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7760B1 -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760B1
KR0147760B1 KR1019950023948A KR19950023948A KR0147760B1 KR 0147760 B1 KR0147760 B1 KR 0147760B1 KR 1019950023948 A KR1019950023948 A KR 1019950023948A KR 19950023948 A KR19950023948 A KR 19950023948A KR 0147760 B1 KR0147760 B1 KR 014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gital signal
optical transmission
multiplexing
sig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3891A (en
Inventor
조성대
김종성
권순철
Original Assignee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101995002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760B1/en
Publication of KR97001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76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23Synchronous multiplexing systems, e.g.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synchronous optical network (SDH/SONET), synchronisation with a pointer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광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인터페이신호중 최대 84개의 DS1, 63개의 DS1E, 3개의 DS3 디지탈 종속신호를 1TU-T G.703의 동기식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STM-1로 동기식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여 광전송하는 타임슬롯 교환 및 분기 결합이 가능한 동기식 광전송시스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 particular, up to 84 DS1, 63 DS1E, and 3 DS3 digital dependent signals among digital interface signals are synchronously multiplexed to STM-1 using the synchronous multiplexing scheme of 1TU-T G.703. And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time slot exchange and branch combining for optical transmission by demultiplexing.

본 발명의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은 시스템의 모든 유닛를 제어하는 주제어 유닛과, 최대 4개의 비동기형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 유닛 그룹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최대 3개의 비동기형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 유닛 그룹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유렵계열 제 1 디지탈 신호 서비스 유닛과, 상기 제 1디지탈 신호 서비스 유닛을 예비 유닛으로 절체하도록 하는 스위칭 유닛과, 상기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으로 부터 종속 유닛 그륩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과, 하나의 비동기형 제 3 디지탈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제 3 디지탈신호서비스 유닛과,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과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 다중화 유닛으로 부터 최대 3개의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를 수신하여 동기식 트랜스포트모듈신호로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고 광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광송수신 유닛과,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 및 광송수신 유닛에 접속되어 제 11, 12 및 3 가상 컨테이너신호에 대한 타임스롯 교환을 수행하는 타임슬롯 교환 유닛과, 대국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하여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제어 명령어를 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유닛과 , 시스템의 동기식 다중화 및 제어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 공급 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을 구비한다.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ll units of the system, and a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up to four asynchronous North American series first digital signals into subordinate unit group signals. A first European digital signal service unit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up to three asynchronous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s into a dependent unit group signal, and transferring the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to a spare unit; An adjunct which receives a subordinate unit group signal from the North American series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the European series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multiplexes into an adaptive unit signal or performs demultiplexing thereof. Negative unit multiplexing unit and one asynchronous third digital signal Up to three admittances from the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which receives and multiplexes into an ad hoc adaptive unit signal, or performs multiplexing thereof, and the multiplexing unit and the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multiplexing unit;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multiplexing unit signal to a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signal and performing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the admitting unit multiplexing unit, a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 timeslot exchange unit connected to perform timeslot exchange for the eleventh, twelfth, and third virtual container signals,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system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to the power station for remote maintenance of the power system; Clock supply for clock signals for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control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lass unit.

Description

동기식 광 전송시스템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광 전송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화 구조도.2 is a multiplex structur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동기식 광 전송시스템의 전면 실장도.3 is a front mounting diagram of 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hown in FIG.

제 4a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대점 망구성도.Figure 4a is a point-to-point network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b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망구성도.4b is a linear networ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c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형 망구성도.Figure 4c is an annular network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주제어유닛(MCU)10: Main control unit (MCU)

11: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DS1)11: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DS1)

12: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DS1E)12: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DS1E)

13: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AUMX)13: Adjustable unit multiplexing unit (AUMX)

14: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DS3)14: 3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DS3)

15:광 송수신유닛(OTRU) 16:타임슬롯 교환 유닛(TSI)15: Optical Transceiver Unit (OTRU) 16: Time Slot Exchange Unit (TSI)

17:데이타 통신유닛(DCU) 18:클럭 공급유닛(CLK)17: Data communication unit (DCU) 18: Clock supply unit (CLK)

19:스위칭 유닛(SW)19: switching unit (SW)

101:예비용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DS1)101: Preliminary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DS1)

102:예비용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DS1E)102: Preliminary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DS1E)

본 발명은 동기식 광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인터페이스신호중 최대 84개의 DS1(1.544Mbps), 63개의 DS1E (2.048Mbps), 3개의 DS3(44.736Mbps) 디지탈 종속신호를 ITU-T G.703의 동기식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동기 트랜스포트 모듈신호(Synchronouss Transport Module-1, 이하 STM-1이라 함)로 동기식 다중화하여 광전송하고 이 역기능을 수행하며 DS1,DS1E,DS3신호에 대하여 타임슬롯 교환 및 분기결합이 가능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in particular, up to 84 DS1 (1.544 Mbps), 63 DS1E (2.048 Mbps), and 3 DS3 (44.736 Mbps) digital dependent signals of digital interface signals are included in ITU-T G.703. Synchronous multiplexing with Synchronous Transport Module-1 (STM-1) using the synchronous multiplexing method to perform optical transmission, performing this reverse function, and time slot exchange and branch combining for DS1, DS1E, and DS3 signals. This relates to a possibl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일반적으로 디지탈 종속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에는 동기 다중화 방식과 비동기 다중화방식이 있는데, 현재는 기존의 비동기 방식에서 운용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한 동기 방식으로 전환할 예정이고 이에 따라 비동기 전송 방식과 동기 전송방식이 상당 기간 종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동기 다중화 기능에 있어서도 디지탈 종속신호의 완전한 동기는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STM-1 프레임만이 동기 구조를 가지고 비동기 종속신호는 비트 스터핑에 의한 비동기 사상 방식을 이용한다.Generally, there are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asynchronous multiplexing methods for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digital dependent signals. Currently, asynchronous transmission method and synchronous transmission are planned to be switched from the existing asynchronous method to a synchronous method that is easy to operate and maintain.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will exist for some time. Also, in the synchronous multiplexing function, since the digital dependent signal is not completely synchronized, only the STM-1 frame has a synchronous structure, and the asynchronous dependent signal uses asynchronous mapping by bit stuffing.

종래 동기식 광전송장치에서는 북미 계열의 제 1 레벨 디지탈신호(Digital Signal level 1, 이하 DS1이라 함), 유럽계열의 제 1 레벨 디지탈신호((Digital Signal level 1 European, 이하 DS1E라 함), 북미계열의 제 3 레벨 디지탈신호((Digital Signal level 3, 이하 DS3라 함)의 종속신호에 대하여 STM-1로 동기식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고 광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device, the North American first level digital signal (Digital Signal level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DS1), the European first level digital signal (Digital Signal level 1 Europe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S1E), and the North American STM-1 performs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with respect to the dependent signal of the third level digital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S3) and performs opt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하지만 DS1, DS1E, DS3의 종속신호에 대하여 동기식 다중화 방식에 의하여 STM-1 신호로 단순 다중화 ACL DUR 다중화하고 광전송하는 기능만 있어서 배선의 변경없이는 전송 경로의 변경이 불가능하고, 선형 및 환형과 같은 망구성을 할 수 없어서 전송장치의 사용에 제한이 있고 경제성이 있는 망구성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only the multiplexing ACL DUR multiplexing and optical transmission of the STM-1 signal by the synchronous multiplexing method for the dependent signals of DS1, DS1E, and DS3 are impossible.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use of the transmission device because it can not be configured, there is a difficulty in economical network configu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선의 변경없이도 종속신호의 전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고 종속신호에 대한 분기결합이 가능하고 선형 및 환형 망구성이 가능한 동기식 다중화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광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change a transmission path of a dependent signal without changing a wiring, and to perform branch combining on a dependent signal and to configure a linear and annular network. It is to provide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의 모든 유닛를 제어하는 주제어 유닛과, 최대 4개의 비동기형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 유닛 그룹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 다중화를 수행하는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최대 3개의 비동기형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 유닛 그룹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상기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을 예비 유닛으로 절체하도록 하는 스위칭 유닛과, 상기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으로 부터 종속 유닛 그룹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과, 하나의 비동기형 제 3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과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 다중화 유닛으로 부터 최대 3개의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를 수신하여 동기식 트랜스포트모듈신호로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고 광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광송수신 유닛과,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 및 광송수신 유닛에 접속되어 제 11, 12 및 3 가상 컨테이너신호에 대한 타임슬롯 교환을 수행하는 타임슬롯 교환유닛과, 대국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하여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제어 명령어를 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유닛과, 시스템의 동기식 다중화 및 제어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 공급 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ll units of the system, and a first North American series digital multiplexing of up to four asynchronous North American series first digital signals to subordinate unit group signals or the reverse multiplexing. A signal service unit, a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up to three asynchronous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s into a dependent unit group signal, and a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 slave unit group signal from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over to the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the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in North America, and a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in Europe, and multiplexed into an adaptive unit signal or demultiplexed thereto Adaptative unit multiplexing unit and one asynchronous third unit A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for receiving a de-signal and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an ad- ministtive unit signal, and up to three signals from the ad- ministive unit and the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multiplexing unit;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n adaptive unit signal,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into a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signal, and performing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the adaptive unit multiplexing unit, a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an optical; A time slot exchange unit connected to the transmit / receive unit to perform timeslot exchange for the 11th, 12th and 3rd virtual container signals, and data for transmitting system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to the power station for remote maintenance of the power system; Communication unit and a clock signal for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controlling the system.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clock supply unit.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광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화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광 전송시스템은 모든 유닛를 제어하는 주제어 유닛(10)과, 4개의 비동기형 DS1 을 종속 유닛 그룹신호(Tributary Unit Group2, 이하 TUG2라 함)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DS1 서비스 유닛(11)과, 3개의 비동기형 DS1E를 TUG2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DS1E 서비스 유닛(12) 으로 부터 TUG2를 수신하여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Administrative Unit3, 이하 AU3라 함)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Administrative Unit Multiplex Unit, 이하 AUMX라 함)유닛(13)과, 1개의 비동기형 DS3를 수신하여 AU3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DS3 서비스 유닛(14)과, 상기 AUMX 유닛(13)과 DS3 서비스 유닛(14)으로 부터 3개의 AU3를 수신하여 동기식 STM-1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하고 광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광송수신(Optical Transmit and Receive Unit, 이하 OTRU라 함)유닛(15)과, 상기 AUMX 유닛(13), DS3서비스 유닛(14) 및 OTRU 유닛(15)에 접속되어 제 11 가상 컨테이너 신호(Virtual Container11, 이하 VC11라 함), VC12,VC3에 대한 타임슬롯 교환을 수행하는 타임슬롯 교환(Time Slot Intertchange, 이하 TSI라 함) 유닛(16)과, 대국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하여 시스템의 상태정보와 제어 명령어를 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유닛(Data Communication Unit, 이하 DCU ,17)과, 시스템의 동기식 다중화 및 제어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공급(Clock, 이하 CLK라 함) 유닛(18)과, 상기 DS1 서비스 유닛(11)의 장애시 대체되는 예비용 DS1 서비스 유닛(101)과, 상기 DS1E 서비스 유닛(12)의 장애시 대체되는 예비용 DS1 E 서비스 유닛(102)과, 상기 DS1 서비스 유닛(11)과 상기 DS1E 서비스 유닛(12)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해당 예비용 유닛으로 대체시키는 스위칭(Switch, 이하 SW라 함) 유닛(19)을 구비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ultiplex structur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all units, and the DS1 multiplexing four asynchronous DS1s with a tributary unit group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UG2) or performing demultiplexing thereof. Receives the TUG2 from the service unit 11 and the DS1E service unit 12 which multiplexes or demultiplexes three asynchronous DS1Es to TUG2, and calls an administrative unit3 (hereinafter called AU3). ), An ADMX unit 13 for multiplexing or performing demultiplexing thereof, and one asynchronous DS3 and multiplexing with AU3 or demultiplexing thereof. Receives three AU3s from the performing DS3 service unit 14 and the AUMX unit 13 and the DS3 service unit 14 and multiplexes or demultiplexes the synchronous STM-1 to perform opt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An opt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TRU) unit 15 and an AUMX unit 13, a DS3 service unit 14, and an OTRU unit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venth virtual container signal (Virtual). Container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VC11), Time Slot Interch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SI) unit 16, which performs timeslot exchange for VC12, VC3, and the state of the system for remote maintenance of the power system. Data communication unit (DCU, 17)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structions to a power station, and a clock supply unit (CLK) for supplying clock signals necessary for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control of the system (18). ), A spare DS1 service unit 101 to be replaced in case of failure of the DS1 service unit 11, a spare DS1 E service unit 102 to be replaced in case of a failure of the DS1E service unit 12, and the DS1. Of the service unit 11 and the DS1E service unit 12 It is provided with a switching unit (SW) (hereinafter referred to as SW) if at least one failure occurs.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의 광 전송시스템의 각 유닛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of each unit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MCU 유닛(10)는 시스템에 실장되는 모든 유닛의 장애 감시 및 유지 보수 기능을 한다. MCU 유닛(10)의 장애시 유닛 및 회선의 절체를 포함한 모든 유지 보수에 관한 기능은 수행할 수 없지만 서비스 영향을 주지 않는다. MCU 유닛(10)의 전면에는 공통부의 경보상태, 루프백 상태, 대국시스템의 경보발생, 가청경보 차단 및 경보 이력상태를 나타내는 LED가 있어서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하여 준다.The MCU unit 10 functions as a fault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all units mounted in the system.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MCU unit 10, all maintenance related functions including the switching of the unit and the line cannot be performed, but they do not affect service. On the front of the MCU unit 10, there are LEDs indicating an alarm state, a loopback state, an alarm generation, an audible alarm cutoff, and an alarm history state of the common part to display the state of the system.

DS1 유닛(11)는 4개의 AMI 또는 B8ZS 형태의 복극성 1.544Mbps DS1신호를 수신하여 클럭과 단극성 NRZ(Non Return to Zero) 데이터를 추출하고, 비트 스터핑과 오버헤드를 추가하는 사상과정을 수행하여 TU11을 생성한다. 이러한 TU11 신호 4개를 TUG2 신호로 다중화하고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MCU 유닛에 의하여 종속유닛신호(Tributary Unit, 이하 TU라 함) 오버헤드 바이트 처리, 유닛 내부 결합 감지 기능 등의 유지 보수 및 테스트와 관련된 제어기능이 이루어진다. DS1 유닛(11)의 서비스 제공 불능시에는 자동적으로 예비용 DS1 유닛(101)으로 절체되며 절체후에도 고장 유닛의 진단이 이루어지며 고장 원인의 해결시에는 서비스가 예비용 DS1 유닛(101)에서 복귀된다.The DS1 unit 11 receives four AMI or B8ZS bipolar 1.544Mbps DS1 signals, extracts clock and unipolar Non Return to Zero (NRZ) data, and performs mapping process to add bit stuffing and overhead. To generate TU11. These four TU11 signals are multiplexed into TUG2 signals and perform the reverse function. The MCU unit performs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maintenance and testing of a tributary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U) overhead byte processing and an internal unit detection function. If the service of the DS1 unit 11 is not provided, the transfer is automatically made to the spare DS1 unit 101, and after the transfer, the failure unit is diagnosed. When the cause of the failure is resolved, the service is returned from the spare DS1 unit 101. .

DS1E 유닛(12)은 3개의 2.408Mbps 속도를 갖는 DS1E 신호를 수신하여 클럭과 단극성 NRZ 데이타를 추출하고 스터핑 비트와 오버헤드를 추가하는 사상과정을 수행하여 TU12를 생성한다. 이러한 TU12 신호 3개를 TUG2로 다중화하고 이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MCU 유닛(10)에 의하여 TU 오버헤드 바이트처리, 유닛 내부 결함 감지 기능 등의 유지 보수 및 테스트와 관련된 제어 기능을 가진다. DS1E 유닛(12)은 자체 서비스중 진단 기능을 가지며 이상이 발생시 자동적으로 예비용 DS1E 유닛(102)으로 절체되며 절체후에도 고장 유닛의 진단이 이루어지며 고장 원인의 해결시에는 서비스가 예비용 DS1E 유닛(102)에서 복귀된다.The DS1E unit 12 receives three DS1E signals having a speed of 2.408 Mbps, extracts clock and unipolar NRZ data, and performs mapping to add stuffing bits and overhead to generate TU12. These three TU12 signals are multiplexed into TUG2 and perform their reverse function. The MCU unit 10 has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maintenance and testing of the TU overhead byte processing, unit internal defect detection function, and the like. The DS1E unit 12 has a self-service diagnostic function,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the DS1E unit 102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pare DS1E unit 102. After the transfer, the failure unit is diagnosed. Return to 102).

AUMX 유닛(13)는 DS1 유닛(11) 또는 DS1E 유닛(12)로 부터 최대 7개의 TUG2 신호를 수신하여 다중화 및 패스 오버 헤드가 삽입되어 VC3 신호를 형성하고 AU 포인터가 삽입되어 AU3 신호를 만든다. AU3 신호는 운용 TSI 유닛(16) 및 예비 TSI 유닛(106)로 전송된다. 또한 TSI 유닛(16)으로 부터 AU3 신호를 받아서 포인터 해석 및 오버 헤드 처리를 한 후 7개의 TUG2으로 역다중화하여 DS1 유닛(11) 이나 DS1E 유닛(12)에 접속시킨다.The AUMX unit 13 receives up to seven TUG2 signals from the DS1 unit 11 or the DS1E unit 12, multiplexing and pass overhead are inserted to form the VC3 signal, and the AU pointer is inserted to generate the AU3 signal. The AU3 signal is sent to the operational TSI unit 16 and the spare TSI unit 106. In addition, after receiving the AU3 signal from the TSI unit 16 and performing pointer analysis and overhead processing, it is demultiplexed into seven TUG2s and connected to the DS1 unit 11 or the DS1E unit 12.

DS3 유닛(14)은 DS3 신호를 접속하여 등화, 클럭 추출 과정을 거쳐 패스 오버헤드 삽입, 스터핑 비트 첨가등 동기식 다중화를 통하여 AU3 신호의 형성 및 이의 역과정을 수행하며 운용 및 예비의 TSI 유닛(16,106)와 접속한다.The DS3 unit 14 connects the DS3 signal to perform equalization, clock extraction, pass-through insertion, and adding stuffing bits to form and reverse the AU3 signal through synchronous multiplexing. ).

OTRU 유닛(15)은 TSI 유닛(16)에서 51.84Mbps의 속도를 가지는 3개의 AU3 신호를 받아 STM으로 동기식 다중화하고 광신호로 변환하여 스크램블링 후 대국에 광전송 및 이의 역기능을 갖는다. TSI 유닛(16)은 DS3 유닛(14), AUMX 유닛(13), OTRU 유닛(15)과 접속하며 84개의 VC11 또는 63개의 VC12 또는 3개의 VC3 신호에 대하여 각 신호의 포인터 재정렬을 통한 타임슬롯 교환기능을 한다. 타임슬롯 교환은 MCU 유닛(10)의 명령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환형 망구조에서는 양쪽의 OTRU 유닛(15)에서 오는 신호로 부터 VC11,VC12,VC3 신호의 AIS 또는 LOP 검출, 과도한 비트 에러 검출순으로 우선 순위를 정하여 좋은 품질의 신호를 선택하는 기능도 한다.The OTRU unit 15 receives three AU3 signals having a speed of 51.84 Mbps from the TSI unit 16 and synchronously multiplexes them with STM, converts them into optical signals, and then has optical transmission to the power station after scrambling and its reverse function. The TSI unit 16 connects to the DS3 unit 14, the AUMX unit 13, and the OTRU unit 15 and exchanges timeslots through pointer reordering of each signal for 84 VC11 or 63 VC12 or 3 VC3 signals. Function The timeslot exchange is performed by the command of the MCU unit 10. In addition, in the annular network, the signals from both OTRU units 15 are selected from the AIS or LOP detection of the VC11, VC12, and VC3 signals, and the bit error detection is performed to select a good quality signal.

DCU 유닛(17)은 장치간 및 운용자와의 통신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시스템의 제어 및 서비스 제공에 관계되는 정보는 MCU 유닛(10)에저 달된다. DCU 유닛(17)에서는 SDH 프레임 구조의 오버헤드 섹션내의 데이터 통신 채널로 전달되는 운용 및 유지 보수에 관한 데이터를 메세지 형태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The DCU unit 17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devices and operators, and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and service provision of the system is passed to the MCU unit 10. The DCU unit 17 functions to deliver data in the form of messages relating to operation and maintenance delivered to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in the overhead section of the SDH frame structure.

CLK 유닛(18)는 시스템의 각 유닛에 동기 클럭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며 외부동기, 내부동기, 루프동기의 3가지 동작모드를 제공하며, 외부동기 또는 루프동기의 장애시 홀드오버모드로 동작한다. 각 모드내에서 기준신호로 부터 디지탈 위상로크 루프회로(Phase Locked Loop, 이하 PLL라 함)와 분주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다중화 클럭과 제어 클럭을 생성하여 각 유닛에 공급한다. 또한, MCU 유닛(10)의 제어를 통해서 기준 클럭의 선택 및 장애 발생시 절체가 가능하다.The CLK unit 18 has a function of providing a synchronous clock to each unit of the system, and provides three operation modes of external synchronization, internal synchronization, and loop synchronization. . In each mode, the multiplexed clock and control clock required by the system are generated and supplied to each unit by using a phase locked loop circuit (PLL) and a divider from the reference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MCU unit 10 allows selection of a reference clock and switching when a failure occurs.

SW 유닛(19)는 운용중인 DS1 유닛(11) 또는 DS1E 유닛(12)의 장애 발생시 각각 예비용 DS1 유닛(101) 또는 예비용 DS1E 유닛(102)으로 입출력 신호를 접속하여 서비스를 절체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비용 유닛의 절체는 최대 7:1 의 비율로 할 수 있다. 이는 입출력신호를 SW 유닛(19)의 일레이 구동에 의하여 절체가 이루어지며 고장 원인의 제거시 릴레이의 동작에 의하여 서비스가 복귀된다. 이러한 복귀성 절체에 대한 SW 유닛(19)의 제어는 MCU 유닛(1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The SW unit 19 ha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service by connecting an input / output signal to the spare DS1 unit 101 or the spare DS1E unit 102 when the operating DS1 unit 11 or the DS1E unit 12 fails. do. The spare unit can be replaced at a ratio of up to 7: 1. The switching of the input / output signal by the drive of the SW unit 19 is performed, and the service is return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when the cause of the failure is removed. The control of the SW unit 19 for this reversible switching is made by the MCU unit 10.

예비용 DS1 유닛(101) 또는 DS1E 유닛(102)은 각각 DS1 유닛(11) 또는 DS1E 유닛(12)의 장애시 대체된다.The spare DS1 unit 101 or DS1E unit 102 is replaced in case of failure of the DS1 unit 11 or the DS1E unit 12, respectively.

또한 예비용 AUMX 유닛(103), 예비용 DS3 유닛(104), 예비용 OTRU 유닛(105), 예비용 CLK 유닛(108)는 각각 AUMX 유닛(13), DS3 유닛(14), OTRU 유닛(15), CLK 유닛(18)의 장애시 대체될 수 있다.The spare AUMX unit 103, the spare DS3 unit 104, the spare OTRU unit 105, and the spare CLK unit 108 are each an AUMX unit 13, a DS3 unit 14, and an OTRU unit 15. ) Can be replaced in case of failure of the CLK unit 18.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동기시 광 전송시스템의 전면 실장도이다.3 is a front mounting diagram of 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hown in FIG.

DS1 유닛(11)와 DS1E 유닛(12)는 동일 TUG2 신호로 다중화되므로 같은 위치에 실장될수 있으며, DS3 유닛(14)과 AUMX 유닛(13)는 동일 AU3 신호로 다중화되므로 같은 위치에 실장 가능하다.Since the DS1 unit 11 and the DS1E unit 12 are multiplexed with the same TUG2 signal, they can be mounted at the same position. The DS3 unit 14 and the AUMX unit 13 can be mounted at the same position because they are multiplexed with the same AU3 signal.

선형의 망구성을 위해서는 DS3 유닛(14) 및 AUMX 유닛(13)를 실장할 수 있는 부분에 OTRU 유닛(15)이 실장된다.For the linear network configuration, the OTRU unit 15 is mounted at a portion where the DS3 unit 14 and the AUMX unit 13 can be mounted.

한편 환형 망구성에서는 TSI 유닛(16) 좌측에만 OTRU 유닛(15)이 실장되고 유닛 절체 기능은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annular network configuration, the OTRU unit 15 is mounted only on the left side of the TSI unit 16, and there is no unit switching function.

제 4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망구성도로, 제 4a도는 점대점 망구성도이고 제 4b 도는 선형 망구성도이고 제 4c 도는 환형 망구성도이다.4 is a networ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oint-to-point network diagram, 4b is a linear network diagram, and 4c is an annular network diagram.

점대점 구성에서는 분기 결합 광 전송시스템(41,42)이 일대일로 대응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 DS1,DS1E,DS3의 종속신호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타임 슬롯을 변경하여 물리적인 배선의 변경없이 전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In the point-to-point configuration, the branch coupl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41 and 42 correspond to one-to-one. In this configuration, the dependent signals of DS1, DS1E, DS3 can change the transmission path without changing the physical wiring by changing the time slot using a command.

선형 망구성에서는 다수의 광 전송시스템(43,44,45)가 선형으로 배치되며 망의 중간단 광 전송시스템(44)에서는 타임슬롯 교환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DS1,DS1E,DS3의 분기 결합이 가능하다.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레이트는 STM-1의 155.520Mbps로 제한된다.In the linear network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43, 44, and 45 are arranged in a linear manner. In the middl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44 of the network, the time slot exchange function enables the branched coupling of the desired DS1, DS1E, and DS3. Do.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limited to 155.520 Mbps of STM-1.

환형 망구조에서는 광 전송시스템(46,47,48,49)이 상호 전후로 물리는 폐루프가 형성된다. 각 단의 전송시스템에서는 타임슬롯 교환 기능이 가능하며, 전송속도는 STM-1이다. TSI 유닛 좌측의 OTRU유닛 2장만 사용되며, 이 2장의 OTRU 유닛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동일 신호가 전송되고, 수신시에는 상호 다른 두 방향으로 부터 오는 광신호가 2 장의 OTRU 유닛에서 받아져 동기식 역다중화되어 TSI 유닛에서 VC11,VC12,VC3의 신호 성능이 평가되어 좋은 품질의 신호가 선택된다. 이러한 신호의 선택 기준은 VC11,VC12,VC3의 AIS 또는 LOP 검출, 과도한 비트 에러 검출 순으로 우선 순위가 정해져 좋은 품질의 신호가 선택되게 된다. 이러한 것을 2 광섬유 단방향 패스 절체형 환형망이라고 한다.In the annular network, closed loops are formed in which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46, 47, 48, and 49 bite back and forth. Time slot exchange function is available in transmission system of each stage, and transmission speed is STM-1. Only two OTRU units on the left side of the TSI unit are used, and these two OTRU units transmit the same signal in different directions, and when receiving, the optical signals from two different directions are received by two OTRU units and synchronously demultiplexed to allow TSI. The signal performance of VC11, VC12, and VC3 in the unit is evaluated so that a good quality signal is selected. These signal selection criteria are prioritized in order of AIS or LOP detection of VC11, VC12, and VC3, and excessive bit error detection so that a signal of good quality is selected. This is called a two-fiber unidirectional pass switching annular network.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DS1, DS1E, DS3 등의 종속신호를 STM-1 신호로 동기식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고, 타임슬롯 교환기능을 하는 TSI 유닛를 실장하여 각 전송노드에서 종속신호의 물리적 재배치없이 전송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종속신호의 분기결합이 가능하고 점대점형, 선형, 환형 등 다양한 전송망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실장되는 각 유닛의 성능감시 장애 검출이 가능하며 가용도를 높이도록 1+1 및 최대 7:1의 유닛 절체가 가능하고, DS1, DS1E 유닛의 혼용실장, DS3 유닛, AUMX유닛, OTRU 유닛의 혼용실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유닛 실장 공간의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ynchronously multiplexes and demultiplexes dependent signals such as DS1, DS1E, DS3, etc. into STM-1 signals, and is equipped with a TSI unit having a timeslot switching function to transmit the physical signals without physical relocation of the dependent signals in each transmission nod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ath, branch-combination of subordinate signals is possible, and various transmission network configurations such as point-to-point, linear, and ring are possible. In addition, performance monitoring of each unit mounted can be detected and 1 + 1 and up to 7: 1 unit switching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and mixed mounting of DS1, DS1E units, DS3 units, AUMX units, and OTRU units Mixed mounting is possible and various services are efficiently performed without wasting unit mounting space.

Claims (14)

시스템의 모든 유닛를 제어하는 주제어 유닛과, 최대 4개의 비동기형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 유닛 그룹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북미계열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최대 3개의 비동기형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 유닛 그룹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유렵계열 제 1 디지탈 신호 서비스 유닛과, 상기 제 1디지탈 신호 서비스 유닛을 예비 유닛으로 절체하도록 하는 스위칭 유닛과, 상기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과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으로 부터 종속 유닛 그륩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과, 하나의 비동기형 제 3 디지탈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제 3 디지탈신호서비스 유닛과,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과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 다중화 유닛으로 부터 최대 3개의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신호를 수신하여 동기식 트랜스포트모듈신호로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고 광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광송수신 유닛과,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 및 광송수신 유닛에 접속되어 제 11, 12 및 3 가상 컨테이너신호에 대한 타임스롯 교환을 수행하는 타임슬롯 교환 유닛과, 대국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하여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제어 명령어를 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유닛과 , 시스템의 동기식 다중화 및 제어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 공급 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A main control unit that controls all units of the system, a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that multiplexes or demultiplexes up to four asynchronous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s into a subordinate group group signal, and up to three asynchronous A first European digital signal service unit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a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into a subordinate unit group signal,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to a spare unit, and the North America An adaptive unit multiplexing unit which receives the dependent unit group signal from the series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the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multiplexes or demultiplexes it into an adaptive unit signal; Receives an asynchronous third digital signal Receive a maximum of three admitted unit signals from the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the signal, and from the adaptive unit and the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multiplexing unit.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with a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signal and performing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an 11th, 12th, and 12th connected to the adaptive unit multiplexing unit, a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 A time slot exchange unit that performs timeslot exchange for virtual container signals, a dat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system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to the power station for remote maintenance of the power system, and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control of the system. And a clock supply unit for supplying a clock signal required for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형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는 1.544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북미식 계위 제 1 레벨 디지탈신호이고, 비동기형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는 2.048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유럽식 계위 제 1 레벨 디지탈신호이고, 비동기형 제 3 디지탈신호는 44.736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북미식 계위 제 3레벨 디지탈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synchronous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is a North American level first digital signal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1.544 Mbps, and the Asynchronous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has a European rate of 2.048 Mbps. And a first-level digital signal level, and the third asynchronous digital signal is a North American-type third level digital signal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44.736 Mb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시스템은 최대 84 개의 북미계열 비동기형 제 1 디지탈신호, 최대 63 개의 비동기형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및 최대 3 개의비동기형 제 3 디지탈신호를 STM-1 동기식 트랜스포트모듈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STM-1 synchronou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transmits up to 84 North American asynchronous first digital signals, up to 63 asynchronous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s, and up to three asynchronous third digital signals. A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into module signals. 제 1 항에 있어서, 제 11, 12 및 3 가상 컨테이너신호를 타임슬롯 교환하고 DS1,DS1E,DS3신호에 대하여 분기결합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2. 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11th, 12th and 3rd virtual container signals are time-slot exchanged and branched functions are performed on the DS1, DS1E, and DS3 sign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과 유럽계열 제 1 디지탈 신호 서비스 유닛이 동일 위치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the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re mounted at the same lo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과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이 동일 위치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aptive unit multiplexing unit and the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re mounted at the same lo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선형 망구성을 위하여 상기 어드미너스트러팁 유닛 다중화 유닛과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 유닛중 어느 하나가 실장하는 위치에 상기 광송수신 유닛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s mounted at a position where any one of the adjuster tip unit multiplexing unit and the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is mounted to form a linear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환형 망구성을 위하여 광송수신 유닛이 타임슬롯 교환유닛의 좌측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s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timeslot exchange unit for the annular network config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은 최대 4개의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유닛 그룹신호로 동기식 다중화하고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호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performs synchronous multiplexing of up to four first digital signals into subunit group signals and performs demultiplexing thereof. 상기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은 최대 3개의 제 1 디지탈신호를 종속유닛 그룹신호로 동기식 다중화하고 그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And said first European digital signal service unit performs synchronous multiplexing of up to three first digital signals into subunit group signals and performs demultiplexing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 및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을 3 층으로 구성하여 각 층당 하나의 대역이 되도록 하고 각 층내에는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 및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가 혼용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North American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the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re configured in three layers so as to have one band for each layer, and the first North American digital signal service unit in each layer. And a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can be mixedly accommod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공급유닛은 외부동기, 내부동기, 루프동기, 홀드오버모드의 클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The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ock supply unit provides a clock in an external synchronization, an internal synchronization, a loop synchronization, and a holdover mode. 제 1 항에 있어서, 가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닛 장애시 상기 북미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과 유럽계열 제 1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은 7 : 1; 어드미너스트러티브 유닛 다중화 유닛과, 제 3 디지탈신호 서비스유닛과, 타임슬롯 교환유닛과, 광송수신 유닛과, 클럭 공급유닛은 1+1 로 절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rth Americ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nd the European first digital signal service unit in the event of a unit failure in order to increase availability include: 7: 1; And a third digital signal service unit, a timeslot switching unit,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a clock supply unit are switched to 1 +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수신 유닛을 1+1 절체 기능을 없애고 2개의 광송수신 유닛 트래픽을 양방향으로 동일하게 전송하고 수신단에는 2개의 광송수신 유닛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타임슬롯 교환유닛에서 제 11 가상 컨테이너신호, 제 12 가상 컨테이너신호, 제 3 가상 컨테이너신호중 품질이 좋은 일신호를 선택하는 2 광섬유 단방향 패스 절체형 환형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시스템.2. The opt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of claim 1, wherein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eliminates the 1 + 1 switching function and transmits the two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ffics equally in both directions, and demultiplexe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two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at the receiving end and exchanges the timeslots. And a two-fiber unidirectional path switching annular network for selecting one of the eleventh virtual container signal, the twelfth virtual container signal, and the third virtual container signal with high quality from the unit.
KR1019950023948A 1995-08-03 1995-08-03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Expired - Lifetime KR01477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948A KR0147760B1 (en) 1995-08-03 1995-08-03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948A KR0147760B1 (en) 1995-08-03 1995-08-03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1A KR970013891A (en) 1997-03-29
KR0147760B1 true KR0147760B1 (en) 1998-08-17

Family

ID=1942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948A Expired - Lifetime KR0147760B1 (en) 1995-08-03 1995-08-03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7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480B1 (en) * 2000-08-26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ignal termination in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480B1 (en) * 2000-08-26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ignal termination in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1A (en)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9862B2 (en) Subscriber transmission equipment
CA2490792C (en) Transparent flexible concatenation
US5394389A (en) Ring interworking between bidirectional line-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and path-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CA2130067C (en) Ring interworking between bidirectional line-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EP0559090B1 (en) Network element comprising a cross-connect matrix and a server
EP0654923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connected path-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US7130276B2 (en) Hybrid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data transport
US5896387A (en) Configuration method of multiplex conversion unit and multiplex conversion unit
US82702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ystem framing synchronization control for a framer/mapper/multiplexor device with 1+1 and equipment protection
US20020009074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ibutary interface substrate
KR0147760B1 (en)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7050450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master clock in the same
US7145922B2 (en) Composite add/drop multiplexor with crisscross loop back
KR960012977B1 (en)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6876624B1 (en) Multiplex conversion unit
KR100256691B1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that accepts any combination of dependent signals
EP0708542B1 (en) Generalized deterministic squelching in a ring transmission system
KR0171762B1 (en) Control circuit for operator call of synchronous transmission apparatus
KR950015085B1 (en) Synchronous segregation and aggregation multiplexing unit
US7518982B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status and protection information between card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450493B1 (en)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K-bytes between optical cards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195063B1 (en) Ring Alarming Method in Branch Coupling Network of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Device
KR100284010B1 (en) Time slot switching device in optical subscriber transmitter for ring network coupling
KR0171763B1 (en) Other Short Circuit Path Configuration Method Using F1 Byte in Synchronous Transmission Device
JP2001237793A (en)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