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7083B1 -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 Google Patents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083B1
KR0147083B1 KR1019940024565A KR19940024565A KR0147083B1 KR 0147083 B1 KR0147083 B1 KR 0147083B1 KR 1019940024565 A KR1019940024565 A KR 1019940024565A KR 19940024565 A KR19940024565 A KR 19940024565A KR 0147083 B1 KR0147083 B1 KR 014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high speed
handrail
moving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313A (ko
Inventor
히로시 사에키
마사오 야스카와
키요타카 나가이
미츠카즈 토모시게
토시로 후시야
Original Assignee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687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26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2516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1662A/ja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기노 카네오
Publication of KR95001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66B21/12Moving walkway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B66B23/26Handrails of variable speed type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하는 각 팔레트를 순환이동시키는 동시에, 평면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옆미끄럼시켜서, 팔레트의 이동속도를 가감속하는 움직이는 보도에 관한 것으로서, 1쌍의 모터를 설치하고, 감소기를 구비한 라인샤프트를 개재해서 각 모터에 의해서 반전부구동체인과 고속부구동체인을 구동한다.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을 1개의 랙체인에 맞물리게 한다. 팔레트는 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하고, 반전부에서는 팔레트하면의 훅을 반전부구동체인의 축에 걸어맞춤시키고, 고속부에서는 팔레트하면의 훅을 랙체인에 걸어맞춤시켜서, 팔레트를 구동한다. 팔레트 사이에 롤러를 설치하여 옆미끄럼 가능하게 된다. 또, 가감속식움직이는 보도의 전체길이를 복수부분으로 나누고, 동 각 부분에 독립된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각 핸드레일은 맞포개지지 않도록 하고, 각 핸드레일에 있어서 승강객이 잡는 이동핸드레일을 그 근방의 팔레트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운전하고, 인접하는 각 이동핸드레일의 이음부에 승강객의 손을 다음의 이동핸드레일에 건네주기 위한 안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의 전체구동계통을 표시한 측면도
제 2도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
제 3도는 동 실시예의 반전부압출부에 있어서의 테일안내압출방식의 구조를 표시한 측면도
제 4도는 동 부품의 단면도
제 5도는 동 실시예의 가속부에 있어서의 레일안내압출방식에 의한 구조를 표시한 평면도
제 6도는 제 5도의 A-A단면사시도
제 7도는 제 5도의 X부의 확대도
제 8도는 제 7도의 B-B단면도
제 9도는 동 실시예의 고속부에 있어서의 레일안내체인견인구동방식에 의한 구조를 표시한 측면도
제 10도는 제 9도의 C-C단면도
제 11도는 동 실시예의 움직이는 보도의 평면도
제 12도는 동 실시예의 팔레트가 바른 자세로 통과하는 원리를 표시한 설명도
제 1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의 핸드레일 설치를 표시한 부분평면도
제 14도는 동 실시예의 움직이는 보도의 전형적인 부분의 단면도
제 15도는 제 1도의 표시한 핸드레일의 이음부의 상세한 것을 표시한 측면도
제 16도는 동 이음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
제 17도는 제 16도의 Z부의 확대도
제 18도는 동 실시예의 안내판의 상면을 표시한 사시도
제 19도는 안내판의 다른 구성예의 측면도
제 20도는 종래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의 측면도
제 21도는 제 13도의 A부상세도
제 22도는 상기 종래예의 대표적구동시스템의 원리를 표시한 측면도
제 23도는 상기 종래예의 팔레트구동장치의 측면도
제 24도는 동 장치의 평면도
제 25도는 리니어모터구동의 움직이는 보도의 평면도
제 26도는 종래의 팔레트정렬장치의 측면도
제 27도는 동 장치의 평면도
제 28도는 종래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을 표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팔레트 (2)(26)(32):지지롤러
(3):지지롤러구동모터 (4):랙체인
(5):고속부구동체인 (6):반전부구동체인
(7):고속부구동훅 (8):반전부구동훅
(11):라인구동모터 (12):라인샤프트
(13):감속기 (14)(29)(36)(44):가이드레일
(24):압압롤러 (25):축
(27):랙 (28):캠
(31):가이드롤러 (35):캠플로어
(47):스프링 (48):스톱퍼
(52):롤러 (53):베어링
(54):탄성고무판 (55):스페이서
(56):장착볼트 (57):미끄럼판
(101)~(103):이동핸드레일 (104):안내판
(106):징두리판 (107):볼
(108):바람구멍
본 발명은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하는 각 팔레트를 순환이동시키는 동시에, 평면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옆미끄럼시켜서, 팔레트의 이동속도를 가감속하는 움직이는 보도에 관한 것이다.
제 20도는 종래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제 21도는 제 20도의 A부 상세도, 제 22도는 그 대표적인 구동시스템의 원리를 표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61)은 팔레트(tread board), (62)는 가이드레일, (63)은 가이드롤러, (64)는 연결봉, (75)는 구동모터, (82)는 고무타이어, (83)은 구동모터이다.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는, 팔레트를 평면내에서 진행방향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옆미끄럼시켜서, 이동속도를 가감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0도에 있어서 팔레트(61)는 가이드레일(62)을 따라서 전후좌우로 이동한다. 제 20도, 제 2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61)는 인접하는 팔레트(6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팔레트(61)를 링크로 한 일종의 체인·루프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루프 형상의 팔레트(61)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제 23도(측면도), 제 24도(평면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61)의 하면에 복수개의 고무타이어(82)를 압접시키고, 타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마찰력에 의해 팔레트(61)를 이송하고 있다. 반전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 25도와 같이 리니어모터(91)를 배치해서 구동하고 있는 예도 있다.
이 장치에서는, 팔레트정렬장치로서, 제 26도(측면도), 제 27도(횡단면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나사형상캠(72)과 팔레트(61)에 장착된 캠플로어(73)가 맞물려서 가이드(74)를 따라서 팔레트(61)는 정렬이송된다. 이 구동은, 모터(75)에 의해 나사형상캠(72)을 회전해서 행해진다. 따라서 보도전체의 구동계통으로서는 제 22도와 같이, 반전부에 2대, 팔레트구동용에 3대(필요대수는 팔레트수, 시스템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의 합계 5대의 구동모터(75),(83)에 의해서 운전되고 있다. 이 5대의 모터에 의한 구동에 의해서 각각에서 속도차가 나오도록 정확하게 속도제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 팔레트는 인접하는 팔레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것을 제 20도, 제 21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팔레트(61)는 가이드레일(62)을 안은 롤러(63)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고, 인접하는 팔레트(61)와는 연결봉(64)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반전부에 있어서 반전할 때, 연결봉(64)은 고정링크(65)가 팔레트(61)포부터 벗어나서, 슬라이더(66)의 속을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해서 자유롭게 된다. 반전이 종료하는 동시에 고정링크(65)에 의해서 연결봉(64)은 슬라이더(66)에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팔레트(61)는 인접팔레트(61)와 연결되어 이행한다. 이 팔레트(61)의 좌우방향으로의 옆미끄럼은 슬라이더(66)가 팔레트(61)내의 홈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있어서, 일련의 이동핸드레일을 설치하는 것은 팔레트의 속도가 저속영역으로부터 고속영역까지 크게 변화(2~5배)하므로, 핸드레일속도를 팔레트속도에 대응해서 바꾸는 것이 어려우므로, 실용에 제공되고 있는 것은 부적합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이동핸드레일은 제 2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분할되어서 각각의 팔레트(61)에 가까운 속도로 운전되고 있다. 종래의 분할된 이동핸드레일은 제 2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겹친 부분을 만들어서, 핸드레일(81)(82)(83)간의 이음부를 구성하여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는 그 팔레트가 인접하는 팔레트와 결합되고, 또, 팔레트사이에서 옆미끄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팔레트를 링크라고 생각할 때, 1개의 루프라고 생각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1개의 팔레트에 가해지는 힘, 진동 등을 모4든 팔레트에 전해지게 되고, 특히 연결부는 인장, 압축, 접동에 의한 저항 등등에 대한 강도·강성·수명등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시동, 정지시의 충격을 고려해서 전반적으로 강도상, 강성상, 수명상 강고하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2) 운전시스템으로서 수대의 구동모터를 동시에 필요속도로 정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지고 고가이다.
(3) 기장이 길어지는 동시에 팔레트이면에 당접해서 구동하는 고무타이어수도 증가한다. 또, 이것은 상기 장치의 제어시스템의 어려움을 증가시키게 된다.
(4) 시동은 고무타이어에 의해서 행하고, 정지도 고무타이어에 의해서 행하기 때문에, 긴급정지를 행하기위해서는, 고무타이어의 수가 많아진다.
상기와 같이 각 핸드레일의 이음부에 겹침부분이 있는 것은, 승갱의 이동방향에 따라서는 겹침부분에서 이동핸드레일의 선단부가 방해가 되는 위치가 되어 위험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이동핸드레일의 진행방향이 신체의 진행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승객에서 불안감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각항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서,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1) 팔레트의 연결을 폐지하고, 팔레트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서, 종래 연결부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었던 강도·강성·수명에 관한 문제점을 해소한다.
(2) 복수의 구동모터를 기계적으로 동기시킴으로써, 각 모터의 회전속도를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제어할 필요를 없애고, 구조간단저가격화를 도모한다.
(3) 구동용 고무타이어를 폐지하고, 종래 이것에 관한 제어의 곤란성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는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전후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순환경로를 따라서, 다수의 팔레트를, 양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반전이동시키고, 양단부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동시에, 인접하는 팔레트를 양단부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상호로 옆미끄럼시켜서 이동속도를 가감하고, 상면단부에서 사람을 승강시키고, 상면당단부사이에서 사람을 이송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있어서, 상기 순환경로를 양단부에 있어서 연직면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반전부, 중앙부에 있어서 수평의 직선형상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고속부, 및 상기 반전부와 고속부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면내에서 만곡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가감속부로 구성하고, 상기 양쪽의 반전부의 가이드레일의 안쪽에 각각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반전부구동체인을 설치하고, 상기 고속부의 양단부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안쪽에 각각 상하로 엔들리스 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을 설치하고, 상기 고속부의 가이드레일의 안쪽 또한 상기 1쌍의 고속부구동의 바깥쪽에 동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과 맞물려서 고속부의 전역에 걸쳐서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화하는 랙체인을 설치하고, 또 상기 순환경로의 양단부에 라인구동용모터를 각 1대 설치하고, 각 모터와 그것에 가까운 쪽의 반전부구동체인과, 또 동 각 모터와 그것에 가까운 쪽의 고속부 구동체인을 각각 감속기를 구비한 라인샤프트에 의해서 접속해서 적절한 속도비로 구동하고, 다수의 팔레트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된 상태에서 독립적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 각 팔레트의 이면에 혹을 설치하고, 반전부에 있어서는 반전부구동체인은 축에 상기 훅을 걸어맞춤시켜서 팔레트를 이동시키고, 고속부에 있어서는 랙체인의 축에 훅을 걸어맞춤시켜서 팔레트를 이동시키고, 또 각 팔레트의 옆의 팔레트와 접하는 부분에 롤러를 설치해서 팔레트상호간의 옆미끄럼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있어서는, 라인구동용 모터가 2대 설치되어 있다. 각 모터는 각각 반전부구동체인과 고속부구동체인을 구동한다.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은 1개의 랙체인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각 조합의 반전부구동체인과 고속부구동 체인은, 모터·감속기·라인샤프트에 의해서 연동하고,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은 액체인에 의해서 연동하고 있으므로, 모든 체인은 기계적으로 연동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팔레트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팔레트상호의 옆미끄럼은, 각 팔레트에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서 용이하게 가능하다. 반전부에 있어서는 팔레트하면의 훅이 반전구동체인의 축에 걸어맞춤해서 팔레트가 구동된다. 고속부에 있어서는 팔레트하면의 훅이 랙체인의 축에 걸어 맞춤해서 구동된다. 가감속부에 있어서는 팔레트는 체인등에 의해서 직접구동되지 않고, 후 속의 팔레트에 의해서 밀려서 전진한다. 각 팔레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독립하고 있으므로, 종래, 연결부에 발생하고 있었던 강도·강성·수명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구동은 상기한 바와 같이 훅과 체인의 축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것이므로, 종래 구동용에 사용되고 있었던 고무타이어에 있어서의 제어의 곤란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팔레트는 레일에 안내되어서 전진한다. 가감속부 및 고속부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팔레트는 상호로 옆으로 벗어난 위치를 취하고, 진행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전진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음부에 있어서의 겹쳐짐을 없애서 위험을 방지하고, 또 이동핸드레일의 진행방향이 신체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해서 승차감을 개선한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하고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수펼면내에서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모양으로 연결되는 레일을 따라서, 다수의 팔레트를 순환이동시키는 동시에 상하각면에 있어서 각 팔레트를 상호가로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가감속하도록 구성한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사용하는 핸드레일에 있어서 다음의 특징을 가진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관한 것이다.
(1) 상기 움직이는 보도의 전체길이를 복수부분으로 나누고, 동각 부분에 독립한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각 핸드레일은 맞포개지지 않도록 하고, 각 핸드레일에 있어서 승강객이 잡을 수 있는 이동핸드레일을 그 근방의 팔레트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운전하고, 인접하는 각 이동핸드레일의 이음부에 승강객의 손을 다음의 이동핸드레일에 건네주기 위한 안내판을 설치한 것.
(2) 상기(1)에 기재한 가감속실 움직이는 보도용핸드레일에 있어서, 이동핸드레일의 표면에 빗살형상 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판과의 사이의 접속을 원활하게 한 것.
(3) 상기(1)에 기재한 가감속실 움직이는 보도용핸드레일에 있어서, 안내판의 상면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볼 또는 롤러를 배열해서 설치한 것.
(4) 상기(1)에 기재한 가감속실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에 있어서, 안내판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안내판의 상면 혹은 근방에, 윙커 등 전기표식, 음성장치 및 풍압장치의 1개 혹은 복수를 조합해서 설치한 것.
(5) 상기(1)에 기재한 가감속실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에 있어서, 안내판을 엔들리스형상의 벨트로 구성하고, 그 상면을 인접하는 이동핸드레일의 상면과 거의 동일 속도로 동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각 핸드레일은 독립하고, 근방의 팔레트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핸드레일을 운전함으로써, 승객은 이동핸드레일을 가진 상태에서 움직이는 보도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핸드레일이 맞포개지고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겹쳐진부분에서 안쪽으로된 이동핸드레일의 선단부가 방해가 되지 않게 되고, 또, 손과 신체의 진행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음부의 안내파너에 의해서 승객의 손은 1개의 이동핸드레일로부터 인접한 이동 핸드레일에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핸드레일의 표면에 빗살형상 홈이 형성되고, 안내판과 맞물리므로, 승객은 틈새에 손이 끼이는 일없이 안전하게 이동핸드레일로부터 안내판에 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안내판상면에 볼, 또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객의 손은 안내판위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안내판의 존재를 알리는 윙커등 전기표식, 음성장치, 혹은 풍압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객은 안전하게 이동핸드레일로부터 안내판에 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안내판이 엔들리스형상벨트로 구성되고, 이동핸드레일과 동일속도·동일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승객은 용이하게 이동핸드레일로부터 안내판에 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체구동계통을 표시한 측면도, 제 2도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팔레트, (2)는 동팔레트를 지지하는 지지롤러, (3)은 동 지지롤러구동머터, (4)는 랙체인, (5)는 고속부의 구동체인, (6)은 반전부의 구동체인, (7)은 고속부에서 팔레트를 구동하는 훅, (8)은 반전부에서 팔레트를 구동하는 훅, (11)은 라인구동모터, (12)는 라인샤프트(line shaft), (13)은 감속기, (14)는 가이드렝일이다.
팔레트(1)는 반전부에서 반전한 후, 지지롤러(2)에 의해서 지지된 그대로, 가이드레일(14)위에 압출되어 가속부에 이동한다. 가속부에서는 팔레트(1)은 고속부를 향해서 선행의 팔레트(1)를 밀어서, 가이드레일(14)을 따라서 고속부에 도입한다. 고속부에 있어서는, 레일안내체인견인구동방식에 의해 팔레트(1)의 이면의 훅(7)을 랙체인(4)의 축(25)(후술)에 맞물리게 해서 견인하고, 이 훅에 맞물리는 구동체인(5)에 의해 구동하고 있다. 고속부로부터 감속부 그리고 반전부에 들어가기까지는 고속부와 마찬가지로 구동되지 않고 고속부의 랙체인에 의해 압출하는 힘에 의해서 선행의 팔레트를 밀어 낸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가감속부에서는 지지롤러(2)를 이용해서 구동모터(3)에 의해서 단독으로 구동 또는 브레이크를 거는 방법도 가능하다. 구동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구부의 반전부와 고속부를 담당하는 2대의 구동모터(11)에 의해서 구동하고 있다. 각 구동모터(11)로부터 라인샤프트(12)를 통해서 감속기(13)를 거쳐 반전부, 고속부의 체인을 반전부와 고속부의 속도비에 알맞은 빠르기(회전수)로 구동하고 있다. 이 2대의 모터는, 고속부의 랙체인(4)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의 부하토크(구동·브레이크 모두)의 분담이 평균화 될 뿐만 아니라, 쌍방의 속도차가 생기지 않으므로 속도차에 대한 제어는 필요없고, 간단한 속도지령뿐으로 된다.
제 3도는 상기 실시예의 반전부 압출부에 있어서의 레일안내압출방식의 구조를 표시한 측면도, 제 4도는 동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24)는 압압롤러, (29 (14))는 가이드레일, (31)은 가이드롤러, (32 (2))는 지지롤러, (35)는 캠플로어, (36)은 가이드레일(캠)이다.
1매씩으로 되어있는 팔레트(1)는 하부에 설치한 전용혹(8)이 체인(6)의 측(6a)에 맞물리고 1매씩 이동수송할 수 있다. 반전시에는 팔레트양단부에 있는 캠플로어(35)가 가이드레일(36)에 의해 인도되어 반전하고, 상면 또는 하면의 수평부에서 지지롤러(32 (2))에 지지되고 가이드레일(29(14))과 (44(14))을 따라서 수평으로 등피치로 압출한다. 이때 각 팔레트사이는 약간의 틈새가 있는 상태이다. 또한, 체인(6)은 제 1도에 표시한 라인샤프트(12)를 개재해서 감속기(13)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제 5도는 가감속부에 있어서의 레일안내압출방식에 의한 구조를 표시한 평면도, 제 6도는 제 5도의 A-A단면시시도(중심선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44(14))는 가이드레일, (52)는 롤러이다. 팔레트(1)는 팔레트(1)의 가이드롤러(31)가 하부에 설치한 가이드레일(29)과 (44(14)에 안내된다. 이 가이드레일(29)과 (44(14)은 상기한 반전압출력과, 가이드레일(29)과 (44(14))의 선형에 따른 옆미끄럼힘의 합성력을 팔레트(1)에 부여하고 있다. 상기한 합성력에 의해 팔레트(1)는 팔레트의 합성력방향으로 설치한 지지롤로(32(2))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가속된다. 팔레트(1)가 밀착한 상태에서 가속되도록, 가속개시점으로부터 가속종료점까지의 거리는 팔레트매수의 n배이거나 n배보다 약각 마이너스한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제 7도는 제 5도의 X부의 확대도, 제 8도는 제 7도의 B-B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52)는 롤러, (53)은 베어링, (54)는 탄성고무판, (55)는 스페이서, (56)는 장착볼트, (57)은 미끄럼판이다. 팔레트(1)는 밀착한 그대로 옆미끄럼하면서 약간 마이너스한 치수의 곳에 설정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로 하고 있다. 즉 롤러(52)는 팔레트 (1)에 장착된 옆미끄럼용 롤러이고, 인접하는 팔레트(1)에 접하고, 탄성고무판(54)을 사이에 끼우로 베어링(53)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또한, 장착볼트(56)는 스페이서(55)에 의해서 조임높이를 규정하고 있고 탄성고무판(54)이 탄성내에서 작용하도록 완전밀착하지 않는 구조로 조여져있다. 롤러(5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슬라이더(66)와 같은 접동하는 구조가 아니라, 구름접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저항이 매우 적고 마찰이 적다. 또, 이 탄성체고무판(54)은 상기한 가속개시점으로부터 가속종료까지의 거리를 짧게하고 있어도 이 고무판(54)이 축소되기 때문에, 팔레트(1)가 롤러(52)를 개재해서 완전밀착한다. 이 때문에 팔레트의 제작정밀도를 필요이상으로 높일 필요도 없고, 이 사이에 어떠한 과대한 힘이 작용했을때 완충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가속부에서는, 팔레트(1)는 완전밀착되어 있는 것과, 가이드레일(29)와 (44(14))에 의해서 안내되는 가이드롤러(31)에 의해 바른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제 9도는, 고속부에 있어서의 레일안내체인견인구동방식에 의한 구조를 표시한 측면도, 제 10도는 제 9도의 C-C단면도이다. 도며에 있어서 (1)은 팔레트, (4)는 랙체인, (7)은 고속부구동훅, (24)는 압압롤러, (25)는 랙체인(4)의 축, (26)은 지지롤로, (27)은 랙, (28)은 캠, (29)는 가이드레일, (31)은 가이드롤로, (32)는 지지롤러, (44(14))는 가이드레일이다. 팔레트(1)의 뒤에 장착되어 있는 전용훅(7)은 가속종료점후의 수수위치에 랙(27)부착 랙체인(4)의 속도와 팔레트의 주행속도가 동등하게 또한 랙체인(4)의 축(25)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 끼워맞춤위치는 1점밖에 없고, 이 지점에서의 랙체인(4)의 축(25)의 피치와 팔레트(1)의 훅(7)의 피치를 동등하게 하고 있다. 이 랙체인(4)의 축(25)의 양단부는 톱니수가 4개톱니의 원리로 회전하고 있게 되므로 랙체인(4)의 속도변동(위치변동)이 크고 상기한 끼워맞춤위치가 변화하므로, 이것을 막기 위하여 축(25)의 끼워맞춤위치를 동위치로 하기 때문에, 축(25)과 동축의 지지롤러(26)가 통과할 대 교정하는 캡(28)을 설치하고, 끼워맞춤위치를 동일점으로 하고 있다.
제 11도는 본 실시에의 움직이는 보도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1)는, 반전압출부의, 제 3도에 표시한 푹(8) 및 고속부의 제 9도에 표시한 훅(7)과 끼워맞추고, 또, 팔레트(1)의 가이드롤러(31)를 안내하고 있는 가이드레일(29)과 (44(14))에 의해서 안내되어 구속됨으로써 위치정밀도 및 자세를 보증하므로, 압압밀착한 상태에서 고속부에 옮겨타기 가능하다. 가속부로부터 고속부에 옮겨탄 팔레트(1)는 훅(7)이 끼워맞춘랙체인(4)의 축(25)의 지지롤로(26)에 의해서 지지되어 주행한다. 이 랙체인(4)위의 팔레트(1)는 인접하는 것끼리는 밀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 7도에 표시한 롤러(52)는 틈새가 있는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 사실에 의해 고속부의 구동은 랙체인(4)이 담당하고 팔레트(1)에 구동력 및 브레이크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다. 고속부의 구동은, 랙체인(4)의 랙(27)에 맞물리는 구동체인(5)에 의해. 제 2도에서 표시되는 라인샤프트에 의해 감속기(13)를 개재해서 속도비에 알맞은 속도로 구동되고 있다. 고속부를 통과한 팔레트(1)는 제 3도에서 표시한 반대방향의 반전부에 밀려나간다. 이 밀려나온 후의 구조위치결정은 상기와 동일하나,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팔레트(1)은 순환루프를 구성한다.
제 12도는 상기한 팔레트(1)가 바른 자세로 통과하는 원리를 표시하는 동시에 가이드레일(29)와 (44(14))의 연구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7)은 고속부구동훅, (8)은 반전부구동훅, (31)은 가이드롤러, (29) 및 (44)는 가이드레일, (47)은 스프링, (48)은 스톱퍼이다. 팔레트하면에 설치한 가이드롤러(31)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29) 및 (44(14))에 틈새없이 끼워맞추면 가이드레일(29) 및 (44(14)) 및 팔레트(1)를 공작상정밀도 높게 완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은 팔레트(1)가 가이드롤러(31)와의 틈새가 작은 가이드레일(29(14))과 틈새가 큰 가이드레일(44(14))에 의해서 인도하는 쪽이 팔레트(1)의 움직임도 좋고 조립상 정밀도도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팔레트(1)의 전용훅(7) 및 (8)이 맞물리는 위치에서는 팔레트(1)를 보다 정밀도가 높은 바른자세로 통과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레일(44)과 가이드롤러(31)의 틈새를 작게해서 보다 정밀도가 높은 자세로 하고 있다. 가이드롤러(31)와의 틈새가 어떠한 조건에 의해서 저항이 지나쳤을때에는, 초기의 가이드틈새까지 넓힐 수 있도록 스프링(47)에 의해서 물러나고, 그 이상넓어지지 않는 스톱퍼(48)를 설치한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팔레트(1)가 주행중 위쪽으로 떠우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팔레트(1)에 설치한 가이드 롤러(31)를 이용해서 빠짐방지 가공한 가이드레일(29) 및 (44)에 끼우고 있다. 또 팔레트(1)의 훅(7)과 랙체인(4)의 축(25) 및 훅(8)과 체인(6)의 롤러가 끼워맞춤하는 위치에는 압압롤러(24)를 설치해서 떠오름을 방지하는 동시에 끼워맞춤을 확실한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각 팔레트를 분리하고, 구동계로서 반전부, 고속부에 체인구동을 채용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1) 팔레트는 인접하는 팔레트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개개의 팔레트에 작용하는 힘이 작음므로 구조도 간략화할 수 있고, 경량화할 수 있었다.
(2) 보수는, 팔레트의 교환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3) 각부에서의 기능으로 분류함으로써 각 부품의 수명이 늘고 보수기간이 연장되었다. 또 팔레트접동부는 구름마찰로 하고 구동롤러를 크게 함으로써 전력비를 내릴 수 있었다.
(4) 구동제어에서는 구동모터대수가 적기 때문에, 또, 모터상호의 속도제어도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게 되었다.
제 1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의 핸드레일설치를 표시한 평면도(점대칭이므로 절반만 도시), 제 14도는 동보도의 전형적인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이동핸드레일(101)(102)(103)은 저속영역, 가감속영역, 고속영역의 각각에서 독립해서, 팔레트(1)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순환주행하는 것이고, 각 이동핸드레일(101)과 (102),(102)와 (103)사이의 이음부에 안내판(10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판(104)은 징두리판(안쪽판)(106)에 고정 또는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제 15도는 제 13도에 표시한 핸드레일의 이음부의 상세한 것을 표시한 측면도, 제 16도는 동 이음부를 위에서(제 15도의 Y방향으로부터)본 평면도, 제 17도는 제 16도의 Z부의 확대도이다. 제 15도에 표시한 이동핸드레일의 이음부에 있어서, 이동핸드레일(101)(102)(103)에서는 그 표면에, 제 16도 및 제 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발판과 마찬가지의 빗살이 설치되고, 안내판(104)과 맞물려 있다.
제 18도는 안내판의 상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내판(104)의 선단부에는 이동핸드레일(101)(102)(103)과 맞물리는 클릭이 있고, 표면은 잘 연마되어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볼(107)또는 롤러를 배열해서 승객의 손이 닿아도 움직이기 쉽게 해두면, 다음의 이동핸드레일(102)또는 (103)에 타기 쉽게 된다. 또, 안내판(104)또는 그 주변에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바람구멍(108)을 형성하여, 접근하는 손에 바람을 쐬서, 승객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에 대신하는 전기표식, 음성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용하는 것 등에 의해 승객에게 보다더 안심감을 줄 수도 있다.
제 19도는 안내판의 다른 구성예의 측면도이다. 이것은 상기 안내판(104)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소형의 이동핸드레일 또는 평벨트형상의 것(109)을 구동해서 전후의 이동핸드레일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운전하고 있는 예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핸드레일의 배치 및 그 사이에 설치한 안내판에 의해 종래의 각 핸드레일이음부를 겹쳐서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서, 다음의 각항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승객에 대한 안전이 도모된다.
(1) 승객은 이동하는 방향과 손이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위화감이 없고, 이동핸드레일의 선단부가 몸에 닿는 일도 없어 안심감이 있다.
(2) 이음부에서는 성객에서 주의를 환기시키나, 승객이 손을 이동핸드레일로부터 때어도 안내판에 의해 손이 다음의 이동핸드레일에 이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있어서는, 순환경로를, 양단부에 있어서 연직면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반전후, 중앙부에 있어서 수평의 직선형상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고속부, 및 상기 반전부와 고속부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면 내에서 만곡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가감속부로 구성하고, 상기 양쪽의 반전부의 가이드레일의 안쪽에 각각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반전부구동체인을 설치하고 상기 고속부의 양단부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안쪽에 각각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을 설치하고, 상기 고속부의 가이드레일의 안쪽 또한 상기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 바깥쪽에 동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을 맞물려서 고속부의 전역에 걸쳐서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랙체인을 설치하고, 또, 상기 순환경로의 양단부에 라인구동용 모터를 각 1대 설치하고, 각 모터와 그것에 가까운쪽의 반전부구동체인과, 또 동각모터와 그것에 가까운 쪽의 고속부구동체인을 각각 감속기를 구비한 라이샤프트에 의해서 접속해서 적절한 속도비로 구동하고, 다수의 팔레트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된 상태에서 독립적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 각 팔레트의 이면에 훅을 설치하고, 반전부에 있어서는 반전부 구동체인의 축에 상기 훅을 걸어맞춤시켜서 팔레트를 이동시키고, 고속부에 있어서는 랙체인의 축에 상기 훅을 걸어맞춤시켜서 팔레트를 이동시키고, 또 각 팔레테의 옆의 팔레트와 접하는 부분에 롤러를 설치해서 팔레트상호간의 옆미끄럼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 종래 연결부에 발생하고 있었던 강도·강성·수명에 관한 문제가 해소되고, 각 모터의 회전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고, 또 구동에 고무타이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관한 제어의 곤란성이 해소되고 전체적으로 구조간 단화, 저가격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에 있어서는, 움직이는 보도의 전체길이를 복수부분으로 나누고, 동 각부분에 독립한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각 핸드레일은 맞포개지지않도록 하고, 각 핸드레일에 있어서 승강객이 잡을 수 있는 이동핸드레일을 그 근방의 팔레트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운전하고, 인접하는 각 이동핸드레일의 이음부에 승강객의 손을 다음의 이동핸드레일에 건네주기 위한 안내판을 설치하고 혹은 이동핸드레일의 표면에 빗살형상 홈을 형성해서 상기 안내판과의 사이의 접속을 원활하게 하고, 혹은 안내판의 상면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볼 또는 롤러를 배열해서 설치하고, 혹은 안내판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안내판의 상면 혹은 근방에, 윙커 등 전기표식, 음성장치 및 풍압장치의 1개 혹은 복수를 조합해서 설치하고, 혹은 안내판을 엔들리스형상의 벨트로 구성하고, 그 상면을 인접하는 이동핸드레일의 상면과 거의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구동하므로, 승객에 대한 불편이 없어지고, 위험이 방지되고, 승객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Claims (6)

  1. 전후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순환경로를 따라서, 다수의 팔레트를, 양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반전이동시키고, 양단부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동시에, 인접하는 팔레트를 양단부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상호로 옆미끄럼시켜서 이동속도를 가감하고, 상면단부에서 사람을 승강시키고, 상면양단부사이에서 사람을 이송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있어서, 상기 순환경로를 양단부에 있어서 연직면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반전부, 중앙부에 있어서 수평의 직선형상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고속부, 및 상기 반전부와 고속부의 사이에 있어서 수평면내에서 만곡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가감속부로 구성하고, 상기 양쪽의 반전부의 가이드레일의 안쪽에 각각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반전부구동체인을 설치하고, 상기 고속부의 양단부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안쪽에 각각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을 설치하고, 상기 고속부의 가이드레일의 안쪽 또한 상기 1쌍의 고속부구동의 바깥쪽에 동 1쌍의 고속부구동체인과 맞물려서 고속부의 전역에 걸쳐서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해서 순환하는 랙체인을 설치하고, 또, 상기 순환경로의 양단부에 라인구동용모터를 각 1대 설치하고, 각 모터와 그것에 가까운 쪽의 반전부구동체인과, 또 동 각 모터와 그것에 가까운 쪽의 고속부 구동체인을 각각 감속기를 구비한 라이샤프트에 의해서 접속해서 적절한 속도비로 구동하고, 다수의 팔레트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된 상태에서 독립적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 각 팔레트의 이면에 훅을 설치하고, 반전부에 있어서는 반전부구동체인의 축에 상기 훅을 걸어맞춤시켜서 팔레트를 이동시키고, 고속부에 있어서는 랙체인의 축에 상기 훅을 걸어맞춤시켜서 팔레트를 이동시키고, 또 각 팔레트의 옆의 팔레트와 접하는 부분에 롤러를 설치해서 팔레트상호간의 옆미끄럼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2. 상하로 엔들리스형상으로 연속하고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수평면내에서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모양으로 연결되는 레일을 따라서, 다수의 팔레트를 순환이동시키는 동시에 상하각면에 있어서 각 팔레트를 상호가로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가감속하도록 구성한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에 사용하는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보도의 전체길이를 복수부분으로 나누고, 동각 부분에 독립한 핸드레일을 설치하고, 각 핸드레일은 맞포개지지 않도록 하고, 각 핸드레일에 있어서 승강객이 잡을 수 있는 이동핸드레일을 그 근방의 팔레트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운전하고, 인접하는 각 이동핸드레일의 이음부에 승강객의 손을 다음의 이동핸드레일에 건네주기위한 안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
  3. 제 2항에 있어서, 이동핸드레일의 표면에 빗살형상 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판과의 사이의 접속을 원활하게 한 것을 측징으로 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
  4. 제 2항에 있어서, 안내판의 상면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볼 또는 롤러를 배열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
  5. 제 2항에 있어서, 안내판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안내판의 상면 혹은 근방에, 윙커 등 전기표식, 음성장치 및 풍압장치의 1개 혹은 복수를 조합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
  6. 제 2항에 있어서, 안내판을 엔들리스형상의 벨트로 구성하고, 그 상면을 인접하는 이동핸드레일의 상면과 거의 동일속도로 동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
KR1019940024565A 1993-10-01 1994-09-28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KR0147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46874 1993-10-01
JP24687493A JP3382679B2 (ja) 1993-10-01 1993-10-01 加減速式動く歩道
JP93-251613 1993-10-07
JP5251613A JPH07101662A (ja) 1993-10-07 1993-10-07 加減速式動く歩道用手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313A KR950011313A (ko) 1995-05-15
KR0147083B1 true KR0147083B1 (ko) 1998-08-17

Family

ID=2653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565A KR0147083B1 (ko) 1993-10-01 1994-09-28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71254A (ko)
EP (2) EP0837026B1 (ko)
KR (1) KR0147083B1 (ko)
DE (2) DE6941713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34B1 (ko) * 1998-06-08 2007-08-3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가변속식 승객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953A (ja) * 1995-11-01 1997-05-16 Bridgestone Corp 平板循環装置及び力測定装置
JPH1087248A (ja) * 1996-09-20 1998-04-07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速式コンベア
DE29615912U1 (de) * 1996-09-12 1996-10-31 Woodway AG, Schönenberg Laufbandeinrichtung
EP0931753A1 (en) * 1998-01-23 1999-07-28 Nkk Corporation Variable-speed passenger conveyor and handrail device therefor
US6138816A (en) * 1998-06-19 2000-10-31 Nkk Corporation Variable-speed passenger conveyer and handrail device thereof
JP2000169066A (ja) * 1998-12-03 2000-06-20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可変速動く歩道
ES2179720B1 (es) 1999-11-19 2004-03-16 Thyssen Norte S A Pasillo de aceleracion.
ES2223206B1 (es) 2001-10-05 2005-12-16 Thyssen Norte, S.A. Pasamanos para pasillo movil de velocidad variable.
FI20040304A0 (fi) * 2004-02-26 2004-02-26 Kone Corp Liukukäytävä,- ramppi tai porras
JPWO2006043325A1 (ja) * 2004-10-21 2008-05-22 三菱電機株式会社 屋外設置機器
CN100526194C (zh) * 2005-06-07 2009-08-12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对柔韧的扶手进行驱动的轮
ES2281305B1 (es) 2006-12-28 2008-06-01 Thyssenkrupp Norte, S.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sistemas de transporte.
ES2289955B1 (es) * 2006-12-29 2009-05-05 Thyssenkrupp Norte, S.A. Sistema de transporte para desplazamiento de pasajeros/mercancias.
US10183191B2 (en) * 2009-11-02 2019-01-22 Speedfit LLC Leg-powered treadmill
WO2012026998A1 (en) * 2010-08-27 2012-03-01 Dematic Corp.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ES2369980B1 (es) * 2011-07-29 2012-07-24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acionamiento de pasillos moviles.
JP5107485B2 (ja) * 2012-01-19 2012-12-26 勝哉 寺本 加減速式手摺駆動装置
EP3031499B1 (en) * 2014-12-12 2019-02-20 Technogym S.p.A. Manual treadmill
DE102015113435A1 (de) * 2015-08-14 2017-02-16 Khs Gmbh Transportvorrichtung sowie Transportverfahren mit einer derartigen Transportvorrichtung
CN106276556A (zh) * 2016-08-08 2017-01-04 熊涛 缓变速载客传送通道
CN107490476A (zh) * 2017-09-30 2017-12-19 苏州奔机电有限公司 一种人行道踏板静载试验工装
EP3470360A1 (en) 2017-10-10 2019-04-17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plit handrail for passenger moving walking systems
EP3549897A1 (en) 2018-04-04 2019-10-09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A handrail safety device for a moving walkway
EP3549898A1 (en) 2018-04-04 2019-10-09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A moving walking system and a handrail bridging system
EP3736242A1 (en) * 2019-05-06 2020-11-11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Anti-entrapment safety system
CN110921476A (zh) * 2019-12-17 2020-03-27 郄树才 一种可组合的自动人行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6873A (en) * 1956-06-21 1960-05-17 Sol H Seidman Load transfer system
US3052337A (en) * 1960-11-28 1962-09-04 Sr John W Force Safety landing for moving sidewalk
US3859924A (en) * 1970-03-24 1975-01-14 Nat Res Dev Transport systems
CH529646A (fr) * 1970-07-17 1972-10-31 Dunlop Holdings Ltd Dispositif transporteur
FR2060830A5 (ko) * 1970-09-02 1971-06-18 Bocquet Lucien
GB1443318A (en) * 1973-01-10 1976-07-21 Hamy N Transport systems
GB1455586A (en) * 1973-03-20 1976-11-17 Dunlop Ltd Conveyor handrail
JPS5342957B2 (ko) * 1973-03-23 1978-11-15
US4232776A (en) * 1978-01-05 1980-11-11 Dean Research Corporation Accelerating walkway
DE68919011T2 (de) * 1988-07-25 1995-02-23 Loderway Pty Ltd Ein beweglicher Gehweg.
JPH0747459B2 (ja) * 1988-11-09 1995-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表示体並びに表示装置の組立方法
JPH0818780B2 (ja) * 1989-08-25 1996-0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FR2692878B1 (fr) * 1992-06-24 1995-07-13 Patin Pierre Element de transporteur a vitesse vari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34B1 (ko) * 1998-06-08 2007-08-3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가변속식 승객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7026B1 (en) 2002-01-02
US5571254A (en) 1996-11-05
EP0837026A1 (en) 1998-04-22
KR950011313A (ko) 1995-05-15
DE69417136T2 (de) 1999-08-26
EP0646538B1 (en) 1999-03-17
DE69417136D1 (de) 1999-04-22
DE69429678D1 (de) 2002-02-28
DE69429678T2 (de) 2002-08-14
EP0646538A2 (en) 1995-04-05
EP0646538A3 (en) 199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083B1 (ko) 가감속식 움직이는 보도
US4064986A (en) Escalator having guide wheels and guide track with cooperative non-flat surfaces
US7665595B2 (en) Drive system with step chain or pallet chain for a transportation device and transportation device with a corresponding drive system
CN107580584B (zh) 包括悬臂的用于人员输送机的踏板元件
JP5612140B2 (ja) 乗客コンベア
US8739957B2 (e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device and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escalator including the same
US20150259177A1 (en) Passenger Conveyor Systems with Separate Chain and Pallet Tracks
CN111704016B (zh) 一种应用于自动人行道中的踏板平移换向装置
JPH0357024B2 (ko)
US7571797B2 (en) Newel guide for supporting a handrail traveling over a newel
US10138093B2 (en) Passenger conveyor step flow adjusting apparatus
US6439365B1 (en) High-speed continuous conveying system
US3744431A (en) Conveyor systems
US6044955A (en) Accelerating travelling walkway with laterally and longitudinally displaceable step plates
JPH10265159A (ja) 可変速型乗客コンベヤ
JP3382679B2 (ja) 加減速式動く歩道
JP2581854B2 (ja) マンコンベア装置
JPH07237874A (ja) 動く歩道のハンドレール駆動装置
JPH1059668A (ja) 可変速型乗客コンベヤ
WO2003062118A1 (fr) Escalier mecanique incline a grande vitesse
JPH03249092A (ja) 手摺ベルト駆動装置
JPH09169484A (ja) 加減速型乗客コンベヤの駆動装置
CZ295035B6 (cs) Pohyblivé schody nebo pohyblivý chodník
JPH08225281A (ja) 可変速式動く歩道における手摺装置
JPH11286382A (ja) 可変速型乗客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