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2354B1 -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 Google Patents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354B1
KR0152354B1 KR1019950042977A KR19950042977A KR0152354B1 KR 0152354 B1 KR0152354 B1 KR 0152354B1 KR 1019950042977 A KR1019950042977 A KR 1019950042977A KR 19950042977 A KR19950042977 A KR 19950042977A KR 0152354 B1 KR0152354 B1 KR 015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high voltage
low voltage
voltage region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775A (ko
Inventor
김장홍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354B1/ko
Publication of KR97003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1.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칩전체 레이아웃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혼합된 입출력전압을 사용하는 셀의 레이아웃을 좀 더 간편하게 하여 고전압과 저전압의 동작에 있어서 신호들간의 상호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고전압에서 동작하는 칩과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칩을 한 칩 즉 마스타 칩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타 칩내에 다수개의 메모리 셀들로 구성된 중심영역에서 상기 고전압과 저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면적을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하고,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웰영역을 각기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영역을 대응되는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외곽에 배치하고, 상기 고전압과 저전압의 논리레벨변환을 위한 논리레벨변환영역을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 사이에 배치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칩내부의 개략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고전압과 저전압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이아웃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일반적인 칩의 디자인의 경향이 고전압 즉 5볼트동작에서 저전압 즉 3.5볼트동작으로 옮겨가고 있는 상태이며, 이미 저전압동작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라 고전압에서 동작하는 칩과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칩 사이에 신호를 교환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의 한 방법으로 혼합된 입출력 셀의 개발이 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셀의 레아아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된 입출력전압을 사용하는 셀의 레이아웃을 쉽게 할수 있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과 저전압의 동작에 있어서 신호들간의 상호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아아웃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고전압에서 동작하는 칩과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칩을 한 칩 즉 마스타 칩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타 칩내에 다수개의 메모리 셀들로 구성된 중심영역에서 상기 고전압과 저전압에 의해 각기 동작하는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면적을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하고,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웰영역을 각기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의 입출력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영역을 대응되는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외곽에 배치하고, 상기 고전압과 저전압의 논리레벨변환을 위한 논리레벨변환영역을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에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및 부분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략적을 구성된 레이아웃 즉 평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평면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켜져야할 규칙이 있다. 그것은 첫째로 입출력 셀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일화되어야 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영역 A를 5볼트면 5볼트의 메모리 셀 영역과 5볼트의 입출력 셀영역을 사용하여야 하고, 3.3볼트면 3.3볼트의 메모리 셀 영역과 3.3볼트의 입출력 셀영역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철저한 웰영역을 통하여 1개의 칩안에서 서로 다른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2도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피형기판(31)상에 엔형 웰영역(32, 33)을 두어 5볼트와 3.3볼트에서 동작 가능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 엔형 웰영역(32,33)내에 드레인과 소오스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피형영역들(34)∼(37)이 형성되고, 상기 피형영역들(34)∼(37)사이의 채널영역상에 게이트층(41,42)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각 웰영역(32,33)내에 하나의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한 것이다.
제1도를 살며보면, 라인 B는 그라운드레벨의 접지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라인이고, 라인 C는 전원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라인을 나타낸다.
셋째로 상기 1개의 마스타 칩내부의 중심영역(20)과 입출력영역(10)은 전압영역에 따라 분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마스타 칩내부의 영역과 같이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3a도는 상기 중심영역(20)과 입출력영역(10)을 절반으로 나누어 한쪽절반인 왼쪽절반영역은 3.3볼트에서 동작하게 하고 나머지 다른 쪽절반은 5볼트에서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제3b도는 제3a도와 정반대로 구성했을 경우의 실시예이다. 제3c도는 고속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5볼트영역을 3.3볼트영역보다 더 크게 하여 상하로 나눈 형태이다. 제3d도는 전원소비를 줄이기 위해 3볼트영역을 5볼트영역보다 더 크게 하여 상하로 나눈 형태이다. 제3e도는 고속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5볼트영역을 3.3볼트영역보다 더 크게 설정한 경우인데 상기 칩내부를 네등분하여 5볼트영역이 3/4을 차지하고 3.3볼트영역이 1/4을 차지하게 나눈 형태이다. 제3f도는 제3e도와 정반대로 구성했을 경우의 실시예이다.
넷째로 상기 5볼트 신호와 3볼트 신호의 연결을 위한 논리레벨천이영역(30)을 상기 5볼트영역과 3볼트영역의 중간영역에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중심영역의 가운데 부분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내용에 의거한 적절한 칩사이즈의 혼합사용으로 인한 최적의 칩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된 입출력전압을 사용하는 셀의 레이아웃을 좀 더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과 저전압의 동작에 있어서 신호들간의 상호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면을 중심으로 고전압인 5볼트와 저전압인 3.3볼트에 한정하여 설명되었지만, 전압차가 있는 두 전압을 사용하는 회로에 적용가능함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고전압에서 동작하는 칩과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칩을 한 칩 즉 마스타 칩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타 칩내에 다수개의 메모리 셀들로 구성된 중심영역에서 상기 고전압과 저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면적을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하고,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전원을 분리하기 위한 웰영역을 각기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영역을 대응되는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의 외곽에 배치하고, 상기 고전압과 저전압의 논리레벨변환을 위한 논리레벨변환영역을 상기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 사이에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은 5볼트이고, 상기 저전압은 3.3볼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된 입출력셀의 레이아웃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의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은 고속동작을 수행하기를 원할때는 상기 저전압영역보다 고전압영역에 더 많은 면적을 할당하고, 저전원소비를 원할 때는 상기 고전압영역보다 저전압영역에 더 많은 면적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의 고전압영역과 저전압영역은 절반으로 나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KR1019950042977A 1995-11-22 1995-11-22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KR015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977A KR0152354B1 (ko) 1995-11-22 1995-11-22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977A KR0152354B1 (ko) 1995-11-22 1995-11-22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775A KR970030775A (ko) 1997-06-26
KR0152354B1 true KR0152354B1 (ko) 1998-10-01

Family

ID=1943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977A KR0152354B1 (ko) 1995-11-22 1995-11-22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3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775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347A (en) Layout method for designing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by using standard cells
US6838713B1 (en) Dual-height cell with variable width power rail architecture
US4651190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20020030510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low power and high speed operation
US4884118A (en) Double metal HCMOS compacted array
US6710625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a gate array structure
US4084152A (en) Time shared programmable logic array
US20060027835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890004321A (ko) 로직마크로 및 랜덤억세스메모리 마크로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US6605499B1 (en) Method of forming sea-of-cells array of transistors
US7257779B2 (en) Sea-of-cells array of transistors
US6396087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5780881A (en) Gate array driven by source voltages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US4395646A (en) Logic performing cell for use in array structures
KR0152354B1 (ko) 혼합된 입출력 셀의 레이아웃방법
US5063430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standard cells including internal wiring region
US7376013B2 (en) Compact virtual ground diffusion programmable ROM array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JPH0831581B2 (ja) 半導体装置
US6483131B1 (en) High density and high speed cell array architecture
KR950000498B1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의 메모리셀 회로
JP2522678B2 (ja) Cmos集積回路装置
KR19980044331A (ko) 삼중 금속층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197556B1 (ko) 반도체 장치에서 풀업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JPH10150175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75432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