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5347B1 -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자립 용기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자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347B1
KR0155347B1 KR1019930701452A KR930701452A KR0155347B1 KR 0155347 B1 KR0155347 B1 KR 0155347B1 KR 1019930701452 A KR1019930701452 A KR 1019930701452A KR 930701452 A KR930701452 A KR 930701452A KR 0155347 B1 KR0155347 B1 KR 015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hub
cylindrical body
body por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시. 영
리쳐드 시. 다르
Original Assignee
윌리엄 시. 영
플라스티팩 패키징 아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시. 영, 플라스티팩 패키징 아이엔시 filed Critical 윌리엄 시. 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84Bottom construction having a dis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discrete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플라스틱 용기(10)는 복수의, 하향으로 돌출하는 중공의 다리들(22), 다리들 간에 위치된 복수의 굴곡 리브들(34), 및 허브(41)를 함유하며, 다리들과 리브들이 기울임에 대한 양호한 안정성 및 내압에 견디는 힘을 제공한다. 각 다리(22)는 타의 다리들과 공평면의 하 편평 발(24)를 가지고 있다. 각 편평 발(24)는 발의 연합 외벽(26)을 가진 접합(28)을 가지고 있다. 각 발(22)의 평면 내측 접속부(30)은 경사지어져 있으며 허브(41)에 상향으로 그리고 내향으로 연장하는 한편 다리들의 측벽들(32)는, 굴곡중간 리브부(40)을 따라 리브의 외측 및 내측 단들(36, 38) 간에 연장하는 굴곡 중간부를 각각이 가지는, 굴곡 리브들(34)에 접속돼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자립 용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용기를 지지한는 자립 기저 구조를 가지는 한편 내압(internal pressure)에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대개의 경우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탄산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종래의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는 과거, 취입성형 용기의 하측 선단이 반구형 형상을 가지어 그것이, 사용중 내내 그 용기를 지지하는 사출성형의 기저 컵에 받쳐지는 기저 컵 용기의 양태로 제조돼 왔다. 그러한 기저 컵 용기는 분구형 형상이 내압을 견디는 데 필요한 강도를 마련함에 활용되게 하는 한편, 용기가 평탄 면에 직립으로 지지될 수 있게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용기가 만족하게 기능한다고는 하나, 기저 컵을 제조하고 취입성형의 용기에 조립하는 양자에는 필요 비용이 있으며, 그런 비용은 불가피하게 소비자 가격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다.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취입성형의 용기는 아도마이티스의 3,598,270; 카마이클의 3,727,783; 우힐리그의 3,759,410; 아도마이티스의 3,871,541; 및 대스의 3,935,955 의 미국특허들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와단일의 자립 기저 구조로도 또한 제조돼 왔다. 이들 특허는, 용기가 위에 지지되는, 아래 발을 가진 다리들을 원주로 사이띄어 마련함에 의해 내부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자립 취입성형의 용기를 고안하려는, 비교적 이른 시도를 개진하고 있다.
자입 기저 구조의 더 근래의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들은 독일 Offenlegungsschrift 29 20 122 로, 그리고 미국특허들: 포콕 및 그외의 4,249,667; 콜렛 및 그외의 4,267,144; 마이클의 4,267,987; 창의 4,294,366; 스니더 및 그 외의 4,318,489; 콜렛 및 그 외의 4,335,821; 모틸의 4,368,825; 크리스나쿠마를 및 그 외의 4,785,949; 밀러 및 그 외의 4,785,950; 하워드, Jr.의 4,850,494; 하워드, Jr.의 4,850,493; 파워즈의 4,867,323; 및 콜렛 및 그 외의 4,910,054 로 개시돼 있다.
상기의 특허들에 개시된 특정의 용기들은 자립 기저 구조가 위에 지지되는 편평 발들(falt feet)을 가진다. 그러나, 다소의 구조들은 벰 및 그외의 미국특허 4,865,206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압력 하에서 편향시키게 하고 있어 아래 다리를 내향의 방향에 상향으로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용기에 음료가 담기는 때 내압을 받게 됨에 있어 다리가 하향으로 상호 공평면 관계에 비뚤어지게 하므로, 또한, 영국 특허출원 GB2189214A 는 외주벽과 볼록한 저벽으로 형성된 리세트(recess)를 가진 단일의 기저 구조의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를 개진하고 있다. 이 리세느는, 용기를 취입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예비적 형성품을, 중심으로 모이게 하여 또 예비적 형성품이 통하여 사출성형되는 아래 게이트영역을 어떤 의미로는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수도 있는 용기의 가장 낮은 부분이 되지 않게 또한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개시돼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압을 받는 때라도 용기에 양효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자립 기저 구조의 향상된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를 마련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는 중심 축선 A 를 가지며 중심 축선 A 둘레에 직경 D 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본체부를 포함한다. 용기의 상단 종지(upper end closure)는 원통형 본체부의 상측 선단과 단일이며, 분배 주둥이를 포함하고 있어 그를 통해 용기가 채워지며 또 나중에 필요해 지는 단계에서, 용기 내용물이 그를 통해 분배된다. 용기의 자립 기저 구조는 원통형 본체부와 단일로 그의 하측 선단을 막게 되며 또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립 기저 구조는 본체부에 관하여 상호 원주방향으로 사이 띄어 있는, 복수의, 하향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다리를 포함하고 있다. 각 다리는, 타의 다리들의 발들과 공평면의 하 편평 발을 가지고 있어, 용기를 직립상태에 지지함에 있어 그것으로서 협력하게돼 있다. 하 편평 발은 기울임에 대하여 그것으로서 안정성을 제공하게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적어도 .75의 외경 Df를 가지고 있다. 다리는 각각 그의 편평 발의 외측 선단에서 원통형 본체부에 연장하는 외벽을 또한 가진다. 각 다리의 편평 발과 외벽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05 이하의 곡률 반경 Rj를 가진 급격 만곡접합(jnction)을 가지고 있다. 각 다리는, 경사져 있어 그의 평편 발의 내측 선단으로 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내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를 또한 가지고 있다. 각 다리의 한쌍의 측벽이 편평 발, 외벽 및 그의 평면 내측 접속부와 협력하여 다리를 막게 된다.
용기의 자립 기저 구조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다리들 사이에 상호 원주로 사이 띄어져 다리들의 인접 측벽을 접속하는 복수의 만곡 리브를 또한 포함한다. 각 리브는 상향으로 연장하여 용기의 원통형 기체부에 접속돼 있는 외단(outer end)을 가진다.
각 리브는 다리들의 반대측 상의 다리들의 내측 접속부들 간에 위치되어 하향으로 그리고 용기의 중심 축선 A 를 향해 내향으로 연장한 내측하측 단을 또한 가지고 있다. 각 리브는 그의 외측 및 내측 단들 간에 외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연장하는 굴곡중간부를 또한 가진다.
용기의 자립 기저 구조의 일반적으로 둥근 허브(hub)는 허브로부터 외향의 방향으로 방사로 연장하는 기저 구조의 다리들 및 굴곡 리브들과 함께, 중심 축선 A 를 따라 위치돼 있다. 이 허브는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15 내지 .25 의 범위의 직경 Dh를 가지고 있다. 허브는 또한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들에 접속되어 있으며 허브는 또한 굴곡 리브들의, 하양으로 연장하는 내단들(inner ends)에 접속되어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의 자립 기저 구조는 용기가 비어 충전 라인으로 이동되는 때, 충전 전에 특히 유용한, 기울임에 대한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며, 자립 기저 구조는 충진 후의 내압을 견딜 수 있는 구성과 벽두께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우선 실시양태에 있어서, 허브는 둥근 상벽(upper well)과 그리고 그의 상벽에 접속된 상단을 가진 환상 벽을 포함하며, 환상 벽은 다리들의 편평 발에 관하여 적어도 45˚의 경사로 상벽으로붜 하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허브의 환상 벽은, 다리들의 평면 내측 접속부에 접속되고 또한 곡선 리브들의 내단에 접속된 하단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허브의 상벽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8 내지 .12 의 범위의 높이 Hh1에 의해 다리들의 편평 발 위로 사이 띄어 있다. 게다가, 허브의 환상 벽의 하단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35 내지 .6 의 범위의 높이 Hh2에 의해 다리들의 편평 발 위로 바람직하게 사이 띄어 있다. 용기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1 의 높이 Hh1,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4 내지 .6 의 범위의 높이 Hh2, 및 다리들의 편평 발에 관하여 적어도 60˚의 경사를 가지는 허브의 환상 벽으로 구성되는 때, 최량의 결과가 성취된다.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의 또 하나의 우선 실시양태에 있어서, 자립 기저 구조의 허브는, 수평으로 연장하여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들에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하는 굴곡 리브들의 내단들에 접속되는 주변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편평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편평 허브는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35 내지 .065 의 범위의 높이 Hh에 의해 편평 발의 평면 위로 바람직하게 사이 띄어 있다.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의 또 다른 우선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자립 기저 구조의 허브는, 다리들의 내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에 그리고 굴곡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단에 접속되는 주변을 포함하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 하향으로 연장하는 허브는, 각 리브의 굴곡 중간부의 곡률 반경의 2분의 1 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대개 바람직하게 가지는 굴곡 형상을 가진다. 더구나, 하향으로 연장하는 허브는,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25 내지 .035 의 범위의 높이 Hh에 의해 편평 발의 평면 위로 사이 띄어 이는 굴곡 하측 선단을 바람직하게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의 각 실시양태는 호칭 벽두께 t 의 원통형본체부를 가지며, 또 원통형 본체부의 호칭 벽두께 t 의 적어도 1.7 배의 벽두께 t' 벽두께가 각각 마련된 편평 발의 내측 선단들, 다리들의 평면 내측 접속부들, 굴곡 리브들의 내측 하단들 및 허브를 가진다.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의 각 실시양태는 끝을 자른 쇄기 형상의 각 다리의 하 편평 다리를 가지며 굴곡 리브는 그의 단들 간에 일반적으로 편평 단면을 가지고 있다.
각 다리의 외벽은, 원통형 본체부의 하단의 인접부와 접선의 상단을 포함하는 굴곡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다리의 이 외벽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75보다 큰 곡률 Rw의 반경을 바람직하게 가진다. 용기의 우선은 구성의 각 리브는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6 보다 큰 곡률 Rr의 반경을 가지어 리브로부터 중심 축선 A 의 반대측 상에 곡률의 중심을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의 각 실시양태의 우선의 구성은 각 다리가 연합 리브에 정반대의 대향하는 관계에 위치된 홀수의 다리들 및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섯의 다리와 다섯의 리브와, 각 다리는 연합의 리브에 정반대로 대향하여 위치되며 다리들과 리브들이 원주방향으로 교호관계에 허브로부터 방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개시된 실시양태의 자립 기저 구조를 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양태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며에서 쉽게 명료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자립 기저구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의 일 실시양태를 통해 부분단면으로 그린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의 확대도이며, 상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의 중앙의 둥근 허브를 가지는 자립 기저 구조의 구성을 상세히 보이는 그림.
제3도는, 자립 기저 구조의 구성을 더 상세히 보이기 위해, 제2도의 3-3 선의 방향에 따라 그린, 용기의 저면도.
제4도는, 자립 기저 구조의 다리들 간에 위치돼 있는 리브들의 구성을 보이는, 제2도의 4-4 선의 방향에 따라 그린,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와 같은 그림이나, 자립 기저 구조의 중앙의 둥근 허브가 수평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편평 형상을 한, 취입성형의 용기의 또 하나의 실시양태의 그림.
제6도는 제5도의 6-6 선의 방향에 따라 그린, 용기의 저면도.
제7도는 제2도 및 제5도와 같은 방향에서 그린 단면도이나, 자립 기저 구조의 중앙의 둥근 허브가 하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으로 된, 타의 실시양태의 설명도.
제8도는 제7도의 8-8 선의 방향에 그린 저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양태]
도면의 제1도를 보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는 일반적으로 (10) 으로 가리켜져 있으며, 도시와 같이, 수평면 (12) 에 지지된 용기와 수직으로 연장하는 중심 축선 A 를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0) 은 직경 D 로 중심 축선 A 둘레를 수직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본체부 (14) 를 포함하고 있다.
그 용기의 상단 종지(upper end closure) (16) 은 원통형 본체부 (14) 의 상측 선단과 단일이며, 도시하지 않은 캡형의 종지를 고정하는 나사 (18) 을 가진 것으로 도시된 분배 주둥이(dispensing spout)를 포함하고 있다. 용기는 그의 하측 선단을 막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되어 원통형 본체부 (14) 와 단일인 자립 기저 구조 (20) 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이 자립 기저 구조 (20) 은 이하에 더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도에 대해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할 능력이 있으며, 그 것은, 제조후 용기가 비어 있어 직립으로 운반되며 충전 라인을 통해 이동 중인 때 특히 바람직하며, 그 자립 기저 구조는 용기가 탄산 음료로 충전되는때 따위의, 내부 압력을 또한 견딜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섞어서 참조하면, 자립 기저 구조 (20) 은 본체부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사이 띄인 복수의 하향 돌출의 중공 다리 (22) 를 포함하고 있다. 각 다리 (22) 는, 제1도에 보인 바와 같은 직립의 상태에 용기를 지지함에 있어, 그와 협력하는 타의 다리들의 발들과 공평면의 아래 편평 발 (24) 를 가지고 있다. 아래 편평 발 (24) 는, 용기의, 전도에 대한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적어도, .75 의 외경 Df를 가지고 있다. 각 다리 (22) 는 그의 편평 발 (24) 이 외측 선단으로부터 원통형 본체부 (14) 에 연장하는 외벽 (26) 을 또한 가지고 있다. 각 다리의 편평 발 (24) 와 외벽 (26) 은 제2도에 가장 잘 보인 급격 곡선의 접합 (28) 을 가지고 있다. 이 접합 (28) 은 용기의 외표면에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05 보다 적은 곡률 반경 Rj를 가지고 있다. 각 다리 (22) 는, 경사져 있어 그의 편평 발 (24) 의 내측 선단으로부터 상향과 내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 (30) 을 또한 가지고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아주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다리 (22) 는 다리를 막는데 아래 편평 발 (24) 와, 외벽 (26) 및 평면 접속부 (30) 을 협력하는 한쌍의 측벽 (32) 도 또한 가지고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자립 기저 구조 (20) 은, 하향으로 돌출하는 다리들 (22) 간에 서로로부터 원주로 사이 띄어 다리의 인접 측벽들 (32) 를 접속하는 각 리브 (34) 는, 복수의 곡선 리브 (34) 를 또한 포함한다. 각 리브 (34) 는, 제2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으로 연장하여 용기의 원통형 본체부 (14) 에 접속되는 외측 상단 (36) 을 가지고 있다. 각 리브 (34) 는, 그의 반대 측 상의 다리들 (22) 의 내측 접속부들 (30) 사이에 하향으로 그리고 용기의 중심 축선 A 를 향해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하측 단 (38) 을 또한 가지고 있다. 제2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리브 (34) 는 또 그의 외측 및 내측 단들 (36 및 38) 사이에, 외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하는 곡선 중간부 (40) 을 가지고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의 자립 기저 구조 (20) 은 상호 원주상으로 교호의 관계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리들(22) 와 곡선 리브들 (34) 와 함께 중심 축선 A 를 따라 위치된 일반적으로 둥근 허브 (41) 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이 허브 (41) 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15 내지 .25 의 범위의 직경 Dh를 가지고 있다.
허브 (41) 은 또,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들 (30) 에의 접속들 (42) 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허브 (41) 은 곡선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단들 (38) 에의 접속들 (43) 을 또한 가지고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보인 용기의 실시양태에서는, 자립 기저 구조의 허브 (41) 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이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들 (30) 에 그리고 곡선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단들 (38) 에 접속되는, 상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을 가지고 있다. 이 상향으로 연장한는 허브 (41) 은, 둥근 상벽 (44) 와, 그리고 상단이 그 상벽에 접속되어 다리들 (22) 의 편평 발 (24) 에 대해 적어도 45˚의 경사로 그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환상 벽 (46) 을 포함하고 있다. 허브 (41) 의 환상 벽 (46) 은, 발 (22) 의 내측 접속부들 (30) 에 그리고 곡신 리브들 (34) 의 내측 단들 (38)에 접속된 하단을 또한 가지고 있다. 허브 (41) 의 상벽 (44) 는 다리들 (22) 의 편평 발 (24) 의 평면 위로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8 내지 .12 의 범위의 높이 Hh1로 사이 띄어져 있다. 위에 설명한 자립 기저 구조의 직경 Dn와 높이 Hh1의 이들 치수는, 용기가 제조되는 예비적 형성품이 확장될 수 있어 발들 (24) 의 외측 선단들과 외벽들 (26) 의 사이에 필수의 강도를 가지도록 충분히 두꺼운 벽을 가진 접합 (28) 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중요하다. 더구나, 허브 (41) 의 환상 벽 (46) 의 아래 단은 편평 발들 (24) 의 평면 위로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35 내지 .065 의 범위의 높이 Hh2에 의해 사이 띄어 있는 것이다. 높이 Hh2의 이 치수는, 용기를 취입성형하는 데 활용되는 예비적 형성품의 사출성형에 사용된 탕구 혹(sprue unb) (48) 이 지지 표면 (12) 위로 충분히 사이 띄어지게 용기의 충심을 유지하므로, 발들 (24) 는 지지 표면과 밀착 접촉 상태의 그들의 공평면 관계에 유지된다. 최선의 결과는, 높이 Hh1이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1 이고, 높이 Hh2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4 내지 .06 의 범위이며, 허브의 환상 벽 (46) 이 다리의 편평 발들에 대해 적어도 60˚의 경사를 가지는 때 성취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허브의 환상 벽 (46) 은 다리들의 편평 발들 (24) 에 대해 약 76˚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제5 및 제6도를 참조하면, 또하나의 실시양태의 용기 (10') 는 기재되게 되는 정도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양태와 같은 대단히 많으며, 따라서 같은 참고부호는 그의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내어서 상기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어 반복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양태의 자립 기저 구조 (20'') 의 허브 (41') 는, 앞서 설명한 실시양태와 같은 상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에 대하여, 수평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편평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 수평으로 연장하는 편평 허브 (41') 는 접속들 (42) 에 의해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내측 접속부 (30) 에 그리고 접속들 (43) 에 의해 굴곡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난들 (38) 에 접속된 주변을 가지고 있다.
편평 허브 (41') 는, 지지 표면 12 위로 충분히 멀리 위치되어 사출성형 탕구 혹 (48') 가 용기의 안정성에 역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35 내지 .065의 범위인 높이 Hh에 의해 아래 발들 (24) 의 평면 위로 사이 띄어 있다. 다른 모든 점에서, 제5 및 제6도에 보인 이 실시양태의 용기 (10') 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전기 설명의 실시양태와 같다.
제7 및 8도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양태의 용기 (10'') 는 알게 되겠지만 일반적으로 제1도 내지 제4도의 실시양태와 같은 구성을 또한 가지고 있어 같은 참고부호는 그의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전기 설명이 대개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그것을 반복하지는 않겠다. 제7 및 8도의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0) 는, 주변이 접속들 (42) 에 의해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 (30) 에 그리고 접속들 (43) 에 의해 굴곡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단들 (38) 에 접속돼 있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이 마련된, 중심 축선 A 에 따라 위치된 그의 일반적으로 둥근 허브 (41'') 를 가지고 있다. 더 정확히 제7도에 보인 바와 같이, 중앙 허브 (41'') 는 굴곡 형상을 바람직하게 가지고 있으며 각 리브 (34) 의 굴곡 중간부 (40) 의 곡률 반경 Rr의 2분의 1보다 작은 곡률 반경 Rh를 가장 바람직하게 가지고 있다. 더구나, 하향으로 연장하는 허브 (41'')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25 내지 .035 의 범위의 높이 Hh에 의해 편평 발들 (24) 의 평면 위로 사이 띄인 굴곡 하측 선단을 가지고 있어 사출성형 탕구 혹 (48'')는 용기의 안정성에 역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지 표면 (12) 위로 사이 띄인다. 개시의 특정 구성에서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허브 (41'') 의 곡률 반경 Rr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부 (14) 의 직경 D 의 .6 보다 큰, 리브 34 의 중간부 (40) 의 곡률 반경 Rr의 약 3분의 2 이다.
제2도, 제5도 및 제7도에 보인 바와 같은 상기 설명의 실시양태의 각각에 있어서, 용기 10, 10' 및 10''의 원통형 본체부는 통상 약 .009 내지 .011 인치의 범위 호칭 벽 두께 t 를 가진다. 자립 기저 구조 (20) 의 구성은, 원통형 본체부의 호칭 벽두께 t 의 적어도 1.7 배이고 바람직하겐는 호칭 벽 두께 t 의 2 배의 벽두께 t'가 각각 마련된 편평 발 24 의 내측 선단들, 다리들의 내측 접속부 (30), 굴곡 리브들 (34) 의 내측 아래 단들 38 그리고 연합의 허브 41, 41' 및 41''을 가지는 것이다.
제3,6 및 8도를 참조하면, 각 용기 실시양태는, 각 다리 (22) 의 하 편평 발 (24) 는 끝을 자른 내측 단이 발의 연합이 평면 내측 접속부 (30) 에서 끝나고 굴곡 외측 단은 연합의 외벽 (26) 을 가진 접합 (28) 에 형성되는, 자른 꼴의 쇄기 형상을 가지게 구성된 그의 자립 기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다리 측벽들 (32) 의 인접 쌍들 간의 각 리브 (34) 는, 그의 단들 간의 중간 리브부 (40) 을 따라 편평 단면이 마련돼 있는 그의 굴곡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리브 (34) 의 이 편평 단면은 따라서, 그의 외측 상단 (36) 으로부터 중간 리브부 (40) 을 따라 허브 (42) 의 환상 벽 (46) 의 하단을 가진 접합에 있는 그의 내측 하단 (38) 에 연장하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낸 편평 리브 단면은 각 용기 실시양태 10, 10' 및 10''의 구성의 예증인 것이다.
제2,5 및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리 (22) 의 외벽 (26) 은 용기의 원통형 본체부 (14) 의 하측 선단의 인접부와 접선인 상단 (50) 을 포함하는 굴곡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외벽 (26) 의 곡률과 마찬가지로 각 리브 (34) 의 곡률은 자립 기저 구조가 양호한 안정성 뿐아니라 앞서 설명한 구성의 부분으로서 내압을 견디는 강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을 이룬다. 더 정확하게는, 각 발의 외벽 (26) 이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75 보다 큰 곡률 반경 Rw를 가지므로 편평 발들 (24)의 외경 Df은, 접합 (28) 이 앞서의 설명처럼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05 보다 작은 곡률 반경 Rj로 구성되는 경우, 가능한 한 크게 될 수 있다. 더구나, 각 리브 (34) 는 언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6 보다 큰 곡률 반경 Rr을 가지어 리브로부터 중심 축선 A 의 반대 측상에 곡률의 중심을 두고 있다.
제3, 6 및 8도에 보인 바와 같이, 용기 (10) 의 자립 기저 (20) 은 중심 축선 A 둘레의 연합 리브에 정반대로 대향하는 관계에 위치된 각 다리 (22) 를 가진 홀수의 다리 22 및 리브 24 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10, 10' 및 10''는 냉장고의 철선 선반이나 타의 불연속 지지물 상에 지지되는 때 따위 처럼의 기울임에 대해 최량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우선의 수인 다섯의 다리들 22 와 다섯의 리브들 34 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다.
도시의 취입성형의 용기 10, 10' 및 10''는 사출 신장 취입 성형에 의해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다. 이는, 증대된 강도를 가진 2축 연신(biaxially oriented)의 용기 벽과 그리고 위의 설명과 같은 자립 기저 구조로 만들어 지는 경우, 내압을 견디는 능력을 산출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를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이 관련되는 기술에 정통한 이들은 아래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많은 대안적 고안과 실시양태를 인정할 것이다.

Claims (18)

  1. 중심 축선 A 를 가지고 있으며, 직경 D 로 중심 축선 A 둘레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본체부와, 원통형 본체부의 상측 선단과 단일이며 분배 주둥이를 포함하는 상단 종지, 및 원통형 본체부와 단일로 그의 하측 선단을 막는 기저 구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립 기저 구조가: 복수의 하향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다리들이 본체부에 관해 서로로부터 원주상으로의 사이 띄어 있고; 각 다리는 용기를 직립의 상태에 지지함에 그와 협력하는 타의 다리들의 발들과 공평면의 하 편평 발을 가지며; 하 편평 발들은 기울임에 대해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게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적어도 .75의 외경 Df를 가지고 있고; 각 다리는 그의 편평 발의 외측 선단으로부터 원통형 본체부에 연장하는 외벽을 또한 가지며; 각 다리의 편평 발과 외벽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05 보다 작은 곡률 반경 Rj를 가진 급격 굴곡의 접합을 가지고 있고; 각 다리는, 경사져 있으며 그의 편평 발의 내측 선단으로 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내향으로 연장하는, 편평 내측 접속부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각 다리는 편평 발과 협력하는 한 쌍의 측벽과 외벽 및 다리를 막는 내측 평면 접속부를 가지고; 복수의 굴곡 리브들의 하향으로 돌출하는 다리들 간에 서로로부터 원주상으로 사이 띄어 있어 다리들의 인접 측벽들과 접속하고 있고; 각 리브는, 상향으로 연장하고 용기의 원통형 본체부에 접속되는, 외측 상단을 가지고 있으며; 각 리브는, 다리들의 내측 접속부들 간에 그의 반대측 상에 위치되고 용기의 중심 축선 A 에 향해 하향으로 그리고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하단을 또한 가지고 있고; 또 각 리브는, 외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 그의 외측 및 내측 단들 간에 연장하는 굴곡 중간부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중심 축선 A 를 따라 위치돼 있는 일반적으로 둥근 허브가 그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들과 굴곡 리브들을 가지고; 상기 허브는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15 내지 .25 의 범위의 직경 Dh를 가지며; 또 허브는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에의 접속들을 가지고 있고 허브는 굴곡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단들에의 접속들을 또한 가지고 있는, 구성의,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기저 구조의 허브가,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가 그리고 굴곡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단들에 접속된 주변을 포함하는, 상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향으로 연장하는 허브가 둥근 상벽과 그리고 그의 상벽에 접속된 상단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부터 하향으로 다리들의 편평 발들에 관해 적어도 45˚의 경사로 연장하는 환상 벽을 포함하고 있고, 허브의 상벽이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8 내지 .12 의 범위의 높이 Hh1에 의해 다리들의 편평 발들의 평면 위로 사이 띄어 있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허브의 환상 벽의 하단이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35 내지 .065의 범위인 높이 Hh1에 의해 다리들의 편평 발들이 평면 위로 사이 띄어 있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높이 Hh1이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1 이고, 높이 Hh2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4 내지 .16 의 범위이며 또 허브의 환상 벽이 다리들의 편평 발들에 관해 적어도 60˚의 경사를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허브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편평 형상을 가지며 또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접속부들에 그리고 굴곡 리브들의, 하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단들에 접속된 주변을 가지고 있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편평 허브는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35 내지 .065 의 범위의 높이 Hh에 의해 편평 발들의 평면 위로 사이 띄어 있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허브는, 다리들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측 단들에 접속된 주변을 포함하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허브가, 굴곡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굴곡 형상이 각 리브의 굴곡 중간부의 곡률 반경의 2분의 1 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며, 하향으로 연장하는 허브가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025 내지 .035 의 범위의 높이 Hh에 의해 다리들의 편평 발들의 평면 위로 사이 띄어 있는 굴곡 하측 선단을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부가 호칭 벽두께 t 를 가지고, 편평 발들의 평면 내측 선단들, 다리들의 내측 접속부들, 굴곡 리브들의 내측 하단들, 및 허브의 각각이 원통형 본체부의 호칭 두께 t 의 적어도 1.7 배의 벽두께 t' 를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각 다리의 하 편평 발이 끝을 자른 쇄기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각 굴곡 허브가 그들의 단들 간에 일반적으로 편평 단면을 가진,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각 다리의 외벽은, 원통형 본체부의 하측 선단의 인접부와 접선인 상측 단을 포함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다리의 외벽이, 원통형 본체부의 직경 D 의 약 .75 보다 큰 곡률 반경 Rw를 가지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6. 제1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 리브 34 가 원통형 본체의 직경 D 의 약 .6 보다 큰 곡률 반경 Rr을 가지어 리브로 부터 중심 축선 A 의 반대측 상에 곡률의 중심에 두고 있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7. 제1항, 제14항에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 다리가 연합 리브에 완전한 대향의 관계에 위치된 홀수의 다리들과 리브들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다섯의 다리들과 다섯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용기.
KR1019930701452A 1990-11-15 1991-10-03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자립 용기 KR0155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4,220 1990-11-15
US07/614,220 US5064080A (en) 1990-11-15 1990-11-15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PCT/US1991/007387 WO1992008647A1 (en) 1990-11-15 1991-10-03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5347B1 true KR0155347B1 (ko) 1999-02-18

Family

ID=2446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452A KR0155347B1 (ko) 1990-11-15 1991-10-03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자립 용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5064080A (ko)
EP (1) EP0557332B1 (ko)
JP (1) JP3074020B2 (ko)
KR (1) KR0155347B1 (ko)
AR (1) AR248374A1 (ko)
AT (1) ATE141085T1 (ko)
AU (1) AU642560B2 (ko)
BR (1) BR9107091A (ko)
CA (1) CA2092817C (ko)
DE (1) DE69121246T2 (ko)
ES (1) ES2090362T3 (ko)
FI (1) FI109289B (ko)
IE (1) IE73233B1 (ko)
IL (1) IL99943A0 (ko)
MX (1) MX9101980A (ko)
NO (1) NO180229C (ko)
NZ (1) NZ240290A (ko)
PT (1) PT99476B (ko)
RU (1) RU2096288C1 (ko)
WO (1) WO1992008647A1 (ko)
ZA (1) ZA918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1704B1 (en) 1901-11-22 2001-06-05 Sims Deltec, Inc. Drug pump systems and methods
US5615790A (en) * 1990-11-15 1997-04-01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US5287978A (en) * 1990-11-15 1994-02-22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GB2258209A (en) * 1991-07-30 1993-02-03 Sipa Spa Plastic bottle for containing either carbonated or non-carbonated beverages
US5427258A (en) * 1992-04-09 1995-06-27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Freestanding container with improved combination of properties
US5320230A (en) * 1992-06-08 1994-06-14 Yuan Fang Limited Base configuration for biaxial stretched blow molded pet containers
US5452815A (en) * 1992-06-08 1995-09-26 Yuan Fang Limited Base configuration for biaxial stretched blow molded pet containers
US5205434A (en) * 1992-06-09 1993-04-27 Constar Plastics, Inc. Footed container
US5464106A (en) * 1994-07-06 1995-11-07 Plastipak Packaging, Inc. Multi-layer containers
US5529196A (en) * 1994-09-09 1996-06-25 Hoover Universal, Inc.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with footed base structure
US5664695A (en) * 1995-01-06 1997-09-09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US5756018A (en) * 1995-03-22 1998-05-26 Pepsico, Inc. Footed plastic bottle
JP3612775B2 (ja) * 1995-03-28 2005-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耐熱耐圧自立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603423A (en) * 1995-05-01 1997-02-18 Ball Corporation Plastic container for carbonated beverages
USD419444S (en) * 1995-11-01 2000-01-25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ontainer bottom
WO1997016351A1 (en) * 1995-11-01 1997-05-09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Blow molded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US5732838A (en) * 1996-03-22 1998-03-31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having lower annular grip
US5785197A (en) * 1996-04-01 1998-07-28 Plastipak Packaging, Inc. Reinforced central base structure for a plastic container
US5906285A (en) * 1996-05-10 1999-05-25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US5772056A (en) * 1996-05-24 1998-06-30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US5803290A (en) * 1996-08-12 1998-09-08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bottle having annular grip
US5763012A (en) 1996-10-16 1998-06-09 Basf Aktiengesellschaft Coating of substrates
US6019236A (en) 1997-09-10 2000-02-01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having stable freestanding base
USD418414S (en) * 1998-06-08 2000-01-04 Cheng Jizu J Container bottom
US5988416A (en) 1998-07-10 1999-11-23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Footed container and base therefor
US6296471B1 (en) 1998-08-26 2001-10-02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Mold used to form a footed container and base therefor
US6085924A (en) * 1998-09-22 2000-07-11 Ball Corporation Plastic container for carbonated beverages
US6693275B1 (en) 2000-03-23 2004-02-17 Plastipak Pack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blow molded containers
US8127955B2 (en) 2000-08-31 2012-03-06 John Denner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US8381940B2 (en) 2002-09-30 2013-02-26 Co2 Pac Limited Pressure reinforc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pressure panel and related method of processing a plastic container
US8584879B2 (en) 2000-08-31 2013-11-19 Co2Pac Limit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and related methods
NZ521694A (en) 2002-09-30 2005-05-27 Co2 Pac Ltd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US10246238B2 (en) 2000-08-31 2019-04-02 Co2Pac Limit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and related methods
US10435223B2 (en) 2000-08-31 2019-10-08 Co2Pac Limited Method of handling a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base
MXPA03009531A (es) 2001-04-19 2004-12-06 Graham Packaging Co Base multifuncional para un contenedor de plastico de boca ancha moldeado por soplado.
US9969517B2 (en) 2002-09-30 2018-05-15 Co2Pac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plastic containers having a deep-set invertible base
US8954336B2 (en) 2004-02-23 2015-02-10 Smiths Medical Asd, Inc. Server for medical device
US7461756B2 (en) 2005-08-08 2008-12-09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having a freestanding, self-supporting base
EP3165247B1 (en) 2006-02-09 2020-10-2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umping flui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ing force application assembley
US8965707B2 (en) 2006-08-03 2015-02-24 Smiths Medical Asd, Inc. Interface for medical infusion pump
US8858526B2 (en) 2006-08-03 2014-10-14 Smiths Medical Asd, Inc. Interface for medical infusion pump
US8149131B2 (en) 2006-08-03 2012-04-03 Smiths Medical Asd, Inc. Interface for medical infusion pump
FR2910438B1 (fr) * 2006-12-21 2010-12-10 Evian Saeme Sa Bouteille en plastique a fond champagn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11897656B2 (en) 2007-02-09 2024-02-13 Co2Pac Limit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able base
US11731823B2 (en) 2007-02-09 2023-08-22 Co2Pac Limited Method of handling a plastic container having a moveable base
USD591156S1 (en) 2008-04-30 2009-04-28 Snapple Beverage Corporation Bottle
US8133197B2 (en) 2008-05-02 2012-03-13 Smiths Medical Asd, Inc. Display for pump
JP5370835B2 (ja) * 2009-07-13 2013-1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圧用ボトル
JP5424100B2 (ja) * 2009-07-13 2014-0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圧用ボトル
JP5428604B2 (ja) * 2009-07-13 2014-0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6140386B2 (ja) * 2011-02-04 2017-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5831784B2 (ja) * 2011-02-04 2015-12-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EP2948204B1 (en) 2013-01-28 2021-08-25 Smiths Medical ASD, Inc. Medication safety devices and methods
JP6842651B2 (ja) * 2016-10-14 2021-03-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容器および内容物入り容器
JP7455081B2 (ja) * 2021-02-22 2024-03-2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270A (en) * 1969-04-14 1971-08-10 Continental Can Co Bottom end structure for plastic containers
US3727783A (en) * 1971-06-15 1973-04-17 Du Pont Noneverting bottom for thermoplastic bottles
US3759410A (en) * 1971-12-15 1973-09-18 Owens Illinois Inc Pressure resistant plastic container
US3871541A (en) * 1973-02-26 1975-03-18 Continental Can Co Bottom structure for plastic containers
US3935955A (en) * 1975-02-13 1976-02-03 Continental Can Company, Inc. Container bottom structure
US4108324A (en) * 1977-05-23 1978-08-22 The Continental Group, Inc. Ribbed bottom structure for plastic container
JPS5541319U (ko) * 1978-09-08 1980-03-17
FR2448480A1 (fr) * 1979-02-07 1980-09-05 Solvay Corps creux en matiere thermoplastique orientee
DE2920122A1 (de) * 1979-05-18 1980-11-20 Voith Fischer Kunststofftech Kunststoffbehaelter fuer unter erhoehtem druck stehende fluessigkeiten
US4335821A (en) * 1979-07-03 1982-06-22 The Continental Group, Inc. Blow molded plastic material bottle bottom
US4267144A (en) * 1979-07-03 1981-05-12 The Continental Group, Inc. Process of reducing blowing cycle for blow molded containers
US4249667A (en) * 1979-10-25 1981-02-10 The Continental Group, Inc. Plastic container with a generally hemispherical bottom wall having hollow legs projecting therefrom
US4294366A (en) * 1980-03-17 1981-10-13 Owens-Illinois, Inc. Free-standing plastic bottle
US4318489A (en) * 1980-07-31 1982-03-09 Pepsico, Inc. Plastic bottle
US4368825A (en) * 1980-11-28 1983-01-18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Self-standing bottle structure
AU5625486A (en) * 1985-03-21 1986-10-13 Merimat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stics containers
EP0219696A3 (de) * 1985-10-22 1988-07-27 Unilever N.V. Hohlkörper aus Kunststoff
GB8529234D0 (en) * 1985-11-27 1986-01-02 Mendle Bros Ltd Bottle
EP0256082A1 (en) * 1986-02-14 1988-02-24 Norderney Investment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stics containers
US4785950A (en) * 1986-03-12 1988-11-2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Plastic bottle base reinforcement
GB2189214B (en) * 1986-04-21 1988-11-23 Fibrenyle Ltd Blow-moulded containers
US4867303A (en) * 1986-12-31 1989-09-19 Package Products, Inc. Bakery foods package
US4785948A (en) * 1987-02-03 1988-11-22 Herbert Strassheimer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reinforced wall structure and preform therefor
US4889752A (en) * 1987-05-29 1989-12-26 Devtech, Inc. One piece self-standing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JPH0199949A (ja) * 1987-10-09 1989-04-18 Toyo Seikan Kaisha Ltd 耐圧プラスチック容器
US4785949A (en) * 1987-12-11 1988-11-2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Base configuration for an internally pressurized container
ZA893987B (en) * 1988-06-17 1990-05-30 Hoover Universal Blow molded one-piece bott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865206A (en) * 1988-06-17 1989-09-12 Hoover Universal, Inc. Blow molded one-piece bottle
US4850493A (en) * 1988-06-20 1989-07-25 Hoover Universal, Inc. Blow molded bottle with self-supporting base reinforced by hollow ribs
US4850494A (en) * 1988-06-20 1989-07-25 Hoover Universal, Inc. Blow molded container with self-supporting base reinforced by hollow ribs
US4867323A (en) * 1988-07-15 1989-09-19 Hoover Universal, Inc. Blow molded bottle with improved self supporting base
US4910054A (en) * 1988-12-01 1990-03-20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Plastic preform having reinforced container base forming portion and container formed therefrom
GB8904417D0 (en) * 1989-02-27 1989-04-12 Mendle Limited A plastics bottle
US4978015A (en) * 1990-01-10 1990-12-18 North American Container, Inc. Plastic container for pressurized fluids
AU7749691A (en) * 1990-07-09 1992-02-04 S.C.I. Operations Pty Limited Trading As Smorgon Plastics An improve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92817C (en) 1997-11-18
FI109289B (fi) 2002-06-28
NO180229C (no) 1997-03-12
RU2096288C1 (ru) 1997-11-20
EP0557332B1 (en) 1996-08-07
NO931778L (no) 1993-05-14
FI932189L (fi) 1993-05-13
EP0557332A1 (en) 1993-09-01
NZ240290A (en) 1993-08-26
ATE141085T1 (de) 1996-08-15
BR9107091A (pt) 1993-10-05
IL99943A0 (en) 1992-08-18
PT99476A (pt) 1993-12-31
NO180229B (no) 1996-12-02
US5064080A (en) 1991-11-12
CA2092817A1 (en) 1992-05-16
PT99476B (pt) 1999-02-26
IE73233B1 (en) 1997-05-21
DE69121246T2 (de) 1996-12-05
WO1992008647A1 (en) 1992-05-29
MX9101980A (es) 1992-07-08
AU8876991A (en) 1992-06-11
AR248374A1 (es) 1995-08-18
DE69121246D1 (de) 1996-09-12
IE913730A1 (en) 1992-05-20
AU642560B2 (en) 1993-10-21
ES2090362T3 (es) 1996-10-16
JPH06502375A (ja) 1994-03-17
ZA918429B (en) 1992-10-28
EP0557332A4 (en) 1993-12-08
FI932189A0 (fi) 1993-05-13
NO931778D0 (no) 1993-05-14
JP3074020B2 (ja) 200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347B1 (ko) 플라스틱 취입성형의 자립 용기
KR100294388B1 (ko) 플라스틱취입성형의자립용기
US6659299B2 (en)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EP0348028B1 (en) Blow moulded bottle with self-supporting base
US4850494A (en) Blow molded container with self-supporting base reinforced by hollow ribs
US5139162A (en)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US6019236A (en)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having stable freestanding base
EP0479695A1 (en) Wide stance footed bottle
US5664695A (en) Plastic blow molded freestand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5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