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2135B1 - Electrical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ical terminal devic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35B1
KR0152135B1 KR1019940700379A KR19940700379A KR0152135B1 KR 0152135 B1 KR0152135 B1 KR 0152135B1 KR 1019940700379 A KR1019940700379 A KR 1019940700379A KR 19940700379 A KR19940700379 A KR 19940700379A KR 0152135 B1 KR0152135 B1 KR 015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ipc
terminal device
clamp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알베크 베른하르트
엠메리흐 헤르베르트
콜러 스테판
메브스 한스-페터
Original Assignee
알베크; 괴딕케
보슬로 쉬바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05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21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베크; 괴딕케, 보슬로 쉬바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베크; 괴딕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3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A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device having an insulation-piercing terminal contact (16) which is arranged in an insulating material housing (1) is constructed especially for use for automatic wiring, in such a manner that the housing, on at least one side, has a slot- or groove-like depression (21), which opens towards the insertion side for the conductor, adjacent to the insertion slot for the insulation-piercing terminal contact. The dimensions of this depression are selected such that a free end (27) (which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insulation-piercing terminal contact) of a line (24) (which makes contact in the insulation-piercing terminal contact) is held in the depression such that it is protected against being touched. <IMAGE>

Description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Electric clamp terminal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단자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the clamp terminal of FIG.

제3도는 제4도의 전선(Ⅲ-Ⅲ)을 따라 취한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amp terminal of FIG. 1 taken along the wire III-III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clamp terminal of FIG.

제5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전선 도입 영역을 다른 축척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3도에 대응하는 상세 단면도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ic wire introduction region of the clamp terminal of FIG. 1 at different scales, and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제6도는 및 제7도는 각각 제5도의 전선(Ⅵ-Ⅵ, Ⅶ-Ⅶ)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6 and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wires VI-VI and VIII of FIG. 5, respectively.

제8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clamp terminal of FIG.

제9도는 고정 엣지가 제공된 IPC 접촉부를 구비한 제1도의 클램프 단자로서 제5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5 with the clamp terminal of FIG. 1 having an IPC contact provided with a fixed edge.

제10도는 제1도의 두개의 클램프 단자를 구비한 전기 형광 램프 초크(choke)의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fluorescent lamp choke with the two clamp terminals of FIG.

제11도는 관련된 리테이너(retainer)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단자 장치를 구비한 캐패시터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acitor having an associated retainer and having a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클램프 단자 장치를 구비한 로드형(rod-like) 가스 배출 램프용 램프 기초부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mp base for a rod-like gas discharge lamp having a molded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두개의 연속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접속을 도시하는 제5도와 유사한 개략 단면도이다.13 and 14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imilar to FIG. 5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clamp terminals of FIG. 1, showing two successive steps, respectively.

제15도는 제1도의 접속된 클램프 단자를 도시하는 제5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다.FIG. 15 is a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5 showing the connected clamp terminal of FIG.

제16도는 제4도와, 제1도의 접촉된 클램프 단자에 대응하는 평면도로서, 접촉된 절연 전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the clamp terminal contacted in FIG. 4 and FIG. 1, which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ulated conductor in contact.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클램프 단자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1)을 가지며, 장방형의 상기 하우징(1)은 편평 바닥면의 부근에 배치된 연속 종방향 슬릿(3) 형태의 체결 또는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절연성 재질의 성형 기초부(2)상에 배치된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클램프 단자는 예컨대 전기 형광 램프 초크(electrical fluorescent lamp choke)(5)의 기초판(4)상에 그 바닥면이 위치되며, 태브(6)에 의해 기초판에 부착되고 기초판 밖으로 노치아웃되어 상향 만곡되며, 종방향 슬릿(3)을 통해 돌출한다.The clamp terminals shown in FIGS. 1 to 7 have a housing 1 of insulating material, the rectangular housing 1 being fastened in the form of a continuous longitudinal slit 3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flat bottom surface or It is arranged on a molding base 2 of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fixing device. As can be seen in FIG. 3, the clamp terminal is located on the base plate 4 of the electric fluorescent lamp choke 5, for example, and its bottom surface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by the tab 6. And it is notched out of the base plate and curved upwards, protruding through the longitudinal slit (3).

상부에서 전선 도입측 쪽으로 개방되는 하우징(1)의 두 측벽(7)은 그 내부에 두개의 대향 리브(rib)(8)를 가지며, 이들 리브(8)는 하우징(1)의 두 단부측부(9)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고 이 리브 사이에는 도입 슬릿(10)이, 상부에서 도입 경사부(11)에 의해 넓어지는 쐐기 형상 또는 평행측부 형태로 형성된다. 두개의 대향하는 좁은 홈(13, 제5도)이 아래로부터 리브(8)내로 도입 경사부(11)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스프링강 또는 스프링 청동으로 제조된 IPC 접촉부(16)의(엣지에서 개방되는 IPC 슬릿(14)을 형성하는) 두개의 레그(15)를 수용한다.The two side walls 7 of the housing 1, which are open from the top toward the wire introduction side, have two opposing ribs 8 therein, which are arranged at the two end sides of the housing 1 ( 9) An introduction slit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wedge or parallel side, which is dispos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between the ribs and is widened by the introduction inclined portion 11 at the top. Two opposing narrow grooves 13 (FIG. 5) extend from below to the height of the inlet ramp 11 into the ribs 8, at the edge of the IPC contact 16 made of spring steel or spring bronze. It receives two legs 15, which form an open IPC slit 14.

작은 판형상이고 IPC 슬릿(14)의 영역에서는 U자형인 좁은 IPC 접촉부(16)는, 레그(15)에 형성된 절단 세그먼트를 제외하고 모든 측부에서 하우징(1)의 절연재료에 매입되어 IPC 슬릿(14)을 향하며, 그 양 레그(15)는 홈(13)내에서 제한된 만큼 이동 안내된다. 두개의 레그(15)와 인접하는 그 비슬릿 영역에서, IPC 접촉부는 17(제3도)에 적절하게 형성되어 기초부(2)의 홈내로 도입되며, 이 홈에서 역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초크(5)의 전기 권선체는 전도체(19)를 경유하여 접속되는데, 이는 초크(choke)(5)의 상부에서 절연성 재질의 성형부(20)에 수납되고 그 타단부에서는 IPC 접촉부(16)에 전기 전도적으로 접속된다. IPC 슬릿(14)과 함께, IPC 접촉부(16)는 클램프 단자의 접속 영역을 형성한다.The narrow IPC contact portion 16, which is small plate-shaped and U-shaped in the region of the IPC slit 14, is embedded in the insulating material of the housing 1 at all sides except the cut segment formed in the leg 15, so that the IPC slit 14 And both legs 15 are guided by a limited movement in the groove 13. In its non-slit region adjacent to the two legs 15, the IPC contact is suitably formed in 17 (FIG. 3) and introduced into the groove of the base 2, which is also supported axially in this groove. The electrical winding of the choke 5 is connected via a conductor 19, which is housed in an insulating material 20 on top of the choke 5 and at the other end of the IPC contact 16. Is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Together with the IPC slit 14, the IPC contact 16 forms a connection area of the clamp terminal.

예컨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슬릿(10)에 인접하고 리브(8)의 양 측면상에 있는 하우징(1)은 하나의 홈형 만입부(21)를 가지며, 이 만입부의 장방형 또는 약간의 쐐기형 수렴 단면을 갖고 도입 슬릿(10)에 이웃하여 하우징(1)의 도입측으로 개방된다. 도입 슬릿(10)을 갖는 두개의 홈형 만입부(21)가 상호 정렬하여 위치되며, 마찬가지로 도입 경사부(22)에 의해 상부쪽으로 형성된다. 제3도 내지 제6도는, 홈형 만입부(21)의 깊이가 도입 슬릿(10)이 깊이보다 크고, 만입부의 폭(23)이 도입 슬릿(10)의 폭보다 실제로 크다는 것을 도시했다.As shown for example in FIGS. 1 to 5, the housing 1 adjacent to the introduction slit 10 and on both sides of the rib 8 has one grooved indent 21, which is indented. It has a negative rectangular or slightly wedge convergent cross section and is open to the introduction side of the housing 1 adjacent to the introduction slit 10. Two grooved indentations 21 with introduction slits 10 are positioned in alignment with each other and likewise formed upwards by introduction inclinations 22. 3 to 6 show that the depth of the grooved indentation 21 is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inlet slit 10, and that the width 23 of the indentation is actually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slit 10.

각 부분의 칫수는, 제16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도입 슬릿(10)을 통해 가압끼워진 절연 전선(24)을 위해 절연체(25)가 IPC 접촉부(16)의 레그(15)에 의해 IPC 슬릿(14)에 절단 개방되고, 동시에 클램프 포인트(clamp point)에서 변형되는 금속 전도체(26)와 IPC 접촉부(16) 사이에서 기밀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선택된다. 가압끼워진 전선(24)은 두개의 리브(8) 사이에서 절연체(25)에 의해 도입 슬릿(10)에 단단히 클램핑되며, 도면부호 12에서의 확장부(제6도)는 도입슬릿(10)내로 가압끼워질 때 그 절연체(25)에서 멈춤쇠(detent) 형태로 로킹되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고정되어 접속된 전선(24)은 홈형 만입부(21)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고, 그 클리핑된 단부(27)는 제14도 내지 제16도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홈형 만입부(21)에 위치된다.The dimensions of each part are such that the insulator 25 is connected by the legs 15 of the IPC contact 16 with the insulator 25 for the insulated wire 24 pressed through the inlet slit 10 in the manner shown in FIG. 14 is selected to establish a hermetic connection between the IPC contact 16 and the metal conductor 26 which is cut open and simultaneously deformed at the clamp point. The pressed wire 24 is clamped tightly to the inlet slit 10 by an insulator 25 between the two ribs 8, with the extension at FIG. 12 (FIG. 6) into the inlet slit 10. When press-fitted, the insulator 25 acts to lock in the form of a detent. This fixedly connected wire 24 extends through one of the grooved indentations 21, the clipped end 27 of which is further grooved indentatio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6. Is located at 21.

홈형 만입부(21)의 폭(23)과 깊이 및 그 축방향 길이는 전선(24)의 클리핑된 단부에 대해 접촉보호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치수 형성된다. 이는 충격위험 방지를 위한 테스트에서 표준 감지 프롱(prong)이 관련 홈형 만입부(21)의 깊이에서 전선(24) 단부(27)의 벗겨지고 클리핑된 절단면까지 관통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속제 IPC 접촉부(16) 자체는 절연성 재질 하우징(12)의 홈(13)에 있는 그 레그(15)에 의해 외부쪽으로 완전히 보호된다. 이는 도입 슬릿(10)의 영역에서도 확실하게 충격위험이 방지되는 깊이로 된다.The width 23 and the depth and the axial length of the grooved indentation 21 are dimensioned such that contact protection is automatically made to the clipped end of the wire 24. This means that in tests to avoid the risk of impact, the standard sensing prongs cannot penetrate to the peeled and clipped cut-out of the wire 24 end 27 at the depth of the associated grooved indentation 21. The metal IPC contact 16 itself is completely protected outwardly by its legs 15 in the groove 13 of the insulating material housing 12. This is a depth at which the impact risk is reliably prevented even in the region of the introduction slit 10.

제1도 내지 제7도와 관련하여 기술한 하우징(1)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정렬되는 두개의 홈형 만입부(21)가 도입 슬릿(10)의 어느 한 측면에 제공되며, 그 폭(23) 및 깊이는 수용될 전선(24)의 직경보다 크다. 전선(24)이 단지 접촉 영역을 통해 연속으로 놓여 있는 상태라면, 특별히 고려할만한 가치가 있는 홈형 만입부(21) 중 하나를 생략할 수도 있다. 각 경우에, 두개의 홈형 만입부(21)도 생략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housing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wo grooved indentations 21 which are mutually aligned ar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introduction slit 10, the width 23 of which is And the depth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24 to be received. If the wires 24 are only laid continuously through the contact area, one of the grooved indentations 21 of special consideration may be omitted. In each case, two grooved indentations 21 can also be omitted.

제8도는 하우징(1)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variant embodiment of the housing 1.

이 실시예에는, 단 하나의 홈형 만입부(21)가 존재하는데, 이는 도입 슬릿(10)이 개재되는 한쌍의 리브(8)에 의해 하우징(1a) 내에서 양 측면에 형성되므로 챔버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들 리브 쌍(8)은 각각 하우징(1a)에 측벽(9a)을 갖고 단부에서는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며, 그 도입 슬릿(10)에 의해 홈형 만입부(21)의 종방향 축과 정렬된다.In this embodiment, there is only one grooved indentation 21,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housing 1a by a pair of ribs 8 with the introduction slit 10 formed in a chamber manner. do. These rib pairs 8 each have side walls 9a in the housing 1a and are formed coplanar at the ends and are aligned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ooved indentation 21 by their introduction slit 10.

제8도의 두개의 도입 슬릿(10)의 영역에서는, 홈(13)이 대응하는 리브(8)쌍 각각에 형성되며, 이 홈에서 두개의 IPC 접촉부(16)의 레그(15)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멀리 펼쳐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 레그(15)쌍 각각은 관련 도입 슬릿(10)과 정렬되는 IPC 슬릿(14)을 형성한다. 제8도의 실시예는 접속 영역에서 접속된 전도체를 즉시 클립 오프(clip off) 시킬 수 있다.In the region of the two introduction slits 10 of FIG. 8, grooves 13 are formed in each of the corresponding pairs of ribs 8, in which the legs 15 of the two IPC contacts 16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is elastically spread out. Each pair of legs 15 forms an IPC slit 14 that is aligned with the associated introduction slit 10. The embodiment of FIG. 8 can immediately clip off the connected conductor in the connection area.

도시한 실시예에서, IPC 접촉부(16)는 예컨대 제16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가압끼워진 전도체(26)와의 접속만을 제공할 수 있다. 전선(24)이 접촉 지역에서 클립 오프되면 이는 이하에서 제13도 및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듯이 그 자체 공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하우징(1, 1a)에는 IPC 슬릿(10)에 가압끼워지는 전선(24)용의 적어도 하나의 클리퍼 엣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끼워짐과 동시에 전선은 클립 오프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PC contact 16 may only provide a connection with the conductor 26 pressed in, for example, the method shown in FIG. When the wire 24 is clipped off in the contact zone, this is done by the tool itself,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However, the housings 1 and 1a can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lipper edge for the wires 24 pressed against the IPC slit 10. Therefore, the wires can be clipped off at the same time as they are press fit.

이 실시예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제5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우징내로 도입된 IPC 접촉부(160)는 제한적으로 펼쳐지도록 두개의 탄성 금속 레그(150)에 의해 다시 두 개의 홈(13)에 지지된다. 그러나, 레그(150)의 양 측면에서, IPC 접촉부(160)는 그 U자로 구부러진 성형 레그 부분(29)에, 레그(150)로부터 횡방향으로 도입 슬릿(10)까지 약간 측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두개의 상부 지시 클리퍼 엣지(upper-pointing clipper edge)(28)를 가지고 있다. 클리퍼 엣지(28)는, 도입 슬릿(10)을 통해 위로부터 가압끼워진 전선(24)이 IPC 슬릿(14)에서 그 전도체(26)가 접촉된 후에 최종적으로 하나의 클리퍼 엣지(28)상으로 하향 가압되어 그곳에서 절단될 수 있도록 도입 슬릿(10)의 바닥(30) 위 일정 거리에 위치된다.As shown in FIG. 5, the IPC contacts 160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re again supported in the two grooves 13 by the two elastic metal legs 150 so as to be unfolded in a limited manner. However, on both sides of the leg 150, the IPC contact 160 extends slightly laterally spaced from the leg 150 to the introduction slit 10 laterally from the leg 150 to the forming leg portion 29 bent with its U-shape. It has two upper-pointing clipper edges 28. The clipper edge 28 is finally lowered onto one clipper edge 28 after the wire 24 pressurized from above via the inlet slit 10 has its conductors 26 in contact with the IPC slit 14. It is located at a distance above the bottom 30 of the introduction slit 10 so that it can be pressed and cut there.

제9도에서, 두개의 클리퍼 엣지는 리브(8)의 내부에 위치되며, 그로 인해 전선(24)의 절단면은 여전히 도입 슬릿(10)의 측방 경계의 내부에 잔류된다. 원칙적으로는 클리퍼 엣지(28)를 레그(150)로부터 측방으로 약간 멀리 이동시킬 수 있고, 단 하나의 클리퍼 엣지(8)를 IPC 접촉부(160)와 연관시킬 수도 있다.In FIG. 9, the two clipper edges are located inside the rib 8, whereby the cut surface of the wire 24 still remains inside the lateral boundary of the introduction slit 10. In principle, the clipper edge 28 may be moved slightly laterally away from the leg 150, and only one clipper edge 8 may be associated with the IPC contact 160.

제1도 내지 9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클램프 단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배선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 설비, 스위치 요소 및 장치 시스템을 구비한 독립적인 클램프 단자로서 연관될 수 있다. 그 예가 제3도 및 제10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두개의 클램프는 전술한 방식으로 가스 배출 램프의 자기 초크(5)의 기초판상에 그 하우징(1)과 함께 위치된다.The clamp terminal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S. 1 to 9 can be associated as independent clamp terminals with various types of electrical installations, switch elements and device systems, including electrical wiring boards, as already described. An example is shown in FIGS. 3 and 10, wherein two clamps are located together with their housing 1 on the base plate of the magnetic choke 5 of the gas discharge lamp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또한 클램프 단자는, 제1도에 도시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의 기초부(33)상에 단일 크램프 단자(32)와 함께 조인트로 배치되는 이중 클램프 단자의 형태로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클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캐패시터(capacitor)(34)는 절연성 재질의 기초부(33)에 고정되며, 더 이상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IPC 접촉부 또는 이중 클램프 단자(31)에 전기 접속된다. 상기 이중 클램프 단자(31)는, 두 개의 클램프 단자가 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를 만들고 그 두개의 하우징(1b)은 홈형 만입부(21)의 깊이를 지나 다소 연장되는 슬릿(34)에 의해 상호 분리되며 이들 하우징은 그 단면이 제3도와 동등한 공통의 성형된 연속 기초판(2b)에 착좌(seat)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도 내지 제7도와 연관하여 기술된 클램핑 단자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lamp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double clamp terminal which is arranged in a joint together with a single clamp terminal 32 on the base portion 33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shown in FIG. As shown, it can be formed with multiple clamps. Capacitor 34 is fixed to base 33 of insulating materi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PC contact or double clamp terminal 31 which is no longer described in detail. The double clamp terminal 31 is a combination of two clamp terminals to form a unit, and the two housings 1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lits 34 extending slightly beyond the depth of the grooved indentation 21. These housings have esse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clamping terminal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S. 1-7, except that their cross section seats on a common shaped continuous base plate 2b equivalent to FIG. Have

접속될 전기 장치 또는 전기 장치 시스템에 따라, 클램프 단자 장치는 이 장치 또는 장치 시스템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그 한 예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봉형 가스 배출 램프용 램프 소켓(35)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따라 기본적으로 설계된 두 개의 클램핑 단자의 두 하우징(12)이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성형 플라스틱 체결 다리(formed-on plastic fastening foot)(36)를 갖는다.Depending on the electrical device or electrical device system to be connected, the clamp terminal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is device or device system. One example is shown in FIG. The lamp socket 35 for the rod-shaped gas discharge lamp is formed-on plastic fastening in which two housings 12 of two clamping terminals designed basically according to FIGS. 1 to 7 are formed therein. foot) 36.

두개의 클램프 단자 장치의 홈형 만입부(21)의 축은 램프 소켓(35)내로 도입될 가스 배출 램프의 종방향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그 기본 구조는 제1도 내지 제7도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에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The axes of the grooved indentations 21 of the two clamp terminal devices are later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gas discharge lamp to be introduced into the lamp socket 35. Its basic structure is the same as in FIGS. 1-7,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herein again.

새로운 클램프 단자 장치는 특히 자동 직접 배선(automatic direct wiring)을 위한 자동화에 적합하게 설계된 것이다. 이것은 제13도 및 제14도와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한다.The new clamp terminal device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automation for automatic direct wiring. This is described below in connection with FIGS. 13 and 14.

자동 직접 배선에서, 도면부호 37로 개략적으로만 도시한 배선 공구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프로그램 제어되는 산업 로봇에 의해, 배선될 미리조립된 전기 장치 위의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이들 경로는 배선 코스와 일치하며 전자 부품의 다양한 단자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들 단자의 각각은 제1도에 도시한 형태와 비슷한 클램프 단자 장치를 가지며, 제13도와 제14도에서는 제5도에 대응하여 하우징(1)의 상부에 의해 제안된다.In automatic direct wiring, the wiring tool, shown only schematically at 37, is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over a pre-assembled electrical device to be wired, for example by a program controlled industrial robot tha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se paths coincide with the wiring course and extend between the various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ach of these terminals has a clamp terminal arrangement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 and is proposed by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 in correspondence with FIG.

배선 공구(37)는 그 하부에 장방형 단면의 강성 배선 프롱(38)을 갖는데, 도면에 대해 직각으로의 그 최소 운동을 위한 폭은 홈형 만입부(21)의 폭(23)과 동일하다(제7도 참조).The wiring tool 37 has a rigid wiring prong 38 with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t the bottom thereof, the width for its minimum movement at right angles to the drawing is equal to the width 23 of the grooved indentation 21 (first See also 7).

배선 프롱(38)에는 전선 안내 도관(39)이 형성되며, 공급 장치를 경유하여 코일등으로부터 연속 인발된 전선은 상기 도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도관은, 마우쓰(mouth)(41)에서 나온 전선(24) 세그먼트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평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측면(40)의 41에서 개방된다.A wire guide conduit 39 is formed in the wiring prong 38, and the wire drawn continuously from the coil or the like is supplied to the conduit via a supply device, and the conduit is an electric wire from the mouth 41. (24) The segment is opened at 41 of the vertical side 40 to be horizontally aligned as shown in FIG.

편평 측면(40)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이와 평행하게 램(42)이 제공되며, 이 램은 배선 공구(36)상에서 승강되도록 지지되며, 마우쓰(41)로부터 돌출되는 전선(24)의 수평 세그먼트상에 가압면(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세그먼트는 한편으로는 가압면(43) 상에 고정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마우쓰(41)의 영역에서 전선 안내 도관(39)의 상부 경계상에 고정 지지된다.A ram 42 is provided parallel to and spaced laterally from the flat side 40, the ram being supported to be elevated on the wiring tool 36, the horizontal segment of the wire 24 protruding from the mouse 41. It can be supported by the pressing surface 43 on. Thus, the horizontal segment is fixedly supported on the pressing surface 43 on the one hand and on the upper boundary of the wire guide conduit 39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of the mouth 41.

램(42)과 측면(40) 사이에는 틈새(44)가 형성되는데, 그 폭은 하우징(1)의 한쌍의 리브(8) 폭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다. 램(42) 자체는 장방형의 단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 도면의 평면과 직각 방향의 폭은, 운동을 위한 필요 간격을 포함하여 도입 슬릿(10)의 폭과 일치하지만, 홈형 만입부(21)의 폭(23)과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A gap 44 is formed between the ram 42 and the side 40, the width of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air of ribs 8 of the housing 1. The ram 42 itself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drawing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inlet slit 10, including the necessary spacing for movement, but may be selected to match the width 23 of the grooved indentation 21. .

자동 직접 배선에서, 배선 공구(31)는 산업 로봇과 감지 수단의 협력하에 단자의 클램프 단자 장치의 하우징(12) 위에 정밀 정확하게 위치되며, 그로 인해 전체 시스템은 램(42)이 그 전진된 지지 위치에 있게 되는 제13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게 된다.In automatic direct wiring, the wiring tool 31 is precisely and precisely positioned above the housing 12 of the clamp terminal device of the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industrial robot and the sensing means, whereby the entire system is supported by the ram 42 at its advanced support position.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배선 공구(37)는 이제 그 배선 프롱(38)에 의해 수직으로 하방 이동되며, 배선 프롱(38)은 제14도에서 알 수 있듯이 위로부터 오른쪽 홈형 만입부(21) 내로 이동하며, 동시에 램(42)은 왼쪽 홈형 만입부(21) 내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도입 슬릿(10)내로 활주한다. IPC 접촉부(16)는 측면(40)과 램(42) 사이의 틈새(44)에 놓인다.The wiring tool 37 is now vertically moved downwards by its wiring prong 38, and the wiring prong 38 moves from the top into the right grooved indent 21 as seen in FIG. 42 slides into the left grooved indent 21 and partially into the inlet slit 10. The IPC contact 16 lies in the gap 44 between the side 40 and the ram 42.

배선 공구(37)의 하방 운동시에, IPC 접촉부(16)의 양 측면상의 두 지점에서 가압면(43)과 마우쓰(41) 상부 사이에 정확히 지지 및 유지되는 전선 세그먼트는, 확대부(12)(제5도)내로 들어가서 멈춤쇠 형태로 로크되기까지 위로부터 도입 슬릿(10)을 통해 IPC 슬릿(14)내로 가압된다. 이렇게 해서 전기 전도체(26)가 IPC 접촉부(16)에 완벽하게 접촉되며, 전선(24)의 전기 절연체(25)는 측방으로 클램프되어 도입 슬릿(10)에서 대향 리브(8)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선(24)은 기밀한 (air-tight) 형태로 접속될 분 아니라 긴장 완화 방식으로 그 절연체(25)에 고정된다(제16도 참조).I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wiring tool 37, the wire segment that is supported and held accurately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43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ouse 41 at two points on both sides of the IPC contact portion 16 is an enlarged portion 12. (Figure 5) is pressed from above into the IPC slit 14 through the inlet slit 10 until it is locked in the form of a detent. In this way the electrical conductor 26 is in perfect contact with the IPC contact 16 and the electrical insulator 25 of the wire 24 is clamped laterally and fixed between the opposing ribs 8 in the inlet slit 10. Thus, the wires 24 are not connected in air-tight form but are fixed to the insulator 25 in a strain relief manner (see also FIG. 16).

전선(24)을 도입 슬릿(10)과 IPC 슬릿(14)내로 도입하는 데 있어서, 홈형 만입부(21)는 배선 프롱(38)과 램(42)이 상술한 두개의 슬릿과 완벽하고 정확하게 측방 연관되도록 보장한다.In introducing the wires 24 into the inlet slit 10 and the IPC slit 14, the grooved indentation 21 is perfectly and precisely lateral to the two slits described above by the wiring prong 38 and the ram 42. To ensure that they are relevant.

클램프 단자 장치의 조립시의 작은 에러는 도입 경사부(22)에 의해 자동으로 보정된다. 만입부(21)의 측면은 안내면으로서 작동한다.The small error in assembling the clamp terminal device is automatically corrected by the introduction inclination portion 22. The side of the indent 21 acts as a guide surface.

전선(24)이 단자에 단지 관통 배선된다면, 즉 단자를 통해 연속하여 배치된다면, 전선(24)이 도입 슬릿(10) 내로 도입되고 전도체(26)가 IPC 슬릿(14)에 접촉된 후에, 램(42)은 단지 배선공구(37)내의 먼 휴지 위치로 상향 이동되며, 이 때, 산업 로봇은 제13도에 따라 트리거되는 유사한 설계의 클램프 단자 장치에 의해, 배선 공구(37)를 그 배선 프롱(38)과 함께 프로그래밍된 경로를 따라 다음 경로로 이동시킨다. 상기 배선 공구(36)의 이러한 변위 이동 중에 필수 전선 길이가 전선 안내 도관(39)을 거쳐 변위 이동과 동기적으로 공급된다.If the wires 24 are only through-wired to the terminals, that is to say arranged continuously through the terminals, then after the wires 24 are introduced into the inlet slit 10 and the conductors 26 are in contact with the IPC slit 14, the ram 42 is only moved upwards to a distant resting position in the wiring tool 37, wherein the industrial robot uses the clamp terminal device of a similar design, triggered according to FIG. 13, to connect the wiring tool 37 to its wiring prong. Move to the next path along the path programmed with (38). During this displacement movement of the wiring tool 36 the required wire length is supplied synchronously with the displacement movement via the wire guide conduit 39.

그러나, 전선(24)이 단자에서 클리핑되게 되면, 이후 제9도에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IPC 접촉부가 이 단자에 제공될 수도 있고, 그 클리퍼 엣지(28)에서 램(42)은 전도체(26)를 클리퍼 엣지(28)상에 간단히 가압하여 접촉한 후에 전도체(26)를 클리핑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배선 공구(37)상에 제어된 클리퍼 블레이드(45)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는 측면(40)상에 지지되므로써 상하로 승강될 수 있고 그 클리퍼 엣지(46)와 함께 제13도에 도시하는 위치를 벗어나 전방으로 제14도에 도시되는 클리핑 위치로 이동되며 이 위치에서 클리퍼 엣지(46)는 마우쓰(41)를 추월하여 전선(24)을 절단한다.However, if the wire 24 is to be clipped at the terminal, then one other IPC contact, corresponding to FIG. 9, may be provided at this terminal, and at its clipper edge 28 the ram 42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26. Is simply pressed onto the clipper edge 28 to contact and clip the conductor 26. As an alternative, however, a controlled clipper blade 45 on the wiring tool 37 can also be used for this purpose, which blade can be lifted up and down by being supported on the side 40 and its clipper edge ( 46, and out of the position shown in FIG. 13, it is moved forward to the clipping position shown in FIG. 14. At this position, the clipper edge 46 overtakes the mouse 41 and cuts the wire 24. .

클리퍼 블레이드(45)는 하우징(1)의 홈형 만입부(21)내에 블레이드를 위한 공간이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 엣지(46) 부근에는 경사면(47)이 존재하며, 이 경사면은 클리핑 과정에서 절연체(25)에 의해 도입 슬릿(10)에 단단히 클램프된 전선 단부(27)를 약 90°정도 하방으로 구부리므로써 전도체(26)의 노출된 금속 절단면이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입부(21)의 바닥부쪽으로 향하도록 하게 한다.The clipper blade 45 is formed so that there is space for the blade in the grooved indentation 21 of the housing 1. An inclined surface 47 exists near the fixed edge 46, which is bent downward by about 90 ° by bending the wire end 27 securely clamped to the inlet slit 10 by the insulator 25 during the clipping process. The exposed metal cut surface of the conductor 26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of the indent 21 as shown in FIGS. 14 and 15.

일단 전선(24)이 클리핑되면, 클리퍼 블레이드(45)와 램(42)이 그 휴지 위치로 복귀되며, 배선 공구(37)는 단자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클램프 단자 장치는 제15도에 도시한 상황에 있게 된다.Once the wire 24 is clipped, the clipper blade 45 and the ram 42 return to their rest position, the wiring tool 37 moves away from the terminal, and the clamp terminal device is shown in FIG. Will be in.

금속 전도체의 절단면이 외부로부터 우연히 접촉되지 않도록 홈형 만입부(21)의 깊이, 폭, 길이가 선택되므로, 제14도에 도시한 클리핑 작업이 완성되면 전선 단부(27)는 단자에서 자동적으로 확실히 충격위헙 보호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설비가 필요없다.Since the depth, width, and length of the groove-shaped indentation 21 are selected so that the cut surface of the metal conductor is not accidentally contacted from the outside, the wire end 27 is automatically and reliably automatically impacted at the terminal when the clipping operation shown in FIG. 14 is completed. The risk is protected and no other equipment is required to achieve this.

제8도에 도시된 형태의 클램프 단자 장치가 사용된다면, 클리핑된 전선 단부(27)는 챔버형 만입부(21)에 휴지 위치되어, 상기 만입부에서 다시 충격 위험이 방지되지만, 동시에 클램핑 단자 장치는 보다 짧은 구조적 길이로 형성될수 있다. 더구나, 두개의 전선이 양 측부로 접촉될 수 있다.If a clamp terminal device of the type shown in FIG. 8 is used, the clipped wire end 27 is rested at the chamber-shaped indentation 21, preventing the risk of impact again at the indentation, but at the same time clamping terminal device Can be formed with a shorter structural length. Moreover, two wires may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본 발명은 도입 측을 향하여 엣지(edge)에서 개방되어 있는 전선용의 하나 이상의 도입 슬릿(introduction slit)과, 하우징에 배치되어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클램프 또는 IPC(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접촉부로서 그 IPC슬릿이 전도체(conductor)와 접속되도록 엣지에서 개방되고 도입 슬릿과 정렬되는 IPC 접촉부를 구비하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housing)을 구비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electrical clamping terminal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t least one introduction slit for an electric wire which is open at the edge towards the introduction side, and at least one cut-clamp or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IPC) contact disposed in the housing to form a contact area. And an electrical clamping terminal arrangement with an insulating material housing having an IPC contact open at the edge and aligned with the inlet slit such that the IPC slit is connected with a conductor.

오늘날, 전기 장치 또는 전기 부품을 배선의 전선에 접속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예컨대, 나사 접속, 플러그-인 접속, 땜납 및 IPC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Today, various techniques for 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or electrical components to wires of wiring (eg, screw connections, plug-in connections, solder and IPC methods) are widely used.

이러한 접속 기술에 따라 설계된 클램프 단자 장치의 대부분은 배선이 제조될 때 많은 조작 단계를 필요로 하며, 이들 단계는 주로 수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때로는 전기 접속을 행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기술과 주의를 요한다. 이것은 장치가 메인 파워 시스템(main power system)에 접속하는 경우와 같이 전기 장치의 일부 클램프 단자(clamp terminal)를 접속하는 것이 유일한 관심사인 경우에는 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단자가 있는 복잡한 배선을 위해서나 동일한 전기 장치를 다량 제조할 때, 완벽하게 접촉된 전기 접속체를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및 재료의 소비는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전기 접속을 이루는데 필요한 조작 단계의 복잡성은 배선의 자동화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상당히 중요한 산업적 노력으로만 가능하게 한다.Most of the clamp terminal devices designed according to this connection technique require many operation steps when the wiring is manufactured, and these steps must be mainly manual and sometimes require considerable skill and attention to those who make electrical connections. This plays a less important role when connecting only some clamp terminals of an electrical device is the only concern, such as when the device is connected to a main power system. However, for complicated wiring with many terminals or when manufacturing large quantities of the same electrical device, the consumption of time and materials required to produce a fully contacted electrical contact is of great importance. In particular, the complexity of the operating steps required to make the electrical connection makes it impossible to automate the wiring or only with a significant industrial effort.

종래의 접속 기술중에 절단-클램프(cut-clamp) 또는 IPC(절연 관통 접속) 방법으로 공지된 것은 조립을 위해 단지 전선을 고정하여 IPC 접촉부내로 누르는 것만을 요구하므로 배교적 적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속법의 기본 특징에 따라 설계된 클램프 단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2 330 159호, 독일 실용신안(DE-GM) 제88 04 388호, 87 14 703호, 88 12 057호 및 미국 특허 제2, 501, 187호 등이 있으며, 1982년도분 측정+테스트/자동 시스템(Measurement+Testing/Automatic Systems) 7/월호의 491 및 492 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관점에서 설계된 이들 접속 장치는 그 어느것도 전기 장치 또는 전기 장치 시스템을 완전히 직접 자동 배선하는데 적합하게 된 기능적 특성을 갖는 것이 없었다.Known as a cut-clamp or insulated through connection (IPC) method in conventional connection techniques requires only a handful of labor, as it only requires securing the wire and pressing it into the IPC contact for assembly. Clamp terminal devices designed according to the basic features of this connection method are known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French Patent No. 2 330 159, German Utility Model (DE-GM) No. 88 04 388, 87 14 703, 88 12 057 and US Pat. Nos. 2, 501, 187, and the like, which are found on pages 491 and 492 of the July 1982 Measurement + Testing / Automatic Systems issue. However, none of these connection devices design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hav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m suitable for fully direct automatic wiring of electrical devices or electrical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 배선 조작을 자동화하기에 적당하게 설계된 소위 IPC 방법에 의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by the so-called IPC method which is suitably designed to automate direct wiring operation.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두에 언급한 본 발명의 클램프 단자 장치는, 하우징이 도입 슬릿과 인접하는 일 측부에 도입측에 향해 개방되는 슬릿형(slitlike) 또는 홈형(groovelike)의 만입부(indentation)를 가지며, 만입부의 칫수는 IPC 접촉부에 접촉되는 전선의 IPC접촉부 부근에 위치하는 자유단부가 충격 위험 방지식(shock+-hazard-proof manner)으로 만입부에 수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clamp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t the beginning has a slitlike or grooved indentation in which the housing is opened toward the introduction side at one side adjacent to the introduction slit. The dimension of the indenta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 located near the IPC contact portion of the wire in contact with the IPC contact portion is selected to be received in the indentation in a shock + -hazard-proof manner.

이러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때 전도체가 IPC 접촉부에 이웃하여 클립핑되면 전도체가 접촉될 때 그 자유단부가 자동으로 완벽하게 충격위험 방지된다. 동시에, 클램프 단자 장치는 완전한 자동 직접 권선체를 위한 모든 조건이 이용될 수 있도록 관통 배선을 할 수 있다. 하우징의 도입 슬릿은 가압 끼워진 전선의 클램핑 고정을 유발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충격 위험 방지뿐 아니라 접촉 과정에서 인장 완화를 즉각적으로 얻어낼 수 있게 한다. 접속을 실행하는데 다른 단계가 필요없기 때문에, 각각의 단자에는 직접 배선을 자동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선행 조건인 배선 공구를 한 번만 접근시키면 된다.In such electrical clamp terminal arrangements, for example, if the conductor is clipped adjacent to the IPC contact when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its free end is automatically completely shock-proof when the conductor is contacted. At the same time, the clamp terminal device can be through wired so that all conditions for a fully automatic direct winding can be used. The inlet slit of the housing may have a width which causes clamping fixation of the press-fitted wi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immediately obtain tension relief in the contact process as well as to avoid the risk of impact. Since no other steps are required to carry out the connection, each terminal needs only one access to the wiring tool,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automating the direct wiring.

상기 IPC 슬릿은 또한 전도체가 가압 끼워넣어질때 일정한 높이오차를 허용하므로 배선의 자동화에 기여한다. 동시에, 넓은 표면적 위에 전도체를 기밀하게 접촉하는 것이 보장되며, 가압하여 끼워넣을 때 전도체는, 전도체 절연체가 우선적으로 별도의 단계로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에 그러하듯이 전도체 표면의 산화가 불가능하도록 냉간 용접 방식으로 즉각적으로 접촉된다. 전도체가 IPC 접촉부에 바로 이웃하여 클리핑되고 이후 자동으로 그 자유단부가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에서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보호된다는 사실은 매우 짧은 마무리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는 즉 일체의 낭비없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많은 단자를 갖는 보다 넓은 배선 레이아웃의 경우 이는 재료의 상당한 절감으로 이어진다.The IPC slit also contributes to the automation of the wiring since it allows a constant height error when the conductor is press-fit. At the same time, it is ensured that the conductors are hermetically contacted over a large surface area, and when pressed in, the conductors are cold-welded in such a way that oxidation of the conductor surface is not possible, as would be the case when the conductor insulator should be removed first in a separate step. Are immediately contacted. The fact that the conductors are clipp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IPC contacts and then automatically their free ends are protected against the risk of impact at slit or grooved indentations makes it possible to work with very short finishes, ie without any waste. It is. For wider wiring layouts with many terminals this leads to significant savings in materials.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의 폭은 도입 슬릿의 폭보다 실제로 크다. 충격 위험 방지를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클램프 장치의 설계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는,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가 도입 슬릿보다 깊어야 유리한데, 이는 클리핑된 전도체의 자유 단부가 IPC 접촉부 뒤에서 만입부의 기초부 또는 바닥을 향해 하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width of the slit or groove indent is actual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troduction slit. In order to improve the impact risk protection and simplify the design of the overall clamping device, it is advantageous for the slit or grooved indentation to be deeper than the inlet slit,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clipped conductor is directed towards the base or bottom of the indentation behind the IPC contact. This is to allow it to bend downward.

원칙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홈형 또는 슬릿형 만입부를 IPC 접촉부의 한측면 또는 양 측면에 제공하고, 일단부에서 개방되는 채널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슬릿형 또는 홈형의 만입부가 챔버로서 형성되어 접촉된 전도체의 노출 단부가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보호되도록 만드는 것도 실제적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클램프 단자 장치의 구조적 길이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챔버는 그 각각이 관련 도입 슬릿을 갖는 IPC 접촉부에 의해 양 측부에 형성되며, 이는 두 개의 전도체를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클립하거나 클램프 단자 장치를 사용하여 단일의 전도체를 좌우로 접속하거나 최종적으로 이를 관통 배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In principle, this type of grooved or slit-shaped indentation can be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IPC contact and can be designed in the form of a channel open at one end. In some cases, however, it may also be practical to form a slit or groove indent as a chamber so that the exposed end of the contacted conductor is protected against shock. In this way, the structural length of the clamp terminal device can be further reduced. The chambers are formed on both sides by IPC contacts, each of which has an associated introduction slit, which selectively connects or clips the two conductors or uses a clamp terminal device to connect a single conductor from side to side or finally through it. Can be used for wiring.

전선의 자동 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려면, 슬릿형 또는 홈형의 만입부를 예컨대 도입 경사부(introduction bevel)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확대부(widening)를 갖는 도입측부상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슬릿형 또는 홈형의 만입부는 배선 공구용 안내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의하면 전선이 도입되어 접촉될 때 추가적인 안내 장치 없이도 배선 공구를 IPC 슬릿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automatic introduction of the electric wire, it is advantageous to provide a slit or grooved indentation on the introduction side with a widening which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an introduction bevel. Further, the slit or groove indentation may have a guide surface for the wiring tool. This design allows the wiring tool to be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IPC slit without additional guidance when the wire is introduced and in contact.

클램프 단자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특정 단자에 전선을 클립시키면, 이는 자동 배선 공구상에 나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는 전선을 IPC 슬릿내로 가압 끼워넣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리퍼 엣지를 클램프 단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 있다. 클리퍼 엣지는 예를 들어 IPC 접촉부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전도체가 밀어넣어질때 작동한다.Clipping the wires to a specific terminal formed by the clamp terminal device can be done using a knife on the automatic wiring tool. Another option is to provide the clamp terminal device with at least one clipper edge for press fitting the wire into the IPC slit. The clipper edge can be formed on the IPC contact, for example. This works when the conductor is pushed in.

독립적인 클램프 단자로서 단일 또는 다중 클램핑 버전으로서의 새로운 클램프 단자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은 성형된 고정 수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하우징이 전기 스위치 요소의 일부로 형성되거나 스위치 소자의 일부로 형성되므로, 클램프 단자 장치를 전기 스위치 요소와 직접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실용적이다.As independent clamp terminals a new clamp terminal device can be formed as a single or multiple clamping version.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may have shaped fixing means. However, sometimes the housing is formed as part of the electrical switch element or as part of the switch element, so it is practical to form the clamp terminal device directly integrally with the electrical switch elemen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한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n the drawings.

Claims (12)

배선공구로 자동 배선하기 위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로서, 절연된 전선(24)을 수용하도록 엣지에서 도입부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도입 슬릿(10)과, 하우징(1)에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설치되어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IPC(insulating piercing connector) 단자(16)를 구비하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1)을 구비하며, 상기 IPC 단자에는 전도체와 접속되도록 도입 엣지에서 개방되고 상기 도입 슬릿(10)과 정렬되는 IPC 슬릿(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 1a)의 적어도 한 측부에는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가 IPC 단자에 대해 바깥쪽으로 그리고 도입 슬릿(10)과 정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21)는 도입 슬릿(10)보다 큰 폭을 가지며, 그 일단부에서는 도입 슬릿과 인접하고 도입측을 향해 개방되며, 타단부에서는 도입 슬릿(10)으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멀어지고(face away), 상기 만입부(21)는 IPC단자에 접촉되는 전선(24)의 선택적으로 절단된 자유단부(27)를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수용하여 위치시키도록 치수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하우징(1)은, 상기 전선이 IPC 슬릿(14)내로 도입되어 접촉될 때 상기 배선공구를 IPC 슬릿에 대해 안내 또는 중심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 수단은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의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An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for automatic wiring to a wiring tool, comprising: at least one inlet slit (10) open from the edge to the inlet to accommodate insulated wires (24), and shock-proof in the housing (1) An insulating material housing (1) having an insulating piercing connector (IPC) terminal 16 forming a contact area, said IPC terminal being open at an inlet edge to be connected with a conductor and aligned with said inlet slit 10 An IPC slit 14 is formed, wherein at least one side of the housing 1, 1a is formed with a slit or groove indent 21 outward with respect to the IPC terminal and aligned with the introduction slit 10. The indentation portion 21 has a larger width than the inlet slit 10, at one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inlet slit and is open toward the inlet side, and at the other end the outer portion of the housing from the inlet slit 10. Face away, the indentation 21 is dimensioned to receive and position the selectively cut free end 27 of the wire 24 in contact with the IPC terminal in an impact-safe manner, The housing 1 has means for guiding or centering the wiring tool with respect to the IPC slit when the wire is introduced into and contacted with the IPC slit 14, the guiding means being a slit or groove indent ( 21. An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guide surface of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의 폭(23)은 도입 슬릿(10)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2.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23) of the slit or groove indents (2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troduction slit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슬릿(10)은 가압끼워진 전선(24)의 클램프 고정을 유발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2. The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roduction slit (10) has a width that causes clamping of the pressed wire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도입 슬릿(10) 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2.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or groove indents (21) are deeper than the introduction slit (10). 제1항에 있어서, 상시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챔버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The electric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stant slit or groove indents are formed as chamb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양 측면에서 IPC 접촉부(16)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접촉부는 관련 도입 슬릿(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6.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ber is formed by IPC contacts (16) on both sides and each contact has an associated introduction slit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도입측에 확대부(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2. The electric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t or groove-shaped indentation (21) has an enlarged portion (12) on the introduction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배선 공구(37, 38, 42)용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2.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or groove indentation (21) has a guide surface for the wiring tool (37, 38, 42). 제1항에 있어서, IPC슬릿(14)내로 가압끼워질 전선(24)용의 하나 이상의 클리퍼 엣지(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2.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one or more clipper edges (28) for wires (24) to be pressed into the IPC slit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퍼 엣지(28)는 IPC 접촉부(160)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10. The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lipper edge (28) is formed on an IPC contact (16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1a)은 성형 고정 수단(3, formed-on securing mean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11.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1, 1a) has formed-on securing means (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전기 스위치 요소(35, electrical switch element)의 일부분(36)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11. Electrical clam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1) is formed on a portion (36) of an electrical switch element (35).
KR1019940700379A 1992-06-06 1993-05-25 Electrical terminal device KR01521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18740.0 1992-06-06
DE4218740A DE4218740C2 (en) 1992-06-06 1992-06-06 Electrical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2135B1 true KR0152135B1 (en) 1998-10-15

Family

ID=646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379A KR0152135B1 (en) 1992-06-06 1993-05-25 Electrical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573792B1 (en)
JP (1) JP2620056B2 (en)
KR (1) KR0152135B1 (en)
AT (1) ATE170336T1 (en)
AU (1) AU668566B2 (en)
DE (2) DE4218740C2 (en)
ES (1) ES2119829T3 (en)
HK (1) HK1009714A1 (en)
RU (1) RU2082262C1 (en)
SG (1) SG52271A1 (en)
TW (1) TW303987U (en)
WO (1) WO199302606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44177B1 (en) 2024-08-20 2024-12-1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yrolysis and InTreatment hybrid Apparatus of was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2776C2 (en) * 1993-04-20 1995-08-31 Vossloh Schwabe Gmbh Socket for electrical equipment
DE4413643C2 (en) * 1994-04-20 1996-03-28 Vossloh Schwabe Gmbh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ion terminal
DE19701795A1 (en) * 1997-01-20 1998-07-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ctric light, such as low pressure (LP) discharge lamp
DE19701796A1 (en) * 1997-01-20 1998-07-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ctric light fitting with housing and at least one low-pressure (LP) tubular discharge lamp
DE10055148C2 (en) * 2000-11-07 2003-05-22 Phoenix Contact Gmbh & Co Cable connection or connection device
JP4804249B2 (en) * 2006-07-13 201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Shield connector
CN114172000A (en) * 2021-11-26 2022-03-11 浙江启明电力集团有限公司电力建设分公司 Wi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1187A (en) * 1945-03-14 1950-03-21 Oortgijsen Jan Connector for joining conductors
CA963552A (en) * 1971-06-28 1975-02-25 James H. Bazille (Jr.) Solderless wire connector
CA981352A (en) * 1972-04-08 1976-01-06 Roberto Plana Electrical connectors
FR2330159A1 (en) * 1975-10-27 1977-05-27 Carpano & Pons CLAMP FOR THE CONNECTION OF ELECTRIC CONDUCTORS
AR208483A1 (en) * 1975-11-10 1976-12-27 Amp Inc ELECTRICAL TERMINAL
NL7513722A (en) * 1975-11-25 1977-05-27 Du Pont MULTIPLE CONTACT DEVICE, AS WELL AS METHOD AND ASSEMBLY MACHINE FOR MOUNTING SUCH CONTACT DEVICES TO INSULATED POWER WIRES TO OBTAIN PRE-PRODUCT.
US4210999A (en) * 1977-05-31 1980-07-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for wiring electrical bays
GB2112217A (en) * 1981-12-17 1983-07-13 Broomadit Limited An electrical connector
JPS6099331A (en) * 1983-11-07 1985-06-03 Hoshizaki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beverage
US4679881A (en) * 1985-05-07 1987-07-14 American District Telegraph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technique
JPS62299775A (en) * 1986-06-19 1987-12-26 Kurieito Syst Kk Continuity test die for electric wire pushing die to press-contacting type connector
DE8714703U1 (en) * 1987-11-04 1989-03-0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Contact element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for stranded conductors
DE8804388U1 (en) * 1988-03-31 1988-08-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Insulation clamp,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jumper wire
DE8812057U1 (en) * 1988-09-23 1988-1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individual conductors using insulation displacement technology
US5061203A (en) * 1991-04-15 1991-10-29 Amp Incorporated Magnetic ballast connecto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44177B1 (en) 2024-08-20 2024-12-1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yrolysis and InTreatment hybrid Apparatus of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26060A1 (en) 1993-12-23
DE4218740C2 (en) 1995-07-06
JPH07500946A (en) 1995-01-26
DE59308914D1 (en) 1998-10-01
ATE170336T1 (en) 1998-09-15
JP2620056B2 (en) 1997-06-11
EP0573792A1 (en) 1993-12-15
AU668566B2 (en) 1996-05-09
AU4059693A (en) 1994-01-04
SG52271A1 (en) 1998-09-28
HK1009714A1 (en) 1999-06-04
ES2119829T3 (en) 1998-10-16
DE4218740A1 (en) 1993-12-09
EP0573792B1 (en) 1998-08-26
RU2082262C1 (en) 1997-06-20
TW303987U (en) 199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292B2 (en) Terminal block with knife contact and connector means
US4871330A (en)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US4897040A (en) Cutting and clamp sleeve contact and method of connecting insulated electrical wire conductors
US4340270A (en) Electrical terminal unit
US4932891A (en) Dual flat-spring electrical contact
US5415562A (en) Pressure welding connector
KR100225022B1 (en) Terminal wiring method of electric devices, wiring means and terminals thereof
US20020155750A1 (en) Resilient contact and assembly thereof
US3848954A (en) Clip terminal and applicator tool combination
JPH1116656A (en)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for forming contact used for the connector
US5575679A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rrangement
KR0152135B1 (en) Electrical terminal device
EP0185153A1 (en) Crimp-on connector for flat cable
KR0148395B1 (en) Common electric connector
KR950002035B1 (en) Connector to connect the cabl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US4749366A (en) Heavy current electrical termination means
US5720625A (en) Electrical clamping terminal arrangement
US4412374A (en) Device for clamping an insulated cable wire to a terminal element
US5480323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t least one electrical device
US4611874A (en) Device for making LSA-PLUS contact with conductor wires of different types and sizes
US4575168A (en) Bridging clip with centering tab
US6353996B1 (en) Apparatus for wiring electrical terminals of 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US5879167A (en) Contact element for anticipatory earthing
CN108551026B (en) Compact wiring terminal
KR9000010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able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