에 인가되는 타이밍전환신호를 조리개 설정값, 렌즈위치 설정값 및 AGC이득 설정값의 각 제어데이타와 동기한 여러개의 동기신호로 하는 것에 의해서 각 제어데이타를 분리 및 추출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화상입력장치(34)내의 타이밍전환신호 발생회로(33)은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타이밍(모드)전환신호(44), (46)을 발생한다. 타이밍(모드) 전환신호(44)는 제 3도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전환신호(40)과 동일한 타이밍을 갖는 파형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간(TVB내의 시각t2∼t3동안의 1수평주사기간 동안에만 하일벨로 된다. 또, 타이밍(모드)전환신호(46)은 제3도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전환신호(42)와 동일한 타이밍을 갖는 파형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간TVB동안에만 하이레벨로 된다. 또한, 이 타이밍(모드)전환신호(46)은 제3도의 (f)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수직블랭킹기간TVB내의 1수평주사기간(시각t1∼t2)동안에만 하이레벨로 해도 좋다.
화상입력장치(34)에 있어서는 타이밍 전환신호(44)가 예를 들면 로우레벨인 동안에는 리시버(13) 및 데이타분리회로(12)가 온상태로 되어 각각 데이타입력 가능상태 및 데이타분리 가능상태로 되고, 하이레벨인 동안에는 오프상태로 되어 각각 데이타입력 불가능상태 및 데이타분리 불가능상태로 된다. 한편, 3상태버퍼(30)은 타이밍전환신호(44)가 예를 들면 로우레벨인 동안에는 오프상태(출력불가능상태)로 되고, 하이레벨인 동안에는 온상태(출력가능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 3도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입력장치(34)의 3상태버퍼(30)으로부터는 시각t2∼t3동안에 제어데이타가 비디오카메라(16)으로 인가된다. 또, 비디오카메라(16)으로부터의 화상데이타 및 동작데이타는 수직블랭킹기간의 1H기간(시각t1∼t2)동안에, 화상데이타는 수직블랭킹기간 이외의 기간에 각각 리시버(21)에 입력되어 데이타분리회로(22)에 인가된다. 데이타 분리회로(22)에서는 타이밍 전환신호(46)이 하이레벨인 동안에는 동작데이타를 분리 및 추출해서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에 인가하고, 로우레벨인 동안에는 화상데이타를 분리 및 추출해서 색성분 분리회로(23)에 인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데이타 및 제어데이타를 수직블랭킹기간에만 신호선(50)을 거쳐서 전송하도록 했지만, 또 수평블랭킹기간에도 동작데이타 및 제어데이타를 신호선(50)을 거쳐서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예에서는 동작데이타 및 제어데이타가 기간t1∼t3동안에 전송되고 있지만, 수직블랭킹기간내의 다른 기간에 전송되도록 해도 좋다. 또, 수직블랭킹기간내에 전송되는 동작데이타 및 제어데이타는 각각 1H기간이상동안 전송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는 CCD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가 그 성분 그대로 즉 색신호변환(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의 변환)되지 않고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화상입력장치측에 있어서 이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색신호변환과 신호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는 색신호변환 등의 회로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회로규모가 삭감된다. 또,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화상데이타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변환해서 화상입력장치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휘도신호용 및 색차신호용으로 신호선을 따로따로 마련할 필요가 있게 되므로, 그와 같은 경우에 비해 신호선의 갯수를 약1/2로 감소할 수 있다.
또,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를 연결하는 신호선상에 디지탈화상데이타,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 및 비디오카메라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다중해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어동작을 위해 신호선의 갯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화상데이타 이외의 데이타(제어데이타 및 동작데이타)를 블랭킹기간내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데이타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제1도와 동일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디오카메라(16 a)에 있어서는 렌즈(1a)로서 고정초점거리의 것을 사용하고, 또 조리개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펄스 발생회로(14)에 의한 CCD(3)의 셔터타이밍제어만으로 노출(露光)제어를 실행한다. 따라서, 제 1도의 렌즈위치 검출회로(8), 조리개위치 검출회로(9)는 불필요하게 되고 비디오카메라(16a)에서 화상입력장치(34)에 대해 송신하는 동작데이타는 없으므로, 타이밍 전환신호발생회로(15a)는 3상태버퍼(7)과 리시버(13)에 대한 타이밍(모드)전환신호(40)만을 발생한다. 그 밖의 부분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비디오카메라(16)과 동일하다.
제4도의 비디오카메라(16a)에서도 제1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비디오카메라(16)과 마찬가지로 색신호분리나 휘도 및 색차신호의 처리를 화상입력장치측에서 실행하므로, 비디오카메라부분의 회로규모가 축소된다. 또, 디지탈화상데이타와 제어데이타가 시분할 다중되므로, 비디오카메라(16a)와 화상입력측을 연결하는 신호선 갯수도 삭감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입력장치(34a)에 있어서 타이밍전환신호 발생회로(33a)는 리시버(21)이 비디오카메라(16a)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수신하는 모드와 3상태버퍼(30)이 화상입력장치(34a)의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a)에서 발생되는 제어데이타를 비디오카메라로 송출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타이밍(모드)전환신호(44)를 비디오카메라측의 타이밍전환신호(40)과 동기하도록 발생한다. 즉, 이들 타이밍전환신호(40), (44)의 파형은 제 3도와 동일해도 좋다.
비디오카메라(16a)에서 도달한 디지탈화상데이타는 리시버(2)에서 인터페이스회로(28a)로 보내지고, 또 제 1도에 도시한 컴퓨터장치 등의 데이타처리부로 출력된다. 비디오카메라(16a)의 CCD(3)에서 리드된 G, Cy, Mg, YI의 색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처리는 예를 들면 컴퓨터장치의 CPU(80)(제1도)에 의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고, 그 컴퓨터장치에서 필요로 되는 신호형식으로 변환된다. 또, 마찬가지로 해서 컴퓨터장치는 디지탈화상데이타에서 비디오카메라의 제어에 필요로 되는 제어데이타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제어데이타를 인터페이스회로회로(28a)를 경유하여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a)로 송출한다. 또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a)는 이 제어데이타를 비디오카메라(16a)로 보내는 제어데이타로서 3상태버퍼(30)에서 송출한다.
제5도는 이 CPU(80)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데이타의 처리의 1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인터페이스(28a)로부터의 화상데이타는 버스(60)을 거쳐서 메모리(82)에 예를 들면 1H기간분의 화상데이타마다 일단 저장되고 CPU(80)에 의해 처리된다.
먼저, 스템(400)에 있어서 메모리(82)에 저장되어 있는 예를 들면 1H기간분의 화상데이타를 리드한다.
스텝(402)에 있어서는 리드한 화상데이타의 색성분이 분리되고(제1도의 색성분 분리회로(23)과마찬가지 처리), 다음에 스탭(404)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색성분(G, Cy, Mg, YI)에 따라 매트릭스연산처리를 실행하여 휘도신호와 색차성분신호를 구하고(매트릭스 연산회로(24)와 마찬가지 처리), 스텝(406)에 있어서 상기 얻어진 휘도신호 및 얻어진 색차성분신호를 처리(휘도신호 처리회로(25) 및 색차신호 처리회로(26)과 마찬가지 처리, 예를 들면 잡음처리, 화질조정, 화이트밸런스 조정 등)한다. 다음에, 스텝(408)에 있어서 신호처리후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에 따라서 제어데이타를 연산하고(제어데이타 연산회로(31)과 마찬가지 처리) 연산결과를 인터페이스(28a)를 거쳐서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a)로 보낸다. 따라서,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a)는 이 연산결과에 따라서 제어데이타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410)에 있어서 신호처리후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의 신호형식이 변환되고, 이 변환된 형식의 신호가 코덱(62), 프레임버퍼(68)(제1도에 도시)에 저장된다(스텝412). 다음에, 다음의 1H기간분의 화상데이타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4도에 도시한 화상입력장치(34a)에 의해서도 비디오카메라(16a)에 있어서 CCD(3)에서 리드된 화상신호를 그 성분 그대로 변환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카메라부분의 회로규모가 삭감되어 화상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디지탈화상데이타와 비디오카메라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동일 신호선을 이용해서 전송하므로, 제어동작을 위해 신호선의 갯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화상입력장치(34a)가 비디오카메라(16a)에서 입력된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처리를 화상입력장치(34a)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장치측의 CPU에 의해 소프트웨어처리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전체의 하드웨어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입력장치(34a)에 있어서는 화상데이타의 데이타처리 및 제어데이타의 연산처리를 연산처리를 소프트웨어처리로 실행했지만, 제1도의 화상입력장치(34)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하여 하드웨어처리해도 좋다. 단, 이 경우 제1도의 데이타분리회로(22)는 불필요하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비디오카메라(16)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게 하고, 화상입력장치(34b)에 있어서는 제4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상데이타의 데이타처리 및 제어데이타의 연산처리를 소프트웨어처리로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도 및 제 4도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입력장치(34b)에서는 제4도의 화상입력장치(34a)에 데이타분리회로(22)를 더 마련하고, 타이밍(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33)으로부터의 타이밍전환신호(46)과 동기해서 리시버(21)로부터의 화상데이타와 동작데이타를 분리 및 추출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4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a), (29b)의 동작을 화상입력장치(34a), (34b)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장치 등의 CPU(80)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29a), (29b)를 생략하고 인터페이스회로(28a)에서 직접 3상태버퍼를 경유하여 제어데이타를 비디오카메라로 보내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카메라의 CCD에 의해 리드된 신호에서 그의 색성분 그대로 디지탈변환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비디오카메라에서 화상입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카메라내에 색신호변환처리 등의 화상처리회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비디오카메라의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해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달성된다. 또,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이 예를 들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서 적어지고, 또한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도 동일 신호선을 이용해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를 연결하는 신호선의 증가를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37)

  1. 비디오카메라, 제1 및 제 2 신호선, 상기 제1 및 제2 신호선에 의해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접속되어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데이타를 출력하는 검출회로,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동작상태데이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다중화하고 이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의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제1 데이타분리회로, 상기 제1 데이타 분리회로에서 분리된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제2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1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2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는 제1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1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5 모드와 상기 제1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분리할 수 없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데이타 분리회로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7 모드와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8 모드 사이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1 데이타분리회로가 각각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5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4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1 데이타 분리회로가 각각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6 모드에 있을 때 제1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와 상기 동작데이타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2 데이타 분리회로, 상기 제2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고 이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로부터의 상기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와 동기한 제3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3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와 동기한 제4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4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제2 데이타분리회로에 인가하는 제2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9 모드와 상기제2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10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여러종류의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1 모드와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1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3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2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에서 상기 동작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3 모드와 상기 제2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데이타 분리회로는 상기 제4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11 모드 및 상기 제1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입력부는 각각 상기 제10 모드 및 상기 제9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입력부는 각각 상기 제9 모드 및 상기 제10 모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블랭킹기간내의 제1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입력부를 상기 제3 모드로 하기 위한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상기 블랭킹기간내로서 상기 제1 기간과는 적어도 다른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멀티플렉서를 사익 제7 모드로 하기 위한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블랭킹기간내의 상기 제1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제2 출력부를 상기 제11 모드로 하기 위한 상기 제3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상기 블랭킹기간내로서 상기 제1 기간과는 적어도 다른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제2 데이타분리회로를 상기 제13 모드로 하기 위한 상기 제4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4. 비디오카메라,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1 신호선에 의해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접속되어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를 출력하는 검출회로,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다중화하고 이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해서 출력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와 상기 동작데이타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분리회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고 이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 및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로부터의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사이에서 상기 제1 출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입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5 모드와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자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전환하는 제1 모드전환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7 모드와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8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제8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어제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9 모드와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제8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10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출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에서 상기 동작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9 모드와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에서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1 모드 사이에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를 전환하는 제2 모드전환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전환회로는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멀티플렉서를 상기 제5 모드와 제6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고,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9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를 상기 제3 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입력장치와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접속하는 제2 신호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한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제2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1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2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는 제1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와 동기한 제3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3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와 동기한 제4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4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데이타분리회로에 인가하는 제2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5 모드와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4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블랭킹기간내의 제1 기간동안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상기 제1 기간과는 다른 적어도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다른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5 모드에 있고,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7 모드와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8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9 모드와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10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3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동작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1 모드와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2 모드 사이에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는 상기 제4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9 모드 및 상기 제10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입력부는 각각 상기 제8 모드 및 상기 제7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입력부는 각각 상기 제7 모드 및 상기 제8 모드에 있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상기 제1 기간동안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9 모드에 있고,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다른 기간동안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는 상기 제11 모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입력장치의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는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제어데이타로서 여러개의 제어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를 분리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인가하는 제어데이타 분리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동작상태로서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갖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디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된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광학계의 렌즈위치 및 조리개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상기 동작데이타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르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0. 비디오카메라,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1 신호선에 의해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접속되어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제1 신호선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출력부를 전환하고, 또한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제1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입력부를 전환하는 제1 모드전환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2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고 이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 상기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로부터의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하고 이 제어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5모드와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전환하고, 또한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제6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7 모드와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제6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8 모드 사이에서 상기 제2 출력부를 전환하는 제2 모드전환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전환회로는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제5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출력부를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출력부가 상기 제7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입력부를 상기 제3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를 출력하는 검출회로 및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다중화하고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1 출력부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의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상기 제2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와 상기 동작데이타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분리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는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전환회로는 또,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9 모드와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0 모드 사이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전환회로는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제1 출력부를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고, 상기 제1 입력부를 상기 제3 모드와 상기 제4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1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상기 제9 모드와 상기 제10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2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며, 상기 제2, 제3 및 제9 모드를 상기 동기신호의 블랭킹기간내에 설정하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제1 기간동안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상기 블랭킹기간내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기간과는 다른 적어도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다른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9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모드전환회로는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5 모드와 상기 제6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고, 상기 제2 출력부를 상기 제7 모드와 상기 제8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제3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제2 입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7 모드를 상기 동기신호의 상기 블랭킹기간내에 설정하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상기 제1 기간동안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7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입력장치의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는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제어데이타로서 여러개의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제어데이타를 상기 제어회로에 인가하는 제어데이타 분리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동작상태로서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갖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광학계의 렌즈위치 및 조리개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상기 동작데이타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전하결합소자이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에 대해 상관더블샘플링처리 및 자동이득조정을 실행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시스템.
  18.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고,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변환하기 위한 화상입력장치에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신호선으로 거쳐서 인가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를 출력하는 검출회로,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다중화하고 이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제1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해서 출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출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5 모드와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1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는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출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5 모드와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2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4 모드에 있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블랭킹기간내의 제1 기간동안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상기 제1 기간과는 다른 적어도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다른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5 모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신호선을 거쳐 상기 제어데이타로서 여러개의 제어데이타를 입력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제어데이타를 상기 제어회로에 인가하는 제어데이타 분리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동작상태로서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갖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광학계의 렌즈위치 및 조리개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상기 동작데이타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23.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디지탈화상데이타와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와의 다중화데이타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하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로서, 상기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와 상기 동작데이타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분리회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 및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로부터의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하고 이 제어데이타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 상기 비디오카메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때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출력부를 전환하고, 상기 데이타분리회로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에서 상기 동작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5 모드와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가 다중화된 데이타에서 상기 디자탈화상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1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2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데이타분리회로에 인가하는 모드전환신호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모드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전환되고,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다중화된 데이타에서 상기 동작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5 모드와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가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에서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분리할 수 있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는 전환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3 모드와 상기 제4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는 각각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1 모드에 있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블랭킹기간내의 제1 기간동안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기간과는 다른 적어도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다른 기간에 있는 동안 상기 데이타분리회로는 상기 제5 모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26.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서 리드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상데이타로 변환하고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변환하기 위한 화상입력장치에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신호선을 거쳐서 인가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신호선을 거쳐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에서 상기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촬상소자를 구동하는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출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출력부를 전환하고, 또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를 전환하는 모드전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를 출력하는 검출회로 및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다중화하고 이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의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신호선으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동작데이타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회로는 또,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상기 동작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5 모드와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멀티플렉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회로는 상기 동기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출력부를 전환함과 동사에 상기 제3 모드와 상기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를 전환하기 위한 제1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1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인가하고, 또한 상기 동기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5 모드와 상기 제6 모드 사이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전환하기 위한 제2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2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고,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블랭킹기간내의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3 모드에 있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가 상기 제1 기간과는 다른 적어도 상기 블랭킹기간내의 다른 기간에 있을 때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5 모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타로서 상기 동작데이타에 따라 상기 화상입력장치에서 상기 신호선을 거쳐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여러개의 제어데이타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제어데이타를 상기 제어회로에 인가하는 제어데이타 분리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동작상태로서 여러개의 동작상태를 갖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종류의 동작상태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광학계의 렌즈위치 및 조리개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렌즈위치 및 조리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상기 동작데이타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타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여러개의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렌즈위치 및 상기 조리개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전하결합소자이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에 대해 상관더블샘플링처리 및 자동이득조절을 실행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33.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사이에 접속된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하고, 상기 디지탈화상 데이타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로서,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디지타로화상데이타를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데이타 생성회로,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로부터의 상기 제어데이타를 입력하고 이 제어데이타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 상기 비디오카메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제1 모드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입력할 수 없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를 전환하고, 또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는 제3 모드와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어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출력부로 전환하는 모드전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데이타와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다중화해서 생성한 다중화데이타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입력하고, 상기 화상입력장치는 상기 신호선을 거쳐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와 상기 동작데이타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분리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고 이 처리된 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데이타 생성회로는 상기 데이타 분리회로로부터의 동작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제어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회로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모드와 상기 제4 모드 사이에서 상기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출력부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전환신호를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동기신호의 블랭킹기간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변환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에 인가하는 인터페이스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상기 디지탈화상데이타의 색성분을 변환하는 변환회로 및 상기 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에 인가하는 인터페이스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KR1019950006517A 1994-03-28 1995-03-27 다중화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0160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694694A JP3619537B2 (ja) 1994-03-28 1994-03-28 ビデオカメラ、画像入力装置及び画像入力システム
JP94-056946 1994-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0068B1 true KR0160068B1 (ko) 1999-01-15

Family

ID=1304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517A Expired - Fee Related KR0160068B1 (ko) 1994-03-28 1995-03-27 다중화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50586A (ko)
JP (1) JP3619537B2 (ko)
KR (1) KR0160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153A (ja) * 1995-11-08 1997-05-20 Canon Inc 表示システム
US5838176A (en) * 1996-07-11 1998-11-17 Foveonics, Inc.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US6965400B1 (en) * 1997-02-07 2005-11-15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input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US6437824B1 (en) 1997-02-07 2002-08-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system
US6930709B1 (en) * 1997-12-04 2005-08-16 Pentax Of America, Inc. Integrated internet/intranet camera
JP2000078614A (ja) * 1998-09-02 2000-03-14 Sony Corp 画像記録装置
US6784918B1 (en) * 1998-12-22 2004-08-31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obtaining state information from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6711637B2 (en) * 2000-01-11 2004-03-2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286420B2 (ja) * 2000-02-18 2009-07-01 Hoya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カメラ
JP2001238199A (ja) * 2000-02-25 2001-08-31 Asahi Optical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カメラシステム
JP4262384B2 (ja) * 2000-02-28 2009-05-13 Hoya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カメラ
US20030215128A1 (en) * 2001-09-12 2003-11-20 Pinotage Ll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utilizing maintenance information
US7562380B2 (en) * 2000-10-27 2009-07-14 Hoya Corporation Internet camera system
JP2006352768A (ja) 2005-06-20 2006-12-28 Fujifilm Holdings Corp 撮像モジュール及びデータ受信装置
JP2006352767A (ja) 2005-06-20 2006-12-28 Fujifilm Holdings Corp 撮像モジュール
US7602422B2 (en) * 2005-07-08 2009-10-13 Seiko Epson Corporation Serial camera interface
US8207973B2 (en) * 2008-01-11 2012-06-26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signal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modules
US8194146B2 (en) * 2008-01-11 2012-06-05 Mediatek Inc. Apparatuses for capturing and storing real-time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7306A0 (en) * 1988-08-02 1989-01-31 Technion Res & Dev Foundation Wide dynamic range camera
US5218444A (en) * 1990-04-18 1993-06-08 Sony Corporation Zoom and auto focus controls for video camera
US5382974A (en) * 1991-04-18 1995-01-17 Fuji Photo Film Company, Limited Movie camera having still picture photographing function and method of photographing still picture therewith
US5420635A (en) * 1991-08-30 1995-05-30 Fuji Photo Film Co., Ltd. Video camera, imaging method using video camera, method of operating video camer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olid-state electronic imaging device
JP3231133B2 (ja) * 1993-03-19 2001-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50586A (en) 1996-08-27
JPH07274057A (ja) 1995-10-20
JP3619537B2 (ja)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068B1 (ko) 다중화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
US6449007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synchronization in head-detachable image sensing system, and image sensing system adopting the method
JP2003259383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US8564685B2 (en) Video signal captur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apparatus, and video signal capturing, video signal processing, and transferring system and method
US6392698B1 (en) Camera head-detachable image sen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ensing system constituted therewith
EP0691785B1 (en) CCD imager with modified scanning circuitry for increasing vertical field/frame transfer time
US20120293676A1 (en) Head-separated camera device
EP0577392B1 (en) High defini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standard signal processor
WO2021210968A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US5896171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multiplex a video and control signal
US6295084B1 (en) System with analog interface and signal processor therefor
US5960128A (en) Focus control method for sensing an image of high resolution by performing pixel shifting, and image input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JP2018201096A (ja) 電子機器
US8723971B2 (en) Transmission system, imag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JP3059920B2 (ja) 撮像装置
JP2000224464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JPH05176333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5383349B2 (ja) 画像データ転送装置
JPH07322102A (ja) 撮像装置
KR100213086B1 (ko) 특정 색상의 영상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캠코더
JP3276820B2 (ja) 撮像装置
JP2003060974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KR19990038411A (ko) 다중 화상 시분할 처리 디지탈 카메라
JPH10173983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撮像システム
JPH0583620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