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7468B1 -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468B1
KR0157468B1 KR1019940019603A KR19940019603A KR0157468B1 KR 0157468 B1 KR0157468 B1 KR 0157468B1 KR 1019940019603 A KR1019940019603 A KR 1019940019603A KR 19940019603 A KR19940019603 A KR 19940019603A KR 0157468 B1 KR0157468 B1 KR 015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buff
guide frame
top b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664A (ko
Inventor
시게오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다께우찌 도시오
다께우찌 뎃꼬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께우찌 도시오, 다께우찌 뎃꼬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다께우찌 도시오
Publication of KR96000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주행프레임(1)에 회전할 수 있는 톱버프(17)를 승강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안내프레임(6)의 하단을 요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P)하고, 그 안내프레임(6)의 요동과 톱버프(17)의 승강제어등에 의하여 그 톱버프(17)를 회전하여 차체상면에 일정한 면압으로써 추종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주행프레임에 지지되어서 회전구동되는 톱버프의 승강 및 요동에 따라, 차량의 보닛면, 앞유리면, 루우프면등의 차체상면을 깨끗하게 뛰어난 능률로 풀리싱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세차기의 일부 파단 개략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선 화살표에 따른 세차기의 측면도.
제3도은 제1도의 3 - 3 선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주행프레임의 전진시에 있어서의 차체상면의 폴리싱 행정도.
제5도는 주행프레임의 복귀시에 있어서의 차체상면의 폴리싱 행정도.
본 발명은 자동차등의 차량의 자체상면에 상면처리제를 접촉회전시킴에 따라, 이 차체상면에 광택내기, 세정등의 처리를 하도록한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처리하여야할 차량에 대하여 상대이동 할 수 있는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을 요동이 자유롭도록 밑으로 매달고, 이 가이드레일에, 회전구동 할 수 있는 톱 브러시를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가이드레일의 요동을 검출하는 요동검출수단의 검출에 기초하여 톱브러시의 승강제어를 함에 따라, 이 톱브러시를 차체상면에 따르도록 이동시켜서, 이 차체상면을 세정처리 하도록 한 차체상면 세정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 소 47-968호 공보, 특개 소 59-96034 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체상면 세정장치에서는 톱브러시를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레일이, 이 가이드레일이나, 톱브러시등의 행거부(hanger portion)의 중량 혹은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설치한 중립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수직한 중립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톱브러시가 상승하여 가이드레일의 요동받침점에 근접함에 따라서, 이 톱브러시의 차체상면에 미치는 면압(面壓) 이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승용차형의 차량의, 앞 유리면에서 루우프면(loop face)으로 옮기는 주변에서 적절한 면압을 얻을 수 있도록 요동검출수단의 작동을 설정하면, 차량의 보닛(bonnet) 면 및 트렁크면 에서는 적절한 면압보다도 낮은 면압에서 요동검출수단이 작동하여 버려서, 그것들면의 세정효과가 불충분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의 보닛면, 앞 유리면, 및 트렁크면을 어느 것이나 상면처리체로 적절한 면압을 갖고 좋은능률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과제를 해결하였다. 새로운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청구항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처리하여야할 차량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프레임에 설치한 회전이 자유로운 상면처리체로, 이 차량의 차체상면을 처리하도록한 차체상면 처리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하단을 축받임하고, 이 프레임과 차량과의 상대이동 방향으로 상하로 요동할 수 있는 안내프레임과 안내프레임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는 상면처리체와, 이 상면처리체를 승강구동하는 숭강구동수단과, 상면처리체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과, 안내프레임을 프레임과 차량과의 상대이동 방향의 중립위치에 가압지지하는 가압수단과, 안내프레임의 요동을 검출는 요동검출수단과, 요동검출수단의 검출에 따라서 승강구동수단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등을 구비하여, 프레임과 차량과의 상대이동시에, 안내프레임의 요동과 상면처리체의 승강제어의 협동에 의하여 상면 처리체를 차체상면에 추종접촉 회전시켜서 이 상면을 처리할 수 있도록한 사실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앞 유리면에서 루우프면을 거쳐서 상면 처리체의 적절한 면압을 얻을 수 있도록 요동검출수단의 작동을 설정하여서 보닛면, 트렁크면등의 저위면으로의 상면처리체의 면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이러한 면의 처리효과가 저하하는 일이 없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청구항 제2항 기재의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것에 있어서, 상면처리체는, 차량의 차체상면을 폴리싱 하기 위한 톱버트(top buff)이란 사실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톱버트를 폴리싱(polishing)하여 광택내기를 할 때, 전술한 효과에 의하여 보닛면, 트렁크면등의 저위면의 충분한 광택내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청구항 제3항 기재의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것에 있어서, 상면처리체는, 차량의 차체상면을 브러싱 처리하기 위한 톱브러시하는 사실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톱브러시로 세정을 할 때, 전술한 효과에 따라, 보닛면 트렁크면등의 저위면을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따라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는 가장 적합한 실시예의 발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장치를 처리하도록 차량에 대하여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한, 이른바 이동식 세차기에 실시하였을 경우의 가장 적합한 실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비한 이동식 세차기의 일부파단 개략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선 화살표에 따른 세차기의 측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3-3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이것들 도면에서 이동식 세차기(W)의 주행 프레임(1)은, 차량(V)이 살그머니 빠져나갈 수 있도록 문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행 프레임(1)의 좌우측부 프레임(11, 11)의 전후에는, 구동륜 (3, 3)과 종동륜 (4, 4)이 각기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이걸쳐 있고, 구동륜 (3, 3)은 주행프레임 (1)의 좌우 측부프레임(11, 11)에 지지되는 주행모우터(2, 2)에 감속전동기구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구동륜 (3, 3)및 종동륜 (4, 4)은 설치면 위에 부설되는 주행레일(5, 5)위에 전동(convolution)이 자유롭도록 재치되었고, 주행프레임(1)은 주행모우터(2)를 정역(正逆) 회전구동함에 따라 강제왕복 주행이 가능하다. 주행프레임(1)에는, 이것과 마찬가지 문형태로 형성된 안내프레임(6)이 배설되어 있다. 이 안내프레임(6)은, 주행프레임(1)의 좌우측부 프레임(11, 11)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뻗은 좌우한쌍의 가이드 레일(8, 8)과 , 주행프레임(1)의 천정부 프레임(12)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뻗어있고, 한쌍의 가이드레일(8, 8)의 상단을 일체로 브리지 결합하는 결합비임(9)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프레임(6)의 좌우하부 즉 한쌍의 가이드레일(8, 8)의 하부는, 주행프레임(1)의 좌우하부에 설치한 베어링(7, 7)에 의하여 주행프레임(1)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상하요동 할 수 있도록 측받침(p, p)되어 있다.
결합비임(9)은 환형파이프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세로축(11)이 세로로 통하여 있으며, 이 세로축(11)의 양단은, 한쌍의 가이드레일(8, 8)의 상단에 설치한 베어링(10, 10)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3도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레일(8, 8)은, 그것들의 횡단면이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개방된자 형상의 채널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그것들의 내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가이드판(12, 12)이 굳게 부착되어 있다.
좌우한쌍의 가이드레일(8, 8)에는, 그것들에 안내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주행이동되는, 쌍을 이루는 좌우대차(台車)(C1, C2)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좌우대차(C1, C2)는 어느것이나 대차본체(15, 15)에, 한쌍의 활동부(13, 13)및 한쌍의 가이드 로울러(14, 14)가 설치되었고, 활동부 (13, 13)는 전술한 가이드판(12, 12)을 끼워두도록 포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가이드판(12, 12)에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고, 또 가이드 로울러(14, 14)는 가이드레일(8, 8)의 내벽면에 전동이 자유롭도록 맞물려 있어, 그것들에 따라 좌우대차(C1, C2)는 각기 좌우가이드레일(8, 8)안내되어서 상하로 주행 이동할 수 있다.
좌우대차 (C1, C2)에는, 안내프레임(6)을 가로질려서 뻗은 톱버프 지지축(16)이 고정지지되어 있으며, 이 톱버프 지지축(16)에는 상면처리체로서의 톱버프(17)를 부착한 중공의 회전축(18)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삽통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18)의 일단(제1도 우단)에는, 피동스프로킷(19)이 굳게 부착되어 있다. 한쪽의 대차 C2(제1도 우측)의 대차본체(15)에는 지지틀(15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틀(15a)에는 톱버프(17)의 회전구동수단, 즉 모우터(20)가 지지되어, 이 모우터(20)의 원동축에 굳게 부착되는 구동 스프로킷(21)은, 피통스프로킷(19)에 무단체인 (22)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모우터(20)의 정역전 구동에 따라, 톱버프(17)를 회전축(18)과 함께 정역회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좌우가이드레일(8, 8)의 하부에는, 각기 전술한 좌우대차(C1, C2)를 승강구동 하는 승강구동 수단으로서의 쌍을 이루는 감속기(31, 31)에 붙은 토오크 모우터(23, 23)가 대칭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러한 토오크 모우터(23,23)는 주행 프레임 (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압변경수단(VR)에 접속되어 있다. 토오크 모우터(23, 23)의 원동축에는 각기 구동스프로킷(24, 24)이 굳게 부착되어 있고, 한편 세로축(11)의 양단에는, 이 구동스프로킷(24, 24)에 대응하여 피동스프로킷(25, 25)이 굳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것들 구동 및 피동스프로킷(24, 24)및 (25, 25)사이에는, 가이드레일(8, 8)내에 수용되는 체인 (26, 26)이 각기 걸처서 돌려져 있는데 이 체인(26, 26)의 한쪽 끝은, 대차 (C1, C1)의 하면에 연결 부착되었고, 또 그것들의 다른쪽의 끝은 대차(C1, C2)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토오크 모우터(23, 23)의 동시에 정역 회전구동하면, 좌우대차(C1, C2)를 동시에 숭강구동 할 수 있다.
좌우가이드레일(8, 8)의 상부 바깥쪽에는, 각기 활차(27, 27)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됨과 동시에 그 상하방향에 따라서 가이드막대(29, 29)가 굳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것들의 가이드막대(29, 29)에는, 그것들에 안내되어서 승강할 수 있도록 평형추(28, 28)가 승강기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활차(27, 27)에 각기 걸려 돌려진 와이어(30, 30)의 한쪽 끝은 , 평형추 (28, 28)의 상면에 연결부착되었고, 또 그것들 다른쪽의 끝은 대차(C1, C2)의 상면에 연결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평형추(28, 28)의 중량 및 감속기 (31, 31)에 붙은 토오크 모우터(23, 23)를 포함하는 상염처리체로서의 톱버프(17)의 승강구동 시스템의 마찰저항과, 톱버프(17)의 중량과는 대략 균형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토오크 모우터(23, 23)가 작용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톱버프(17)가 자유로운 상태(차량의 차체상면에 접촉하고 있지않은 상태)에 있을때, 톱버프(17)는 상하 어느방향에도 이동함이 없이, 현재위치를 유지하도록되어 있어, 톱버프(17)가 차체 상면에 접촉하여 일정 이상의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 이 톱버프(17)를 상스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의 가이드레일(8) (제1도 좌측)의 중간부에는, 상하에 간격을 두어 톱버프(17)의 하한위치를 검출하는 하한위치 검출스위치(32) 및 그 상한위치 검출스위치(33) 등의 상하에 간격을 두어 설치되었고, 이러한 스위치(32, 33)는 각기 대차본체(15)에 설치한 자석(34)에 의하여 작동된다. 또 좌우 가이드 레일(8, 8)의 상부에는, 상한 스토퍼(53, 53)가, 또 그것들의 하부에는 하한 스토퍼(54, 54)가 각기 굳게 부착되었고, 이러한 스토퍼(53, 53)및 (54, 54)는 대차본체(15, 15)와 맞부딪쳐서 톱버프(17)의 상한 및 하한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좌우가이드레일(8, 8)의 상단에는 가동스프링 받이 부품(55, 55)이 일체로 설치 되었고, 또 주행프레임(1)의 천정프레임부 (12)에는 가동스프링 받이 부품(55, 55)의 전후에 대향하여 고정스프링 받이 부품(56, 56) 및 (57, 57)이 각기 고정되어 있고, 각 가동스프링 받이 부품(55)과 고정스프링 받이 부품(56, 57)과의 사이에는, 각기 가압수단으로서의 한쌍의 코일스피링으로된 중립스프링(351, 352)이 축소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립스프링(351, 352)의 탄발력은 가이드레일(8, 8)을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N)에 복귀하도록 작용한다. 또 안내프레임(6)의 결합비임(9)의 상방에 있어서, 주행프레임(1)에는 작은각 검출스위치(39)와, 큰각 검출스위치(40)가 간격을 두고, 대립설치되었고, 한편 결합비임(9)에는 양 스위치(39, 40) 사이에 끼워서, 그것들을 작동하는 작동자(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은각스위치(39)는, 안내프레임(6)이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N)에서 축받침(P) 부분 둘레에 전방(F) 혹은 후방(R)에 미리 설정한 작은각도 이상 요동하였을 때, 작동자(41)에 따라 작동되어서 그 각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 큰각스위치(40)는, 안내프레임(6)이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N)에서 축받침(P) 부분 둘레에 전방(F) 혹은 후방(R)에 미리 설정한 큰각도 이상 요동하였을때, 작동자(41)에 따라 작동되어서 그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은 각스위치(39) 및 작동자(41)은 안내프레임(6)의 요동검출수단을 구성한다.
주행프레임(1)의 전면에는, 주행위치 검출수단(42), 시동스위치(48), 세차기(W)를 제어하는 제어수단(47), 토오크 모우터(23)의 전압변경수단(VR)등이 통합하여 배설되어 있으며, 주행위치 검출수단(42)은 주행프레임(1)에 설치한 시동위치 검출스위치(43)가 그 작동캠(44)에서 떨어졌을 때로 부터의 회전식 부호기(45)의 펄스를 전진할때는 가산하고, 귀환할때는 감산함에 따라 주행 프레임의 시동위치로 부터의 주행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주행프레임(1)의 앞부분 하방에는, 폴리싱 처리하여야 할 차량(V)의 후단을 검출하기 위한, 광전센서의, 투광기(投光器)(46A)및 수광기(46B)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투광기 (46A), 수광기(46B)와 톱버프(17)의 회전중심 사이에는,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간격(A)이 유지된다. 또 주행레일(5, 5)사이의 설치면상에는, 폴리싱(polishing) 해야 할 차량(V)의 앞 바퀴의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정지위치 표시기(50, 50)가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도면중에서(49)는 차량의 측면을 폴리싱 처리하기위한 사이드 버프이다.
다음에 주로 제4도, 제5도를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주행프레임(1)의 전진시에 있어서의 차체상면의 폴리싱 행정도, 제5도는,주행프레임(1)을 귀환시에 있어서의 차체상면의 폴리싱 행정도이다.
①. 주행프레임(1)의 시동위치(제4도, 좌단위치)에 정지시킨다.
이 위치는 시동위치 검출스위치(43)가 캡(44)에 의하여 작동하게 됨에 따라 검출된다. 여기에서 시동스위치(48)를 누르면 모우터(20)의 회전에 의하여 상한위치인(A)위치에 있는 톱버프(17)가 정회전(제4도 반시계 방향회전)되고, 또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가, 제1의 전압을 갖고 정회전 구동되어서 톱버프(17)는, 상한위치인(A)위치에서 하강한다. 톱버프(17)가 하한 위치인(B) 위치까지 하강하면, 하한검출스위치(32)의 작동에 따라 토오크 모우터(23, 23)가 동작 불능으로 되어, 대차(C1, C2)가 하한스토퍼(54, 54)와 맞부디침에 따라, 이 톱버프(17)는 하강을 정지하고, 주행모우터의 정상회전 구동에 의하여 주행프레임(1)은 전진을 개시한다.
②. 주행프레임(1)의 전진에 따라 하한위치에 있는 톱버프(17)는 (C)위치에 이르러, 차량(V)의 보닛면의 앞단부상에 도달한다. 그런데 이때, 제4도(C)위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V)의 보닛의 높이가 비교적 낮을 경우에는, 안내프레임(6)은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에 유지된 그대로, 톱버프(17)의 하면이 차량(V)의 보닛의 앞단부에 접촉하여, 그 경우의 반발력에 의하여 톱버프(17)에 일정 이상의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이 톱버프(17)는 가이드레일(8, 8)에 따라서 상승한다. 다음에 톱버프(17)의 상승에 의하여 이 톱버프(17)에 작용하는 양력이 일정 이하로 감소하면 톱버프(17)의 상승은 정지한다. 이와같이하여 톱버프(17)는 차량(V)의 보닛면에 따라서 이동하여, 이 톱버프(17)에 의하여 보닛면을 버피팅(buffeting), 즉 폴리싱을 할 수 있다.
또, 제4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면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차량(V')의 경우에는, 톱버프(17)가 보닛의 전단부에 접촉하였을때, 그 접촉반동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리게되고, 이에 따라 안내페레임(6)은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N)에서 중립스프링(351,352)의 탄력에 저항하여 축받침(P)부분 둘레에 후방(R)(제4도 좌측)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작은 각스위치(39)가 작동하고, 그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는 제어수단(47)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가 제2의 전압을 갖고 역전 구동되어서 톱버프(17)를 강제적으로 상승작동하게 된다. 그런 다음 이 상승에 의하여 안내프레임(6)에 작용하는 후방(R)으로의 요동력이 해제되어, 작은 각스위치(39)가 동작 불능으로 되며,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는 동작 불능으로 되어, 톱버프(17)는 반발력에 의한 양력으로 상승한다. 이때 안내프레임(6)은 중립스프링(351, 352)의 탄발력에 의하여 후방(R)의 요동위치에서 재빠르게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N)에 복귀하여, 톱버프(17)가 차체면에서 떨어지기전에 작은 각위치(39)가 동작 불능으로 되므로, 톱버프(17)가 차량(V)의 보닛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이 보닛면을 폴리싱 할 수 있다.
③. 주행프레임(1)의 전진계속함에 따라, (C)위치로부터 톱버프(17)가 보닛과 앞 유리면의 경계부인(D) 위치에오면, 톱버프(17)는 앞 유리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중립스프링(351, 352)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왼쪽으로 요동하고, 작은 각 스위치(39)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47)을 끼워서 승강용 모우터(23, 23)가 제2의 전압을 갖고 다시 역전 구동되어서 톱버프(17)는 가이드레일(8, 8)에 따라서 상승한다. 안내프레임(6)이 중립스프링(351, 352)에 의하여 중립측으로 복귀되어, 작은 각스위치(39)가 동작 불능으로 되면, 승강용 모우터도 동작 불능으로 되어 톱버프(17)의 상승은 정지한다. 그리고 톱버프(17)는 차체의 앞 유리와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을 받아서 상승한다. 이와 같이 안내프레임(6)의 전후요동에 기초한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의 작동, 동작 불능의 반복함에 따라 톱버프(17)는 앞 유리면을 폴리싱 하여서 그면에 따라서 상승한다.
④. 주행프레임(1)의 연이은 전진의 계속으로, 상면 처리체로서의 톱버프(17)가 (E)위치에 와서 앞 유리면에서 루우프면으로 옮길때는, 안내프레임(6)은 왼쪽(후방 R)으로 요동하여 작은 각스위치(39)가 작동한 상태에서 중립스프링(351, 352)의 탄발력에 의하여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에 복귀하여 톱버프(17)가 차체면에서 떨어지기전에 작은 각스위치(39)가 동작 불능으로 되어, 토오크 모우터(23, 23)가 동작 불능으로 되므로 톱버프(17)는 차체의 앞 유리면에서 루우프면으로 따라서 떨어지는 일이 없이 이동하여 그것들면을 폴리싱 할 수 있다 .
더욱이 이 행정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체형상에 따라서는 안내프레임(6)은 왼쪽으로 크게 요동하여 큰각스위치(40)가 작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주행모우터(2)의 작동 정지에 의하여, 주행 프레임(1)의 전진이 일단 정지하고, 이 큰각스위치(40)가 동작 불능으로 되면, 주행프레임(1)의 전진이 재개되도록 되어 있다.
⑤. 주행프레임(1)의 전진계속에 따라, 톱버프(17)가 차체의 루우프 면상의(F) 위치에 이르고, 이 루우프면을 폴리싱하여, 주행프레임(1)이 시동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L1)에 도달한 것을 주행위치 검출수단(42)이 검출하면, 이에 따라 승강용 모우터(23)가 제3의 전압으로 정상회전 구동되어 톱버프(17)는 하강하여, 그 경우의 하강력과, 톱버프(17)가 루우프면 으로부터 받는 반발력과의 균형에 따라 톱버프(17)은 루우프면에 적당한 압접력을 갖고 접촉하여 이 루우프면을 좋은 능률로 폴리싱 할 수 있다.
⑥. 톱버프(17)가 루우프면을 폴리싱하여 그 후단위치에 있는 (G) 위치에 도달하면, 톱버프(17)는 차체면 으로부터 받는 반발력이 감소하여 뒷 유리면에 따라서 하강한다. 그 경우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는 앞행정의(F)위치로부터 정상회전 구동을 계속하므로, 톱버프(17)는 뒷 유리면을 떨어지는 일이 없이 이면을 폴리싱 할 수 있다.
⑦. 톱버프(17)가 뒷 유리면의 폴리싱을 종료하여 트렁크 면상의 앞부분 위치인 (H) 위치에 이르면, 톱버프(17)는, 승강용 모우터(23, 23)에 의한 하강력과 트렁크면에서 받는 반발력이 평형되는 곳에서 톱버프(17)의 하강이 정지하여 톱버프(17)는 트렁크면을 적절한 면압으로 폴리싱 할 수 있다.
⑧. 주행프레임(1)의 전진을 계속함에 따라, 주행프레임(1)에 설치한 광전센서(46)가 차량(V)의 후단을 검출하면, 주행위치 검출수단(42)에 의하여 검출되는 주행위치(L2)가 기억된다.
그런데 톱버프(17)가 차량(V)의 후단을 통과하면, 하한스토퍼(54)에 의하여 그 하강이 정지된다. 그리고 주행프레임(1)의 전진정지위치(제4도 우단위치, 귀환개시위치)까지오면, 이 주행프레임(1)의 전진을 정지하고, 톱버프(17)는 (1)위치에 도달하여, 주행프레임(1)의 전진에 의한 차체상면의 폴리싱을 종료한다.
더우기, 톱버프(17)가 전술한 (E)∼(I)에 이르는 과정에서 안내프레임(6)이 후방(R)(제4도 왼쪽)으로 요동하여,작은 각스위치(39)가 작동하면,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가, 제2의 전압으로 역전구동 되어서, 톱버프(17)는 상승한다. 따라서 중립스프링(351, 352)의 가압력에 의하여 안내프레임(6)이 대략 수직한 중립위치(N)에 복귀하여 작은 각스위치(39)는 동작 불능으로 되어, 토오크 모우터(23, 23)가 제3의 전압에 의하여 정상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톱버프(17)는 하강하며, 이 토오크 모우터(23, 23)에 의한 하강력과 톱버프(17)가 차체상면 으로부터 받는 반발력이 평형되는 위치에서 톱버프(17)의 하강이 정지되어, 이 상태에서 차체상면의 폴리싱이 계속된다.
⑴ 다음에 주행프레임(1)의 전진종로위치, 즉 귀환개시위치(제5도, 우단위치)에 있어서,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를 동작하지 않게 하여 톱버프(17)를 역전(제5도, 시계방향)구동하여 주행프레임(1)을 귀환시킨다. 그런 다음, 주행프레임(1)의 전진시의, (B)에서 (F)까지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면, 뒷 유리면을 폴리싱 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프레임(6)은 차체면에 접촉하여 전방(F)(제5도, 우측)으로 요동한다.
⑵ 주행프레임(1)의 귀환 계속에 따라, 톱버프(17)가 루우프면에 도달하고 주행위치 검출수단(42)이 주행위치(L2)보다 미리 설정한 소정거리 (B)만큼 후진한 주행위치로 되었음을 검출하면,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23, 23)는 제3의 전압으로 정상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톱버프(17)는 전진시에 있어서의 (F)에서 (1)까지와 마찬가지 작용으로 루우프면, 보닛면을 폴리싱한다.
주행프레임(1)이 전진종료위치, 즉 시동위치(제5도 좌단위치)에 도달하면 주행프레임(1)의 후진과 톱버프(17)의 회전을 정지하고, 토오크 모우터(23, 23)를 역회전 구동하여 톱버프(17)를 상승시켜, 대차(C1, C3)가 상한 스토퍼(53, 53)에 맞부디침에 따라, 이 톱버프(17)를 상한 위치에 정지시켜, 주행 프레임(1)의 후진에서의 폴리싱을 종료한다.
이상의 폴리싱 행정에서, 차량의 앞 유리면에서 루우프면에 걸쳐서 적절한 면압을 얻도록 요동검출수단을 작동하도록 설정하여도 요동축 받침점(P)에서 톱버프(17)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짧음에 따라 보닛면 및 트렁크면의 면압이 부족한 일없이 적절한 면압에서 폴리싱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닛면, 앞 유리면, 루우프면, 뒷 유리면등의 차체의 상면전체 영역에 걸쳐 능률이 좋고, 균일하며, 확실하게 폴리싱 할 수 있다. 또 차량의 보닛면은 기관실내의 엔진의 방열에 따라, 폴리싱에 의한 광택내기가 루우프면에 비하여 나타내기 어려운 경향에 있으며, 이 보닛면을 충분하게 광택내기 하려면, 톱버프(17)에 의한 보닛면으로의 면압을 루우프 면으로의 면압보다도 높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와 같이, 톱버프(17)를 지지하는 안내프레임(6)의 하부를 요동할 수 있도록 축받침(P)함에 따라, 차량의 앞 유리면에서 루우프면으로 옮기는 변두리에서 적절한 면압으로 요동검출 수단이 작동하도록하며, 또한 루우프면을 적절한 면압으로 하여도 보닛면의 면압을 루우프면 보다도 크게할 수 있으므로, 보닛면 및 루우프면을 충분히, 또한 균일하게 광택내기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톱버프(17)를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한 안내프레임(6)의 하단이 주행프레임(1)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P) 되었고, 톱버프(17)가 그 축받침(P) 점의 비교적 가까이에서 차량(V)의 차체상면에 접촉하도록 하면, 차체접촉시의 안내프레임(6)의 요동각을 비교적 크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내프레임(6)의 요동각이 감지정밀도를 높일수 있어, 톱버프(17)의 승강제어를 보다 좋은 정밀도로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 장치를 이동식 세차기에 실시하였을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을 고정식의 세차기에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 톱버프의 외에, 브러시 그밖의 상면처리체 였어도 좋고, 또 안내프레임은 그 중립위치에서 대략 수직한 위치에 있지않아도 좋고, 또 승강용 토오크 모우터는 단 하나였어도 좋고, 또 그에 대신하여 통상의 3 상유도전동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톱버프등의 상면처리체를 지지하는 안내프레임은 문형태가 아니더라도 좋고, 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은 1개라도 좋다. 또 안내프레임을 중립위치에 유지하는 가압부재로서 코일스프링 외에 다른 스프링이라거나 고무등의 탄성부재였어도좋다. 또 전진시에만 혹은 후진시에만 상면처리체로 처리를 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안내프레임(6)은 중립위치(N)에서 전방(F), 혹은 후방(R)의 어느 한쪽으로 상하요동 할 수 있어도 좋다.

Claims (3)

  1. 처리하여할 차량(V)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프레임(1)에 설치한 회전이 자유로운 상면처리체(17)에 의하여, 이 차량(V)의 차체상면을 처리하도록한 차체상면 처리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에 하단을 축받침(P)하여, 이 프레임(1)과 차량(V)의 상대이동 방향으로 부앙요동 할 수 있는 안내프레임(6)과, 이 안내프레임(6)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상면처리체(17)와, 이 상면처리제(17)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23)과, 상면처리체(17)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20)과, 안내프레임(6)을 프레임(1)과 차량(V)의 상대이동 방향의 중립위치(N)에 가압유지하는 가압수단(351,352)과, 안내프레임(6)의 요동을 검출하는 요동검출수단(39, 41)과, 요동검출수단(39, 41)의 검출에 따라서 승강구동수단(23)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47)을 구비하여, 프레임(1)과 차량(V)의 상대이동시에, 안내프레임(6)의 요동과 상면처리체(17)의 승강제어와의 협동에 의하여 상면처리체(17)를 차체상면에 추종접촉 회전시켜서 상면을 처리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면처리체(17)는, 차량(V)의 차체상면을 폴리싱 처리하기 위한 톱버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면처리체(17)는, 차량(V)의 차체상면을 브러싱 처리하기 위한 톱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KR1019940019603A 1994-06-27 1994-08-09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KR0157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45047 1994-06-27
JP6145047A JP2741481B2 (ja) 1994-06-27 1994-06-27 車両の車体上面処理装置
JP93-145047 1994-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64A KR960000664A (ko) 1996-01-25
KR0157468B1 true KR0157468B1 (ko) 1999-02-18

Family

ID=1537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603A KR0157468B1 (ko) 1994-06-27 1994-08-09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741481B2 (ko)
KR (1) KR0157468B1 (ko)
TW (1) TW2661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1527B2 (en) 2011-08-31 2014-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Authenticator, authenticatee and authentication method
CN108032842B (zh) * 2017-12-31 2020-07-24 嘉兴晟源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冬天防冻擦车器
CN110040113B (zh) * 2019-04-29 2022-04-19 赵玉 一种便携式洗车设备
CN111391795B (zh) * 2020-05-19 2025-02-07 韦天益 一种洗车用顶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51773A (ko) * 1972-09-20 1974-05-20
JPH0454167Y2 (ko) * 1989-08-01 1992-12-18
JP2884456B2 (ja) * 1992-03-02 1999-04-19 竹内鉄工株式会社 車両の上面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41481B2 (ja) 1998-04-15
JPH0811682A (ja) 1996-01-16
TW266190B (en) 1995-12-21
KR960000664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7735A (en) Side brush operating means for a vehicle cleaning apparatus
KR0157468B1 (ko) 차량의 차체상면 처리장치
JP2668339B2 (ja) 車両の上面処理装置
JP3354315B2 (ja) 車両の車体上面処理装置
JPS635307B2 (ko)
JPH0146338B2 (ko)
JP2000127915A (ja) 車両の車体上面処理装置
JP3489818B2 (ja) 洗車機
JP3047023B2 (ja) 車両の車体上面乾燥装置
JP3928591B2 (ja) 洗車機
JP2000127916A (ja) 車両の車体上面処理装置
JP2001294132A (ja) 洗車機
KR950010517B1 (ko) 차량의 윗면 세정방법 및 차량의 윗면 세정장치
JP3311297B2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3120297B2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2884456B2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2000159068A (ja) 車両上面処理装置
JPH10273019A (ja) 車両の車体洗浄装置
JPH0885426A (ja) 車両の上面処理装置
JP2630146B2 (ja) 洗車機の制御方法
JPH05254401A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3347849B2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2001253323A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2939716B2 (ja) 車両の表面処理装置
JP2745341B2 (ja) 洗車機における自動車の後部形状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