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8402B1 -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 Google Patents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402B1
KR0148402B1 KR1019940701059A KR19940701059A KR0148402B1 KR 0148402 B1 KR0148402 B1 KR 0148402B1 KR 1019940701059 A KR1019940701059 A KR 1019940701059A KR 19940701059 A KR19940701059 A KR 19940701059A KR 0148402 B1 KR0148402 B1 KR 014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fabric
polyester
warp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사사키
시게노부 고바야시
가츠유키 가사오카
도미오 마츠바라
가오루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이다가키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가키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다가키 히로시
Priority to KR101994070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402B1/ko

Links

Landscapes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25 내지 60의 명도지수(L*)값을 나타낸다.
경사 및 위사 둘다 또는 어느 하나의 적어도 표층부분에서의 섬유는, 최대흡수파장에서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 (%))과 동일파장에서 섬유축에 평행하게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 (X∥(%))사이의 차(△X (%))가 10%이하인 정도의 광선투과율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례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구성하는 사의 표층부분에서의 섬유의 광선투과율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제2도는 개선된 축감을 갖는 종래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섬유들의 광선투과율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제3도는 자연광선의 진동면을 예시하는 선도이고,
제4도는 발색현상의 원리를 예시하는 선도이고,
제5도는 섬유축에 평행하는 진동면을 갖는 편광의 광선투과율(A)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진동면을 갖는 편광의 광선투과율(B)을 예시하는 선도이고,
제6도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내에 랜덤방식으로 염료분자가 분포되어서 모든 방향으로 분포되는 자연광선의 진동면이 흡수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선도이고,
제7도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내에서 한방향으로 염료분자가 배열되어서 한방향으로 배열된 자연광선의 단지 한 진동면만이 흡수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선도이고,
제8a도는 이중-층 구조로 된 복합사를 예시하는 모식도이고,
제8b도는 복합사의 심섬유길이(ℓ1)와 외장섬유길이(ℓ2)가 다른 것을 예시하는 모식도이고,
제9도 내지 제30도는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실시예 1내지 5에서 제조된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사의 표층부분에서의 섬유의 광선투과율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천연섬유로 된 직물의 색조깊이에 맞먹는 또는 그보다 우수한 좋은 색조깊이를 가지는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좋은 색조깊이(good color depth) 용어는 직물이 짙게 염색될 뿐만 아니라 광택도 증대되는, 즉 혼탁도 및 담갈색의 발색현상이 없이 짙게 염색되는 것을 의미한다.
[배경기술]
최근에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특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촉감, 터치 및 드레이프성은 천연섬유와 비견될만한 수준으로 향상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공소 61-36099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외관, 특히 색조깊이는 견섬유와 모섬유와 같은 천연섬유의 직물에 비하여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러므로, 통상 촉감이나 기타 특성이 개선되었을지라도 첫눈에 소비자의 관심을 끌지는 못하였다.
지금까지, 염착성 및 기타 염색성을 향상시키고자 여러 안들이 제시되어 왔으며, 제안의 예로서 섬유구조의 완화를 위해 특정 공단량체의 공중합(일본 특공소 63-39686 호)및 확산반사를 실행하기 위해 섬유표면부분에 미세공 형성(일본 특공소 62-28229 호)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안에 의해 제조된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도 본 명세서에서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인 색조깊이, 즉 짙게 염색되면서도 광택이 있는 색조깊이에 있어서는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섬유 직물에 맞먹거나 그보다 우수한 좋은 색조깊이와 좋은 촉감, 터치 및 드레이프성을 나타내는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5 내지 65의 명도지수(L*)값으로 염색되는 경사 및 위사로 구성되며, 이 경사 및 위사 둘다 또는 어느 하나의 적어도 표층부분에서의 섬유들이 최대흡수 파장에서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과 동일파장에서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사이에서의 차가 10%이하인 정도로 광선투과율을 나타내는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도는 본 발명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 및 / 또는 위사의 표층부분에서의 섬유들을 통한 편광의 광선투과율의 그래프로, 세로좌표와 가로좌표는 각각 광선투과율(%) 및 파장(nm)을 나타낸다.
제1도에서, 곡선(A)(실선)는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을 나타내고, 곡선 B(점선)는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을 나타낸다.
제1도에서의 그래프들은, 최대흡수의 파장(λonm)에서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곡선 A)과 동일파장(λonm)에서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곡선 B)사이에 실제 차이가 없으며, 다른 파장영역에서도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곡선 A)과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곡선 B)사이에서도 큰 차이가 없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최대흡수의 파장에서 편광의 두 광선투과율(X)과 (X⊥)사이의 차(△X)가 10%이하, 즉 △X=X⊥-X 10% 일때만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담갈색의 발색없이 만족스럽게 향상된 색조깊이를 나타낸다.
제2도는 개선된 촉감을 가지는 종래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에서의 섬유들을 통하여 각각 섬유축에 평행 및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공선투과율(X) 및 (X⊥)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1도에 도시된 그래프들에 반하여 두 광선투과율(X⊥) 및 (X)에서의 차(△X)는 최대흡수의 파장(λo)에서 20%이상이며 다른 파장영역의 대부분에서도 크다. 두 광선투과율(X⊥) (X)사이의 차(△X)가 클 경우 광선흡수는 불충분하고 현색의 빛에서 백색광이 발견되므로 그 결과 현색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염료에 의한 발색현상의 원리에 대한 본 발명자의 기본 견해를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술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염료로 염색될때 발색현상은 섬유에 침투된 염료에 의한 광흡수로 인하여 일어난다. 본 발명자들은 섬유에 침투된 염료가 어떻게 광택을 지니면서 농색(deep color)을 발색하는데 충분한 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연구를 해 왔다.
광선은 횡파의 일종인 전자파로 제3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자연광선(1)이 모든 방향으로 분포된 진동면을 가진다. 제4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에 의한 발색은 염료분자(2)에서의 공액이중결합(3)의 결합방향과 광선의 진동면(1')이 일치하는 경우 진동면의 파장을 가진 광선이 흡수되어 일어난다. 의도된 색조깊이를 얻기 위한 최선의 단계는 모든 방향으로 분포되는 자연광선의 전진동면의 흡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특, 진동면의 일부분이 흡수되지 않은채 남아 있으면 흡수광에 의해 현색되는 색에는 백색광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색에는 어느 정도의 담갈색이 내포되어 있어서 색조깊이는 빈약하다.
본 발명자들은 개선된 촉감을 가지는 종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섬유에서 흡수된 진동면의 양과 미흡수된 진동면의 양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편광판(4,4')을 사용하여 상호 수직하는 두 진동면으로 각기 이루어지는 복수쌍으로 모든 방향의 진동면을 분리하며 분리된 수직진동면의 양을 종래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섬유(5)상에서 측정하는 절차에 의하여 실행된다.
그 결과, 제2도에 일례로 도시된 바와같이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B)은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A)보다 상당히 크며, 즉 전자의 전자파의 진동의 흡수가 후자의 전자파의 진동흡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분명히, 편광의 두종류 사이에는 흡수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었다.
염료분자가(6)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든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랜덤상태로 분포되면 염료분자의 공액이중결합도 모든 방향으로 배열되므로 모든 방향으로 배열된 자연광선의 진동면은 전부 흡수되어서 광택있는 농색이 발현된다. 이와는 달리,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염료분자(6)가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포되고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과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사이에 큰 차이가 있으면 한 진동의 광선(제7도에서(a))만이 흡수되고 다른 진동의 광선은 섬유를 통과하여서 결과 현색은 색조깊이가 감소되어 약간 어둡고 담갈색으로 보인다.
또 본 발명자들은 여러 종류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에서의 시각적 색조깊이와 함께 전자파의 진동면의 흡수에 있어서의 상술한 차이의 관계를 시험하였다. 얻은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표 1에서, △X(%)는 최대흡수 파장에서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과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사이의 차를 나타낸다.
Y(등급)는 실크의 색조깊이가 등급 7이라고 규정하여 10등급의 시각적 관능검사로 표시된 색조깊이를 나타낸다. 수치 10과 1은 각각 최대의 색조깊이와 최소의 색조깊이를 의미한다.
상술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섬유축에 각기 수직 및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두 광선투과율(X⊥) (X)사이의 차(△X)크기는 시각적 색조깊이(Y)와는 분명하고 긴밀한 관계에 있다. △X값이 작을수록 Y값이 크다.
사실상, 본 발명의 직물의 사와 종래 사 사이에 사용된 염료양에 있어서 차이는 없을지라도 본 발명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극히 작은 △X값, 즉 종래 사와 비교하여 상당히 향상된 시각적 색조깊이를 나타내는데 특징이 있다.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 %)과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사이의 차이(△X)가 본 발명에서 규정된 바와같이 10%이하일 경우 실크(견섬유)의 색조깊이(표 1에 도시된 바와같이 Y=등급 7)를 초과하는 수준의 색조깊이를 가지는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얻어진다.
그러한 높은 색조깊이를 가지는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종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는 지금까지 얻지 못하였다.
상술한 향상된 색조깊이를 나타내는데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특정구조의 폴리에스테르사가 경사 및 / 또는 위사로 사용되고 특정염료가 사또는 제직물을 염색하는데 사용되는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조밀한 구조를 가지며 높은 결정도를 나타내므로 염색될때 염료는 섬유의 비결정영역으로 침투한다. 그러나, 비결정영역에서 조차도 폴리에스테르 분자는 아주 적게 배향되므로 염료분자는 제7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배열되어서 그 결과 섬유축에 평행하는 전자파의 진동면은 흡수되나 섬유축에 수직하는 그의 진동면은 한정된 정도로만 흡수된다.
그래서,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면의 투과율과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면의 투과율 사이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며 부적당한 담갈색의 발색현상이 초래된다.
염료분자의 상술한 배열을 방지하고 제6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염료분자가 배열되는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분자가 전혀 배열되지 않거나 단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만 배열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전형적인 실례로는 (ⅰ) 1000 내지 2000m/min의 방사속도에서 섬유방사를 하여 제조되며 연신공정을 거치지 않은 미연신사와 (ⅱ) 2000m/min이상, 5000m/min 이하의 방사속도에서 섬유방사를 진행하여 완화상태하에서 적어도 220℃온도로 방사된 섬유를 열처리하여 비결정영역에서 중합체분자를 완전히 완화시킨 섬유를 들 수 있다. 그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제조될 때 다음 단계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방사구의 오리피스에서 300℃ 이상 고온에서 중합체를 용융방사하는 단계, 적어도 1000의 고방사연신비에서 중합체를 방사하는 단계와 그 내에 공중합된 개질공단량체를 가지는 공폴리에스테르를 적용하는 단계.
등급 7이상의 색조깊이(Y)값을 가지는, 즉 광택이 있는 의도된 색조깊이는 단지, 초고속방사에서 제조된 이염성 섬유; 중합체에 초미립자를 혼입하고 섬유방사후 중합체 섬유로부터 이 초미립자를 용해하여 제조된 그 표면부분에 미세공을 가지는 섬유; 금속설폰산염으로 처리하여 이염성으로 한 섬유; 와 비결정영역이 완화되도록 완화된 상태하에서 열처리된 섬유; 만으로는 얻어질 수 없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비결정영역에서의 분자배향도가 실제 보통 사용되지 않는 미연신 섬유에서와 유사하거나 무시할만한 정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결정영역에서 지극히 감소된 분자배향도를 가지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외부힘에 의해 매우 쉽게 신장되며 매우 저조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보강용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조합하여 사용되면 실제 허용가능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사를 제공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염색시에 빈약한 색조깊이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좋은 색조깊이를 나타내고 실제 허용가능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사를 제공하려면 제8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강용 고배향섬유의 심부(8)와 향상된 색조깊이를 나타내나 기계적 강도가 빈약한 섬유의 표면층(7)으로 이루어진 이중-층구조의 복합사가 사용되는 것이 유익하다. 사의 기계적 강도는 보강심부섬유(8)에 주로 의존되며 염색사의 농색외관은 전적으로 좋은 색조깊이를 나타내는 외장섬유(7)에 좌우된다. 이 복합사는 깊이(ℓ2)의 외장섬유와 길이(ℓ1)의 보강용 심부섬유로 제조되는 것이 유익하며, 여기서 (ℓ2)와 (ℓ1)은 다음 필요조건: △ℓ×1005% (식에서, △ℓ=(ℓ2-ℓ1)/ℓ1)을 만족시킨다. 보강심부섬유(8)에 의해 사에 가해진 외력에 견딜려면 심부섬유(8)는 50%이하이고 좋은 색조깊이를 나타내는 외장섬유(7)의 신도의 ⅔보다 크지 않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½이하의 신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목적을 위하여 보강심부섬유(8)는 외장섬유의 적어도 1.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배의 강도(데니어당으로 표시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사 또는 제직물을 염색하는데 염료선택 또한 중요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에서 제6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방향으로 분자가 배향되도록 랜덤방식으로 염료분자가 분포되어서 자연광선의 모든 진동면이 흡수될 수 있으므로 부적당한 담갈색의 발색현상이 최소화되고 광택이 있는 농색이 발현된다. 그러나, 일방향에서의 광흡수는 제7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모든 염료분자가 배열되는 광흡수와 비교할 때 비교적 약하다. 또 색조깊이는 사용된 특정염료에 따라서 크게 변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분자내에 공액이중결합을 가능한 많이 가지는 염료가 향상된 광흡수를 나타내어 매우 진한 색(농색)을 발현시킨다. 즉, 의도된 색조깊이는 비결정 영역에서 크게 감소된 분자배향을 가지는 섬유와 분자에 많은 공액이중결합을 가지는 염료를 조합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염료의 분자량이 클수록 염료분자내 공액이중결합이 많다.
그러므로, 고분자량의 염료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염료가 섬유에 의해 흡수될 때 섬유의 중합체분자의 배향에 의해 고분자량의 염료가 쉽게 배열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중합체의 비결정영역에서의 분자배향도는 최소로 되어야 한다. 적어도 380의 분자량을 가지는 염료가 바람직하며 고분자량을 가지는 염료로서는 이후 표 2에 도시된 것들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과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 사이의 차(△X)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에 관한 중요한 척도이다. 그러나, 두 광선투과율이 거의 제로이면, 즉 색이 너무 어두우면, 또는 두 광선투과율 둘다가 100%에 가까우면, 즉 색이 너무 밝으면 의도된 색조깊이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얻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명도지수(L*)값은 25 내지 65의 한정범위내이어야 한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용 염색 절차는 다음에 기술된다.
생지직물을 정련한 다음 건조한다. 사용된 염색기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염색하는데 폭넓게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염욕이 순환되는 종류의 염색기계가 보강용 심사섬유와 농염성 외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사로 제직된 직물을 염색하는데 바람직하다. 보통, 생지직물을 욕비 1:5 내지 1:50 o.w.f.에서의 염욕에 침지하여 온도를 적어도 120℃의 소정염색온도로 15내지 60분내에 상승하고 그 온도에서 염욕을 15내지 90분 동안 유지한다. 45 내지 60분 동안에 걸쳐서 점차적으로 온도상승을 실행하고 적어도 45분 동안 적어도 130℃의 일정온도에서 염색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된 염료량은 의도된 정도의 색조깊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농염직물에 사용된 상술한 농염성 폴리에스테르사는 제조단가가 비싸고 취급에 힘이 든다. 그러므로, 농염성 사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다른 사와 결합하여 혼방직물로 제직될 수 있다. 혼방직물의 제조시 농염성 사가 보다 큰 크림프를 가지는 것, 즉 광택이 있는 농색발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큰 정도로 농염성 사가 노출되도록 기타 사보다도 경위사의 교차점에서 보다 큰 반경의 만곡을 가지면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혼방직물은 경사가 완화공정 또는 마무리 가공고정단계에서 오버피드되어서 보다 큰 권축을 소유하는 식으로 농염성 폴리에스테르 사로 구성된 경사와 기타 사로 구성된 위사를 제직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유익하다. 예를 들면, 경사 및 위사의 만곡은 각각 적어도 20%, 7%이하이다.
또 농염성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직물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5%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강연사로 제직되어 주름진 표면을 가지는 크레이프 직물일 수 있다. 크레이프 직물이 본 발명의 농염직물로서 제조되는 경우 다음 문제점에 봉착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즉, 먼저 강연사는 표면이 거칠고 색조깊이를 줄이는 확산반사가 더 증대되며, 둘째 비결정영역에서 거의 또는 전혀 배향성이 없는 섬유들로 구성된 사는 좋은 크레이프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들 문제점은 경사의 제직크림프가 위사의 것보다 더 커서 경사가 제직물의 표면에 더 많이 노출되도록 경사로서 농염성 폴리에스테르 사를 사용하고 위사로서 강연사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사로 된 적어도 1000꼬임/m을 가지는 강연사를 사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아세테이트 레이온 및 비스코오스 레이온과 같은 더 셀룰로오스 섬유는 천연실크섬유보다는 저조하나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보다는 더 나은 색조깊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셀룰로오스 섬유는 그 직물이 세척시 쉽게 주름이 생기고 수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섬유는 보통 직물로의 제직시 폴리에스테르섬유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는 서로 아주 다른 색조깊이를 가지며 그로부터 제직된 혼방직물은 종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색조깊이가 셀룰로오스 섬유 색조깊이를 상쇄하기 때문에 색조깊이가 빈약하다.
이와는 달리, 셀룰로오스 섬유 및 농염성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직물로 제직될 경우 최종 혼방직물은 우수한 조화된 색조깊이를 나타내며 셀룰로오스 섬유로 인한 좋은 촉감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인한 좋은 기능을 소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혼방직물이 제직되는 절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혼방사로 방사되며, 또는 셀룰로오스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는 서로 인터레이스(interlace), 트와인(twine) 또는 트위스트(twist)되어서 결과 제조된 사는 직물로 제직된다. 별법으로, 셀룰로오스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는 이들 두 종류의 사중 어느 하나는 경사, 나머지는 위사로 하여 혼방직물로 함께 제직된다. 경사로서는 농염성 폴리에스테르사, 위사로서는 셀룰로오스사를 경사의 제직크림프가 위사의 제직크림프보다 크도록 혼방직물로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경사로 인한 좋은 색조깊이와 위사로 인한 좋은 드레이프성 및 촉감을 가지는 시각적으로 또 감촉적으로 우수한 혼방직물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염직물의 색조깊이는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사가 직선 필라멘트로 구성된 플랫 필라멘트사의 형태일 경우 가장 이채를 띠나 보다 나은 촉감, 단열성 및 연신성을 직물에 부여하려면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사가 크림프 또는 루프로 된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강연사일 경우에도 다소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사가 스테이플 섬유로 제조된 방적사일 경우 조차도 방적사의 무질서 섬유 및 잔털로 인하여 어느 정도 산란반사가 일어나지만, 다소 유사한 색조깊이가 얻어질 수 있다.
경 또는 위편직물의 경우에는 농염혼방직물이 예컨대, 경 또는 위편직물을 위해 농염성 폴리에스테르사를 편성하거나 각각 다른 사의 경 또는 위편직물의 제조공정에서 위사 또는 경사로서 농염성 폴리에스테르사를 편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특별히 한정도지 않고 둥근 단면이나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좋은 색조깊이 및 좋은 광택을 나타낸다.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보통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매우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산란반사를 나타내나 본 발명에 따라서 좋은 색조깊이가 주어지는 경우 이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향상된 색조깊이를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은 지극히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적용될 수 있다. 최근에,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좋은 새로운 터치의 직물을 부여하기 때문에 높게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래 직물은 높은 산란반사를 나타내므로 담갈색조를 띠며 색조깊이가 빈약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1 데니어 이하, 특히 0.6데니어는 이하 두께의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좋은 색조깊이가 주어지는 경우 결과 생성직물은 극세섬유의 종래직물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특수한 색조깊이와 좋은 터치를 나타낸다. 그래서, 극세섬유로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시각적으로 촉감적으로 고도의 것이다.
[실시예들]
지금부터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해 기술한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매개변수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광선투과율 X∥, X⊥]
견본섬유들을 슬라이드 유리 위에 평행으로 하나씩 위치하고 요드벤젠을 견본섬유위에 떨어뜨리고 섬유들을 덮개유리시이트로 덮는다. 편광 마이크로 분광광도계 모델 DSP-SP-100-PO(올림프스 광학사 제)을 사용하여 광선투과율을 측정한다.
직경 2μm의 편광 입사광의 광선을 섬유축에 평행하도록 섬유에 투사하고 분광투과율을 가시광 파장영역인 400 내지 700nm에서 측정하며, 이때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참조투과율로 한다. 최소투과율에 해당하는 파장에서의 투과율은 X∥(%)이다. 유사하게, 광선이 섬유축에 수직하도록 편광 입사광의 광선을 섬유에 투사하고 가시광 파장영역의 400 내지 700nm에서의 최소투과율에 해당하는 파장에서의 투과율 X⊥(%)을 측정한다.
[전체섬유의 배향도]
(복굴절 △n)
복굴절 △n은 시나몬트(Senarmont)법에 따라서 편광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결정화도 (χc)]
X-선 회절패턴을 카운터 PSDC시스템으로 결합된 리가꾸 전기사(Rigaku Electric Co.) 제 X-선 발생기 RAD-ⅢA를 사용하여 35㎸×10㎃, CuKα선 Ni필터, 1㎜발산슬리트를 적용하여 준비하였다.
X선 광선에 수직하는 면에서 섬유들을 회전시키면서 총 산란반사를 결정영역에서 측정한다.(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경우에는 2=10 내지 40°에서 측정한다.)
유사하게 총 산란반사는 비결정영역에서 측정하고 결정화도 (χc)는 다음 방정식에 따라 산출한다.
[결정배향도(Fc)]
결정배향도는 다음 방정식으로부터 산출한다.
식에서, H°는 (110)면에서의 X-선 회절패턴의 반가폭(half-value width)이다. (110)면에서의 X-선 회절패턴에서 항상 적도면에 점이 집중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적도 상하측으로 분산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110)면에서의 회절이 사용되었다.
[비결정 배향도(△na)]
비결정 배향도(△na)를 다음 방정식으로부터 산출한다.
[명도지수(L*)]
명도지수( L*)를 Commission Intermationale de l'Eclairage(CIE)에 의해 규정하고 JIS-Z-8729-1980에 따라 측정한다. 명도지수(L*)가 클수록 섬유색이 밝다. (L*)값이 작을수록 섬유색은 더 어둡고 짙다. 명도지수(L*)값은 분광광도계 MacbethColor Eye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비교실시예 1]
이 비교실시예는 표 1의 공정 No.1에 해당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500m/min방사속도에서 필라멘트로 용융방사하였다. 필라멘트의 한부분은 160℃로 유지된 가열판 위로 통과시키고 필라멘트의 나머지 부분은 가열판을 통과시키지 않는 식으로 필라멘트들을 본래 길이의 3배로 연신하여서 각 종류가 총 30데니어의 18가닥 필라멘트들로 구성된 두 종류의 연신필라멘트들을 제조하였다. 수축성이 다른 두 종류의 필라멘트들을 총 60데니어의 36가닥 필라멘트들로 구성된 실키혼합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혼합 방사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서 실키혼합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생지직물을 완화된 상태하에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끓는 물로 정련한 다음 180℃에서 열고정한 후 직물을 다음 조건하에서 염색하였다.
염색온도 : 온도를 정규온도로부터 2℃/분 비율로 상승하고 염색을 60분 동안 130℃에서 실행하였다.
염료와 양 : C. I. Disperse Red 92 (분자량 496), 5% owf
염색보조제 : Disper VG 0.5g/ℓ+아세트산 0.2㎖/ℓ
욕비 : 1:50
염색후 염직물을 환원상태하에서 세정하고 건조하여 160℃에서 열고정하였다.
결과 생성된 염직물은 실키, 즉 실크느낌을 주었으며 명도지수(L*)는 39.8을 나타냈으며, 실크의 색조깊이(Y)를 등급7로 한다는 조건하에서 10등급의 시각적 관능검사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등급1의 색조깊이(Y)를 나타내었다.
염색섬유를 염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모아서 광선투과율(X∥) ( X⊥)을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400 내지 700nm)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편광투과광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편광투과광의 스펙트럼을 제9도에 각각(A)(B)로 도시한다. 최대흡수파장(λο)(즉, 최소투과율에 해당하는 파장)은 520nm이었다. 파장 520nm에서 (A)의 광선투과율(X∥)은 2%이었고 (B)의 광선투과율( X⊥)은 32%이었다. 그래서 △X=(X⊥-X)는 30%이었다.
[비교실시예 2]
이 비교실시예는 표 1에서의 공정 No.2에 해당한다.
직경 0.1㎛이하의 수용성 무기물질의 초미립자를 3 중량%의 양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 다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통상의 방사절차에 의하여 1200m/min의 방사속도에서 필라멘트로 용융방사하였으며 필라멘트를 보통길이의 3.6배로 연신하여서 총 75데니어의 36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서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직물을 정련하고 180℃에서 열고정한 다음 20분 동안 100℃에서 3중량%의 농도를 가지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무기물질의 초미립자를 용해하여서 섬유로부터 제거하였다. 그렇게 하여 처리된 직물은 입사광선이 초미세돌출부에 의해 흡수되도록 수많은 초미세돌출부가 있는 조면을 가지는 섬유들로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었다.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직물을 염색하였다.
광선투과율(X∥) ( X⊥)을 염색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상에서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선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선의 스펙트럼을 제10도에 각각 (A)(B)로 도시한다. 최대흡수파장(λο)은 520nm, 즉 동일한 염료이기 때문에 비교실시예1에서와 동일하였다. 편광투과율에서의 차 (△X=X⊥-X)는 27%로 약간 작았다. 그러나 염직물은 등급 2의 색조깊이(Y)를 가졌다.
[비교실시예 3]
이 비교실시예는 표 1에서의 공정 No.3에 해당한다.
함께 공중합된 5-소디움-설포이소프탈산 5 몰 %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2500m/mim 방사속도에서 필라멘트로 용융방사하였으며 필라멘트들을 통상의 절차에 의해 보통 길이의 2.0배로 연신하여서 총 100데니어의 24가닥 필라멘트들로 구성된 개선된 염색성을 가지는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서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염색온도를 100℃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직물을 정련하여 염색하였다.
광선투과율(X⊥) (X∥)을 염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한 염색섬유상에서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선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선의 스펙트럼은 제11도에 각각 (A)(B)로 도시한다.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23%이었다. 염직물의 색조깊이(Y)는 등급 3이었다.
비교용으로, 염색온도를 130℃로 상승하여 상술한 절차를 반복하였으나 결과는 상기 결과와 비교한 바 약간 불만족스러웠다.
[비교실시예 4]
이 비교실시예는 표 1에서의 공정 No.4에 해당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속도 3500m/min에서 필라멘트로 용융방사하였으며 그 필라멘트들을 본래 길이의 1.5배로 연신하고 180℃로 유지된 가열기를 사용하여 완화된 상태하에서 열처리하여서 비결정영역에서 자체-신장성이 있었던 것이 특징인 총 50데니어의 24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필라멘트사를 총 30데니어의 12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혼합방사하여서 다른 수축성을 가지는 필라멘트들의 혼합사(총 80데니어의 36가닥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 혼합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직물을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한 바와 동일한 상태하에서 정련하고 염색하였다.
결과생성 염직물은 유연성이 있었고 좋은 드레이프성 및 터치를 가졌으며 새로운 합성섬유로 된 직물로 분류된다. 광선투과율(X⊥) (X∥)을 염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상에서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선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선의 스펙트럼은 제12도에 각각 (A)(B)로 도시한다.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17%이었다. 염직물의 색조깊이(Y)는 등급 5이었으며 그래서 실크의 색조깊이와 비교해 볼때 저조하였다.
[비교실시예 5]
이 비교실시예는 표 1에서의 공정 No.5에 해당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속도 7000m/min에서 필라멘트로 용융방사하여서 초고율의 염료흡수를 나타내는 필라멘트들을 얻었으며 농염성 필라멘트사는 총 50데니어의 24가닥 필라멘트로 구성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서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염색온도가 110℃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직물을 정련하고 염색하였다.
결과생성 직물은 초고속 방사속도에서 방사된 필라멘트에서의 특징이었던 유연한 터치를 지녔다. 직물을 110℃에서 염색한 바 색명도지수(L*)은 38.5를 나타냈으나 착색은 짙지 않았는데, 즉 이의 색조깊이(Y)값은 등급 5이었다.
광선투과율(X⊥) (X∥)을 염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상에서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스펙트럼은 제13도에 각각 (A)(B)로 도시한다.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14%이었다.
비교용으로, 염색온도를 130℃로 상승하여 상술절차를 반복하였으나 그 결과는 마찬가지로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
이 실시예 1은 표 1에서의 공정 No.6에 해당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속도 2500m/min에서 필라멘트로 용융방사하였다. 필라멘트들이 미연신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필라멘트들을 0.05초 동안 220℃에서 열처리하여서 총 30데니어의 24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총 30데니어의 12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25%신도를 갖는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상기 제조된 필라멘트사를 혼합방사하여서 총 60데니어의 36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생지직물을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정련하고 염색하였다.
염직물은 벌키성이 있었고 다른 길이(ℓ1), (ℓ2) (ℓ2-1)의 차(%)는 15%이었음)를 가지는 두 종류의 필라멘트로 구성하였다. 광선투과율(X⊥) (X∥)을 염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상에서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 투과광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스펙트럼은 제14도에 각각 (A)(B)로 도시한다.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단지 5%이었다. 염직물은 등급 9의 색조깊이를 나타냈다.
즉 염직물은 실크보다 더 짙고 광택이 있게 염색되었으며 종래 합성섬유보다는 훨씬 더 짙고 광택있게 염색되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표 1에서의 공정 No.7에 해당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2800m/min의 방사속도에서 필라멘트로 용융방사하였다. 오버피드(과공급)비가 15%이도록 완화된 조건하에서 필라멘트들이 미연신상태였었기 때문에 필라멘트들을 240℃에서 유지된 가열기로 열처리하여서 총 50데니어의 24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되며 비결정영역이 완전히 비배향되는데 특징이 있는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얻었다. 필라멘트사를 총 40데니어의 10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신도 27%를 가지는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혼합방사하여서 총 90데니어의 34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생지직물을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정련하고 염색하였다.
염직물은 벌키성 및 유연성이 있었고 드레이프성이 좋았다. 염직물은 새로운 합성섬유와 유사한 외관을 지녔으며, (ℓ2-1)의 차가 18%인 다른 길이(ℓ1),(ℓ2)를 가지는 두 종류의 필라멘트들로 구성하였다. 염직물은 등급 10의 색조깊이(Y)를 나타냈는데, 즉 직물이 실크보다도 더 광택있게 보다 농색으로 염색되었다. 광선투과율(X⊥) (X∥)은 염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상에서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스펙트럼을 각각 제15도에 (A),(B)로 도시한다.
편광의 광선투과율의 차(△X)는 단지 3%, 즉 투과도는 거의 등방성이었다.
[실시예 3]
표 2에 수록된 염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실제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여러 색깔의 염직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의 필요조건 △X10 및 색조깊이 Y7의 효과는 모든 색에서 만족스러웠다.
비교용으로 비교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실제 동일한 절차와 표 2에 수록된 바와 동일한 염료를 사용하여 여러색의 염직물을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도시한다.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10을 초과하며 색조깊이(Y)는 모든 색에서 등급 1 내지 3의 범위내이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10을 초과하며 색조깊이(Y)는 모든 색에서 단지 등급 1 내지 3의 범위내이다.
[실시예 4]
위사로서 혼합방사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총 90데니어의 34가닥 필라멘트)와 경사로서 2000꼬임/m으로 통상 연신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총 75데니어의 72가닥 필라멘트)를 꼬아서 제조한 경연사를 사용하여 생지직물을 제조하였다.
정련하고 고정할 때 직물이 그 경사방향으로 오버피드되어서 최대수축을 일으키나 위사방향으로는 단지 최소 수축이 일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생지직물을 정련하고 염색하였다. 결과생성된 염직물은 경사방향에서는 권축백분율 26%, 위사방향에서는 권축백분율 3%를 나타내어, 즉 경사방향에서만 파상으로 주름이졌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위사로서 사용하더라도 단지 경사만 표면위에 주로 노출되므로 직물은 등급 8의 색조깊이(Y)를 나타내었다. 염색된 경사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에 대해 측정한 바의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단지 3%이었고 노출되지 않는 위사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에 대해 측정한 바의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 차(△X)는 35%이었다.
[실시예 5]
위사로서 혼합방사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총 90데니어의 34가닥 필라멘트)와 내열성 아세테이트 필라멘트사(총 70데니어의 20가닥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생지직물을 제조하였다. 직물을 그 경사방향으로 오버피드하여 최대수직이 일어나게 하되 위사방향에서는 단지 최소수축이 일어나도록 하여 실시예 4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생지직물을 정련하고 염색하였다. 결과제조된 염직물은 경사방향에서는 권축백분율 22%를 나타내었고 위사방향에서는 권축백분율 5%를 나타내었다.
직물은 등급 9의 색조깊이(Y)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2900m/min의 방사속도에서 용융방사하여 총 72데니어의 144가닥의 극세 필라멘트(즉, 단일 필라멘트=0.4데니어)로 구성된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연신하지 않고 오버피드 비율이 10%이도록 완화된 상태하에서 고온 235℃로 필라멘트사를 열처리하여서 비결정부분이 단지 무시해도 좋은 정도로만 배향되는데 특징이 있는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생지직물을 경위사로서 필라멘트사로부터 제직하였다.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직물을 정련하고 염색한 다음 버핑처리(buffing treatment)를 하였다.
직물은 극세필라멘트들로 구성되었으나 직물은 등급 8의 색조깊이(Y)를 나타내었다. 극세 필라멘트들은 큰 불규칙 반사를 나타내므로 그들의 색은 밝게 광택을 띠거나 짙지도 않았고 약간 담갈색을 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의 직물은 신합성섬유라고 보통 불리어지는 극세 필라멘트들로 구성된 종래 직물과는 차이가 있었다.
[실시예 7]
양이온 염료-가염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총 30데니어의 12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필라멘트사로 용융방사하였으며 용융방사 공정은 매우 큰 직경의 오리피스로 된 방사구를 사용하여 초고연신비, 즉 약 100정도의 연신비를 적용하는 종래 용융방사에 비하여 수축을 일으키는 연신비 200,000 배율로 실행하였다.
그리하여 단지 최소정도로만 배향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인 필라멘트사를 배향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직접 얻었다.
필라멘트사를 그 연신공정없이 36게이지 트리코트기를 사용하여 트리코트편지로 편성하였다. 편직물을 정련하고 120℃에서 C.I.Disperse Red 92 5% owf로 염색한 다음 160℃에서 열고정하였다.
광선투과율(X⊥) (X∥)을 염직물의 표층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염색섬유상에서 측정하였다. 가시광 파장영역에서 섬유축에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스펙트럼과 섬유축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투과광의 스펙트럼을 각각 제30도에 (A)(B)로 도시한다.
편광의 광선투과율에서의 차(△X)는 단지 8%이었다. 트리코트 직물은 실크섬유의 색조깊이(Y)와 유사한 등급 7의 색조깊이(Y)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두 종류 혼합방사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16게이지 인터록 원형편기로 공급하여 위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위편직물을 비교실시예 1에서 적용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정련하고 염색하였다. 색은 광택이 있으면서 짙었으며 색조깊이(Y)는 등급 9이었다.
위편직물의 변형으로서 위편직물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총 50데니어의 24가닥 필라멘트)로 구성된 경사가 위편시스템에 삽입되는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위편직물에서 심사로서 깊숙히 박아서 위사만이 편직물의 표면에 노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변형 위편직물의 염색제품은 마찬가지로 광택있는 농색을 지녔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염색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천연섬유로 된 직물보다 촉감 및 색조에 있어서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신합성섬유라고 불리고 있는 크게 다른 수축성을 가지는 필라멘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콘쥬게이트 섬유는 실크보다 우수한 벌키도, 드레이프성 및 터치를 가지는 직물을 제공하나 염직물은 색조깊이에 있어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이 문제점은 광택있는 농색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염직물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직물은 스카프, 드레스, 블라우스, 자켓, 스커트, 바지, 코트, 여성용 자켓, 커튼 및 애완동물 덮개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명도지수(L*) 값 25 내지 65로 염색되는 경사 및 위사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 및 위사 둘다 또는 어느 하나의 적어도 표층부분에서의 섬유가 최대흡수파장에서 섬유축에 수직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 %)과 동일한 파장에서 섬유축에 평행하여 진동하는 편광의 광선투과율(X∥ %)사이에서의 차(△X %)가 10%이하인 정도의 광선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그 표층부분에서 상기 투과율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섬유를 가지는 경사 및 위사 둘다 또는 어느 하나가 심섬유와 표층섬유로 구성되며 표층섬유가 심섬유보다 적어도 5%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3. 제2항에 있어서, 심섬유가 표층섬유의 신도의 ⅔이하이고 40%이하인 신도를 가지며, 심섬유가 표층섬유의 데니어당 강도의 적어도 1.5배의 데니어당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경사가 적어도 그 표층부분에서 상기 투과율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섬유들을 가지며, 위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기타 섬유들로 구성되며 경사의 표층섬유와는 다르며, 직물에서의 경사가 직물에서의 위사의 권축백분율보다 더 큰 권축백분율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5. 제4항에 있어서, 위사가 적어도 1000꼬임/m을 가지는 강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6. 제4항에 있어서,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55중량%의 양으로 경사가 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7. 제4항에 있어서, 위사가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혼방제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8.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그 표층부분에서 상기 투과율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섬유를 가지는 경사 및 위사 둘다 또는 어느 하나가 1데니어 이하의 굵기를 가지는 극세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9.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분자량 380을 가지는 염료로 염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KR1019940701059A 1994-04-01 1992-09-16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KR014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701059A KR0148402B1 (ko) 1994-04-01 1992-09-16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701059A KR0148402B1 (ko) 1994-04-01 1992-09-16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8402B1 true KR0148402B1 (ko) 1998-12-01

Family

ID=1940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059A KR0148402B1 (ko) 1994-04-01 1992-09-16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4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9991A (en) Composite crimped yarn and woven fabric
KR0148402B1 (ko) 농염 폴리에스테르 직물
US5385784A (en) Deeply dyed polyester fabric
JP3088597B2 (ja) 複合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76813B2 (ja) ポリエステルシック・アンド・シンヤーンおよび該ヤーンからなるカスリ調織編物
JP3515508B2 (ja) ポリエステル撚糸を含む濃淡織編物
JPS6330424B2 (ko)
JP3250850B2 (ja) ポリエステル斑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03452B2 (ja) 特殊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8744A (ja) ポリエステル複合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
JP4070849B2 (ja) 嵩高軽量ポリエステル繊維織物
JP2823233B2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混繊糸
JP2512392B2 (ja) 不透明性にすぐれた織物の製造方法
JP3908851B2 (ja) ポリエステル太細マルチフィラメント
JP3855384B2 (ja) 太細を有する合成繊維マルチフィラメントおよび織物
KR100314560B1 (ko) 태세복합 혼섬사의 제조방법
JP2527212B2 (ja) ポリエステル加工糸
JPH0219510A (ja) ポリエステル偏平横断面糸およびこの糸で構成された織編物
JP2583872B2 (ja) シルキ−織物
JP2882832B2 (ja) 異染性フェザー調加工糸
JPH04370216A (ja) ポリエステル太細糸及びポリエステル仮撚捲縮糸
JP2001271239A (ja) 収縮差混繊糸および製造方法
JPH09268468A (ja) ポリエステル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斑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19933A (ja) 高発色性シルキー織物の製造方法
JPH07324241A (ja)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複合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4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