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7883B1 - 유체압축장치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유체압축장치 및 공기조화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883B1
KR0147883B1 KR1019940023938A KR19940023938A KR0147883B1 KR 0147883 B1 KR0147883 B1 KR 0147883B1 KR 1019940023938 A KR1019940023938 A KR 1019940023938A KR 19940023938 A KR19940023938 A KR 19940023938A KR 0147883 B1 KR0147883 B1 KR 0147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compressor
cas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스기야마
히데아키 츠치야마
도시히코 후타미
히사타카 가토
다카오 호시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052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276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051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27670B2/ja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1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with additional mechanism between armature and closure member
    • F16K31/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with additional mechanism between armature and closure membe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20/00Application
    • F04C2220/20Pumps with means for separating and evacuating the gaseous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9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3Kind or type mixed, e.g. two-phase fluid
    • F05B2210/132Pumps with means for separating and evacuating the gaseous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03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39Four port rever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ompressor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전환벨브장치에 의해 유체압측장치에서 토출되는 고압유체의 유로를 전환하여 난방 또는 냉방을 행할 수 있는 유치압축장치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체압축장치는 케이스, 압축기구부 및 회전밸브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실외열교환기, 감압장치 및 상기 유체압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압축장치 및 공기조화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전환밸브를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전환밸브의 밸브베이스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자력전환부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밸브체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자석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압축기의 평면도,
제8도는 제1도의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나타낸 공정도,
제9도는 제1도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전환밸브를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전환밸브의 밸브베이스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자력전환부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제15도는 제11도의 제1의 밸브체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16도는 제11도의 제1의 밸브체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17도는 제11도의 자력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18도는 제11도의 자석부재와, 제1, 제2의 밸브체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9도는 제11도의 압축기의 평면도,
제20도는 제11도의 난방운전시의 전환밸브부의 전환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및 파형도,
제21도는 제11도의 서리제거운전시의 전환밸브부의 전환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및 파형도,
제22도는 제11도의 냉방운전시의 전환밸브부의 전환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및 파형도,
제23도는 종래예의 4방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압축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방밸브장치 2:밸브체
3:고압가스도입관 4:저압가스토출관
5:미끄럼운동밸브 8,9:피스톤
10:전자밸브장치 11,12,13:모세관
25:밀폐케이스 26:압축기부
27:전동기부 30:스테이터
31:로터 32:구동샤프트
35:실린더 37:축받침부재
40:롤러 41:압축공간
42:브레이드 44:흡인통로
48:소읍장치 52:밸브베이스
57:홀더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의 동작유체(냉매)의 유로의 전환을 하는 4방밸브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에 이용되는 유체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 및 난방 모두를 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냉방시와 난방시에 실내측열교환기와 실외측열교환기에 흘러 통하는 동작유체(냉매)의 흐름을 전환하는 4방밸브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4방밸브장치로서는 일반적으로 제23도에 1로 나타낸 바와같은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4방밸브장치(1)는 밸브본체(2)와, 이 밸브본체(2)에 접속된 고압가스 도입관(3) 및 저압가스토출관(4)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밸브본체(2)내에 설치된 미끄럼운동밸브(5)의 전환에 의해 상기 저압가스토출관(4) 또는 상기 고압가스도입관(3)과 연 통하는 제1, 제2의 접속간(6)(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운동밸브(5)는 이 미끄럼운동밸브(5)에 접속된 피스톤(8),(9)에 의해 상기 밸브본체(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구획된 제1, 제2의 공간 R1,R2의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있다.
이 밸브본체(2)내에 압력 차를 도입하고, 상기 미끄럼운동밸브(5)를 작동시키는 장치로서는 도면에 10으로 나타낸 전자밸브장치가 이용된다. 이 전자밸브장치(10)에는 상기 제1, 제2의 공간R1,R2에 접속된 구리로 만든 제1,제2의 모세관(11)(12)이 접속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저압가스토출관(4)에서 도출된 같은 구리로 만들어진 제3의 모세관(13)이 상기 제1, 제2의 모세관(11,12)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자밸브장치(10)내에 설치된 밸브체(14)를 도면에 15로 나타낸 전자석 및 스프링(16)의 작용에 의해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4방밸브장치(1)의 밸브 본체(2)내의 제1 또는 제2의 공간R1,R2내에 저압가스토출관(4)내의 압력(저압)을 도입한다.
상기 4방밸브장치에 설치된 상기 피스톤(8),(9)에는 각각 미세한 관통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1,제2의 공간R1,R2내에는 미리 상기 밸브본체(2)내의 압력(고압)이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제2의 공간 R1,R2의 어딘가에 저압이 도입되어 있는 것으로 양자의 사이에 압력 차가 발생하여 상기 미끄럼 운동밸브(5)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상기 4방밸브장치(1)의 고압가스도입관(3)은 도면에 18로 나타낸 압축기의 토출관(18)에 접속되고, 상기 저압가스토출관(4)은 상기 압축기(18)의 흡인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접속관(6)은 제19도에 나타낸 실외측열교환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접속관(7)은 실내측열교환기(20)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난방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낸 위치에 상기 미끄럼운동밸브(5)를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제2의 접속관(7)과 상기 고압가스도입관(3)을 연이어 통하게하는 동시에 상기 제1의 접속관(6)과 상기 저압가스토출관(4)을 연이어 통하도록 한다.
이것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내를 유통하는 동작유체는 상태변화를 하면서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기(18), 실내측열교환기(20), 팽창밸브(21), 실외측열교환기(19), 그리고 압축기(18)의 순으로 흘러 통하고 이 공기조화기에 난방운전을 하게 한다.
또한 난방시에는 상기 전자밸브장치(10)에 의해 4방밸브장치(1)의 미끄럼 운동밸브(5)를 전환함에 의해 상기 제1의 접속관(6)과 상기 고압가스도입관(3)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접속관(7)과 상기 저압가스 토출관(4)을 연이어 통하도록 한다.
이것으로, 동작유체는 상기한 경우와는 반대로 실외측열교환기(19)측에서 실내측열교환기(20)측으로 흘러 통하고, 이 공기조화기에 냉방운전을 행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4방밸브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는 이하에 설명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4방밸브방치(1) 및 전자밸브장치(10)는 구성이 복잡하고 대형이고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배관이 복잡하고, 특히 고압가스도입관(3)은 상기 압축기(18)의 토출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을 전하기 쉽고 그 때문에방진조치를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종래 공기조화기용의 냉매에는 R-22로 대표되는 HCFC계 냉매가 이용되고 있지만, 프레온규제가 시작되어 대체 냉매로는 HFC계 냉매가 검토되고 있다.
이 HFC계 냉매는 종래의 HCFC계 냉매에 비해서 소음이 전달되기 쉬운 성질의 냉매이고, 특히 왕복식의 미끄럼운동밸브(5)를 이용하는 상기 4방밸브장치(1)에 있어서는 전환작동시의 충돌음이 냉매를 통해서 실내측열교환기(20)로 전파되어 소음(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체(2)와 전자밸브장치(10)를 접속하는 제1~베3의 모세관(11)~(13)은 상기 케이스(24)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충격으로 변형하고 작동불량이 되는 결점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종래 일본 특개소 60-12459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기부(22) 및 전동기부(23)를 수납하는 밀페케이스(24)내에 상기 압축기부(22)에서 토출된 고압토출가스를 가득 채우는 타입의 압축기이고, 상기 케이스(24)내에 상기한 구성의 4방밸브장치(1) 및 전자밸브장치(10)를 내장하는 것으로 고압가스도입관(3)의 배관을 불필요로 하는 동시에 상기 모세관(11)~(13)의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구성이 복잡하고 대형이라는 문제는 해결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이와같은 4방밸브장치(1)를 케이스(24)내에 끼워 넣음에 따라 압축기 자체가 대형이 되고 최근의 압축기의 소형화의 경향에 대응할수없다는 새로운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이 4방밸브장치(1)는 압력차로 작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미끄럼운동밸브(5)는 항상 밸브자리에 밀착시켜놓을 필요가 있고 정지시에 배관끼리의 압력균형(가스균형)을 잡기 어렵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압력균형을 잡기 위해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지후의 재기동과 냉방과 난방사이의 운전전환을 신속하게 할수 없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정지후의 압력균형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하는 유체압축기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압축기는 상부 및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의 밀폐 케이스와, 상기 밀폐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밀폐 케이스 밖으로부터 흡인한 저압류체를 압축하여 고압 유체로 하여 밀폐케이스 내로 배출하는 압축기부와, 상기 밀폐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부를 구동하는 전동기부와, 상기 밀폐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제1밸브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밀폐 케이스 밖으로의 고압 유체의 배출 배관 및 상기 압축기부로의 저압유체의 흡인 배관을 전환하는 회전형 전환밸브와, 상기 밀폐 케이스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기밀하게 고정되고, 외측에 상기 배출배관 및 흡인배관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또한 내측에는 상기 회전형 전화밸브가 고정된 상기 회전 전환밸브의 밸브 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형 전환밸브는 상기 제1밸브체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상기 유체 압축기의 배관에 실내측 열교환기, 감압장치 및 실외측 열교환기로 구성하는 냉매의 유체 통로에 접속하고, 상기 회전형 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압축기부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유체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음으로써 난방 또는 냉방운전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1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25는 밀폐케이스이다. 이 밀폐케이스(25)내에는 높이방향하단부, 중도부 및 상단부에 각각 압축기부(26)와 이 압축기부(26)를 구동하여 압축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전동기부(27)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환밸브(28)(회전형 4방전환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전동기부(27)는 상기 밀폐케이스(25)의 내면에 고정된 스테이터(30)와 이 스테이터(30)의 내측에 배치된 로터(rotor)(31)로 구성된 DC브러쉬리 모터이다 또한 상기로터(31)는 도면에 32로 나타낸 구동샤프트의 상부에 수축하여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이 구동샤프트(32)의 하단부는 상기 압축기부(26)내로 이어져 나와있다. 그리고 이 구동샤프트(32)의 하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이 거리가 떨어져 설치되고 또한 상호 180。위상을 벗어나 설치된 2개의 크랭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부(26)는 케이스(25)에 고정된 칸막이부재(33)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동시에 제1도에서 나타낸 중간판을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접속된 원통형의 2개의 실린더(35)(35)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2개의 실린더(35)(35)내에는 상기 구동샤프트(32)의 2개의 크랭크부(32a)(32a)가 각각 위치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샤프트(32)는 상기 칸막이부재(37)에 고정된 제1의 축받침부재(37)(주축받침)와, 이 제1의 축받침부재(37)로 상기 2개의 실린더(35)(35)의 상단 및 하단을 폐쇄하는 제2의 축받침부재(38)(부축받침)에 의해 수직 축선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32)의 2개의 크랭크부(32a)(32a)에는 각각 원통상의 롤러(40)(40)가 끼워장착되어 있다. 이 롤러(40)는 상기 실린더(35)와 편심하고 또한 외주면의 일부를 이 실린더(35)의 내주면에 맞닿게한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5)의 내주면과, 상기 편심한 롤러(4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가로 절단면의 초승달형의 압축공간(41)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5)내에는 상기 압축공간(41)을 고압측과 저압측으로 나눈 브레이드(42)가 설치되어 있다.(상측의 실린더(35)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 이 브레이드(42)는 도면에 43으로 나타낸 스프링에 의해 상기 롤러(40)측(실린더(35)의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고, 상기 실린더(3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드홈을 출입하여 그 선단을 상기 롤러(40)의 외주면에 항상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5)의 상기 브레이드(42)를 끼운 양측에는 각각 상기 압축공간(41)내에 냉매가스를 빨아 들이는 통로(44)와 압축한 냉매가스(토출 가스)를 토출하는 토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인통로(44)에 대해서는 상측의 실린더(35)에만 도시한다.
상기 흡인통로(44)에는 각각 45로 나타낸 흡인관이 접속되고, 이 흡인관(45)은 이 밀폐케이스(25)밖으로 이어져나오는 동시에 도면에 46으로 나타낸 기체 액체 분리기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토출통로는 상기 제1의 축받침부재의 플랜지(flange)부에 설치된 제1의 토출밸브(47)에서 소음장치(48)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25)의 상부에 개방하는 제1의 통로와, 제2의 축받침부재(38)의 플랜지부에 설치된 제2의 토출밸브(49)에서 소음장치(50)에 연이어 통하고 이 소음장치(50)에서 상기 실린더(35), 중간판(34), 제1의 축받침부재(37)를 관통하여 마찬가지의 케이스(25)의 상부에 개방하는 제2의 통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매배관중의 동작유체는 상기 흡인관(45)에 의해 상기 실린더(35)내로 흡입되고, 상기 롤러(40)의 선회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제1, 제2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토출통로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25)의 상부내로 토출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스(25)내는 고압토출가스에 의해 고압으로 유지되도록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전환밸브(28)에 대해서 제1~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전환밸브(28)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밀폐케이스(25)에 고정된 밸브 베이스(52)와 이 밸브케이스(52)의 하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동작 유체의 유로를 전환하는 밸브체(53)와, 이 밸브체(53)의 직경방향의 바깥가장 자리부에 고정되는 자석부재(54)와, 이 자석부재(54)에 자력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밸브체(53)를 구동하고 유로를 전환하는 자력전환부(55)와, 이 전화밸브(28)를 덮는 홀더(56)를 구비한다.
상기 벨브케이스(52)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원형을 이루고, 하단부에는 상단부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된 칼날부(52a)를 갖는다. 그리고 이 밸브베이스(52)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밀폐케이스(25)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부(25a)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덮개부(25a)의 상벽에는 도면에 57로 나타낸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밸브케이스(52)는 상기 상단측을 이 관통구멍(57)내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 덮개부(25a)에 부착되고, 예를들면 용접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57)을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밸브베이스(52)에는 이 밸브베이스(52)의 중심축선L상에 설치되고, 하단측을 상기 케이스(25)내에 돌출시킨 중심축(58)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밸브케이스(52)에는 이 중심축(58)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90。간격으로 이 밸브베이스(52)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포트(59~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3개의 포트(59~61)중 중앙에 위치하는 포트(6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압축기부(26)에서 이어져 나온 흡인관(45)에 접속되는 저압가스토출포트(종래예(제23도)에 있어서 4에 상당)가 되어 있고, 이 저압가스토출포트(60)를 끼우는 다른 2개의 포트(59)(61)는 각각 도면에 있어서 (62)(63)로 나타낸 실내용열교환기 및 실외용열교환기에 접속되는 제1, 제2의 접속용 포트(종래예에 있어서 6,7에 상당)로 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밸브베이스(52)의 상기 저압가스토출 포트(60)에서 둘레방향으로 180。 떨어진 위치에는 하단부를 이 밸브 베이스(52)의 하면에서 약간량 돌출된 스토퍼(64)(도면에 망그림으로 나타낸다)가 묻혀 설치되어있다.
이 스토퍼(64)는 제1도 및 제2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단부를 상기 밸브 베이스(52)에 나사 장착하는 것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토퍼(64)의 상기 밸브 베이스(52)의 하면에서 돌출한 부위는 상기 3개의 각 포트(59~61)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 바깥직경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밸브베이스(52)의 아랫면에는 제2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밸브체(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체(53)는 그 중앙부에 설치된 중심구멍(53a)에 상기 밸브베이스(52)에서 돌출된 상기 중심축(58)을 삽입통과시키는 것으로 그 상면을 상기 밸브케이스(52)의 하면에 맞닿게 하고 또한 이 밸브베이스(52)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체(53)의 상면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3의 포트(59~61)중, 90。간격으로 인접하는 2개의 포트끼리(59,60 또는 60,61)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오목홈(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홈(66)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단면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 통로이고, 상기 밸브체(53)가 90。회전운동하는 것으로 제8도 (a)~(d)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접하는 포트끼리, 즉 상기 저압가스토출 포트(60)와 제1의 접속포트(59)끼리 또는 저압가스토출포트(60)와 제2의 접속 포트(61)끼리를 연이어 통하도록 해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53)의 윗면에는 상기홈(66) 주위에 이 밸브체(53)와 상기 밸브베이스(52)와의 사이를 공기가 통하지 않게 봉하는 실부재(66a)가 밸브 베이스(5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밸브체(53)의 상기 오목홈(66)과 상기 중심구멍(53a)에 관해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는 이 밸브체(53)의 상면에서 하면측으로 관통하게 하는 관통구멍(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7)은 상기 오목홈(66)과 닮은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밸브베이스(52)에 설치된 스토퍼(64)의 하단돌출부는 이 밸브체(53)를 상기 벨브베이스(52)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 관통구멍(67)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64)는 제2(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관통구멍(67)의 둘레방향 한끝 또는 다른끝과 맞닿게 하여, 상기 밸브체(53)의 회전 운동방향의 움직임을 90。의 범위에서 규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밸브체(53)를 이 90。의 범위에서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통구멍(67)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접속포트(59, 61)에 연이어 통하도록 전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목홈(66)과 상기 관통구멍(67)의 위치관계에서 제8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접속포트(59)가 상기 관통구멍(67)과 연통한 경우에는 상기 제2의 접속포트(61)와 상기 저압가스토출포트(60)가 상기 오목홈(66)에 의해 상호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8도(c)(d)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2의 접속포트(61)가 상기 관통구멍(67)에 연통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접속포트(59)와 상기 저압가스 토출포트(60)가 상기 오목홈(66)에 상호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67)은 상기 케이스(25)내에 개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예에 있어서 고압가스도입관(3)(제24도에 나타낸다)과 같은 작용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밸브체(53)의 상단부는 이 밸브체(53)의 직경방향측으로 약간 돌출하는 칼날형상의 플랜지부(53b)로 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53b)의 아랫면둘레방향에 따른 소정위치에는 상기 자석부재(54)와 걸어맞춤하는 위치결정용의 돌기(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석부재(54)는 제2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이 밸브체(53)의 하단측으로 밖에서 넣어지는 얇은 원통형상의 칼라(69)와 이 칼라(69)의 외면에 고정된 영구자석(70)을 구비한다.
상기 칼라(69)의 둘레방향의 일부에는 제6도에 69a로 나타낸 슬릿이 설치되고 이 슬릿(69a)을 상기 밸브체(53)에 설치된 상기 돌기(68)와 일치 시켜서 걸어 맞춤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체(53)와 상대회전불능으로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영구자석(70)은 180。간격으로 2분할되고 각각 N극부(70a)와 S극부(70b)로 구성되고 자력전환부(55)에 의해 흡인력, 반발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력전환부(55)는 제2(d)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평행으로 이간하여 설치된 띠판상의 철제의 한쌍의 스테이(stay)(72)와 이 스테이(72)의 기단부 사이에 설치된 철심(73)과 이 철심(73)에 코일권선을 감아서 구성된 전자석(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72)의 선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고정된 영구자석(70)의 외주면에 따르도록 굽혀 성형되고 그 굽힘성형된 반경은 내면이 상기 영구자석(70)의 외주면과 소정의 미소간격을 갖도록 상기 영구자석(7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스테이(72)의 선단끼리는 이 스테이(72)의 굽힙성형방향에 따라서 약90。의 각도를 이루어 거리가 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자력전환부(55)는 상기 전자석(74)에 직류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상기 스테이(72)의 선단부를 소정의 극성으로 자화할 수 있고 그 자성을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영구자석(70)과의 흡인, 반발작용에 의해 상기밸브체(53)를 회동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테이(72)의 선단부의 외측에는 제2도(b)~(e)에 56으로 나타낸 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홀더(56)는 얇은 원통상의 부재이고, 상단부는 상기 밸브베이스(52)의 칼날부(52a)의 바깥가장자리부의 아랫면에 고정부착 되어 있다. 이 홀더(56)에는 제2도(c),(d)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스테어(72)의 기단측(전자석(74)측)을 이 홀더(56)밖으로 꺼내기 위한 절단부(56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더(56)는 이 절단부(56a)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부(55)의 위치결정 및 회전방지를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홀더(56)의 하단 및 상기홀더(52)에서 상기 밸브체(53)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이어져나온 상기 중심축(58)의 하단에는 제2(b)도 및 제2(e)도에 77로 나타낸 누름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이 누름부재(77)는 띠판상으로 구성되고 긴 방향의 양단부를 상기 홀더(56)의 하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동시에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58)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누름부재(77)의 중앙부가 상기 밸브체(53)와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도면에 78로 나타낸 스프링이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삽입되고, 상기 밸브체(53) 및 자석부재(54)를 상기 밸브베이스(52)의 하면으로 눌러 설치 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프링(78)의 힘가함은, 이 압축기가 작동하지않는 상태, 즉 이 전환밸브(28)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않은 상태에서는 상기밸브체(53)의 무게에 의해 상기 밸브체(53)의 상면과 상기 밸브베이스(52)의 하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는 만큼의 강도로 조정되어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전환밸브(28)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밸브베이스(52)에 상기 홀더(56)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밸브체(53)의 외주면에 상기 자석부재(54)를 접착해 놓는다.
이어서 상기 밸브베이스(52)의 상단부를 상기 밀폐케이스(25)의 덮개부(25a)에 설치된 상기 삽입구멍(57)에 삽입하여 용접, 고정한다.
그후, 밸브베이스(52)의 중심축(58)에 상기 자석부재(54)가 접착된 상기 밸브체(53)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자력전환부(55)를 부착한다. 최후에 상기 누름부재(77)를 상기 스프링(78)을 계속 압축하여 상기 중심축(58) 및 상기 홀더(56)의 하부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덮개(25a)에는 제1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전환밸브(57)의 가장자리에 제2, 제3의 관통구멍(90)(90)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제2, 제3의 관통구멍(90)(90)에는 도면에 91a, 91b로 나타낸 제1, 제2의 밀폐단자가 이들 제2, 제3의 관통구멍(90)(90)을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하는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밀폐단자(91a)(91b)는 상기 전동기부(27) 및 상기 전환밸브(28)의 자력전환부(55)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상기 케이스(25)밖으로 꺼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의 밀폐단자(91a)는 케이스(25)내에 돌출한 3개의 제1~제3의 내측 단자(92~94)와 각각의 단자에 접속되고 이 케이스(25)밖으로 돌출하는 3개의 제1~제3의 외측단자(96~9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의 밀폐단자(91b)는 마찬가지 케이스(25)내에 돌출한 한쌍의 내측단자(95a)(95b)와 각각의 단자에 접속되고 이 케이스(25)밖으로 돌출한 한쌍의 외측단자(99)(99)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의 밀폐단자(91a)의 상기 제1~제3의 내측단자(92~94)는 상기 전동기부(27)의 세 가지 형상의 권선에서 빠진 3개의 리드선과 한쌍의 제1의 코넥터(100)를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의 밀폐단자(91b)의 상기 한쌍의 내측단자(95a)(95b)는 상기 전환밸브(28)에서 빠진 2개의 리드선과 한쌍의 제2의 코넥터(101)를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있다.
즉, 이 압축기를 조립할때에는 상기 덮개부(25a)에 상기 전환밸브(28)와 상기 제1, 제2의 빌폐단자(91a),(91b)를 부착하고 우선 상기 제2의 밀폐단자(91b)의 한쌍의 내측단자(95a)(95b)에서 이어져나온 제2의 코넥터(101)와 상기 전환벨브(28)에서 이어져 나온 같은 제2의 코넥터(101)를 접속한다.
이어서 상기 덮개부(25a)를 상기 케이스(25)에 설치할 때에 상기 제1의 밀폐단자(91a)의 제1~제3의 내측단자(92~94)에서 도출된 제1의 코넥터(100)와 상기 전동기부(27)에서 도출된 같은 제1의 코넥터(100)를 접속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의 밀폐단자(91a, 91b)의 각 외부단자(96)~(99)은 도면에 103으로 나타낸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부(103)는 압축기의 전동기부(27)를 구동하는 인버터회로(105)와 전환밸브(28)를 구동하는 제어회로(108)로 이루어진다. 도9 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밸브부의 제어회로는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106)와 동일한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고, 그 출력은 밀봉 단자(91)의 일부를 공용하여 밀폐 탱크내(104)의 전환밸브(28)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회로(105)에는 상기 제1의 밀폐단자(91a)의 상기 제1~ 제3의 외측단자(96)~(98)에서 도출된 각배선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108)에는 상기 제2의 밀폐단자(91b)의 외측단자(99)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회로(108)는 예를들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교류전원(107)에서의 상기 자력전환부(55)의 전자석(74)으로의 통전은 반파제어를 행하는 포토트라이액(photo triac)(110)을 통해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111)와 교류의 OV(제로크로스)타이밍을 검지하는 포토트랜지스터(112)에 의해 상기 제로크로스점에 대해서, 상기 포토트라이액(110)에 통전하지 않는 것을 판정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으로 상기 자력전환부(28)는 상기 한쌍의 스테이(72)의 자성을 N극과 S극으로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제8(a)(c)), 자력의 발생을 정지할 수도 있다(제8도(b)(d)).
또한 상기 제어부(103)에는 상기 케이스(25)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케이스내 온도검지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검지부(113)는 예를들면, 상기 밀폐단자의 케이스의 제3,제4의 외부 단자(98)(99)에 접속되고, 상기 자력전환부(55)의 전자석(74)의 코일권선의 저항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25)내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 서술한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난방운전시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방운전시에는 제8도(a)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환밸브(28)의 전자석(74)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한다. 이것으로 도면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72)가 N극으로 자화되고 아래측에 위치하는 스테이(72)가 S극으로 자화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체(53)에 고정된 자석부재(54)의 S극부(70b)의 도면중 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72)에 흡인되고, N극부(70a)가 하측에 위치하는 스테이(72)에 흡인되어 이것에 의해 상기 밸브체(5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소정각도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제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베이스(53)의 하면에 돌출하는 스토퍼(64)가 상기 밸브체(52)의 관통구멍(67)의 둘레방향의 한끝과 맞닿아 상기 밸브체(53)는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2의 접속포트(61)와 저압가스토출포트(60)가 상기 오목홈(66)에 의해 연이어 통하고, 상기 제1의 접속포트(59)는 상기 관통구멍(67)을 통해서 상기 밀폐케이스(25)내로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제1도에 나타낸 상기 전동기부(27)를 작동시킨다.
이 전동기부(27)가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부(26)가 작동하고 동작 유체의 압축을 하고 압축된 고압유체는 상기 밀폐케이스(25)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밀폐케이스(25)내에 충만한 고압유체는 상기 밸브체(53)에 설치된 관통구멍(67)을 통과하여 상기 제1의 접속포트(59)에 유입하고 실내측 열교환기(62), 팽창밸브, 실외측열교환기(63)를 순서대로 상태변화를 하면서 통과하고 실내의 난방을 한다.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3)를 통과하는 유체는 제1의 접속포트(61)에 유입하고 상위밸브체(53)에 설치된 오목홈(66)을 통해서 상기 저압가스토출 포트(60)로 흐르고 이 저압가스토출포트(60)에서 압축기의 흡인관(45)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25)내의 압축기부(27)로 도입된다.
압축기부(27)내에 도입된 유체는 다시 이 압축기부(27)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케이스(25)내로 토출된다. 이어서 다시 상기 전환밸브(28)의 관통구멍(67)을 통해서 상기 제1의 접속포트(59)에서 실내측열교환기(62)로 도입되고, 이 공기조화기의 배관내를 순환한다.
또한 이 사이에 상기 스위치부(108)는 제8도(b)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인가전압은 0으로 제어되고, 상기 한쌍의 스테이(72)는 자화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상기 스테이(72)는 철제(자성체)이기 때문에 자석 부재(54)와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8도(a)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오목홈(66)내는 케이스(25)의 내부와 비교하여 저압이기 때문에 케이스(25)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53)와 밸브 베이스(52)와는 공기가 통하지않게 밀착하여 용이하게는 변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난방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27)를 정지시킨다. 이 것으로 상기 케이스(25)내의 압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체(53)와 밸브 베이스(52)와의 밀착상태는 해소된다. 또한 상기밸브체(53)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프링(78)이 약간 압축되고, 상기 밸브체(53)와 밸브베이스(52)와의 사이에 미소한 간격이 발생하여 상기 제1, 제2의 접속포트(59, 61) 및 저압가스토출포트(60)내의 압력이 균형을 갖게 된다.
이것에 의해 다음에 설명하는 난방운전으로 전환되는 때의 상기밸브체(52)의 구동을 적은 토크로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냉방운전시의 제어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방운전시에는 제8도(c)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환밸브(28)의 전자석(74)으로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한다. 이것으로 제8(a)도에 나타낸 경우와는 반대로 도면중 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72)가 S극으로 자화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스테이(72)가 N극으로 자화된다.
이것으로 상기 밸브체(53)에 고정된 자석부재(54)의 N극부(70a)가 도면중 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72)에 흡인되고 S극부(70b)가 하측으로 위치하는 스테이(72)에 흡인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밸브체(53)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소정각도 회전운동한 곳에서 제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베이스(53)의 하면으로 돌출하는 스토퍼(64)가 상기 밸브체(52)의 관통구멍(67)의 둘레방향단과 맞닿고 상기 밸브체(53)는 정지한다.
이것으로 난방시와는 역으로 상기 제1의 접속포트(59)와 저압가스토출포트(60)가 상기 오목홈(66)에 의해 연이어 통하고, 상기 제2의 접속포트(61)는 상기 관통구멍(67)을 통해서 상기 밀폐케이스(25)내에서 해당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동기부(27)의 운전을 개시하면 상기 압축기부(26)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25)내에 고압유체가 채워지고, 이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5 3)는 상기 밸브베이스(52)의 하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25)내의 고압유체는 상기 제2의 접속포트(61)에서 실외측열교환기(63), 팽창밸브(감압장치), 실내측열교환기(62)로 순서대로 상태변화를 하면서 유통하고 실내의 냉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열교환기(62)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제1의 접속포트(59)에 유입하고, 상기 오목홈(66)을 통해서 상기 저압가스토출포트(60)에서 상기 케이스(25)내의 압축기부(26)로 도입된다.
또한 이 냉방운전중에는 난방운전중과 같이 상기 전자석(74)에 인가 전압은 0으로 제어된다(제8(d)). 그러나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스테이(72)는 철제(자성체)이기 때문에 자석부재(54)와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8동(c)의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때, 상기 오목홈(66) 내는 케이스(25)의 내부와 비교하여 저압이기 때문에 케이스(25)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53)와 밸브베이스(52)와는 공기가 통하지 않게 밀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하는 효과가 있다.
첫째로 공기조화기의 배관을 간략화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밸브체(53)에 설치된 관통수멍(67)이 상기 케이스(25)내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가스용 배관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에 따라 종래 고압가스용 배관에 필요했던 방진조치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 전환밸브(28)는 종래예의 파이롯트식의 것과 달리 작동용의 전자 밸브장치를 이용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의 전환밸브에 필요했던 모세관(제23도 및 제24도에 나타낸 11~12)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전환밸브를 내장한 압축기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이 작은 공기조화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로 압축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이 압축기의 케이스(25)내에 내장된 전환밸브(28)는 종래예의 것과 달리 회전식이고, 또한 작동용의 전자밸브장치를 갖지 않기 때문에 그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는, 상기 밸브체(53)가 그 무게에 의한 약간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베이스(52)와의 밀찰상태가 해소되고, 이 밸브체(53)를 저토크로 회동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점 종래예에 있어서산 상기 미끄럼운동밸브는 항상 밸브자리에 밀착되어 있고 큰 구동토크를 필요로 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만큼 상기 자력전환부(55)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상기 케이스(25)를 대형화 하지 않고, 상기 전환부(25)를 상기 압축기의 케이스(25)내로 조립하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이 압축기의 소형화의 경향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케이스(25)의 덮개부(25a)의 관통구멍과 밸브베이스(52)의 접속부의 전체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장소도 작아지고, 가스 누출에 대한 신뢰성과 용접작업의 작업성도 향상한다.
세번째로 정지시의 가스균형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왕복식의 미끄럼운동밸브의 경우에는 이 압축가스 새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끄럼운동밸브는 항상 밸브자리에 대해서 밀찰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전환밸브의 부분에서 가스균형을 행할 수 있고, 압축기내 또는 팽창기구의 부분에서 가스균형하기까지 장시간 기다릴 필요가 있는 일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정지시에는 상기 밸브체(53)가 무게에 의해 약간 내려오고, 상기 밸브베이스(52)와의 간격을 확대한다. 따라서 상기 밸브베이스(52)에 설치된 모든 포트(59~61)가 상기 밸브체(53)의 상면과의 사이에 발생한 간격을 통해서 연이어 통하기 때문에 가스균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시에는 상기 케이스(25)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53)는 상기 밸브베이스(52)에 대해서 눌려서 밀착하기 때문에 압축 가스누출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회전운동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정지후의 가스균형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정지후의 재기동과 냉방과 난방의 전환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냉매의 주입등도 가스균형을 위해 장시간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로 전환밸브(28)를 제어하기위한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스테이(72)는 철제이기 때문에 밸브체(52)의 구동시 이외에는 상기 스테이(72)를 자화하지 않고도 이 스테이(72)와 상기 자석부재(54)와의 흡인력에 의해 전환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과 전자석에 의해 미끄럼운동밸브의 위치를 유지하는 종래예와 달리 운전중에는 상기 자력전환부(55)에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작게 할수 있다.
다섯번째로, 상기전환밸브(28)의 자력전환부(55)의 코일권선의 저항치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내 온도검지부(113)에서 상기 케이스(25)내의 온도를 검지했기 때문에 전용의 배선이 불필요해진다.
한편, 상기 밀폐단자(91)와 전환밸브(28)를 덮개부(25a)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제1, 제2의 코넥터(100)(101)를 이용하여 상기 덮개부(25a)의 설치시에 상기 밀폐단자(91)와 전동기부(27), 전환밸브(28)의 배선접속을 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배선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스(25)의 밀폐성의 향상 및 조립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여섯번째로 냉매로서 프레온대체냉매인 HFC계 냉매를 이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HFC냉매는 음을 전파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환밸브(28)를 회전식으로하는 것으로 왕복식의 경우에 발생하는 전환충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그 전환밸브(28)를 케이스(25)내에 내장하도록 했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한 경우에도 케이스(25)의 소음방지효과(용량이 크고, 또한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에 의해 그 음이 외부에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온대체냉매인 HFC계 냉매를 이용한 경우에 특히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 11내지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225는 밀폐케이스이다. 이 밀폐케이스(225)내에는 높이방향 하단부, 중도부 및 상단부에 각각 압축기부(226)와 압축기부(226)를 구동하여 압축동작을 하게하는 전동기부(227)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환밸브(228)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전동기부(27)는 상기 밀폐케이스(225)의 내면에 고정된 스테이터(230)와 이 스테이터(230)의 내측에 배치된 로터(231)로 구성된 DC브러시리스 모터이다. 또한 상기 로터(231)는 도면에 232로 도시한 구동샤프트의 상부에 수축끼워넣음 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샤프트(232)의 하단부는, 상기 압축기부(226)내로 이어져 나와있다. 그리고 이 구동샤프트(232)의 하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이간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호180。위상을 벗어나 설치된 2개의 크랭크부(232a)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압축기부(226)는 케이스(225)에 고정된 칸막이부재(233)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동시에 도면에 234로 도시한 중간판을 끼워 상하 방향으로 접속된 원통형의 2개의 실린더(235)(235)를 구비한다. 그리고 2개의 실린더(235)(235)내에는 상기 구동샤프트(232)의 2개의 크랭크(232a)(232a)가 각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샤프트(232)는 상기 칸막이부재(232)에 고정된 제1의 축받침부재(237)(주 축받침)와, 이 제1의 축받침부재(237)로 상기 2개의 실린더(235)(235)의 상단 및 하단을 밀폐하는 제2의 축받침부재(238)(부축받침)에의해, 수직축선 주위에 회전이 지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232)의 2개의 크랭크부(232a)(232a)에는 각각 원통상의 롤러(240)(240)가 끼워장착되어 있다. 이 롤러(240)는 상기 실린더(235)와 편심하고, 또한 외주면의 일부를 이 실린더(235)의 내주면에 맞닿게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235)의 내주면과, 상기 편심한 롤러(24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횡단면의 초승달형의 압축공간(241)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35)내에는 상기 압축공간(241)을 고압측과 저압측으로 나누는 브레이드(242)가 설치되어 있다(상축의 실린더(235)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 이 브레이드(242)는 도면에 243으로 나타낸 스프링에 의해 상기 롤러(240)측(실린더(235)의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고, 상기 실린더(23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드홈을 출입하게 하여 그 선단을 상기 롤러(240)의 외주면에 항상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35)의 상기 브레이드(242)를 끼운 양측에는 각 상기 압축공간(241)내에 냉매가스를 흡인하는 흡인통로(244)와 압축한 냉매가스(토출가스)를 토출하는 토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인통로(244)에 대해서는 상측의 실린더(235)에 도시한다.
상기 흡인통로(244)에는 각각 245로 나타낸 흡인관이 접속되고, 이 흡인관(245)은 밀폐케이스(211)의 밖으로 이어져 나오는 동시에, 도면에 246으로 도시한 기체 액체 분리기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토출통로는 상기 제1의 축받침부재의 플랜지부에 설치된 제1의 토출밸브(47)에서 소음방지장치(248)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225)의 상부로 개방하는 제1의 통로와, 제2의 축받침부재(238)의 플랜지부에 설치된 제2의 토출밸브(249)에서 소음방지장치(250)로 연통하고, 이 소음방지장치(250)에서 상기 실린더(235), 중간판(234), 제1의 축받침부재(237)를 관통하여 같은 케이스(225)의 상부로 개방되는 제2의 통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매배관중의 동작유체는 상기 흡인관 (245)에 의해 상기 실린더(235)에 흡인되고 상기 롤러(240)의 선회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제1, 제2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토출통로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225)의 상부내에 토출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스(225)내는 고압토출가스에 의해 고압으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전환밸브부(228)에 제11도~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전환밸브부(228)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케이스(225)에 고정되는 밸브베이스(252)와, 이 밸브베이스(252)의 하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동작유체의 유로를 전환하는 제1의 밸브체(253)와, 이 제2의 밸브체의 하면에 같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의 밸브체(254)와,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자석부재(255)와, 이 자석부재(255)에 자력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를 회동 구동하고 유로를 전환하는 자력전환부(256)과, 이 전환밸브(228)를 덮는 홀더(257)를 구비한다.
상기 벨브케이스(252)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고 하단부 에는 상단부보다도 큰직경으로 형성된 칼날부(252a)를 갖는다. 그리고 이 밸브베이스(252)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폐케이스(225)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부(222a)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덮개부(252a)의 상벽에는 도면에 258로 표시한 관통구멍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밸브베이스(252)는 상기 상단측을 이 관통구멍(258)내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 덮개부(225a)에 설치되고, 예를들면 용접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258)을 공기가 통하지않게 밀폐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밸브베이스(252)는 이밸브베이스(252)의 중심축선L상에 설치되고, 하단측을 상기 케이스(25)내에 돌출시켜서 중심축(259)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밸브베이스(252)는 이 중심축(259)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90。간격으로 이 밸브베이스(252)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포트(260)~(2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3개의 포트(260)~(262)중, 중앙에 위치하는 포트(261)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압축기부(226)에서 이어져 나온 흡인관(245)에 접속되는 저압가스토출포트로 되어 있고, 이 저압가스토출포트(261)를 끼운 다른 2개의 포트(260)(262)는 각각 도면에 263, 264로 나타낸 실내용 열교환기 및 실외용열 교환기에 접속되는 제1,제2의 접속용포트로 되어있다.
또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밸브베이스(252)의 상기 저압가스토출 포트(260)에서 둘레방향으로 180。이간한 위치에는 다른 포트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설치된 바이패스관용포트(265)가 이 밸브체(252)로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관용(265)은 도면은 266으로 도시한 바이패스관이 접속되고, 이 바이패스관(266)은 상기 실외측열교환기(264)와 팽창밸브(감압기)와의 사이의 배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밸브베이스(252)의 상기 칼날부(252a)의 하면에는, 제13도에 267로 나타낸 스토퍼가 돌출설치되어 있다(도면에 망으로 표시한다). 이 스토퍼(267)는 제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단부를 상기 밸브베이스(252)에 나사장착하는 것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하면에는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의 밸브체(253)는 그 중앙부에 설치된 중심구멍(253a)에 상기 밸브베이스(252)에서 돌축설치된 상기 중심축(259)을 삽입통과하게 하는 것으로 그 상면을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하면에 맞닿게 하고, 또한 이 밸브베이스(252)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의 밸브체(253)의 상면에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3개의 포트(260)~(262)중, 90。간격으로 인접하는 2개의 포트끼리(260,261 또는 261,262)를 연이어 통하는 오목홈(268)이 둘레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홈(268)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단면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내면을 갖는 통로이고, 상기 제1의 밸브체(253)가 90。회전운동시키는 것으로, 제20도 또는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접하는 포트끼리 즉 상기 저압가스 토출포트(261)(쇄선으로 표시한다)와, 제1의 접속포트(260)(쇄선으로 표시한다)끼리 또는 저압가스토출포트(261)와 제2의 접속포트(262)(쇄선으로 나타낸다)끼리를 연이어 통하도록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상면에는 이 제1의 벨브체(253)와 상기 밸브체(252)와의 연통부분을 공기가 통하지않게 봉하기 때문에, 상기 오목홈(268)의 주위에 실부재(268a), 제1의 관통구멍(269)의 주위에 실부재(269a), 제2의 관통구멍(270)의 주위에 실부재(270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272)의 주위에 형성되는 실부재(272a)는 상기 밸브베이스(252)와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제1의 밸브체(253)는 이 제1의 밸브체(253)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이 둘레방향으로 90。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은 상기 오목홈 (268)의 폭에 비해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은 상기 제1의 밸브체(253)가 상기중심구멍(53a)의 주위에 90。의 범위에서 회전구동되는 것으로, 각각 제20(a), 제21(a), 제22(a)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상기 제1, 제2의 접속포트(260)(262)(쇄선으로 나타낸다) 또는 상기 바이패스관용 포트(265)쇄선으로 나타낸다)에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1의 밸브체(253)의 상면의 직경방향외부연결부에는, 제1의 밸브체(253)가 상기 밸브베이스(252)에 설치된 경우에 밸브베이스(252)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상기 스토퍼(267)가 삽입되는 안내홈(272)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홈(272)은 둘레방향으로 90。의 범위에 걸쳐서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1의 밸브체(253)가 회전운동된 경우에 이 안내홈(272)의 둘레방향 한쪽끝 및 다른쪽 끝을 상기 스토퍼(267)와 맞닿게 하는 것으로 제20(a), 제21(a),제22(a)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제1의 밸브체(253)의 회동범위를 90。로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토퍼(267)와 안내홈(272)에서 본 발명의 제1의 규제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오목홈(268)과 상기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의 위치관계에서 제20(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가 상기 제1의 관통구멍(269)과 연이어 통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와 상기 저압가스 토출포트(261)가 상기 오목홈(268)에 의해 상호 연이어 통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관용포트(265)는 상기 제2의 관통구멍(270)이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2(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가 상기 제2의 관통구멍(270)에 연이어 통한 경우에는,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와 상기 저압가스토출포트(261)가 상기 오목홈(268)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관용포트(265)은 상기 제1의 접속포트(69)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은 뒤에 서술하는 상기 제2의 밸브체(254)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한, 상기 케이스(225)내에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밸브체(253)의 상단부는 이 밸브체(253)의 직경방향외측에 약간량 돌출하는 칼날상의 플렌지부(253b)로 되어 있다. 이 플렌지부(253b)의 하단측의 바깥면의 둘레방향으로 소정위치에는 상기 자석부재(255)와 걸어맞춤하는 우치결정용의 제1의 볼록부(273)가 직경방향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제1의 오목부(273)는 둘레방향으로 180。거리가 떨어져 2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1의 밸브체(253)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의 밸트체(254)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의 밸브체(254)는 제16도에 나타낸 것으로, 그 중앙부에 설치된 중심구멍(254a)에 상기 밸브베이스(52)에서 상기 제1의 밸브체(53)를 관통하여 돌출하여 설치된 상기 중심축(259)을 삽입통과시키는 것으로 그 상면을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하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밸브베이스(252) 및 이 제1의 밸브체(253)에 대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제2의 밸브체(254)의 상면에는 도면에 276~278로 나타낸 제1~제3의 원형실부재가 상기 중심구멍(254a)의 주위에 120。간격으로 상기 제2의 밸브체(25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제3의 실부재(276)~(278)는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보다도 큰직경으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이들을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제3의 실부재(277, 278)의 사이에는 실부재(277)(278)의 배치된 동심원상에 이 제2의 밸브체(25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제2의 통과 구멍(279)(280)이 형성되어있다.
이 제1, 제2의 통과구멍(279)(280)은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하면에 개구하는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과 대략같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이들과 대향하는 것으로 이들 제1, 제2의 관통구멍(269)(270)을 상기 케이스 (225)내에 연이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2의 실부재(278)와, 상기 제1의 통과구멍(279)의 위치관계는 상기 중심구멍(254a)을 중심으로서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의 실부재(277)와 상기 제2의 통과구멍(280)의 위치관계도 같이 90。를 이루도록 설정되어있다.
따라서 제2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제2의 밸브체(254)의 제2의 통과구멍(280)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제1의 관통구멍(269)에 대향한 경우에는 이 제2의 밸브체(254)에 설치된 상기 제2의 실부재(277)는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상기 제2의 관통구멍(270)을 폐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제2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2의 밸브체(254)의 상기 제1의 통과구멍(279)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상기 제2의 관통구멍(270)과 대향한 경우에는 상기 제2의 밸브체(254)의 상기 제3의 실부재(278)가 제1의 밸브체(253)의 상기 제1의 관통구멍(270)을 폐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제2의 밸브체(254)의 외주면에는 제16도에 282로 나타낸 제2의 볼록부가 이 밸브체의 직경방향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의 볼록부(282)는 뒤에 서술하는 자석부재(256)에 설치된 슬릿과 걸어맞춤하고, 이 제2의 밸브체(254)와 상기 자석부재(256)를 상대적으로 회전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제2의 볼록부(282)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둘레방향으로 30。+a(a는 상기 제1의 오목부(273의 폭)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호 둘레 방향으로 180。떨어진 위치에 2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2(b)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들 제1,제2의 밸브체(253)(254)의 외주면에는 자석부재(2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석부재(255)는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에 직접밖에서 삽입되는 얇은 원통상의 칼라(284)와, 이 칼라(284)의 외면에 고정된 영구석(8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칼라(284)의 상단부에는 제17도에 287로 나타낸 슬릿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287)은 둘레방향으로 30。+a。(상기 제2의 볼록부(282)와 같은폭)의 폭으로 설치된 것으로 이 칼라(284)의 둘레방향으로 상호 180。거리가 떨어져 2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는 각각의 외주면에 돌출하여 설치된 제1, 제2의 볼록부(273)(282)를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슬릿(287)내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이 자석부재(255)와 맞추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의 밸브체(254)와 이 자석부재(255)는 상대적으로 회전불가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의 밸브체(253)는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이 자석부재(255)에 대해서 둘레방향으로 30。의 범위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의 볼록부(273)(282)와 상기 슬릿(287)으로 본발명의 제2의 규제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이 칼라(284)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기 영구자석(285)은 180。간격으로 2분할되고 각각 N극부(85a)와 S극부(285b)로 구성되고, 상기 자력전환부(256)에서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자력전환부(255)는 제12(d)도 및 제14도에 나타낸바와같이, 평행으로 거리가 떨어져 설치된 띠판상의 철제의 한쌍의 스테이터 (288)(본 발명의 자성조각)와, 이 스테이터 (288)의 기단부사이에 가설된 철심(289)과, 이 철심 (289)에 코일권선을 실시하여 구성된 전자석(2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터 (288) 의 선단부는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에 설치된 영구자석(285)의 외주면에 따르도록 굽힘성형되고, 그 굽힘성형반경은 내면이 상기 영구자석(285)의 외주면과 소정의 미소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영구자석 (285)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스테이터(288)의 선단끼리는 이 스테이터 (288)의 곡성 방향에 따라서 상호 약90。의 각도를 이루어 거리가 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자력전환부 (256)는 상기 전자석(290)에 적류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상기 스테이터 (288)의 선단부를 소정의 극성으로 자화할 수 있고 그 극성을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영구자석 (285)과의 사이에 흡인, 반발력을 일으켜 상기 밸부체(253)를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자력 전환부 (56)에 의해 상기 자석부재 (255)에 대한 구동토크는 뒤에 서술하는 난방 및 냉방운전시에 고압냉매와 저압냉매와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 상기 밸브베이스 (252)와의 사이의 정지 마찰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있다.
또한 상기 자력전환부(256)의 구동토크는 같은 운전시의 상기 제1의 밸브체 (253)와 제2의 밸브체 (254)와의 사이의 정지 마찰력보다도 크게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난방 및 냉방의 운전시에는 이 자력전환부(256)는 상기 제2의 밸브체 (254)만 구동할수있고 , 운전정지시에는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 254)의 양쪽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테이터(288)의 선단부의 외측에는 제12도(b)~(e)도에 57로 나타낸 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홀더(257)는 얇은 원통상의 부재이고, 상단부는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칼날부 (252a)의 가장자리부아랫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홀더 (257)에는 제 12(c), 12(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스테이터(288)의 기단측 (전자석 (290)측)을 이 홀더(257)밖으로 떼어내기 위한 절개부(257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더(257)는 이 절개부 (257a)에 의해 상기 자력전환부(256)의 위치 결정 및 회전운동방지를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홀더(257)의 하부 및 상기 밸브베이스 (252)에서 상기 제1, 제2의 밸브체 (253)(254)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이어져 나온 상기 중심축(259)의 하단에는 제12(b)도 및 제12(e)도에 292로 나타낸 누름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이 누름부재(292)는 띠판상으로 구성되고 긴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홀더 (257)의 하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259)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누름부재 (292)의 중앙부와 상기 제2의 밸브체(254)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도면에 293으로 나타낸 스프링이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삽입되고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를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하면에 밀어 붙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293)의 힘가함력은 이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 즉, 이 전환밸브(228)에 냉매의 고저압차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제2의 밸브체(253)(254)의 무게의 의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상면과 상기 밸브베이스 (252)의 하면과의 사이에 미세한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는 만큼의 강도로 조정되어있다.
다음에 이 전환밸브 (228)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상기 홀더 (257)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의 밸브체 (253)(254)와 상기 자석부재(255)와는 상기한 바와같이 , 이 자석부재(255)에 설치된 칼라(284)의 슬릿(287)에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의 제1,제2의 볼록부 (273)(282)를 삽입하여 (제18도에 표시한 상태 )상호 맞춘상태에서 유지해 놓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하면과 제2의 밸브체(254)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제 12(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제3의 실부재 (276)~(278)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이 구획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상단부를 상기 밀폐케이스(225)의 덮개부(225a)에 설치된 상기 삽입구멍 (258)에 삽입하여 용접, 고정한다.
그후, 밸브베이스(252)의 중심축(259)에 상기 제1, 제2의 밸브체(252)(254) 및 상기 자석부재(255)의 맞춤체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자력전환부(256)를 설치한다. 최후에 상기 누름부재(292)를 상기 스프링(293)을 계속 압축하여 상기 중심축(259) 및 상기 홀더(257)의 하단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225a)에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전환밸브부(228)의 측방에 제2,제3의 관통구멍(294a)(294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제3의 관통구멍(294a)(294b)에는 도면에 (295a)(295b)로 나타낸 제1, 제2의 밀폐단자(본 발명의 단자대)는 각각 상기 제2, 제3의 관통구멍(294a)(294b)을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하는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밀폐단자(295a)는 상기 전동기부(227)에 급전하기 위한 배선을 상기 케이스(225)밖으로 빼내기 위한 것이고, 케이스(225)내측에 돌출한 3개의 제1~제3의 내측단자(296)~(298)와 각각의 단자에 접속되고 이 케이스(225)밖으로 돌출한 3개의 제1~제3의 외측단자(2100)~(210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의 밀폐단자(295)는 상기 전환부(228)의 자력전환부(256)에 급전하기 위한 배선을 상기 케이스(225)밖으로 빼내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225) 내측에 돌출한 한쌍의 내측단자(299)(299)와, 양단자에 접속되고, 이 케이스(225)밖으로 돌출한 한쌍의 외측단자(2103)(210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의 밀봉단자(295a)의 제1~제3의 내측단자(296)~(298)는 상기 전동기부(227)(DC브러시리스 모터)의 3개 형상의 권선에서 빼어낸 3개의 리드선과 한쌍의 코낵터(2104)를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의 밀봉단자(295b)의 상기 한쌍의 내측단자(299)(299)는 상기 전환밸브(228)에서 빼낸 2개의 리드선과 한쌍의 제2의 코넥터(2105)를 통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이 압축기를 조립할 때에는, 상기 덮개부(225a)에 상기 전환부(28)와 상기 제1, 제2의 밀폐단자(295a)(295b)를 설치하고, 상기 제2의 밀봉단자(295b)의 한쌍의 내측단자(299)에서 이어져 나온 제2의 코넥터(2105)와 상기 전환밸브(228)에서 이어져 나온 같은 제2의 코넥터(2105)를 접속한다.
이어서, 상기 덮개부 (225a)를 상기 케이스 (225)에 설치할 때 ,상기 제1의 밀폐단자 (295a)의 제1~제3의 내측단자(296)~(298)에서 도출된제1의 코넥터(2104)와 상기 전동기부 (227)에서 도출된 같은 제2의 코넥터(2104)를 접속 하도록되어 있다. 한편, 각 밀봉단자 (295a)(295b)의 각 외측단자(2100)~(2103)는 도면에 2106으로 나타낸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부(2106)는 상기 제1의 밀봉단자(295a)의 각 외측단자(2100)~(2102)가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인버터회로와, 상기 제2의 밀봉단자(25b)의 한쌍의 외측단자(2103) (2103)가 접속되는 제어회로(2111)를 구비한다.
이 제어회로(2111)는 예를들면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교류전원(2110)에서의 상기 자력전환부(256)에 설치된 전자석(290)으로의 통전은 반파제어를 하는 포토 트라이액(2112)을, 통해서 행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2113)와 교류의 OV(제로크로스)타이밍을 검지하는 포토트랜지스터(2114)에 의해 상기 제로크로스점에 대해서 상기 포토 트라이액(2112)에 통전하지않는 것을 판정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으로 상기 자력전환부(228)는 상기의 한쌍의 스테이터(228)의 자성을 N극과 S극으로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제20도~제22도), 자력의 발생을 정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상 서술한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정지시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지시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프링(93)의 힘가함에 저항하여 이 제1,제2의 밸브체(253)(254)가 약간량 하강하고,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상면과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아랫면은 약간 거리가 떨어진다.
또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 상기 밸브베이스(252)와의 사이에 발생한 간격을 통해서 상기 제1,제2의 접속포트(260)(262), 저압가스 토출포트(261) 및 바이패스관용포트(265)는 모두 연이어 통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공기조화기의 배관내의 압력은 균형을 이루고 있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난방운전을 하는 때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난방운전을 하는 때에는 상기 제어회로(2111) 의해 상기 전환밸브부(228)의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20(c)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한다.
이것으로, 도면중 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288)(자성조각)가 S극으로 자화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스테이(288)가 N극으로 자화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재(285)의 N극부(285a)가 도면중 상측으로 위치하는 스테이(88)에 흡인되는 동시에 S극부(285b)가 하측으로 위치하는 스테이(288)에 흡인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자석부재(28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 한다.
상기 제2의 밸브체(254)는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자석부재(285)에 대해서 상대회전 불능으로 맞추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의밸브체(253)는 이 제2의밸브체(254)에 의해 지지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제2의 밸브체(253)(254)는 상기자석부재(285)와 함께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제20(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밸브베이스(252)에 돌출되어 설치된 스토퍼(267)가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안내홈(272)의 둘레방향의 한단과 맞닿았다면, 이 제1의 밸브체(53)만이 회전운동을 정지한다.
이것으로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와 저압가스 토출포트(261)가 이 제1의 밸브체(253)에 설치된 오목홈(268)에 의해 연이오 통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는 이 제1의 밸브체(253)에 어 설치된 제1의 관통구멍(269)에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관용포트(265)는 상기 제2의 관통구멍에 대향한다.
또한 제2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제1의 밸브체(253)에 설치된 제1의 볼록부(273)가 상기 자석부재(256)의 칼라(284)에 설치된 슬릿(287)의 둘레방향의 한단과 맞닿으면, 상기 자석부재(256) 및 제2의 밸브체(254)의 회동은 정지한다.
이것으로 같은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에 개구하는 상기 제2의 관통구멍(270)은 이 제2의 밸브체(254)에 설치된 제2의 실부재(277)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제1의 관통구멍(269)은 이 제2의 밸브체(254)에 설치된 제2의 관통구멍(280)과 대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제1의 관통구멍(269)과 대향하는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만이 상기 케이스(225)내로 개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1도에 표시한 상기 전동기부(227)를 작동시킨다.
이 전동기부(227)가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부(226)가 작동하고, 동작유체의 압축을 한다. 압축된 고압유체는 상기 밀폐케이스(225)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밀폐케이스(225)내에 충만한 고압전류는 상기 제2의 밸브체(254)에 설치된 상기 제2의 관통구멍(280) 및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 제2의 밸브체(254)의 간격(실부재(276)~(278)의 두께분의 간격)에서 상기 제1의 밸브체(253)에 설치된 상기 제1의 관통구멍(269)을 통과하여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에 유입하고 실내측열교환기(263), 팽창밸브, 실외측열교환기(264)를 순서대로 상태변화를 하면서 통과하고, 실내의 난방을 한다(제9도참조).
상기 실외측열교환기(264)를 통과한 유체는 저압유체를 이루고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에 유입하고, 상위밸브체(53)에 설치된 오목홈(268)을 통해서 상기 저압가스토출포트(261)에 흐르고 이 저압가스토출포트(261)에서 압축기의 흡인관(245)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225)내의 압축기부(226)로 도입된다.
압축기부(226)내에 도입된 유체는 다시 이 압축기부(226)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케이스(225)내로 토출된다. 이어서 다시 상기 제2의 밸브체(254)의 제2의 통과구멍(280) 및 제1의 밸브체의 제1의 통과구멍(269)을 통해서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에서 실내측열교환기(263)로 도입되고 이 공기조화기의 배관내를 순환한다.
또한 이 사이에 상기 제어회로(211)는 제20(d)의 파형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인가 전압은 0으로 제어되고, 상기한쌍의 스테이(288)는 자화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스테이(288)는 철재(자성조각)이기 때문에, 자석부재(55)와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20도에 나타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오목홈(268)내는 케이스(225)의 내부와 비교하여 저압이기 때문에 케이스(225)내의 압력에 의해 이 제1의 밸브체(253)와 밸브베이스(252)와는 공기가 통하지 않게 밀착하고, 상기 자력전환부(256)의 구동토크이상의 정지마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때, 상기 바이패스관용포트(265)에 연이어 통하는 제1의 밸브체(253)의 제2의 관통구멍(270)이 상기 제2의 밸브체(254)의 제2의 실부재(277)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제11도 및 제19도에 266으로 나타낸 바이패스관에 유체는 유통하지 않는다.
이와같이하여 이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을 하는 것이지만, 장시간 운동하면 실외측열교환기(264)의 냉매유통바이패스와 방열핀에 서리가 끼는일이 있다. 서리가 발생하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264)의 열교환효율이 저하하고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하기 때문에 서리제거운전을 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이 서리제거운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서리제거운전은 난방운전중에 행한다.
즉, 제20도에 나타난 상태에서 제21(c)도의 파형도에 나타낸바와같이, 상기 자력전환밸브(256)의 전자석(290)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한다. 이것으로 제20(a)도에 나타낸 경우와는 역으로 도면중 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288)가 N극으로 자화되고 아래측에 위치하는 스테이(288)가 S극으로 자화된다.
이것으로 영구자석(285)과 스테이(288)와의 사이에서 반발이 일어나고, 상기 자석부재(54) 및 제2의 밸브체는 제20(b)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제1의 밸브체(253)는 난방운전시의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운동하지 않는다. 즉 난방운전중은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홈(268)내는 저압이고, 상기 케이스(225)내는 고압이기 때문에, 그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1의 밸브체(253)는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하면에 강하게 밀착하고 그사이에 발생하는 정지마찰력은 이 자력전환부(256)의 구동토크 이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 상기 제2의 밸브체(254)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지마찰력은 제1의 밸브체(253)의 제1 및 제2의 관통구멍(269)(270)의 개구면적과 이들의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밸브체(254)의 실부재(276)(277)에 이러한 압력에 따른 힘이기 때문에, 상기 구동토크보다도 작고, 따라서 상기 제2의 밸브체(254)만이 상기 졔1의 밸브체(253)와는 독립하여 상기 자석부재(255)와 동시에 회전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에 설치된 제1의 볼록부(273)가 상기 자석부재(255)의 칼라(276)에 설치된 슬릿(87)의 둘레방향타단부에 맞닿으면, 상기 제2의 밸브체(254)와 자석부재(255)와는 회전운동을 정지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자력전환부(256)에 의한 상기 자석부재(255)의 구동력은 상기 난방운전중의 제1의 밸브체(253)와 밸브베이스(252)와의 정지 마찰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제2의 밸브체(254)와 자석부재(255)는 이 이상 회전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바이패스관용포트(265)에 연이어 통하는 상기 제1의 밸브체의 제2의 관통구멍(270)은 상기 제2의 밸브체(254)에 설치된 제1의 관통구멍(279)에 대향하여 케이스(225)내에 개방하고,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에 연통하는 제1의 밸브체(253)의 관통구멍(269)은 이 제3의 실부재(278)에 의해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225)내에 고온고압유체가 상기 제1의 통과구멍(279), 제2의 관통구멍(270) 및 바이패스관용포트(265)를 통해서, 바이패스관(266)에 흘러들고 실외측열교환기(264)에 직접 유통하게 되기 때문에(제19도참조) 상기 실외측열교환기(264)의 서리제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의 밸브체(53)에 일체형성된 실부재(268a~270a 및 272a)에 의해 상기 밸브베이스(252)와 제1의 밸브체(253)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격에서도 케이스(225)내의 고온 고압 유체가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에 흘러들어 실내열교환기(263)에 유통하게 되기 때문에 난방운전이 계속된다.
이 때문에, 난방운전을 계속하면서 실외열교환기(265)의 서리제거운전을 하게 된다.
또한 이 서리제거운전중에는 제21(d)도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력 전환부(256)로의 전력공급을 정지하고 있지만,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도 난방 운전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288)와 상기 자석부재(255)와의 흡인력에 의해 제21(a)(b)에 나타낸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실외측열교환기(264)의 서리제거가 종료하면, 상기 자력전환부(256)에 인가하는 전압을 다시 제20(c)도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환하고, 원래의 난방운전(제20(a)(b))으로 돌아오게 한다.
한편, 이 난방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부(228)를 정지 시킨다. 이것으로 상기 케이스(225)내의 압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 밸브베이스(252)와의 밀착상태를 해소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의 밸브체(253),(254)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프링(93)이 약간 압축되고, 상기 밸브체(253)와 밸브베이스(252)의 사이에 미소한 간격이 발생하여 상기 제1, 제2의 접속포트(259)(261) 및 저압가스토출포트(260) 내의 압력이 균형(가스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가스균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기를 재기동하기 위한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냉방운전시의 제어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방운전시에는 제22(C)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전환밸브(28)의 전자석(90)에 인가한 전압을 제어한다. 이것으로 제20도에 나타낸 난방 운전의 경우와는 역으로 도면중 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288)가 N극으로 자화되고 하측으로 위치하는 스테이(288)가 S극으로 자화된다.
이것으로 상기 자석부재(255)의 S극부(285b)가 도면중상측에 위치하는 스테이(88)에 흡인되고, N극부(285a)가 하측으로 위치하는 스테이(288)에 흡인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자석부재(255)는 회전운동한다.
상기 제2의 밸브체(254)는 이 자석부재(255)와 회전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의 밸브체(53)는 자석부재(255)에 설치된 칼라(284)의 슬릿(287)과 걸어 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1,제2의 밸브체(253)(254)는 상기 자석부재와 동시에 회동한다.
이때, 공기조화기는 운전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고저압차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 상기 밸브베이스(252)는 밀착하지 않고, 과대한 정지마찰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자석(290)에 의해 상기 자석부재(255)에 보내지는 저토크라도 상기 제1의 밸브체(253)는 용이하게 회전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베이스(252)에 돌출하여 설치된 스토퍼(267)가 상기 제1의 밸브체(253)에 설치된 안내홈(272)의 둘레방향의 다른 끝에 맞닿으면서, 제22(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의 밸브체(253)는 회동을 정지한다.
이것으로 난방시와는 반대로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와 저압가스토출포트(561)가 상기 오목홈(268)에 의해 연이어 통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는 이 제1의 밸브체(253)에 설치된 제2의 관통구멍(270)에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관용포트(265)는 제2의 관통구멍(269)에 대향한다.
또한 상기 제1의 밸브체(253)에 설치된 제1의 볼록부(273)가 제2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자석부재(255)의 칼라(284)에 설치된 슬릿(287)의 둘레방향의 다른면의 맞닿으면서 상기 제2의 밸브체(254) 및 자석부재(255)의 회전운동은 정지한다.
이것으로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에 대향하는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제2의 관통구멍(270)은 이 제2의 밸브체(240)에 설치된 제1의 관통구멍(279)과 대향하여 케이스(225)내에 개방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용포트(265)에 대향하는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제1의 관통구멍(269)은 이 제2의 밸브체(254)에 설치된 제3의 실부재(278)에 의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동기부(228)의 운전을 개시하면 상기 압축기부(226)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225)내에 고압유체가 차게되고 이 압력과 상기 오목홈(268)내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1의 밸브체(253)는 상기 밸브베이스(252)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이 케이스(225)내의 고압유체는 제2의 밸브체(254)의 제1의 통과구멍(279) 및 실부재(276~278)에 의해 형성되는 제1의 밸브체(253)와 상기 제2의 밸브체(254)의 간격에서 제1의 밸브체(253)의 제2의 관통구멍(270)으 통하여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로 흘러들어 온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의 밸브체(253)의 실부재(268a~270a 및 272a)에 따른 밸브베이스(252)와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의 사이의 간격에서도 케이스(252)내로 고온고압유체가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내로 흘러들어온다.
그리고, 상기 제1의 접속포트(260)에서 실외측열교환기(264), 팽창밸브(감압장치), 실내측열교환기(263)로 순차적인 상태변화를 하면서 실내의 냉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63)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제2의 접속포트(262)에 유입하고, 상기 오목홈(268)을 통해서 상기 저압가스토출포트(261)에서 상기 케이스(225)내의 압축기부(226)로 도입된다.
또한 이 난방운전중은 난방운전중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290)에 대한 인가 전압은 0으로 제어된다(제22(d)). 그러나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스테이(288)는 철제(자성조각)이기 때문에 자석부재(255)와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22(a),(c)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오목홈(268)내는 케이스(225)의 내부와 비교하여 저압이기 때문에 케이스(225)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의 밸브체(253)와 밸브베이스(252)와는 공기가 통하지 않게 밀착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실시는 상기한 제1의 실시예의 효과에서는 볼수 없는 것으로서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하는 효과가 있다.
간단한 구성으로 난방운전을 정지하지않고, 실외열교환기의 서리제거를 신속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에서는 상기 전환밸브부(288)를 제1,제2의 2개의 밸브체(253)(254)를 갖는 회전식 5방밸브체로서 이것을 케이스(225)내에 수납하도록 했다. 이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난방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서리제거를 신속하게 할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압축기는 2개의 실린더 및 롤러를 갖는 이중 회전압축기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롤러가 하나만의 싱글회전압축기여도 좋다.
또한 선회스크롤날개와 비선회스크롤날개를 조합하여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스크롤을 비선회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시키는 것으로 상기 압축 공간내의 유체를 압축하는 스크롤형압축기라도 좋다. 요는 케이스내가 압축후의 고압유체에 의해 채워지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의 전환벨브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배관을 간략화할수 있고 케이스내에 끼워넣은 경우에도 이압축기가 대형화하는 일이 적고, 정지시의 가스균형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방운전을 계속하면서, 서리제거운전을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상부 및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밀폐케이스; 상기 밀폐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밀폐케이스 밖으로부터 흡인한 저압유체를 압축하여 고압유체로 하여 밀폐케이스내로 배출하는 압축기부; 상기 밀폐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이 압축기부를 구동하는 전동기부; 상기 밀폐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제1밸브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밀폐케이스 밖으로의 고압유체의 배출 배관 및 상기 압축기부로의 저압유체의 흡인배관을 전환하는 회전형 전환밸브; 및 상기 밀폐케이스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기밀하게 고정되고 바깥쪽에 상기 배출배관 및 흡인배관이 연이어 통하여 고정되고, 내측에는 상기 회전형 전환밸브가 고정된 상기 회전형 전환 밸브의 밸브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형 전환밸브는 상기 제1밸브체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베이스는 상기 배출배관 및 흡인 배관에 연이어 통하는 3개의 포트를 갖고, 상기 제1밸브체는 상기 포트 중 2개를 서로 선택적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홈과, 다른 1개의 포트를 밀폐 케이스내에 연이어 통하도록 하는 관통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베이스는 상기 배출 배관 및 흡인 배관에 연이어 통하는 3개의 포트 및 바이패스관용 포트를 갖고, 상기 제1밸브체는 상기 포트 중 2개를 서로 선택적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홈과, 다른 1개의 포트 및 바이패스관용 포트를 밀폐케이스내에 연통시키는 2개의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제1밸브체에 대해서 소정 각도를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2개의 관통구멍의 1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2밸브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베이스와 상기 제1밸브체 사이에 상기 제1밸브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1밸브체와 상기 제2밸브체 사이에 상기 제2밸브체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규제하는 제2규제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이 밸브체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1규제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밸브체의 위치가 규제된 후에 상기 제2밸브체가 제2규제 수단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밸브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상기 제2밸브체에 대한 구동 토크는, 상기 압축기부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상기 제1밸브체와 상기 벨브 베이스 사이의 정지 마찰력 보다도 작고, 상기 제1밸브체와 상기 제2밸브체 사이의 정지마찰력 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체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에 대향하여 설치된 자성조각과, 이 자성조각을 자화하여 상기 영구자석과의 사이에서 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체 또는 제2밸브체를 상기 베이스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갖고, 상기 스프링이 가하는 힘은 상기 압축기부의 정지시에 상기 밸브베이스와 상기 제1밸브체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발생시키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부의 전기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밀폐 케이스 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스의 상부벽을 관통하여 기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동기부 및 상기 회전형 전환밸브의 구동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밀봉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1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유체 압축기의 배관을 실내측 열교환기, 감압장치 및 실외측 열교환기로 구성하는 냉매의 유체 통로에 접속하고, 상기 회전형 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유체의 유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난방 또는 냉방운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 HFC계 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40023938A 1994-03-30 1994-09-23 유체압축장치 및 공기조화기 KR0147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60519 1994-03-30
JP06052094A JP3327671B2 (ja) 1994-03-30 1994-03-30 流体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94-060520 1994-03-30
JP06051994A JP3327670B2 (ja) 1994-03-30 1994-03-30 流体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7883B1 true KR0147883B1 (ko) 1998-08-17

Family

ID=2640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938A KR0147883B1 (ko) 1994-03-30 1994-09-23 유체압축장치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47344A (ko)
EP (1) EP0675288B1 (ko)
KR (1) KR0147883B1 (ko)
CN (1) CN1124416C (ko)
TW (1) TW31000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4A (ja) * 1996-06-19 1998-01-06 Toshiba Corp 切換え弁と、流体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式冷凍サイクル
US6234207B1 (en) * 1998-06-23 2001-05-22 Fuji Injector Corporation Device for changing flow of operating medium in air conditioning system
US6578886B1 (en) 1999-09-20 2003-06-17 Brammall, Inc. Self-locking wire seal
US6460567B1 (en) 1999-11-24 2002-10-08 Hansen Technologies Corpporation Sealed motor driven valve
US6558126B1 (en) * 2000-05-01 2003-05-06 Scroll Technologies Compressor utilizing low volt power tapped from high volt power
KR100531287B1 (ko) * 2003-05-13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US7631661B2 (en) * 2004-08-23 2009-12-15 Zhejiang Sanhua Co Ltd. Straight flow reversing valve
US7819131B2 (en) * 2005-02-14 2010-10-26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pringless compressor valve
GB2431979B (en) * 2005-08-17 2010-04-28 Ranco Inc Straight flow reversing valve
US20070241627A1 (en) * 2006-04-12 2007-10-18 Sullair Corporation Lubricant cooled integrated motor/compressor design
US8057194B2 (en) * 2006-12-01 2011-11-1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discharge muffler attachment using a spacer
US9404499B2 (en) * 2006-12-01 2016-08-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Dual chamber discharge muffler
KR100920980B1 (ko) * 2008-02-19 2009-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장치
EP2299154A4 (en) * 2008-06-02 2015-09-02 Saginomiya Seisakusho Inc Flow-SWITCHING
KR101499976B1 (ko) * 2008-07-22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JP5653645B2 (ja) * 2010-04-05 2015-01-14 株式会社不二工機 多方切換弁
WO2012032765A1 (ja) * 2010-09-07 2012-03-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圧縮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EP3101278B1 (en) * 2015-06-03 2021-04-28 ABB Schweiz AG Active damping of oscillations in a control process
US11078913B2 (en) * 2015-06-30 2021-08-03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Two-piece suction fitting
CN111852871A (zh) * 2019-04-30 2020-10-30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和制冷系统
CN111029319B (zh) * 2019-11-19 2021-09-17 西安西整熔断器有限公司 一种电触发晶闸管换流阀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287A (en) * 1980-10-31 1982-05-13 Hitachi Ltd Scroll compressor
JPS58148290A (ja) * 1982-02-26 1983-09-03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を用いた冷凍装置
JPS60124595A (ja) * 1983-12-09 1985-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舵取機制御装置
JPS61272478A (ja) * 1985-05-29 1986-12-02 Hitachi Ltd 密閉形圧縮機
JPS623180A (ja) * 1985-06-29 1987-01-09 Toshiba Corp 可逆冷凍サイクル用の圧縮機
JPS63170667U (ko) * 1987-04-28 1988-11-07
DE68914473T2 (de) * 1988-01-18 1994-07-28 Hitachi Ltd Drehbares Ventil.
US5200872A (en) * 1989-12-08 1993-04-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nal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ally driven device
JP2768004B2 (ja) * 1990-11-21 1998-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ロータリ式多段気体圧縮機
US5118260A (en) * 1991-05-15 1992-06-02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protector
KR950000020B1 (ko) * 1991-12-11 1995-0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겸용 에어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416C (zh) 2003-10-15
CN1121994A (zh) 1996-05-08
US5547344A (en) 1996-08-20
EP0675288A3 (en) 1996-07-03
TW310003U (en) 1997-07-01
EP0675288A2 (en) 1995-10-04
EP0675288B1 (en) 199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883B1 (ko) 유체압축장치 및 공기조화기
JP4343627B2 (ja) ロータリ式密閉形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1250537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モータ、流体機械、及び流体機械の組立て方法
JP4700624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ロータリ式密閉型圧縮機
KR20040049270A (ko) 냉매 사이클 장치
JP3327670B2 (ja) 流体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0081257A (ja) 冷暖房装置における作動媒体の流路切換装置
JP4594301B2 (ja) 密閉型回転式圧縮機
JP3377614B2 (ja) 空気調和機
JP3354783B2 (ja) 流体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式冷凍サイクル
JP3312989B2 (ja) 流体圧縮機
JP3327671B2 (ja) 流体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3223056B2 (ja) 流体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0151510B1 (ko) 유체압축기
JPH0814708A (ja) 流体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3246700B2 (ja) 流体圧縮機
WO2023187909A1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391816B2 (ja) 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309455B1 (ko) 히트펌프의냉매절환장치
JPS623196A (ja) 可逆冷凍サイクル用の回転式圧縮機
JPH0815961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