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7205B1 - 종축형 정곡기 - Google Patents

종축형 정곡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205B1
KR0147205B1 KR1019940021233A KR19940021233A KR0147205B1 KR 0147205 B1 KR0147205 B1 KR 0147205B1 KR 1019940021233 A KR1019940021233 A KR 1019940021233A KR 19940021233 A KR19940021233 A KR 19940021233A KR 0147205 B1 KR0147205 B1 KR 0147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grain
roll
grinding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005A (ko
Inventor
사또루 사따께
Original Assignee
사또루 사따께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루 사따께,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사또루 사따께
Priority to KR101994002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205B1/ko
Publication of KR96000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연직으로 뻗는 주축을 공유한, 제1정곡부 및 이 제1정곡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정곡부로 이루어지는 종축형 정곡기로서, 제1정곡부가, 알곡의 공급부를 상단측에, 이 제1정곡부에서 정곡된 알곡의 배출부를 하단측에 갖고, 제2정곡부가, 이 제2정곡부에서 정곡될 알공의 공급부를 하단측에, 이 제2정곡부에서 정곡된 알곡의 배출부를 상단측에 갖고, 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를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로 접속하는 알곡 급송로를 또한 갖는 종축형 정곡기에서는, 제1 및 제2정곡부의 정곡도(정백도)의 독립적인 조절이 용이하게 생해질 수가 있다.

Description

종축형 정곡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정곡기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3도의 선 Ⅱ-Ⅱ에 ㄸ라느 단면에 대응하는 제1도으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Ⅲ-Ⅲ에 따른 제2도의 단면도.
제4도는 수직 정곡기의 제1 및 제2정곡부의 가능한 대안에 대한 선도.
제5도는 종래의 수평 정곡기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4 : 정곡부 5 : 주축
6 : 나선롤 7: 연삭 정백롤
12, 20, 22 : 연삭 정백롤 소체 32 : 호퍼 통
34 : 알곡 공급량 조정기구 42a, 42b,42c : 저항링
46 : 배출구 47 : 배출홈통
58 : 통풍구 59 : 분풍구
74 : 집강실 79 : 집강용 팬
본 발명은 제1정곡부와 제2정곡부를 갖는 종축형 정곡기(精穀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나의 주축에 2개 이상의 정곡롤 내지 정백(精白)롤을 부착한 정곡기을 부착한 정곡기는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3,485,280 호에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횡축형의 정곡기(81)가 개시되어있다. 이 정곡기(81)에서는 수평으로 뻗는 주축(82)에, 제5도중 오른쪽에서 왼쪽의 순으로, 나선롤(83), 연삭 정백롤(84), 중간 나선롤(85)및 마찰 정백롤(86)이 부착되어 있다. 연삭 정백롤(84)의 주위에는, 이 연삭 정백롤(84)과 협동하여 환상(環狀)의 연삭 정백실(88)을 형성하는 제강용 철망통(87)이 설치되어 있고, 마찰 정백롤(86)의 주위에는, 이 마찰 정백롤(86)과 협동하여 환상의 마찰 정백실(90)을 형성하는 제강용 철망통(89)이 설치되어 있다. 연삭 정백실(88)의 일단(제5도에서 우단)이 정곡기(81)의 공급구(91)에 접속되고, 마찰 정백실(90)의 일단(제5도에서 좌단) 이 정곡기(81)의 배출구(92)에 접속되어 있다. 공급구(91)에는 공급 호퍼(hopper:93)가 부착되고, 배출구(92)에는 저항판(94)이 부착되어 있다. 저항판(94)에는, 그 미는 압력을 조절하는 분동이 부착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종래의 정곡기(81)에서는, 정곡은 아래와 같이 행해진다.
정고될 알곡이 공급 호퍼(93)로 부터 공급부(91)를 통하여 나선롤(83) 부근에 공급되면, 알곡은 나선롤(83)에 의하여 거의 수평방향으로 보내져, 연삭 정백실(88)에서 회전하고 있는 연삭 정백롤(84)에 의해 정백작용을 받아 정백된다. 연삭 정백실(84)에서 정백된 알곡은 중간 나선롤(85)에 의하여 마찰 정백실(90)로 보내져, 마찰 정백실(90)에서 회전하고 있는 마찰 정백실(86)에 의하여 정백 작용을 받아 더욱 정백된다. 마찰 정백실(90)에서 정백된 알곡은, 저항판(94)의 누르는 압력에 저항하면서 배출구(92)로 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백기(81)에서는, 저항판은 제 2의 정곡부를 구성하는 마찰 정곡부의 배출구(92)에만 설치되어, 제1정곡부를 구성하는 연삭 정곡부의 배출부와 제2정곡부를 구성하는 마찰 정곡부의 공급부가 실제상 완저하게 연통되므로, 2개의 정곡부에서의 정백의 정도를 독립적으로는 조절할 수가 없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횡축형의 정곡기(81)에 있어서는, 하나의 축(82)에 연삭 정백롤(84)과 마찰 정백롤(86)을 부착해 있기 때문에, 연삭 정백롤(84)의 직경은 마찰 정백롤(86)의 직경 보다도 크게 되어있다. 이것은, 연삭 정백롤(84)의 주변속도를 마찰 정백롤(86)의 주변속도 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게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사기와 같은 횡축형의 정곡기에서는, 연삭 정백롤을 대형화하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알곡을 균등하게 접속시키는 것이 구조상 힘들며, 그 직경은 약 30cm 가 한도이다. 그때문에, 장치(81)의 대형화에는 한도가 없으며, 정백 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정곡기의 결점의 일부 이상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알곡의 정백도를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는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정곡롤을 대형화할 수 있으며, 정백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정곡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목적의 일부 이상은, 연직으로 뻗는 주축을 공유한, 제1정곡부 및 이 제1정곡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정곡부로 이루어지는 종축형 정곡기로서, 제1정곡부가, 알곡의 공급부를 그 상단측에, 이 제1정곡부에서 정곡된 알곡의 배출부를 그 하단측에 갖고, 제2정곡부가, 이 제2정곡부에서 정곡될 알곡의 공급부를 그 하단측에, 이 제2정곡부에서 정곡된 알곡의 배출부를 그 상단측에 갖고, 제1정곡부의 알곡배출부를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에 접속하는 알곡 급송로(給送路)를 추가로 갖는 종축형 정곡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정곡기는, 종축형의 정곡기로서, 정곡부를 구성하는 정곡롤의 대형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곡기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2정곡부의 알곡의 공급부가 제2정곡부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꿔 말하면, 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를 제2정곡부의 하단측의 알곡 공급부에 접속하는 알곡 급송로를 갖기 때문에, 이 알곡 급송로(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를 포함하여)에, 제1정곡부의 정곡도(정백도)를 조절하는 저항수단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의 정곡부의 정곡도(정백도)의 독립된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즉, 제1정곡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알곡 공급부는 공급된 알곡은, 그하단의 알곡 배출부까지 아래 쪽으로 흐르는 사이에 제1정곡부에서 정백되고, 그후, 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로 부터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제1정곡부의아래 쪽에 위치하는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가 제2공급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와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와의 사이에는 충분한 길이의 알곡 공급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알곡 공급로의 예를 들면 상단, 바꿔 말하면 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이 공간에 제1정곡부에서의 알곡에 대하여 미는 압력을 조절하는 저항수단을 설치하여, 제1정곡부에서의 정곡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로 보내진 알곡은, 상방으로 보내지면서 제2정곡부 내에서 정곡되어, 제2정곡부의 상단에 있는 알곡 배출부로 부터 배출된다. 제2정곡부에서의 알공의 정백도는, 제2정곡부의 상단에 있는 알곡 배출부에 제2정곡부내의 알곡에 대한 미는 압력을 조절하는 저항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곡기에서는, 하나의 정곡기의 틀에, 즉 하나의 틀에, 복수의 정곡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곡기 전체의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정곡기의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곡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정곡부가, 그 알곡 배출부에, 제1정곡부내에서의 알곡의 정곡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1저항수단을 구비하고, 제2정곡부가, 그 알곡 배출부에, 제2정곡부 내에서의 알곡의 정곡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2의 저항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정곡부에서의 정곡의 정도가, 각각, 제1 및 제2의 저항수단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의정곡부가 각각의 정곡(정백)기능을 최대한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정곡기의 최적화를 꾀한 상태에서 알곡의 정곡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는, 제1정곡부, 주축의 상부에 부착된 제1정곡롤과, 제1정곡롤 협동하여 제1정백실을 형성하는 제1의 제강용 다공 원통체를 구비하고, 제2정곡부가 주축의 하부에 부착된 제2정곡롤과, 제2정곡롤과 협동하여 제2정고실을 형성하는데 제2의제강용 다공 원통체를 구비한다.
제1정곡부의 알곡 공급부로 부터 제1정곡실에 공급된 알곡은, 제1정곡실 내에서 아래 쪽으로 보내지면서, 회전하고 있는 제1정곡롤에 의하여 정곡(정백)작용을 받아 정백된다. 이 정백된 알곡은 다시 알곡 급송로를 통하여 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로 부터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로 보내져 제2정곡실 내에서, 위 쪽으로 보내지면서, 회전하고 있는 제2정곡롤에 의하여 정곡작용을 받아서 정곡되고, 그 후, 제2정곡실의 상단의 알곡 배출구로 부터 정곡기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정백실에서의 알곡을 정곡(정백)할 때, 발생한 겨(糠) 등의 분상체(粉狀體)는, 각각, 제1 및 제2의 제강용 다공원통체의 구멍을 통하여, 정백실 밖으로 방출되어, 수집.회수된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는, 제1정곡롤이 연삭 정곡롤 및 마찰 정곡롤 중의 하나로써 이루어지며, 제2정곡롤이 연삭 정곡롤 및 마찰 정곡롤 중의 하나로써 이루어진다.
정곡롤이 연삭 정곡롤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알곡은, 회전하고 있는 이 정곡롤의 알곡에 대한 연삭정곡(정백)작용에 의하여 정백되고, 정곡롤이 마찰 정곡롤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알곡은, 회전하고 있는 이 정곡롤의 알곡에 대한 마찰정곡(정백)작용에 의하여 정백된다. 연삭 정곡롤 및 / 또는 마찰 정곡롤의 조합은, 정곡될 알곡의 종류 및 표층의 상태 및 정곡에 의하여 얻어질 알곡의 상태 등에 따라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곡 급송로가 제1정곡부의 알곡 배출부로 부터 제2정곡부의 알곡 공급부까지 거의 연직방향 하방으로 뻗어있다.
본 발명의 전술 및 또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서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제 1-3도에 있어서, 종축형 정곡기(1)는 , 기계틀(2)의 상부에 제1정곡부로서의 연삭 정곡부(3)를, 기계틀(2)의 하부에 제2정곡부로서의 마찰 정곡부를 갖는다. 기계틀(2)에는, 하단이 개구된 중공 주축(5)이 축받침부(10,10,10)을 통하여 회전 자유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주축(5)은 연직으로 뻗어있다. 주축(5)의 상부에는 나선롤(6)및 제1정백롤으로서의 연삭 정백롤(7)의 부착되고, 주축(5)의 하부에는 나선롤(8) 및 제2정백롤로서의 마찰 정백롤(9)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정곡기(1)에서는, 하나의 기계틀(2)에 복수의 정곡부(3,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곡기 전체의 설치 면적이 축소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 제작비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먼저, 연삭 정곡부(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주축(5)에는 회전밑판(11)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회전밑판(11)에는 주축(5)에 끼워 설치한 최하단의 연삭 정백롤 소체(12)가 장착용 링(13)을 통하여 설치·고정되어 있다. 최하단 연삭 정백롤 소체(12)는, 제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大經) 부(12a)와, 소경(小經) 부(12b)와, 상부 경사부(12c)로 이루어진다. 최하단 정백롤 소체(12)는, 또 제1도와 제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측단부가 플렌지부를 갖는 장착용 링(1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장착용 링(13)의 내주벽은 최하단 정백롤 소체(12)의 소경부에 끼워 부착되어 있다.
최하단 연삭 정백롤 소체(12)는, 금속제의 내측 지지부(12e)와, 연삭 지석제의 외측 연삭부(12f)로 이루어지며, 내측 지지부(12e)는, 환공(17)을 갖는 돌기부(16)와, 그 사이에 개구부(15)를 갖는 복수의 아암(arm:14)으로 이루어진다. 돌기부(16)의 구멍(17)은 이 돌기부(16)가 끼워 설치된 중공주축(5)의 분풍공(噴風孔:18)에 연통되어 있다.
최하단 연삭롤 소체(12)상에는 축(5)에 끼워 설치한 칼라 내지 이음고리(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칼라(19)위에는, 최하단 정백롤 소체(12)와 거의 같은 구조의 중간(중단)의 연삭롤 소체(20)의 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간 연삭롤 소체(20)의 돌기부(16)에도, 중공주축(5)의 분풍공(18)에 연통하는 환공(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아암(14)의 사이에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삭롤 소체(20)는, 보다 상세하게는, 그 외측 연삭부(20f)는, 대경부(20a)와, 소경부(20b)와 이들의 사이에 형성된 하측 경사부(20d)와 대경부(20a)의 위에 형성된 상부 경사부(20c)를 갖고 있다.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12)의 소경부(20b)의 하단과 최하단 연삭 정백롤 소체(12)의 상단의 사이에는, 분풍용 틈(21)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삭롤 소체(20)의 돌기부(16)상에는 축(5)에 끼워 설치한 다른 칼라(19)가 설치되고, 이 칼라(19)위에는, 축(5)에 끼워 설치한 다른 중간 연삭롤 소체(12)의 돌기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 연삭롤 소체(20)는 최하단 연삭롤 소체(12)상의 중간 연삭롤 소체(20)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이 중간 연삭롤 소체(20), 보다 상세하게는, 그 외측 연삭부(20f)는, 대경부(20a), 소경부(20b) 상부 경사부(20c)및 하측 경사부(20d)를 구비하고, 그 소경부(20b)의 하단과 최하단 연삭 정백롤 소체(12)상의 하측 중간 정백 연삭 정백롤 소체(20)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분풍용 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중간 연삭 정백롤(20)의 돌기부(16)위에는, 축(5)에 끼워 설치한 다른 칼라(1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칼라(19)위에는, 축(5)에끼워 설치한 최상단 연삭롤 소체(22)의 돌기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20)가 두개로 설치되어 있지만, 칼라 내지 스페이서(19)를 통하여 설치되어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20)의 수는, 하나 이어도, 셋이상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20)는 없어도 무방하다.
최상단 연삭 정백롤 소체(22)는, 금속체의 내측 지지부(22e)와, 연삭 지석체의 외측 연삭부(22f)로써 이루어지며, 내측 지지부(22e)는, 둥근 구멍(17)을 갖는 상기 돌기부(16)와, 그 사이의 개구부(15)를 갖는 복수의 아암(14)으로써 이루어진다. 돌기부(16)의 구멍(17)은 이 돌기부(16)가 끼여 설치된 중공 주축(5)의 상단 근방의 분풍공(18)에 연통해 있다. 최상단 연삭 정백롤 소체(22)의 외측 외측 연삭부(22f)는, 하방으로 약간 넓어지는상 내지 절두 원뿔대상의 대경부(22a)와, 소경부(22b)와 대경부(22a)와 소경부(22b)와의 사이의 하부 경사부(22b)를 가지며, 소경부(22b)의 하단과 그 바로 밑에 위치하는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20)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 분풍용 틈이(21)형성되어 있다.
최상단 연삭 정백롤 소체(22)의 돌기부(16)상에는, 축(5)에 끼워 설치된 바닥없는 중공상의 전술의 나선롤(6)의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나선롤(6)의 외주는 이송나사(6a)가 형성되어 있다. 나선롤(6)은, 중공주축(5)의 상단에 나사식으로 부착된 볼트(23)에 의하여, 최상단 연삭롤 소체(22)의 쪽으로 누름·고정되어 있다.
최하단 연삭 정백롤(12), 중간 연삭 정백롤(20) 및 최상단 연삭 정백롤 소체(22)의 대경부(12a,20a,22a)의 주위에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와 정백롤 소체(12,20,22)와의 사이에는, 제1정백실 내지 정백실로서의 연삭 정백실(25)이 형성되어 있다(제2도와 제3도).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는,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분할부분(24d)으로써 이루어지며, 각 분할부분(24d)은, 연삭 정백롤 소체(12,20,22)의 주위에 세워 설치한 4개의 지주(26)에 의하여 그 양쪽 가장자리(24a,24a)에서 지지되고 있다. 각 지주(26)는, 횡단면이 U자상 지주커버(27)로 덮혀있다.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지주커버(27,27)의 사이에는, 횡단면이 원호상의 제강실 커버(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커버(28)는 대응하는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내지 그 분할부분(24d)과 협동하여, 제강실(29)을 형성하고 있다.
연삭 정백롤 소체(12,20,22)의 대경부(12a,20a,22a)의 직경은, 단위 시간당의 처리량에 따라 다르지만, 단위 시간당 처리량은 8톤/시간정도의 것의 경우에 40~50mm 정도이다. 이 정곡기(1)는, 주축(5)이 연직으로 뻗어 있는 종축형이므로, 수평형의 경우와 비교하여, 연삭 정백롤(7)내지 그소체의 외경을 크게할 수 있다.
지주(26)상에는, 나선롤(6)을 둘러싸고 상단에 공급구(31)를 갖는 공급통(30)이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공급구(31)의 상단에는, 상단에 투입구(33)를 갖는 호퍼통(32)이 고정되어 있다. 호퍼통(32)내에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고정판(34a)과,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조절레버(35)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한 회전운동판(34b)으로써 이루어지는 알곡 공급량 조정기구(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34a) 및 회전운동판(34b)의 중앙부에는, 개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6)의 상방에는 중공 바닥이 없는 원뿔상의 상부 안내체(37)가, 개구부(36)의 하방에는 원뿔대상의 하부 안내체(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호퍼통(32)의 둘레벽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 취입구(39)로 부터 상부 안내(37)내에 외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풍관(吸風管;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롤(6)의 윗벽면 중에 하부 안내체(38)의 하측의 위치에는, 통풍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의 안 둘레면에는 저항링(42a,42b,42c)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상단 연삭 정백롤 소체(22)의 하부 경사부(22d) 및 소경부(22b)와, 그 바로 밑에 위치하는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20)의 상부 경사부(20c)로써 성형되는 골부(43a)내에 면하도록, 저항링(42a)이 설치되며, 이 중간 연산 정백롤 소체(20)의 하부 경사부(20d) 및 소경부(20b)와 그 바로 밑에 위치하는 다른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20)의 상부 경사부(20c)로써 형성되는 골부(43b)내에 면하도록, 저항링(42b)이 설치되고, 하측의 중간연삭 정백롤 소체(12)의 하부 경사부(20d) 및 소경부(20b)와, 최하단의 연삭 정백롤 소체(12)의 상부 경사부(12c)로써 형성되는 골부(43c)내에 면하도록, 저항링(42c)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저항링(42a~c)의 단면형상은, 제2도에서도 확실한 것처럼, 각골부(43a~c)의 단면형상과 거의 닮았으며, 저항링(42a~c) 과 골부(43a~c)와의 사이의 정백실(25)은, 상방으로 부터 하방으로, 꼬불꼬불 구부러진 정백실(25a)로 이루어져 있다.
각 저항링(42a~c)은, 각 지수(26)의 관통공(44)내에 끼워 통과시킨 노브 볼트(45)에 의하여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의 내주면에 누름·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44)의 내경A는, 노브 볼트(45)의 지름 보다도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 지름의 차만큼 노브 볼트(45)가 지주(26)에 대하여 상하운동 가능하며, 이 상하운동에 의하여, 각 저항링(42a~c) 의 상하방향의 부착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굴곡 정백실(225a)내에서의 알곡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조정할 수 있다.
연삭 정백실(25)하단에는, 배출구(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46)의 하측에는, 배출홈통(47)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홈통(47)에는, 횡축(48)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횡축(48)에는, 배출홈통(47)에 대하여 횡축(48)의 주위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아암부949a,49b)를 갖춘 분동 레버(49)가 부착되어 있다. 분동 레버(49)의 아암부(49a)의 선단에는, 배출구(46)를 막을 수 있는 저항판(50)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분동 레버(49)의 아암부(49b)에는 분동(51)이 아암부(49b)의 긴 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정백실(25)내의 알곡에 대한 미는 압력이, 따라서 연삭 정백실(25)내의 알곡의 정백도가, 조정 가능한 저항수단은, 축(48)과, 분동레버(49)와, 저항판(50)과, 분동(51)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알곡 배출부는, 배출구(46)와, 알곡 급송로로서도 기능하는 배출홈통(47)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출홈통(47)은, 마찰 정곡부(4)의 공급홈통(52)으로 이어져 있다. 저항판(50)에 가해지는 미는 압력을 조절하는 수단은, 레버(49)와 가동 분동(51)과의 조합의 대신에 힘을 조절하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도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동레버(49)와, 배출홈통(47)과의 사이에 인장 용수철과 같은 탄성수단(51a)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탄성수단(51a)의 탄성계수 등의 탄성력이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후자의 경우, 분동이 없어도 무방하다.
다음에, 제2정곡부로서의 마찰 정곡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찰 정곡부(4)는, 중공주축(5)의 하단부 근방에 부착된 상기 나선 롤(8)과, 그 상부에 있어서 중공주축(5)의 하부에 부착된 마찰 정백롤 (9)과, 마찰 정백롤(9)의 주위에 마찰 정곡(정백) 실(54)을 형성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뻗어있는 제강용 다공 통상체로서의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53)을 갖는다. 마찰 정백실(54)은, 그 하단에서 공급구(55)로, 그로 부터 가까운 상단에 배출구(56)로 접속되어 있다. 마찰 정백롤(9)은, 그 교반용 돌기(57)로, 마찰 정백실(54)내의 알곡을 교반하여, 서로 맞스치도록 한다. 중공주축(5)에는, 다수의 통풍구(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풍구(58)는, 상기 마찰 정백롤(9)의 분풍구(59)를 통하여, 마찰 정백실(54) 및 제강실(6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 정곡기 자체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4,843,957호에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이 참조에 의하여 이 명세서 중에 짜 넣어 진다.
배출구(56)에는, 알곡의 정백도를 조절하는 저항판(61)이 설치되어 있으며, 분동레버(49)와 같이 횡축(62b)의 둘레에서 회전운동 가능한 분동레버(62)에 부착한 분동(63)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마찰 정백실(54)내의 알곡의 정백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배출구(56)에는 배출홈통(80)이, 공급구(55)에는 반송홈통(6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반송홈통(64)내에는, 수평으로 뻗어있는 스크루 컨베이어(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컨베이어(65)의 일단에는 풀리(66)가 부착되어 있다. 이 풀리(66)와 전동기(67)에 부착된 풀리(68)와의 사이에는, 벨트(69)가 걸려있다. 중곡 주축(5)에 부착된 풀리(70)와 주전동기(71)에 부착된 풀리(72)와의 사이에는, 벨트(73)가 걸려있다.
제강실(60)의 하측에는 이 제강실(60)과 접속된 집강실(74)이 형성되고, 주축(5)에 부착된 블레이드(blade)부착통(75)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긁어내기 블레이드(76)가 집강실(74)내에 위치하여 있다. 제강실(74)의 바닥부에는 겨 배출구(77)가 형성되어 있으며, 겨 배출구로 부터 뻗는 배풍관(排風管:78)의 선단에는 집강용 팬(79)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 정곡부(4)의 제강실(60)은, 연삭 정곡부(3)의 제강실(29)과 접속되어 있으며, 집강실(74)은 제강실(60)을 통하여 제강실(29)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정곡기(1)에서는, 밑측에 위치하는 제2정곡부로서의 마찰 정곡부(4)의 공급구(55)가 이 마찰 정곡부(4)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 쪽에 위치하는 제1정곡부로서의 연삭 정곡부(3)의 배출구(46)에 연삭 정곡부(3)에서의 알곡의 정백도를 조절하는 저항수단(46~51)을 부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용이하게 확보되기 때문에, 이 저항수단에 의하여, 연삭 정곡부(3)에서의 알곡의 정백도가, 마찰 정곡부(4)에서의 알곡의 정백도와는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알곡의 정백도의 미묘한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한 실실예의 종축형 정곡기(1)의 동작을, 알곡으로서의 쌀알의 정백을 예로 들어 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알곡으로서는, 쌀아의 대신에, 밀알 등의 다른 알곡이어도 무방하다.
정백을 시작하기 전에, 노브 볼트(45)을 이용하여, 저항체(42a~c)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쌀알의 흘러내림 저항을 조절한다. 그리고, 레버(49)의 아암부(49b)상에서의 분동(51)의 위치를 조절하여, 레버(49)의 아암부(49a)의 선단에 부착한 저항판(50)이 배출구(46)을 잠그는 힘, 즉 저항판(50)이 배출구(46)에서 쌀알에 가해질 미는 압력, 바꿔 말하면, 연삭 정백실(25)내의 쌀알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연삭 정백실(25)내에서의 쌀알의 막힘 상태 바꿔 말하면 정백의 정도를 조절한다. 동일하게 행하여, 레버(62)상에서의 분동(63)의 위치를 조절하여, 레버(62)의 선단에 부착한 저항판(61)이 배출구(56)를 막는힘. 즉 저항판(61)이 배출구(56)에서 쌀알에 가해질 누름력, 바꿔 말하면, 마찰 정백실(54)내의 쌀알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마찰 정백실(25)내에 있어서의 쌀알의 막힘상태 바꿔 말하면 정백의 정도를, 연삭 정백실(25)에서의 정백의 정도와는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원한다면, 분동(51,63)의 각각에 의한 저항판(50,61)의 각각의 미는 압력의 조절 내지 연삭 정백실(25) 및 마찰 정백실(54)의 각각에서의 정백도의 조절을, 정백을 행하는 중에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주전동기(71)의 시동에 의하여, 중공 주축(5)을 통하여 나선롤(6), 연삭 정백롤(7), 나선롤(8) 및 마찰 정백롤(9)이 회전됨과 동시에, 전동기(67)의 시동에 의하여, 스크루 컨베이어(65)가 회전된다. 또한, 집강용 팬(9)을 시동시킨다.
도시하지 않은 슈트(chute)로 부터 투입구(33)에 공급된 원료 쌀알 즉 정곡기(1)에서 정곡될 쌀알은, 상부 안내체(37)에 의하여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산되면서 흘러내리며, 조절 레버(35)에 의하여 조절된 적당한 공급유량으로 공급구(31)내로 떨어진다.
공급구(31)로 떨어진 쌀알은, 나선롤(6)에 의하여 연삭 정백실(25)에 순차적으로 보내진다. 연삭 정백실(25)내의 쌀알은, 비교적 저압력하에서, 즉 서로 비교적 작은 미는 압력으로 서로 미는 듯한 상태하에서, 활발하게 유동, 즉 공전 (주축(5)의 주위의 회전) 및 자전하면서, 연삭 정백롤(7)의 최상단, 중간 및 최하단의 연삭 정백롤 소체(22,20,20,12)의 둘레 면가 마찰함으로써, 그 표면층이 깍인다. 보다 상세하게는 쌀알이, 최상단 연삭 정백롤 소체(22)의 약간 끝쪽이 넓은상의 상부 경사부(22a)로 부터 골부(43a)와 저항링(42a)으로써 형성되는 굴곡 정백실(25a)의 상부를 흘러 내리는 동안에, 쌀알은 활발하게 자전 및 공전을 반복하여, 쌀알의 표면이 다면적(多面的)으로 깍아진다. 쌀알이 굴곡 정백실(25a)을 통하여 빠져나갈 때, 쌀알이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의 근처로 부터 연삭 정백롤(7)의 쪽으로 이동하기도 하고, 반대로, 연삭 정백롤(7)의 근처로 부터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의 쪽으로 이동하기도 하므로, 정백실(25)내의 쌀알이 정백롤(7)의 둘레면과 접촉하는 기회가 증대한다.
이와 같이, 쌀알은 골부(43a)와 저항링(42a)에 의하여 규정된 굴곡 정백실(25a)의 상부 내에 있어서, 적당히 체류하면서 흘러 내린다. 이 체류의 정도 및 흘러내림의 평균속도 등은, 저항판(50)에 의한 미는 압력의 크기에 의존한다. 연삭 정백실(25)중, 위 쪽의 중간 연삭 정백롤 소체(20)의 대경부(20a)와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의 사이의 부분에서는, 쌀알이 대경부(20a)에 의한 연삭작용을 받은 동시에, 쌀알의 표면으로 부터 떨어져 나간 겨가,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24)의 구멍(24b)를 통하여 제강실(29)로 방출된다.
또, 제강용 팬(79)의 흡입작용에 의하여, 호퍼통(32)의 공기 취입구(39)로 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흡풍관(40), 상부 안내체(37)의 개구부, 하부 안내체(38)내, 나선롤(6)의 통풍구(41) 및 연삭 정백롤 소체(22,20,20,12)내의 개구부(15)를 포함하는 공간을 통하여, 인접 연삭 정백롤 소체의 사이의 분풍용 틈(21)으로 부터 연삭 정백실(25)내로 분출하기 때문에, 정백실(25)로 부터의 제강작용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정백실(25)내에서의 쌀알의 교반이 촉진되고, 그리고, 쌀알의 온도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집강용 팬(79)의 흡인작용에 의하여, 중공 주축(5)의 하단으로 부터도 외기가 흡인되어, 주축(5)의 분풍공(18) 및 돌기부(16)의 구멍(17)을 통과한 후, 인접 연삭 정백롤 소체의 사이의 분풍용 틈(21)으로부터 연삭 정백실(25)내로 분출된다. 그리고, 분풍용 틈(21)으로 부터 정백실(25)내로 분출될 외기는, 호퍼통(32)의 공기 취입구(39) 및 중곡 주축(5)의 하단중 어느 쪽인가 한 쪽만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정백실(25)내에서의 적당한 체류시간 하에서, 각 알이 고르게 정백된 쌀알은, 최하단 연삭 정백롤 소체(12)의 소경부(12b)를 통과한 후, 저항판(50)에 저항하여 배출구(46)로 부터 배출되고, 또한, 배출홈통(47)을 밑으로 흘려보내어 마찰 정곡부(4)에의 공급홈통(52)에 공급된다.
한편, 제강실(29)내에 방출된 겨는, 마찰 정곡부(4)의 제강실(60)을 통과한 후, 제강실(74)의 겨 배출구(77) 및 배풍관(78)을 거쳐, 집강팬(79)에 의하여 흡인되어 배출된다.
마찰 정곡부(4)의 공급홈통(52)에 공급된 쌀알은, 스크루 컨베이어(65)에 의하여 공급구(55)로 부터 나선롤(8)에 보내지고, 나선롤(8)에 의하여 마찰 정백실(54)로 상방으로 보내진다. 쌀알은, 마찰 정백실(54)에서, 회전하고 있는 마찰 정백롤(9)의 아래에서, 서로 맞스쳐서, 마찰 정백작용을 받아서 더욱 정백된다. 즉, 쌀알은, 저항판(61)에 의한 배출구(56)의 미는 압력에 의존하는 크기의 쌀알간 마찰 정백작용에 따라서, 원하는 정백도로 정백된다. 마찰 정백실(54)에서 정백될 쌀알의 표층은, 연삭 정백롤(7)에 의하여 이미 절삭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마찰 정백롤(9)에 의한 쌀알의 표면 겨층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충분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집강용 팬(79)에 흡인에 의하여, 통풍구(58)를 통하여 분풍구(59)로 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에 의하여, 마찰 정백실(54)로 부터의 제강이 행해진다. 즉, 마찰 정백실(54)에서의 정백 작용에 의하여 발생한 겨 등의 미분은, 제강풍과 함께, 제강용 다공성 통상체(53)의 구멍(53a)을 통하여 제강실(60)로 방출되고, 또한, 집강실(74)의 겨 배출구(77)로 부터 배풍관을 거쳐, 집강팬(79)에 의하여 흡인되어 배출된다.
정백된 쌀알은, 배출구(56)에 달하여, 저항판(61)이 미는 압력에 저항하여 유출된다.
유출된 쌀알은, 배출홈통(80)을 흘러내려서, 정곡기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정곡부가 연삭 정곡부(3)로써 이루어지며, 제2정곡부가 마찰 정곡부(4)로써 이루어지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4도에 모식적인 그림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측에 알곡 공급부(33a)를 갖추어 하단측에 알곡 배출부(46a)를 갖춘 제1정곡부(3a)와, 제1정곡부(3a)의 알곡 배출부(46a)에 알곡 급송로(47a)로 접속된 알곡 공급부(55a)를 하단측에 갖추고 상단측에 알곡 배출부(56a)를 갖춘 제2정곡부를(4a)를 갖고, 제1정곡부(3a)가 연직 주축(5)의 상단측에, 제2정곡부(4a)가 주측(5)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종축형 정곡기(1a)이라면, 제1 및 제2정곡부(3a,4a)의 양방이 연삭 정곡부거나, 또는 양방이 마찰 정곡부이어도 무방하며, 또한, 제1정곡부(3a)가 마찰 정곡부이고, 제2정곡부(4a)가 연삭 정곡부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배출부(46a,56a)에는, 각각 제1 및 제2정곡부(3a,4a)에서의 알곡의 정백의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저항수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연삭 정곡부 및/또는 마찰 정곡부는, 각각, 제1-3도에 도시한 것 대신에, 미합중국 특허 제 3,734,752 호, 제 3,960,068 호, 제 4,426,922 호, 제 4,459,903 호, 그리고 제 4,829,893 호 등에 개시된 연삭식 정곡기 및/또는 마찰식 정곡기의 해당부분으로 바꾸어 놓아도 좋다.
예를 들면, 연삭 정곡실이 굴곡 정백실(25a)로 이루어지는 대신에, 단순한 원통상 내지 원환상의 정백실로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마찰 정백실(54)에 가습 공기가 도입되도록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복수대의 종축형 정곡기(1a)를, 직렬로 접속하도록 설치하여, 쌀알을 복수의 정곡기에 통과시켜 정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5)

  1. 연직으로 뻗는 주축을 공유한, 제1정곡부 (milling patr:3;3a) 및 이 제1정곡부 (3;3a)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정곡부(4;4a)로 이루어지는 종축형 정곡기 (vertical milling machine)로서, 제1정곡부(3;3a)가 알곡(cereal grains)의 공급부(31-34;33a)를 그 상단측에, 이 제1정곡부(3;3a)에서 정곡된 알곡의 배출부(46;46a)를 그 하단측에 갖고, 제2정곡부(4;4a)가, 이 제2정곡부(4;4a)에서 정곡될 알곡의 공급부(55;55a)를 그 하단측에, 이 제2정곡부(4;4a)에서 정곡될 알곡의 배출부(56;56a)를 그 상단측에 갖고, 제1정곡부(3;3a)의 알곡 배출부(46;46a)를 제2정곡부(4;4a)의 알곡 공급부(55;55a)에 접속하는 알곡 급송로(trnasfer passage:47,52;47a)를 추가로 갖는 종축형 정곡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정곡부(3;3a)가, 그 알곡 배출부(46;46a)에, 제1정곡부(3;3a)내에서의 알곡의 정곡의 정도(degree of milling)를 조절하는 제1저항수단(48-51)을 구비하고, 제2정곡부(4;4a)가, 그 알곡 배출부(56;56a)에, 제2정곡부(4;4a)내에서의 알곡의 정곡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2저항수단(61-63)을 구비한 종축형 정곡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1정곡부(3;3a)가, 추축의 상부에 부착된 제1정곡롤(millimg roll:7)과, 제1정곡롤(7)과 협동하여 제1정곡실을 형성하는 제1제강용 다공(多孔) 원통체(24)를 구비하고, 제2정곡부(4;4a)가, 주축의 하부에 부착된 제2정곡롤(9)과, 제2정곡롤(9)과 협동하여 제2정곡실(54)을 형성하는데 제2제강용 다공 원통체(53)를 구비한 종축형 정곡기.
  4. 제2항에 있어서, 제1정곡롤이 연삭 정곡롤(7) 및 마찰 정곡롤(9)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며, 제2정곡롤이 연삭 정골롤(7) 및 마찰 정곡롤(9)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종축형 정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곡 급송로(47,52;47a)가 제1정곡부(3;3a)의 알곡 배출부(46;46a)로 부터 제2정곡부(4;4a)의 알곡 공급부(55;55a)까지 거의 연직 방향 하방으로 뻗어있는 종축형 정곡기.
KR1019940021233A 1994-08-26 1994-08-26 종축형 정곡기 KR014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233A KR0147205B1 (ko) 1994-08-26 1994-08-26 종축형 정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233A KR0147205B1 (ko) 1994-08-26 1994-08-26 종축형 정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05A KR960007005A (ko) 1996-03-22
KR0147205B1 true KR0147205B1 (ko) 1998-08-17

Family

ID=1939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233A KR0147205B1 (ko) 1994-08-26 1994-08-26 종축형 정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2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05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792A (en) Bran-removing perforated cylindrical body of abrasive type grain milling machine
US5752664A (en)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US5511469A (en) Abrasive type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US5622321A (en) Mill classifier
EP0699478B1 (en) Vertical whitening machine
CA2125819C (en) Resistance member adjusting mechanism of abrasive type grain milling machine
JP3201496B2 (ja) 研削式竪型精米機
GB2101871A (en) Verical abrasive roll rice polishing machine
KR0147205B1 (ko) 종축형 정곡기
KR910001231B1 (ko) 정 곡 기
CA2130614C (en) Vertical milling machine
EP0135999A1 (en) Wind separation and classification equipment for tobacco leaves and the like
JP3399487B2 (ja) 竪型精穀機
JPH06327989A (ja) 竪軸型精穀機
JPH06154627A (ja) 竪型精米機
JP2984316B2 (ja) 酒造用竪型研削式精米機
JP2000254530A (ja) 横形噴風研削式精穀機の糠排出装置
CN2385517Y (zh) 稻麦脱粒机清选装置
JPH06142533A (ja) 竪型精米機
JPH0420667B2 (ko)
JPS5836646A (ja) 籾摺装置
JPH0714490B2 (ja) 上昇式精穀装置
JPH06343881A (ja) 縦形精米機の搗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2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