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0029B1 -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029B1
KR0160029B1 KR1019950058011A KR19950058011A KR0160029B1 KR 0160029 B1 KR0160029 B1 KR 0160029B1 KR 1019950058011 A KR1019950058011 A KR 1019950058011A KR 19950058011 A KR19950058011 A KR 19950058011A KR 0160029 B1 KR0160029 B1 KR 016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tay
fastened
bracket
sta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303A (ko
Inventor
최종욱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029B1/ko
Publication of KR97003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28Metal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격 흡수빔(1)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을 한 브라켓(2)과, 단면이 ㄷ자 채널형상을 이루는 ㄷ자채널형상부(3a)에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부위가 확장되어 확장부(3b)를 갖춤과 더불어 이 확장부(3b)의 양쪽 측면에 상기 브라켓(2)과 보울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부(3c)를 구비한 스테이몸체(3)및, 이 스테이몸체(3)의 하부에서 ㄷ자채널속에 삽입되어 스테이몸체(3)의 측방향 및 길이방향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를 갖춘 범퍼 스페이이의 상기 장착브라켓(2)에 스테이몸체(3)와 평행한 방향으로 핀(6)이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범퍼스테이의 스테이몸체(3)가 보울트로 체결되는 차체(5)의 상부에는 하우징(7)이 장착되면서 이 하우징(7)속에 상기 핀(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스프링(8)이 수용된 구조로 되어, 범퍼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충격을 흡수해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지지 차체와 범퍼의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지지 차체와 범퍼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흡수빔 2 : 브라켓
3 : 스테이몸체 3a : ㄷ자채널형상부
3b : 확장부 3c : 플랜지부
3d : 고무돌기 4 : 보강부재
5 : 차체 6 : 핀
7 : 하우징 8 : 완충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를 지지하는 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충돌이나 추돌시에 범퍼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범퍼와 차체의 연결부위의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 등을 보호하기 위해 차체의 전방 및 후방에 범퍼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의 범퍼는 그 외관미를 향상시기 위한 페시아와, 이 페시아의 이면에 부착되어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발포고무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의 범퍼만으로는 차량 충돌시에 탑승자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가 미흡하기 때문에 대개는 스틸재질로 된 충격흡수빔이 범퍼에 부착되고, 이 충격흡수빔은 범퍼스테이를 매개로 차체에 결합되어 범퍼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범퍼스페이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격흡수빔(1)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을 한 브라켓(2)과, 단면이 ㄷ자채널형상을 이루는 ㄷ자채널형상부(3a)에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부위가 확장되어 확장부(3b)를 갖춤과 더불어 이 확장부(3b)의 양쪽 측면에 상기 브라켓(2)과 보울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부(3c)를 구비한 스테이몸체(3), 이 스테이몸체(3)의 하부에서 ㄷ자채널속에 삽입되어 스테이몸체(3)의 측방향 및 길이방향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 및, 상기 스테이몸체(3)의 한쪽 측면에 끼워진 고무돌기(3d)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테이몸체(3)의 양측 플랜지부(3c)가 브라켓(2)을 개재하여 충격흡수빔(1)에 체결되고, 이 스테이몸체(3)가 차체(5)에 보울트로 체결되어 차체(5)가 범퍼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범퍼와 차체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충돌하거나 추돌될 때에 상기 충격흡수재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나머지 충격은 충격흡수빔에서 적절히 흡수함과 동시에 차체를 통해 다른 부위로 분산시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범퍼를 지지하기 위해 충격흡수빔(1)에 체결되는 차체(5)는 충격흡수빔(1)과 범퍼스테이를 개재하여 단순히 보울트만으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범퍼를 통해 차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범퍼스테이와 차체의 체결부위가 심하게 손상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범퍼를 차체에 체결시키는 범퍼스테이와 차체의 체결부위에 범퍼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완충시키는 장치를 설치하여 범퍼스테이와 차체의 체결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탑승자 등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흡수빔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을 한 장착브라켓과, 단면이 ㄷ자채널형상을 이루는 ㄷ자 채널에 형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부위가 확장되어 확장부를 갖춤과 더불어 이 확장부의 양쪽 측면에 상기 장착브라켓과 보울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스테이몸체 및, 이 스테이몸체의 하부에서 ㄷ자채널속에 삽입되어 스테이몸체의 측방향 및 길이방향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갖춘 범퍼스테이의 상기 장착브라켓에 스테이몸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핀이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범퍼스테이의 스테이 몸체가 보울트로 체결되는 차체의 상부에는 하우징이 장착되면서 이 하우징속에 상기 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이 수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지지 차체와 범퍼의 분리사시도인바,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제2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명세서를 간략하게 기술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즉 충격흡수빔(1)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을 한 브라켓(2)과, 단면이 ㄷ자채널형상을 이루는 ㄷ자채널형상(3a)에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부위가 확장되어 확장부(3b)를 갖춤과 더불어 이 확장부(3b)의 양쪽 측면에 상기 브라켓(2)과 보울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부(3c)를 구비한 스테이몸체(3)및, 이 스테이몸체(3)의 하부에서 ㄷ자채널속에 삽입되어 스테이몸체(3)의 측방향 및 길이방향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를 구비한 범퍼스테이의 상기 장착브라켓(2)에 스테이몸체(3)와 평행한 방향으로 핀(6)이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범퍼스테이의 스테이몸체(3)가 보울트로 체결되는 차체(5)의 상부에는 하우징(7)이 장착되면서 이 하우징(7)속에 상기 핀(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스프링(8)이 수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가 주행중에 추돌하거나 혹은 충돌될 때에 상기 범퍼에 충격이 가해지면,범퍼에서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면서 충격흡수빔과 범퍼스테이를 매개로 차체에 충격이 전달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충격전달과정에 상기 범퍼스테이가 차체쪽으로 밀리면서 범퍼스테이의 장착브라켓(2)에 장착된 핀(6)이 차체에 설치된 완충스프링(8)을 압축 시킴에 따라 완충스프링(8)이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여,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범퍼스테이와 차체에 체결부위의 손상도 방지해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에 의하면, 범퍼스테이를 지지하는 차체에 완충스프링이 장착되어, 범퍼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고 차체의 손상을 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충격흡수빔(1)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을 한 브라켓(2)과, 단면이 ㄷ자채널형상을 이루는 ㄷ자채널형상부(3a)에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부위가 확장되어 확장부(3b)를 갖춤과 더불어 이 확장부(3b)의 양쪽 측면에 상기 브라켓(2)과 보울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부(3c)를 구비한 스테이몸체(3)및, 이 스테이몸체(3)의 하부에서 ㄷ자채널속에 삽입되어 스테이몸체(3)의 측방향 및 길이방향을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를 갖춘 범퍼스테이의 상기 장착브라켓(2)에 스테이몸체(3)와 평행한 방향으로 핀(6)이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범퍼스테이의 스테이몸체(3)가 보울트로 체결되는 차체(5)의 상부에는 하우징(7)이 장착되면서 이 하우징(7)속에 상기 핀(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스프링(8)이 수용된 구조로 된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1019950058011A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016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011A KR016002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011A KR016002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303A KR970039303A (ko) 1997-07-24
KR0160029B1 true KR0160029B1 (ko) 1999-01-15

Family

ID=1944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8011A KR0160029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0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303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029B1 (ko)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1004446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JP2002283937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0189360B1 (ko)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0177257B1 (ko) 차량의 론지튜디널 프레임과 휠하우스의 어셈블리 보강구조
KR0173388B1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0171785B1 (ko)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차의 범퍼스테이
KR200141615Y1 (ko) 충격흡수를 위한 차량의 시트 마운팅구조
KR100193664B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154668Y1 (ko) 자동차의 범퍼체결구조
KR200161593Y1 (ko) 충격 흡수용 겹판 스프링이 내장된 자동차 범퍼
KR960002577Y1 (ko) 경승용차의 범퍼장착구조
KR200144094Y1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KR0118987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0115985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0115981Y1 (ko) 차량의 범퍼스테이
KR0111415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트렁크 트림
KR100232473B1 (ko) 자동차의 캥거루범퍼 취부구조
KR0115989Y1 (ko) 차량의 충격홉스빔과 범퍼페셔 체결구조
KR200144492Y1 (ko) 충격 흡수력 향상을 위한 자동차용 범퍼
KR19980039405U (ko) 완충 구조를 갖는 범퍼
KR19990034881A (ko) 삽입 조임형 자동차용 리어 범퍼
KR19980016979U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구조
KR19990033380A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완화장치
KR19980040684U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 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