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0486B1 - 단일 펌프 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 Google Patents

단일 펌프 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486B1
KR0150486B1 KR1019940033093A KR19940033093A KR0150486B1 KR 0150486 B1 KR0150486 B1 KR 0150486B1 KR 1019940033093 A KR1019940033093 A KR 1019940033093A KR 19940033093 A KR19940033093 A KR 19940033093A KR 0150486 B1 KR0150486 B1 KR 015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optical
laser
outpu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094A (ko
Inventor
김경헌
이학규
박서연
이일항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486B1/ko
Priority to US08/358,532 priority patent/US5524118A/en
Priority to JP6315391A priority patent/JP2695122B2/ja
Priority to GB9425586A priority patent/GB2295921B/en
Publication of KR96002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S3/08086Multiple-wavelength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S3/081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comprising three or more reflectors
    • H01S3/083Ring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23Arrangements of two or more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3/02 - H01S3/22, e.g. tandem arrangements of separate active media
    • H01S3/2383Paralle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광통신을 위한 파장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다중 구도에 관한 것으로, 단일 펌프광원(LD)의 출력을 파장분할다중 커플러(WDM-C)로 입력되어 다분지 광섬유 커플러(1×N coupler)로 분지된 여러 광경로(Path)에 있는 어븀 첨가된 광섬유(EDF)를 펌프하고 각 광경로에 파장가변 광필터(TF)를 삽입하여 파장가변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를 구성하고, 다른 경로에서 발진되는 다른 파장의 레이저 모드들과 간섭을 줄여 레이저 출력의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각 광경로에 광 아이소레이터(ISO)를 사용하고, 각 파장 모드들간의 모드 비팅(mode beating)을 조정하여 다파장 레이저 발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 감쇠기(Atn)를 이용하며, 가변형 광섬유 커플러(VC)는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레이저 공진기의 커플링(coupling) 비율을 조정하는 기능과 출력단자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펌프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를 이용하면, 파장 가변성이 있는 다파장 레이저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방식에서 보다 부품수를 줄이거나 또는 레이저 출력특성을 향상 및 실용성이 나은 구도를 제공한다. 각 파장의 레이저 출력파장은 독립적으로 가변되어질 수 있고, 이 파장가변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는 앞으로 파장분할다중 광통신과 4광파 혼합에 의한 새로운 파장에서의 광신호 생성 등에 광원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이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Description

단일 펌프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제1도는 파장가변 광필터를 이용한 종래의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성도.
제2도는 파장분할 다중기를 이용한 종래의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단일 펌프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SO : 광 아이소레이터 POL : 편광기
G : 이득 모듈 FC : 광섬유 커플러
TF : 파장가변필터 PC : 편광 조절기
FLM : 광섬유 루우프 거울 WDM : 파장분할 다중 커플러
EDF : 어븀 첨가된 광섬유 Atn : 가변형 광 감쇠기
1×N : 1×N 광섬유 커플러 VC : 가변형 광섬유 커플러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또는 4광파혼합 등의 광비선형 효과 유도에 응용이 가능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원에 관련하여 종래의 방법보다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고 실용성이 큰 파장변환이 가능한 단일 펌프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광대역 광통신을 위해 파장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다중 구도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는 추세인데, 상기 구조의 구현에 있어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원은 아주 긴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파장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구조에 있어서 파장변환이 가능하거나 각각 다른 파장에서 발진하는 광원으로 광섬유 레이저나 반도체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 다른 파장에서 발진하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반도체 레이저로는 요구하는 파장의 광원을 얻기 위해 까다로운 제조공정을 거쳐 단일 소자를 만들거나, 파장가변형 반도체 레이저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파장가변형 반도체 레이저는 전체 구성이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파장의 출력을 얻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종래의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로는 제1도에 보여지는 바와같이 편광기(POL;polarizer)와 편광조절기(PC;polarization controller)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방법은 광섬유의 사소한 뒤틀림 등에 의해 편광이 변하는 불안정성이 있어 많은 수의 파장에 대해 확장하기는 곤란하고 편광조절기의 큰 부피등으로 실용성이 다소 낮은 면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또한, 파장분할 다중기(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첨부한 제2도에 되어 있으나, 이 방법에서는 기존의 파장분할다중기(WDM)들이 주로 원래 만들어질 때 고정된 파장들로 분파되기 때문에 파장 가변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득용 회로류 원소가 첨가된 단일 모드 광섬유와 멀티모드(multimode) 광섬유로 링형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ring-type fiber laser cavity)를 만들고, 멀티모드 광섬유에서 두 개의 기본 모드(LP1, LP11)들간의 공간 모드 비팅(spatial mode beating)에 의한 파장 의존형 필터특성을 이용하여 다파장 레이저 출력을 얻는 구도등도 있으나, 이 구도에서는 다파장 레이저의 파장간격은 멀티모드 광섬유의 길이를 변환시켜 조절해야 하고 또 각 레이저 파장의 독립적인 파장 가변성은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장분할 광통신 및 광비선형 효과 유도등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원으로 기존 방식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실용적 가치가 높은 단일 펌프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를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광대역 광통신을 위한 파장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다중 구도에 있어서, 단일 펌프광원(LD; pump laser diode)의 출력을 파장분할다중 커플러(WDM-C; WDM-coupler)로 입력되어 다분지 광섬유 커플러(1×N coupler)로 분지된 여러 광경로(Path)에 있는 어븀 첨가된 광섬유(EDF; Er-doped fiber)를 펌프하고 각 광경로에 파장가변 광필터(TF; optical tunable filter)를 삽입하여 파장가변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를 구성하고, 다른 경로에서 발진되는 다른 파장의 레이저 모드들과 간섭을 줄여 레이저 출력의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각 광경로에 광 아이소레이터(ISO; optical isolator)를 사용하고, 각 파장 모드들간의 모드 비팅(mode beating)을 조정하고 다파장 레이저 발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 감쇠기(Atn; optical variable attenuator)를 이용하며, 가변형 광섬유 커플러(VC; variable fiber coupler)는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레이저 공진기의 커플링(coupling) 비율을 조정하는 기능과 출력단자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도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단일 펌프광원(LD)의 출력을 파장분할다중 커플러(WDM-C)로 입력되어 다분지 광섬유 커플러(1×N coupler)로 분지된 여러 광경로(Path)에 있는 어븀 첨가된 광섬유(EDF)를 펌프하고 각 광경로에 파장가변 광필터(TF)를 삽입하여 파장가변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를 구성하였다.
또한, 다른 경로에서 발진되는 다른 파장의 레이저 모드들과 간섭을 줄여 레이저 출력의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각 광경로에 광 아이소레이터(ISO)를 사용하고, 각 파장 모드들간의 모드 비팅(mode beating)을 조정하여 다파장 레이저 발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 감쇠기(Atn)를 이용한다.
또한, 가변형 광섬유 커플러(VC)는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레이저 공진기의 커플링(coupling) 비율을 조정하는 기능과 출력단자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쪽 광경로 1(Path1)에서의 어븀 광섬유(EDF1) 길이를 다른 광경로의 것들에 비해 최적 길이에서 다소 짧거나 더 길도록 하여 이득 특성을 약간 줄임으로써 그 광경로에서는 광감쇠기가 필요치 않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단일 펌프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의 각 기능별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광 아이소레이터(ISO)는 다른 경로에서 발진되는 다른 파장의 레이저 모드들과의 간섭을 줄여 각 파장 모드들간의 모드 비팅(mode beating)을 조정하여 다파장 레이저 발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가변형 광섬유 커플러(VC)는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레이저 공진기의 커플링(coupling) 비율을 조정하는 기능과 출력단자의 역할을 하게 되며, 다분지 광섬유 커플러(1×N coupler)는 광대역 파장특성을 갖도록 하여 펌프파장과 레이저 파장에서 비교적 균일한 분지 특성과 편광에 무관한 특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다른소자(ISO, FT, Atn, VC, WDM-C)들도 편광에 무관한 특성을 갖는 것들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광경로1(Path1)에서의 어븀 광섬유(EDF1) 길이는 다른 광경로의 것들에 비해 최적 길이에서 다소 짧거나 더 길도록 하여 이득특성을 약간 줄임으로써 그 광경로에서는 광감쇠기가 필요치 않게 구성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광섬유 레이저를 이용하면, 파장가변성이 있는 다파장 레이저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방식에서 보다 부품수를 줄이거나 또는 레이저 출력특성을 향상 및 실용성이 나은 구도를 제공한다. 각 파장의 레이저 출력파장은 독립적으로 가변되어질 수 있고, 이 파장가변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는 앞으로 파장분할다중 광통신과 4광파 혼합에 의한 새로운 파장에서의 광신호 생성 등에 광원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이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Claims (1)

  1. 광대역 광통신을 위한 파장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다중 구도에 있어서, 단일 펌프광원(LD)의 출력을 파장분할다중 커플러(WDM-C)로 입력되어 다분지 광섬유 커플러(1×N coupler)로 분지된 여러 광경로(Path)에 있는 어븀 첨가된 광섬유(EDF)를 펌프하고 각 광경로에 파장가변 광필터(TF)를 삽입하여 파장가변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를 구성하고, 다른 경로에서 발진되는 다른 파장의 레이저 모드들과 간섭을 줄여 레이저 출력의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각 광경로에 광 아이소레이터(ISO)를 사용하고, 각 파장 모드들간의 모드 비팅(mode beating)을 조정하여 다파장 레이저 발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 감쇠기(Atn)를 이용하며, 가변형 광섬유 커플러(VC)는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레이저 공진기의 커플링(coupling) 비율을 조정하는 기능과 출력단자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펌프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KR1019940033093A 1994-12-07 1994-12-07 단일 펌프 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KR015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093A KR0150486B1 (ko) 1994-12-07 1994-12-07 단일 펌프 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US08/358,532 US5524118A (en) 1994-12-07 1994-12-19 Wavelength-varying multi-wavelength optical filter laser using a single pump light source
JP6315391A JP2695122B2 (ja) 1994-12-07 1994-12-19 単一ポンプ光源を利用した波長可変形の多波長光繊維レーザー構図
GB9425586A GB2295921B (en) 1994-12-07 1994-12-19 Wavelength-tunable multi-wavelength optical fiber la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093A KR0150486B1 (ko) 1994-12-07 1994-12-07 단일 펌프 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94A KR960027094A (ko) 1996-07-22
KR0150486B1 true KR0150486B1 (ko) 1998-12-01

Family

ID=1940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093A KR0150486B1 (ko) 1994-12-07 1994-12-07 단일 펌프 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24118A (ko)
JP (1) JP2695122B2 (ko)
KR (1) KR0150486B1 (ko)
GB (1) GB229592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58B1 (ko) * 2002-08-14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의 광원 발생장치
KR101429252B1 (ko) * 2013-03-21 2014-08-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단펄스 레이저 실험 및 교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421B1 (ko) * 1996-01-29 1999-06-15 윤종용 광섬유증폭기
DE19622012A1 (de) * 1996-05-31 1997-12-04 Siemens Ag Ferngepumpter optischer Leistungsverstärker mit verteilter Verstärkung
JPH1093164A (ja) * 1996-09-17 1998-04-10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多波長光源及び離散波長可変光源
CA2276419A1 (en) * 1997-01-31 1998-08-06 Michael Yadlowsky Fiber lasers with shared pump
DE19705669A1 (de) * 1997-02-14 1998-08-20 Bosch Gmbh Robert Optischer Wellenlängenmultiplex-Sender
US6783705B1 (en) 1997-04-11 2004-08-31 Waters Investments Limited Calibration medium for wavelength calibration of U.V. absorbance detectors and methods for calibration
US5910962A (en) * 1997-08-29 1999-06-08 E-Tek Dynamics, Inc. Multiwavelength fiber laser sources for fiberoptic networks
US6285477B1 (en) * 1997-09-17 2001-09-04 Kokusai Denshin Denwa Kabushiki Kaisha Multi-wavelength light source and discrete-wavelength-variable light source
US6028881A (en) * 1997-11-10 2000-02-22 Lucent Technologies Inc. Wavelength selectable laser source
US6041070A (en) * 1997-11-14 2000-03-21 Sdl, Inc. Resonant pumped short cavity fiber laser
US6256328B1 (en) 1998-05-15 2001-07-03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Multiwavelength modelocked semiconductor diode laser
US6801551B1 (en) 1998-05-15 2004-10-05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Programmable multiwavelength modelocked laser
US6661816B2 (en) 1998-06-11 2003-12-09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Multiwavelength modelocked lasers
US6314115B1 (en) 1998-05-15 2001-11-06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Hybrid WDM-TDM optical communication and data link
US6728026B2 (en) 1998-07-14 2004-04-27 Novera Optics, Inc. Dynamically tunable optical amplifier and fiber optic light source
KR100328291B1 (ko) * 1998-07-14 2002-08-08 노베라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능동제어된파장별이득을갖는광증폭기및변화가능한출력스펙트럼을갖는광섬유광원
JP2000091678A (ja) 1998-09-11 2000-03-31 Nec Corp ファイバレーザ照射装置
GB9903880D0 (en) 1999-02-19 1999-04-14 Univ Southampton Optical device
SE514069C2 (sv) * 1999-04-30 2000-12-18 Ericsson Telefon Ab L M Optiskt våglängdsselektivt filter samt förfarande för att selektivt filtrera minst en våglängd från en grupp av våglängder
US6389044B1 (en) * 1999-07-02 2002-05-14 Corning Incorporated Multi-wavelength laser usable for WDM applications and interferometric sensors
JP2001036958A (ja) 1999-07-16 2001-02-09 Nec Corp 待受け受信方式
KR100319748B1 (ko) 1999-12-09 2002-01-09 오길록 출력 등화된 광대역 다채널 광섬유 레이저
JPWO2002047217A1 (ja) * 2000-12-08 2004-04-08 フォトニクスネット株式会社 波長多重化光源及び波長多重化装置
GB0031508D0 (en) * 2000-12-22 2001-02-07 Cit Alcatel Broadband raman amplifier
US7050723B2 (en) * 2001-01-19 2006-05-2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Laser oscillator,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WO2002087032A1 (en) 2001-04-18 2002-10-31 Chromaplex, Inc. Modulatable multi-wavelength fiber laser source
US6606331B2 (en) 2001-07-09 2003-08-12 Multiwave Networks Portugal, Lda. Step-tunable all-fiber laser apparatus and method for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applications
US6728274B1 (en) 2001-09-14 2004-04-27 Multiwave Networks Portugal Lda Multi-wavelength laser apparatus and method
US20040160994A1 (en) * 2003-02-19 2004-08-19 Zhang Kevin Jianluo Multiple wavelength laser system
US6935444B2 (en) * 2003-02-24 2005-08-30 Baker Hughes Incorporated Superabrasive cutting elements with cutting edge geometry having enhanced durability,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drill bits so equipped
KR100480269B1 (ko) * 2003-07-04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파장 광원
KR100957133B1 (ko) * 2007-12-11 2010-05-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결합 공진기를 포함하는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장치 및다파장 레이저의 발진 방법
JP5704841B2 (ja) 2010-06-10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CN102170082B (zh) * 2011-03-29 2012-07-18 东南大学 复合腔全光纤脉冲光纤激光器
CN102208736A (zh) * 2011-04-20 2011-10-05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可调谐多波长光纤激光器
CN103022890B (zh) * 2012-12-28 2014-07-30 重庆师范大学 一种可调谐双色激光系统
CN103904533B (zh) * 2014-03-06 2016-11-23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掺铒光纤的任意波形光脉冲整形器
CN104218438B (zh) * 2014-09-04 2017-11-17 上海理工大学 多腔结构光纤激光器及提高光纤激光器重复频率的方法
CN114563844A (zh) * 2021-07-01 2022-05-31 陕西铁路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级联式微球腔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976A (en) * 1991-05-28 1992-07-21 At&T Bell Laboratories Electrically tunable fiber ring laser
JP2977053B2 (ja) * 1991-07-12 1999-11-10 安藤電気株式会社 高出力光パルス発生器
JPH0566430A (ja) * 1991-09-06 1993-03-19 Ando Electric Co Ltd 高出力光パルス発生器
JP2647590B2 (ja) * 1992-02-10 1997-08-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多波長発振エルビウムドープ光ファイバリングレーザ
US5311603A (en) * 1992-10-28 1994-05-10 Litton Systems Inc. Highly efficient superfluorescent fiber laser/amplifier for interferometric sensors
US5337375A (en) * 1992-12-31 1994-08-09 At&T Bell Laboratories Depolarizer using unpumped, doped optical fiber and method using same
DE4301031A1 (de) * 1993-01-16 1994-07-21 Sel Alcatel Ag Optischer Mikrowellen-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58B1 (ko) * 2002-08-14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의 광원 발생장치
KR101429252B1 (ko) * 2013-03-21 2014-08-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단펄스 레이저 실험 및 교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24118A (en) 1996-06-04
GB9425586D0 (en) 1995-02-15
JP2695122B2 (ja) 1997-12-24
GB2295921B (en) 1998-10-21
JPH08162697A (ja) 1996-06-21
GB2295921A (en) 1996-06-12
KR960027094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486B1 (ko) 단일 펌프 광원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다파장 광섬유 레이저 구도
KR100205052B1 (ko) 파장 가변형 모드록킹 광섬유 레이저
US6236498B1 (en) Upgradable, gain flattened fiber amplifiers for WDM applications
JP2579394B2 (ja) 波長多重型モード同期レーザ装置
US7940816B2 (en) Figure eight fiber laser for ultrashort pulse generation
US98915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frequency comb generation using a microring resonator
Mao et al. Multiwavelength erbium-doped fiber lasers with active overlapping linear cavities
US6567430B1 (en) Raman oscillator including an intracavity filter and amplifiers utilizing same
US6643060B2 (en) Multi-wavelength light source utilizing acousto-optic tunable filter
CN105703208A (zh) 一种基于保偏啁啾相移光纤光栅的多波长可调谐激光器
KR100319748B1 (ko) 출력 등화된 광대역 다채널 광섬유 레이저
US6606331B2 (en) Step-tunable all-fiber laser apparatus and method for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applications
US6307667B1 (en) Gain-clampe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with pulsed compensating laser signal
Mao et al. L-band fiber laser with wide tuning range based on dual-wavelength optical bistability in linear overlapping grating cavities
US6901085B2 (en) Multi-wavelength ring laser source
KR20000024871A (ko)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 조절 장치 및 방법
US6728274B1 (en) Multi-wavelength laser apparatus and method
JP2563697B2 (ja) ファイバレーザ装置
CN114039266B (zh) 一种基于全光纤结构滤波器的调q光纤激光器
KR0160583B1 (ko) 파장가변형 솔리톤 광섬유 레이저
David et al. Multiwavelength Fiber Laser Based on Different Combinations of Dual-Bidirectional SOAs Incorporating a Lyot Filter
Ummy et al. Beam Combining of SOA-based bidirectional tunable fiber compound-ring lasers with external reflectors
Hashimoto et al. Tunable erbium-doped fiber ring laser using acousto-optic tunable filter
Zhou et al. Multiwavelength erbium-doped fiber ring laser using a LiNbO 3 multifunction chip for fiber gyroscope
CN119032475A (zh) 无源锁模的光纤振荡器、具有这样的光纤振荡器的激光装置和非线性cpa放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