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6130B1 -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130B1
KR0156130B1 KR1019940035567A KR19940035567A KR0156130B1 KR 0156130 B1 KR0156130 B1 KR 0156130B1 KR 1019940035567 A KR1019940035567 A KR 1019940035567A KR 19940035567 A KR19940035567 A KR 19940035567A KR 0156130 B1 KR0156130 B1 KR 015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amcorder
function selection
rotating plat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220A (ko
Inventor
기호경
노재경
여명근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4003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130B1/ko
Publication of KR96002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을 한곳으로 집중시켜 캠코더의 소형화에 유리하도록 함과 함께 촬영시 기능선택버튼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각 기능이 뷰파인더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여 초보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발명의 캠코더의 제어장치는 본체(1) 내의 고정플레이트(10)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의 회로를 구성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의 메뉴를 뷰파인더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하여 주는 OSD처리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 단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판(13)과, 상기 회전판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회전판(13)을 회전시키기 위해 터치할때 이를 감지하여 OSD처리부를 동작시켜 주는 터치센서(1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1)과 회전판(13)에 설치되어 회전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각각의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는 기능선택수단 및 선택된 기능이 행하여지도록 하는 기능실행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캠코더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어신호 입력수단부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키모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문자 및 숫자를 뷰파인더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과, 사용자의 키 선택이 터치센서에 의해 계속 감지되면 그에 따른 변화된 키모드를 검출하여 문자 및 숫자를 뷰파인더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과, 사용자의 기능실행 키에 의해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되어진 해당 키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제3도 (a)(b)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전체구성 블럭도.
제4도는 본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선 요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8도는 본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제9도는 본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11도는 본발명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뷰파인더
3 : 그립 10 : 고정플레이트
11 : 인쇄회로기판 13 : 회전판
13a : 요입홈 14 : 터치센서
15 : 기능선택용 가동스위치 16 : 기능선택용 고정스위치
17 : 기능실행 버튼 18 : 기능실행 스위치
19 : 걸림홈 20 : 걸림스프링
21 : 기능선택용 업버튼 22 : 기능선택용 다운버튼
21a,22a : 버튼 경사면 23 : 기능실행 버튼
23a : 삽입홈 24 : 기능선택용 업스위치
25 : 기능선택용 다운스위치 26 : 기능실행 스위치
27 : 스톱퍼 27a : 스톱퍼 경사면
28 : 코일스프링 29 : 카메라부
30 : VCR부 31 : EVF부
33 : 키입력부 34 : 터치센서 입력부
35 : 렌즈 36 : CCD
37 : 영상신호 처리부 38 : Y/C
39 : OSD 제어부 40 : 마이컴
41 : EVF 신호처리부 42 : CRT
43 : A/D 변환기 44 : 입력제어부
45 : RAM 46 : 문자 ROM
47 : 출력제어부
본발명은 캠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부 작동버튼을 단순화시켜 기기의 소형화에 유리하도록 함과 함께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하도록 한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Camcorder)는 피사체를 촬영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이하 테이프라 한다)에 화상신호로 기록하거나 상기 테이프에 화상신호로 기록된 피사체를 모니터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시켜주는 기기로서, 전체적으로 볼때 본체(1)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 복합영상신호를 만드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 부터 만들어진 복합영상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상기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VCR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어 테이프에 기록되는 영상을 촬영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종의 모니터 역할을 하는 뷰파인더(2)로 크게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카메라부와 VCR부는 본체(1)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뷰파인더(2)는 본체(1)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종래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인 제1도에서와 같이, 본체(1)의 뷰파인더(2)쪽 일측에는 카메라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부 작동키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뷰파인더(2) 반대쪽 다른 일측에는 촬영시 상기 본체(1)를 촬영자가 손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립(3)이 부착됨과 함께 촬영되는 피사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줌키(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VCR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VCR부 작동키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캠코더의 종래 카메라부 작동키장치는 본체(1)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기능선택 버튼(5)과, 상기 본체(1) 내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6)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선택 버튼(5)에 맞는 동작이 행해지도록 스위칭하여 주는 다수개의 기능실행 스위치(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른손을 그립(3)에 끼워 본체(1)를 지지한 상태에서 파워스위치(도시는 생략함)를 온(ON)시킨 다음 왼손을 이용해 상기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된 여러개의 기능선택 버튼(5)중 필요한 기능의 기능선택 버튼을 누르면 상기 눌러진 기능선택 버튼이 인쇄회로기판(6)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기능실행 스위치(7)중 하나의 기능실행 스위치에 접촉되면서 상기 기능실행 스위치를 스위칭하고 이에따라 선택한 기능이 행하여지면서 피사체가 테이프에 화상신호로 기록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눈을 뷰파인더(2)에 접안시켜 상기 뷰파인더를 통해 테이프에 기록되는 화상신호를 영상으로 확인하므로 기록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정확하게 테이프에 기록되는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다.
그럼 여기서 종래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횡단면도인 제2도를 참고하여 촬영시 선택한 하나의 기능선택 버튼(5)을 누름에 따라 기능 실행 스위치(7)가 스위칭되어 상기 선택한 기능이 행하여 지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같다.
기능실행 스위치(7)가 스위칭되면 A/D변환기로 전압이 인가되고 이 인가된 전압을 상기 A/D변환기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이때 마이컴은 상기 신호를 인식하여 선택된 하나의 기능선택 버튼에 따른 해당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에서 A/D변환기로 입력되는 전압은 각 기능선택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마이컴이 각 신호를 판별하여 해당동작을 제어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캠코더의 카메라부 작동키장치는 캠코더의 다기능화에 따라 기능선택 버튼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에 있음은 물론 사이즈(Size)는 갈수록 작아지는 추세에 있음을 감안할때 각 기능선택 버튼키의 간격이 좁아질 수 밖에 없어 촬영중 사용자가 여러개의 기능선택 버튼을 동시에 누르거나 잘못 누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능선택 버튼을 누를때 초보자의 경우는 각 기능선택 버튼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지 못하므로 촬영을 일시 중단한 다음 눈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에 맞는 기능선택 버튼을 확인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기능선택 버튼을 한곳으로 집중시켜 캠코더의 소형화에 유리하도록 함과 함께 촬영시 기능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각 기능이 뷰파인더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여 초보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캠코더의 제어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캠코더 본체(1)내의 고정 플레이트(10)에 고정된 PCB(1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0) 중심부에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전판(13)과, 상기 회전판(13)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회전판(13)을 회전시키기 위해 터치할때 이를 감지하여 PCB(11)에 특정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PCB(11)와 회전판(13)에 설치되어 회전판(13)의 회전각도에 따라 각각의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는 기능선택 수단 및 선택된 기능이 행하여지도록 하는 기능실행 수단으로 구성된 제어신호 입력수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캠코더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어신호 입력수단부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키모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문자 및 숫자를 뷰파인더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과, 사용자의 키 선택이 터치센서에 의해 계속 감지되면 그에 따른 변화된 키모드를 검출하여 문자 및 숫자를 뷰파인더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과, 사용자의 기능실행 키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되어진 해당 키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전체구성 블럭도인 제3도 (a)(b)에서와 같이, 다이얼키 또는 업/다운키로 구성되어 캠코더의 전체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40)으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수단부로서의 키입력부(33)와 터치센서부(34)가 구성되고, 상기 키입력부(33)와 터치센서(34)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컴(40)과,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의 빛의 신호를 포커싱하는 렌즈(35)와, 상기 렌즈(35)에 의해 포커싱된 빛의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36)와, 상기 CCD(36)의 영상전하를 영상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37)로 이루어진 카메라부(29)가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부(29)의 영상신호의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처리하여 기록하거나 복합영상 신호로 TV, 모니터 또는 EVF부(31)로 출력하는 Y/C(38)와, 마이컴(40)의 제어로 상기 Y/C(38)로 각 동작에 따른 기능을 문자 또는 숫자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OSD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OSD 제어부(39)로 이루어진 VCR부(30)가 구성되고, 상기 VCR부(30)의 Y/C(38)를 통해 출력되는 OS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복합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EVF 신호처리부(41)와, 상기 EVF 신호처리부(41)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CRT(42)토 이루어진 EVF부(31)로 구성된다.
그리고 OSD 제어부(39)는 제어신호 입력수단부에 의해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선택되어진 Key 모드를 감지하는 A/D 변환기(43)와, 상기 A/D 변환기(43)의 Key 모드에 의해 문자 및 숫자의 위치, 크기, 색등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44)와, 상기 입력제어부(44)의 출력신호를 저장 출력하는 RAM(45)과, RAM(45)의 신호를 받아 이미 수록된 문자 및 숫자의 폰트를 출력하는 문자 ROM(46)과 상기 RAM(45)과 문자 ROM(46)의 출력신호를 Y/C(38)를 통해 EVF(31)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출력제어부(47)로 구성된다.
이하 본발명의 캠코더의 제어장치를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며 제6도는 제5도의 A-A'선 요부 단면도로서, 본발명 일 실시예는 본체(1) 내의 고정플레이트(10)에 인쇄회로기판(11)을 고정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회로를 구성하면서 실행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의 메뉴를 뷰파인더(2)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하여 주는 OSD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는 단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판(13)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회전판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회전판(13)을 원할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요입홈(13a)을 형성함과 함께 회전판(13)을 회전시키기 위해 요입홈(13a)을 터치할때 이를 감지하여 OSD처리부를 동작시켜 주도록 터치센서(14)를 설치한다.
상기 회전판(13)의 내측면에는 기능선택용 가동스위치(15)를 부착함과 함께 인쇄회로기판(11)의 외측면에는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기능선택용 고정스위치(16)를 부착하여 회전판(13)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기능선택용 가동스위치(15)가 각 기능선택용 고정스위치(16)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판(13)의 내측면에는 요입홈(13a)과 대향되게 기능실행 버튼(17)을 부착함과 함께 인쇄회로기판(11)의 외측면에는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기능실행 스위치(18)를 부착하여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판(13)을 누를때 상기 기능실행 버튼(17)이 기능실행 스위치(18)를 스위칭시켜 줌에 따라 선택된 기능이 행하여 지도록한다.
한편 고정플레이트(10)에 힌지결합된 회전판(13)이 단계적으로 회전하기 위해, 상기 고정플레이트(10) 내에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걸림홈(19)을 형성하고 회전판(13)의 힌지축에는 상기 각 걸림홈(19)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스프링(20)을 고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오른손을 그립(3)에 끼워 본체(1)를 지지한 상태에서 파워스위치(도시는 생략함)를 온(ON)시킨 다음 왼손 손가락을 회전판(13)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입홈(13a) 내로 접촉시키면 상기 회전판(13)에 설치된 터치센서(14)가 이를 감지하여 인쇄회로기판(11)의 회로를 구성하는 OSD처리부로 신호를 보내므로 상기 OSD처리부가 동작하고 이에따라 실행될 수 있는 모든 메뉴가 뷰파인더(2)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을 뷰파인더(2)에 접안시킨 후 손가락으로 회전판(13)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돌리거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회전판이 일정각도만큼씩 단계적으로 정,역회전하는데, 이때 회전판(13)의 내측면에 부착된 기능선택용 가동스위치(15)가 인쇄회로기판(11)의 외측면에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부착된 복수개의 기능선택용 고정스위치(16)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므로 기능이 계속적으로 선택되고 이 선택되는 기능은 뷰파인더(2)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된 메뉴의 색깔이 변한다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필요로 하는 기능으로 선택되었을때 회전판(13)의 회전을 중단시키면 기능선택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고정플레이트(10)에 힌지결합된 회전판(13)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0) 내에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걸림홈(19)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판(13)의 힌지축에는 상기 각 걸림홈(19)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스프링(2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와같은 작용에 의해 기능선택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판(13)에 형성된 요입홈(13a)을 통해 상기 회전판(1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 그대로 누르면 상기 회전판의 내측면에 부착된 기능실행 버튼(17)이 인쇄회로기판(6)의 외측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기능실행 스위치(18)중 하나의 기능실행 스위치에 접촉되면서 상기 하나의 기능실행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주므로 선택된 기능이 행하여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가 캠코더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전판(13) 및 터치센서(14)를 사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마이컴(40)에서 다음과 같이 캠코더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먼저, 터치센서(14)가 ON 상태인가를 판단한다(601단계).
터치센서(14)가 ON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Key(회전판(13) 등으로 구성된 다이얼키를 뜻한다)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터치센서(14)가 ON상태일 경우에는 현재 Key 모드를 검출하여(602 단계), EVF(31)상에 문자 및 숫자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602 단계). (터치센서(14)가 OFF일 경우에는 OSD동작은 진행되지 않고 OFF된 상태이다)
그리고 EVF부(31)상에 문자 및 숫자를 디스플레이 한 후에 터치센서(14)가 ON인가? 또는 Key 위치인코더가 변화되는가를 판단하여(604 단계) 터치센서(14)가 OFF이거나 Key 위치인코더가 변화되지 않았다면 다시 Key 동작을 수행중인가를 판단한다(605 단계).
그리고 Key 동작수행중이 아니라면 OSD 동작을 OFF하고(606 단계) 다시 601 단계의 실행과정을 거치게 된다.
만약, Key 동작수행중이라면 다음의 607 단계의 실행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604 단계에서 터치센서(14)가 ON이거나 Key 위치인코더가 변화되었다면 Key 위치인코더의 출력을 검토하여 Key 선택모드를 판별하여(607 단계) Key 모드에 맞는 문자 및 숫자를 EVF부(31)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608 단계).
상기와 같이 현재의 Key 모드에 따른 문자 및 숫자가 EVF부(31)상에 디스플레이 되었다면 기능선택 버튼(17)이 눌러졌는가를 판단하여(609 단계), 기능선택 버튼(17)이 눌러지지 않았다면 604 단계의 실행과정을 거치게 되고, 기능선택 버튼(17)이 눌러졌으면 해당 키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고(610 단계) 다시 상기의 602 단계의 실행과정으로 가서 초기 키모드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인 제8도 및 본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인 제9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 다른 실시예는 본체(1) 내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1)에 회로를 구성하면서 실행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의 메뉴를 뷰파인더(2)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하여 주는 OSD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기능선택용 업(UP)버튼(21)과 기능선택용 다운(DOWN)버튼(22)을 설치함과 함께 기능실행 버튼(23)을 설치하며,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4)(25)에는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을 누르기 위해 터치시킬때 이를 감지하여 OSD처리부를 동작시켜 주도록 터치센서(14)를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1)에는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누름에 따라 기능이 선택되도록 기능선택용 업스위치(24) 및 기능선택용 다운스위치(25)를 설치함과 함께 기능실행 버튼(23)을 누름에 따라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실행 스위치(26)를 부착한다.
상기에서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의 대향되는 면에 버튼경사면(21a)(22a)을 형성하고,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에는 버튼경사면(21a)(22a)에 접촉되도록 스톱퍼 경사면(27a)이 형성된 스톱퍼(27)를 코일스프링(28)으로 탄력설치하며, 기능실행 버튼(23)의 양측면에는 삽입홈(23a)을 형성하여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누를때 스톱퍼(27)가 삽입홈(23a) 내로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과 기능실행 버튼(23)이 동시에 눌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오른손을 그립(3)에 끼워 본체(1)를 지지한 상태에서 파워스위치(도시는 생략함)를 온(ON)시킨 다음 왼손 손가락을 본체(1)에 설치된 기능선택용 업버튼(21)에 접촉시키거나 기능선택용 다운버튼(22)에 접촉시키면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에 설치된 터치센서(14)가 이를 감지하여 인쇄회로기판(11)의 회로를 구성하는 OSD처리부로 신호를 보내므로 상기 OSD처리부가 동작하고 이에따라 실행될 수 있는 모든 메뉴가 뷰파인더(2)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눈을 뷰파인더(2)에 접안시킨 후 왼손 손가락으로 기능 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선택해서 누르면 선택된 기능선택용 버튼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1)에 부착된 기능선택용 업스위치(24)가 스위칭 되거나 기능선택용 다운스위치(25)가 스위칭 되므로 기능이 계속적으로 선택되고 이 선택되는 기능은 뷰파인더(2)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된 메뉴의 색깔이 변한다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되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으로 선택되었을때 기능선택용 업,다운스위치(21)(22)를 더이상 누르지 않으면 필요로 하는 기능으로 선택이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눌렀을때 스톱퍼(27)에 형성된 스톱퍼 경사면(27a)이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에 형성된 버튼 경사면(21a)(22a)에 각각 접촉되어 있음에 따라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이 코일스프링(28)의 탄력을 받아 기능실행 버튼(23) 쪽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기능실행 버튼의 양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3a)으로 삽입되는데, 이는 기능 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눌렀을때는 기능실행 버튼(23)이 눌러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로하지 않는 동작이 행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기능선택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능실행 버튼(23)을 누르면 상기 기능실행 버튼이 인쇄회로기판(11)에 부착된 기능실행 스위치(26)를 스위칭하여 주므로 선택된 기능이 행하여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코더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가 캠코더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터치센서(14) 및 기능선택 업/다운 버튼(21)(22)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마이컴(40)에서 다음과 같이 캠코더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먼저, 터치센서(14)가 ON인가를 판단하여(901 단계), 터치센서(14)가 ON되었다면 초기(현재의) Key(기능선택 업/다운 버튼(21)(22)의) 모드를 검출하여(902 단계), EVF부(31)상에 문자 및 숫자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602 단계). (터치센서(14)가 OFF일 경우에는 OSD 동작은 OFF된 상태이다)
그리고 EVF부(31)상에 문자 및 숫자를 디스플레이 한 후에 터치센서(14)가 ON인가? 또는 Key 위치인코더가 변화되었는가를 판단하여(904 단계), 터치센서가 OFF되거나 Key 위치인코더가 변화하지 않았다면 다시 Key 동작을 수행중인가를 판단한다(908 단계).
그리고 Key 동작수행중이 아니라면 OSD 동작을 OFF하고(909 단계) 다시 601 단계의 실행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604 단계에서 터치센서(14)가 ON이거나 Key 위치인코더가 변화되었다면 Key 위치인코더의 출력을 검토하여 Key 선택모드를 판별하여(Up Key 또는 Down Key 인가를)(905 단계) Key 위치인코더의 변화가 Down Key에 의한 것이면 Down 방향의 Key 모드를 판별하고(907 단계), Key 위치인코더의 변화가 Up Key에 의한 것이면 Up 방향의 Key 모드를 판별한다(906 단계).
그리고 상기 Up 또는 Down Key에 의한 Key 모드에 맞는 문자 및 숫자를 EVF부(31)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910 단계).
상기와 같이 현재의 Key 모드에 따른 문자 숫자가 EVF부(31)상에 디스플레이 되었다면 설정 Key(기능실행 버튼(23))가 눌러졌는가를 판단하여(911 단계) 설정 Key가 눌러지지 않았다면 상기 904 단계의 실행과정을 다시 거치게 된다.
그리고 설정 Key가 눌러졌다면 해당 Key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고(912 단계) 다시 902 단계의 실행과정으로 가서 초기 키모드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발명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 제어장치가 캠코더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인 제11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 다른 실시예와 다른점은 본체(1)에 설치된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과 기능실행 버튼(23)을 그립(3)쪽에 위치되게 설치한 것인데, 이는 촬영시 사용자가 오른손을 그립(3)에 끼워 본체(1)를 지지한 상태에서 오른손 손가락으로 기능선택과 기능실행을 위한 버튼(21)(22)(23)을 누를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캠코더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제어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입력수단부(다이얼 Key, Up/Down key)를 기능집약적으로 설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기능선택 버튼이 한곳으로 집중되어 있음에 따라 캠코더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함과 함께 촬영시 기능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각 기능이 뷰파인더의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됨에 따라 초보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캠코더 본체(1)내의 고정 플레이트(10)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1)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0) 중심부에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13)과, 상기 회전판(13)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회전판(13)을 회전시키기 위해 터치할 때 이를 감지하여 인쇄회로기판(11)에 특정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뷰파인더 화면상에 메뉴를 표시하는 OSD 처리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1)과 회전판(13)에 설치되어 회전판(13)의 회전각도에 따라 메뉴상의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는 기능선택 수단 및 선택된 기능이 행하여 지도록 기능선택수단과 일체화하여 구성된 실행수단으로 구성된 제어신호 입력수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선택수단은 회전판(13)의 내측면에 부착된 기능선택용 가동스위치(15)와, 인쇄회로기판(11)의 외측면에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부착된 복수개의 기능선택용 고정스위치(16)로 구성하여 회전판(13)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기능선택용 가동스위치(15)가 각 기능선택용 고정스위치(16)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기능이 선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기능실행수단은 회전판(13)의 내측면에 부착된 기능실행 버튼(17)과, 인쇄회로기판(11)의 외측면에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부착된 복수개의 기능실행 스위치(18)로 구성하여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판(13)을 누를때 상기 기능실행 버튼(17)이 각 기능실행 스위치(18)중 어느 하나의 기능실행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줌에 따라 선택된 기능이 행하여 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13)이 단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 플레이트(10) 내에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복수개의 걸림홈(19)을 형성하고, 회전판(13)의 힌지축에는 회전판을 회전시킬때 상기 각 걸림홈(19)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스프링(20)을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기능선택용 업버튼(21)과 기능선택용 다운버튼(22)을 설치함과 함께 기능실행 버튼(23)을 설치하고,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에는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을 누르기 위해 터치시킬 때 이를 감지하여 OSD처리부를 동작시켜 주도록 터치센서(14)를 설치하며, 인쇄회로기판(11)에는 기능선택용 업,다운 버튼(21)(22)을 누름에 따라 기능이 선택되도록 기능선택용 업스위치(24) 및 기능선택용 다운스위치(25)를 설치함과 함께 기능실행 버튼(23)을 누름에 따라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실행 스위치(26)를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버튼경사면(21a)(22a)을 형성하고,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에는 버튼경사면(21a)(22a)에 접촉되게 스톱퍼 경사면(27a)이 형성된 스톱퍼(27)를 코일스프링(28)으로 탄력설치하며, 기능실행 버튼(23)의 양측면에는 삽입홈(23a)을 형성하여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누를때 스톱퍼(27)가 삽입홈(23a)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누른 상태에서는 기능실행버튼(23)이 눌러지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캠코더의 제어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본체(1)를 지지하기 위해 부착되어 있어 그립(3)쪽에 위치되게 기능선택용 업,다운버튼(21)(22)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제어장치.
KR1019940035567A 1994-12-21 1994-12-21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015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567A KR0156130B1 (ko) 1994-12-21 1994-12-21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567A KR0156130B1 (ko) 1994-12-21 1994-12-21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20A KR960028220A (ko) 1996-07-22
KR0156130B1 true KR0156130B1 (ko) 1998-11-16

Family

ID=1940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567A KR0156130B1 (ko) 1994-12-21 1994-12-21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1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20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5318C (zh) 摄像机及其控制方法
US7576789B2 (en) Multi-function input switch and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with
US7936396B2 (en) Image-pickup apparatus
US7061535B2 (en) Input unit,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digital camera using the same
EP3239774B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161652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ing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020008763A1 (en) Electronic camera having pen input function
JP200618658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451871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356819A (ja) リモート操作装置
JP2008003702A (ja) 電子機器
US20060078324A1 (en) Digital camera
KR0156130B1 (ko)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7209174B2 (en) Movable status display within a camera-back display of an image capturing device
JP201018324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H09149307A (ja) ペン入力機能を備える電子カメラ
JP3918211B2 (ja) 手動操作補正装置及びカメラ
JP3680966B2 (ja) テレビカメラ用レンズ装置
JPH11331646A (ja) 電子的撮像装置
JPH11352389A (ja) 電子ファインダカメラ
JP4077683B2 (ja) カメラ及び表示制御方法
JPH11331647A (ja) 電子的撮像装置
JP3999854B2 (ja) 電子カメラ
JPH11317890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10170310A (ja) 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8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7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1998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80624

Appeal identifier: 1998101001137

Request date: 1998041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4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8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061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