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9124B1 -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124B1
KR0149124B1 KR1019950020163A KR19950020163A KR0149124B1 KR 0149124 B1 KR0149124 B1 KR 0149124B1 KR 1019950020163 A KR1019950020163 A KR 1019950020163A KR 19950020163 A KR19950020163 A KR 19950020163A KR 0149124 B1 KR0149124 B1 KR 014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culant
coagulant
aluminum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162A (ko
Inventor
곽종운
이정섭
Original Assignee
권회섭
경기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회섭, 경기화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회섭
Priority to KR101995002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124B1/ko
Publication of KR97000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124B1/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과정(상수, 하수, 폐수)에서 오염물질인 유기물, 부유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처리후 잔류알루미늄 농도를 최소화하는데 유용한 신규응집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응집력이 강한 Al계 무기고분자와 침강성이 강한 Fe계 응집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염기도가 영인 황산알루미늄(Al2O38%)이나 염기도가 45~50인 폴리염화알루미늄(Al2O310%)에 단분자 응집제인 철응집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 있으나 응집능력이나 침전속도, 유기물의 제거율, 처리후 잔류알루미늄에 있어서 불리하다.
본 발명의 응집제 조성물을 시험해본 결과 기존의 응집제보다 탁도 및 유기물제거, 잔류알루미늄의 감소효과가 월등히 개선되었다. 본 발명에서 Al-Fe계 응집제는 무기고분자인 Al계 응집제와 Fe계 응집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규 응집제로 사용형태가 액상 및 고체상 모두 될 수 있다.
.

Description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본 발명은 상수의 원수, 하수 및 폐수 등의 정수과정에서 오염물질인 유기물, 부유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정수 처리후 잔류알루미늄 농도를 최소화하는데 유용한 신규응집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응집력이 강한 알루미늄(AI)계 무기고분자 물질과 침강성이 강한 철(Fe)계 무기고분자 물질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 조성한 무기계 고분자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단분자 AI계 및 Fe계 응집제로서는 황산알루미늄(AI2(SO4)3), 염화제1철(FeCI2), 염화제2철(FeCI3), 황산제2철(Fe2(SO4)3), 황산제1철(FeSO4)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무기고분자응집제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olyaluminium chloride :PAC),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polyaluminium sulfate-silicate : PASS),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polyaluminium hydrxide-chloride-silicate : PAHCS)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하수처리량의 증가 및 하천수의 오염도가가증됨에 따라 현재의 정수처리시스템으로 양질의 정수처리를 하기에는 한계에 이른 실정이다. 단분자 응집제들은 응집능력, 플럭(floc)의 성장속도, 침강속도, 유기물의 제거능력이 낮을 뿐 아니라, 처리후 처리 수중 금속 성분의 잔류율이 높아 정수처리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잔류 알루미늄의 농도를 우리나라에서는 0.2㎎/ℓ 이하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새로운 응집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염기도가 0(zero)인 황산알루미늄(Al2O38중량%의 것)이나 염기도가 45~50인 폴리염화알루미늄(Al2O310중량%인 것)에 단분자 철계 응집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응집제는 응집능력이나 침전속도, 유기물의 제거율이 저조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공고번호 제94-1798 호) 일반적으로 단분자 응집제는 분자량이 1000이하인 것으로 응집과정에서 수화반응을 통하여 분자량이 증가, 응집상승효과를 유발하기는 하지만 알칼리도(pH)가 높을 경우에는 국부적으로 분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투입량의 증대가 요구되며, 심하면 과량의 수산화알루미늄(Al(OH)3)에 의한 백탁현상을 초래하여 양질의 정수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백탁현상이 나타나면 잔류알루미늄의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할 수도 있어 상당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분자량이 낮으면 생성되는 플럭의 크기가 무기고분자 응집제보다 작게되며, 뿐만 아니라 미세플럭들이 여과지로 월류하여 여과세척주기가 짧아져 경제적인 손실도 따른다. 또한 정수처리시에는 정수처리후 배수되는 물의 pH가 7∼7.5정도의 중성을 유지하여야 하는바, 단분자 응집제는 응집처리후 아래식과 같이 pH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처리후 소석회나 가성소다로 pH를 다시 조정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손실이 따를 뿐 아니라 수처리 공정이 상당히 번거롭게 된다는 단점을 수반하게 된다.
※ 상기식에서 Al+3또는 Fe+3는 황산염 또는 염화물 형태에서 발생된 것이며 염화알루미늄 무기 고분자 물질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분야에서 염기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단분자 Al 또는 Fe는 단분자 1몰(mole)당 3몰의 수소이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pH 저하가 증가한다. 그러나 무기고분자의 경우는 상기식 2에서 처럼 단분자인 황산알루미늄보다 수소이온의 발생량이 적다. 특히 홍수시 원수의 탁도가 증가할 경우 평상시보다 응집제의 투입량이 2배이상 되어야 하므로 단분자의 경우 pH저하는 심화 된다. 그러나 무기 고분자 응집제는 같은 알루미늄계 또는 철계라 하더라도 염기도가 높아 pH저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단분자 무기응집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수년간 실험을 통하여 정수처리능력을 비교해본 결과 기존의 응집제보다 탁도 및 유기물제거, 침전속도 등이 월등히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염기도가 10~50 범위이면서 평균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PASS-Al2O38 중량%)과 염기도가 20~80이면서 평균분자량이 300,000 이상인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PAHCS-Al2O316~18중량%)인 무기고분자와 3가 철을 중심으로한 폴리황산철(PIS-poly Iron sulfate)과 단분자 황산철(FeSO4)응집제를 혼합하여서 된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무기 고분자 응집제는 염기도가 5~80범위에 있는 Al계 응집제로서, 모두 중합물질의 형태다. 본 발명에서 염기도는 N / 3M × 100(%)로 정의되며 M은 3가 금속(Fe 혹은 Al)을 표시하며 N은 OH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철응집제는 2가 및 3가철을 중심으로 하는 수용성 무기화합물로 음이온이 황산이온 및 염소이온으로 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Al-Fe계 응집제는 무기고분자인 Al계 응집제와 Fe계 응집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규 응집제로 사용형태가 액상 또는 고체상 어느것으로도 될 수 있다. 두 무기고분자화합물의 혼합시 조성물의 Al/Fe 몰(mole)비는 처리 대상원수의 성상에 따라 다르게 된다. 상수처리시에는 응집력이 우수한 Al함량을 높게 하는 것이 유리하나, 조류(藻類-Algae) 발생시에는 Fe 함량을 높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면 폐수처리시 유기물의 함량이 높을 경우에는 산화력이 우수한 3가철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원수의 pH가 8이상 올라갈 경우에는 응집범위가 더 넓은 Fe계 응집제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하수의 경우도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3가 Fe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Fe계통의 응집제는 침전능력이나 산화능력은 우수하지만 Al응집제에 비하여 응집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두응집제로부터 신규 조성물의 응집제는 한계영역의 Al/Fe비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신규응집제 조성물은 용액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며, 대상폐수에 따라서 고상으로 하여 분말로 사용할 수도 있고,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장 적절한 혼합조성비는 처리 대상원수에 따라 달리 제조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에서 Al-Fe계 혼합응집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PASS)과 폴리황산철(PIS)을 원료로 사용할 때 용액중의 Al + Fe의 총 농도는 4~20% 범위가 적당하며, 단분자 응집제 형태인 황산철을 사용할 경우에는 Al + Fe의 총 농도는 4~18%가 적당하다. 무기고분자로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PAHCS)을 사용할 경우, Fe성분으로 폴리염화철(PIC) 혹은 염화철(2가철, 3가철)일 경우 Fe + Al 총 농도가 4~20%, 단분자인 황산철(2가, 3가철)일 경우는 4~18% 범위가 적당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PASS, Al 4.5중량%)과 폴리황산철(PIS, 12.1%Fe)을 Fe/Al 몰비가 0.10, 0.15, 0.20 되도록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로 기존의 응집제와 응집성능비교를 위하여 처리대상원수에 대하여 쟈-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교반속도를 자동조절 가능한 테스터(mini-jar tester)를 사용하였으며, 교반조건은 급속 120 rpm에서 1분, 60rpm에서 5분, 0 rpm에서 10분으로 각각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3회 평균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보는 것처럼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PASS)에 폴리황산철(PIS)가 혼합되었을 때 침강 및 유기물의 제거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2]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PAHCS, Al 9%)과 폴리염화철(PIS, Fe³12.1%)을 혼합하여 Fe/ Al몰비가 0.30, 0.40, 0.50인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로 기존의 응집제와 응집성능비교를 위하여 처리대상 원수에 대하여 쟈-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3회 평균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탁도제거율에서 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3]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PAHCS, Al 9%)과 폴리염화철(PIS,12.1%)을 혼합하여 Fe/Al 몰비가 각각 0.10, 0.15, 0.20인 용액을 제조하였다. 고탁도, 고유기물 원수처리에서 응지선능을 비교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는 조류제거효과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4]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PAHCS,Al 9%)과 폴리염화철(PIS, Fe 12.1%)율)과 염화제1철(Fe 4.2%)혼합, Fe/ Al 몰비가 각각 0.10, 0.15되도록 제조하였다. 이 응집제로 각 샘플에 대하여 처리후 잔류알루미늄을 측정하였다(잔류알루미늄측정기기 ICP, SPECTRO-P Model). 표 5에서 보여준 바와같이 잔류알루미늄은 철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2가 철보다는 3가철인 경우가 더 감소하였다. 또한 단분자 철을 혼합하는 것보다는 중합된 무기고분자로 혼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Claims (4)

  1. 수용성 무기 알루미늄염 및 수용성 무기 철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 또는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과 폴리황산철을 알루미늄/철의 몰비가 0.03~0.8이 되도록 혼합하여서 된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과 폴리황산철 혼함물에 염화제1철, 염화제2철, 황산제1철. 황산제2철 중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첨가하여서 된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과 폴리황산철 혼합물에 염화제1철, 염화제2철, 황산제1철. 황산제2철 중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첨가하여서 된 응집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산화알루미늄(Al2O3)및 산화제 2철(Fe2O3)을 기준으로 하는 알루미늄과 철의 총함량이 7~40중량%이고 염기도가 15~55인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KR1019950020163A 1995-07-10 1995-07-10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KR014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163A KR0149124B1 (ko) 1995-07-10 1995-07-10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163A KR0149124B1 (ko) 1995-07-10 1995-07-10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162A KR970006162A (ko) 1997-02-19
KR0149124B1 true KR0149124B1 (ko) 1998-10-15

Family

ID=1942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163A KR0149124B1 (ko) 1995-07-10 1995-07-10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48B1 (ko) * 1999-02-13 2003-03-03 삼구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지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수의 처리 방법.
KR20010107799A (ko) * 2001-09-17 2001-12-07 신호상 이산화염소의 소독부산물 제거용 새로운 응집 조성물
KR20030065733A (ko) * 2002-01-30 2003-08-09 서왕식 용수(用水)의 정화(淨化) 및 활성화(活性化) 처리(處理)를위한 용액(溶液)과 고형체(固形體) 제조 조성물
KR100735540B1 (ko) * 2005-10-24 2007-07-04 고도화학(주) 수처리용 응집제인 폴리수산화염화황산알루미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162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o et al. Evaluation of polyaluminium ferric chloride (PAFC) as a composite coagulant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CN100386267C (zh) 高效复合型絮凝剂、制备方法及其应用
JPS63130189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用凝集剤
Altaher et al. Enhancement of quality of secondary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 by coagulation process: A case study
CN107487821A (zh) 一种多效水处理剂及其制备方法和水处理方法
KR930011148B1 (ko)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수 처리용 조성물
Wang et al. The disinfection by-products precursors removal efficiency and the subsequent effects on chlorine decay for humic acid synthetic water treated by coagulation process and coagulation–ultrafiltration process
CN101734772B (zh) 处理工业废水的复合絮凝剂及制备方法
KR20210007063A (ko) 수처리용 응집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2358022A (zh) 一种絮凝剂及其制备方法
CN109928475B (zh) 一种复合净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0149124B1 (ko) 정수용 응집제 조성물
Krupińska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from groundwater by coagulation using prehydrolysed and non-prehydrolysed coagulants
KR100331341B1 (ko) 상수처리용 응집제 조성물을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CN103964554B (zh) 聚合硫酸钛-聚二甲基二烯丙基氯化铵复合混凝剂及其制备与应用方法
CA1204887A (en) Methods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water and waste water and for reducing sludge resistance to dewatering
Arnold-Smith et al. Polyaluminium silicate sulphate—a new coagulant for potable and wastewater treatment
KR100374148B1 (ko) 제지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수의 처리 방법.
Malhbtra et al. Effectiveness of poly aluminum chloride (PAC) vis‐a‐vis alum in the removal of fluorides and heavy metals
KR101088148B1 (ko) 콜로이드 입자의 전기적인 중화속도 조절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
JP7558736B2 (ja) 金属塩凝集剤
Zouboulis et al. Inorganic pre-polymerized coagulants: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Krupińska Impact of polyelectrolytes on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of groundwater with increased natural organic matter content
US20050092689A1 (en) Modifier for polyelectrolytic flocculants
CN110577254A (zh) 用于煤化工、焦化等化工行业的净水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6011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