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6917B1 -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917B1
KR0146917B1 KR1019940035179A KR19940035179A KR0146917B1 KR 0146917 B1 KR0146917 B1 KR 0146917B1 KR 1019940035179 A KR1019940035179 A KR 1019940035179A KR 19940035179 A KR19940035179 A KR 19940035179A KR 0146917 B1 KR0146917 B1 KR 014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ormatted
receiver
synchronization
c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244A (ko
Inventor
마사히로 마따이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5002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9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5Selective call decoders
    • H04W88/026Selective call decoders using digital address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또는 중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페이저에 있어서, 잡음으로 초래된 동기화 검출의 에러때문에, 동기화가 행해진후에 BCH 코드의 검출이 수행된다. 상기 동작으로서, 잡음에 의한 동기화 검출에 에러가 있은후의 SC 서어치 모드의 설정은 방지되고, 따라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선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호출 수신기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a도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수신된 신호의 형태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2b도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종래의 간헐적(intermittent) 수신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2c도는 미드웨이 동기화(midway synchronization)를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종래의 간헐적 수신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2d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간헐적 수신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3도는 BCH 코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a도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용 프리앰플(premble) 신호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4b도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용 비트 동기 신호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4c도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용 미드웨이 동기화 윈도우 프레임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간헐적 수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선택적인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또는 일반적인 페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헐적인 수신 동작을 제어하여 전력 소비가 줄어든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 신호인 POCSAG 코드를 수신하는 종래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이하 '수신기'로 함)는 간헐적인 수신 동작을 하여 밧데리의 서비스 시간을 연장한다. 간헐적 수신 동작에 있어서, 전달된 신호의 그룹화가 수행되고, 전달된 신호가 셀프-그룹에 속할 경우에만 수신기가 동작하여 상기 수신기의 작동 시간을 줄인다.
제1도는 범용 수신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수신기의 배치는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안테나(201)에 수신된 무선파는 수신부(202)에서 증폭되고 디모듈레이터(203)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204)는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신호 동기화를 수행하고, 셀프-ID를 이미 저장하고 있는 ROM(25)에서 셀프-ID를 읽어내어 이를 디지털 신호와 비교한다.
만약 디지털 신호에서 셀프-ID가 검출되면, 제어부(204)는 증폭기(206)에 신호를 보내고 스피커(207)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신호의 수신을 알려준다. 클럭(208)은 기준 클럭으로 사용되어 제어부(204)를 작동시키며, 또한 동기 클럭으로도 사용된다. 스위치(209)는, 예를 들어,정보 작동을 멈추게 하는데 사용된다.
제2a 내지 2d 도는 수신기의 타이밍 동작을 도시한다.
제2a도는 전달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신호의 전달이없는 상태(파지 정지 상태: wave stoppage 상태) 다음에, 비트 동기화용으로 사용된 프리앰블 신호(P)가 처음 전달된다. 신호의 위치를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화신호(SC)가 다음에 전달된다. 계속해서, 몇 개의 그룹(POCSAG에 있어서는 8개 그룹)으로 분류된 어드레스 신호가 전달된다. 많은 수의 ID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SC신호와 어드레스 신호가 반복적으로 전달된다.
제2b도는 종래의 수신기의 간헐적인 수신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파형 정지 단계에서, 수신기는 프리앰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짧은 주기동안 동작하여 무선파가 전달되었는지를 검출한다(프리앰블 서어치 모드(peramble search mode)). 프리앰블 신호(1 과 0으로 표시되는 신호)가 있을 때 수신기가 구동되면,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의하여 비트 동기화가 되어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기가 인식하게 된다. 그후, 수신기는 프리앰블 신호 다음의 SC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모드(SC 서어치 모드)로 넘어간다. SC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신호의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수신기는 셀프-ID가 세트될 수 있는 셀프-그룹과 함께만 동작된다(어드레스 서어치 모드).
각각의 그룹에 세트되는 전달 신호에 대하여 에러 수정이 행해지고, BCH 코드가 사용되어 신호의 신뢰도를 개선시킨다.
제3도는 BCH 코드의 형태를 도시한다. BCH 코드는 32비트로 구성되는데, 21 비트는 정보 비트이고, 10비트는 체크 비트이고, 1비트는 짝수(even) 패러티 비트이다. 이 신호는, 다른 BCH 코드 신호에 대하여 임의의 코드간 거리(inter-code distance)를 가지며, 따라서 신호 내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재생될 수 있다.
어드레스 코드는 BCH 코드이다. 이러한 이유로, 어드레스 서어치 모드 동안에 전송이 중단되면, 잡음 신호가 수신되기 때문에 BCH 코드를 인식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수신기는 파형 정지 상태를 위한 모드로서 프리앰블 서어치 모드로 넘어간다.
그러나, 빌딩 등과 같은 것에 의한 반사파의 영향으로 수신기에 있어서의 무선파 조건은 안정하지 못하다. 이러한 이유로, 시호가 실질적으로 전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약한 전계 때문에 BCH 가 인식되지 못할 수도 있고, 수신기는 프리앰블 서어치 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 이 경우에, SC 신호 다음에 상기 어드레스가 들어옴에도 불구하고, 수신기는 프리앰블 신호를 거의 검색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수신기는 프리앰블 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며, 따라서 셀프-그룹에 속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셀프-그룹 내에 셀프-ID가 설정되어 있더라도, 상기 수신기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수신기에 대하여 미드웨이 동기화 기능이 제공되어 재빨리 어드레스 서어치 모드를 회복한다.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 비트 동기화 및 미드웨이 동기화가 제4a도 내지 제4c도와 관련하여 후술될 것이다.
제4a도는 수신된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수신된 신호는 프리앰블 신호이다(1 과 0을 나타내는 신호). 제4B도는 제어부(204)에 의하여 수행된 비트 동기화를 위한 클럭을 나타낸다. 제4c도는 미드웨이 동기화를 행하기 위하여 제어부(204)내에 배치된 윈도우 프레임들을 나타낸다.
먼저 비트 동기화가 설명될 것이다. 제4a도에 도시된 신호와 비트 동기화 클럭(수신된 신호보다 두배 빠름)을 고려하자. 수신된 신호의 로직이 변할 때에 비트 동기화 클럭의 로직이 결정된다. 상기 비트 동기화 클럭은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만약 이때, 상기 비트 동기화 클럭이 L에 있으면, 클럭의 지속 시간은 소정 시간만큼 감소된다. 만약 이때, 상기 비트 동기화 클럭이 H에 있으면, 클럭의 지속 시간은 소정 시간 만큼 연장된다. 상기 도면에서의 경우에는, 비트 동기화 클럭이 L (X=0까지)로 유지되기 때문에, X 값은 점차 감소한다. X 값이 0에 근접한 순간에(소정 범위 내에 들어감) 비트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비트 동기화 클럭의 트레일링(trailing) 에지에서 수신된 신호가 결정된다. 즉, 비트 동기화가 되었을 때, 수신된 신호의 리딩(leading) 에지는 비트 동기화 클럭의 그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비트 동기화 클럭의 트레일링 에지는 수신된 신호의 중간점과 일치하여 수신 데이터는 정확히 읽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미드웨이 동기화가 기술될 것이다. 윈도우 프레임들이 상기 수신기에 준비되었는데, 각각의 윈도우 프레임은 수신기의 보오율의 1/2의 소정폭을 갖는다. 제1윈도우 프레임이 수신된 신호의 리딩 에지에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수신된 신호의 리딩 에지를 그 안에 갖는 윈도우 프레임들의 개수가 카운트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운트된 윈도우 프레임들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로 체크되면, 미드웨이 동기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지며, SC 서어치 모드로 진입된다(만약 수신된 신호가 수신기의 보오율의 어떤 신호이면, 모든 리딩 에지는 윈도우 프레임들 내에 나타난다). 따라서, 어드레스 신호나 그와 유사한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미드웨이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단지 종래의 미드웨이 동기화 방법만이 사용된다면, 어떤 윈도우 프레임 내의 잡음의 변화점이 나타날 수 있고, 따라서 미드웨이 동기화에 오차가 초래된다. 이 경우에, 제2c도에 도시된 것처럼, 밧데리 절감(saving)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SC 서어치 모드 시간은 길어진다. 즉, 전력 소비가 증가하여,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 때문에 미드웨이 동기화의 검출에 에러가 있을 때, 수신기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동기 시스템 하에서 간헐적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적합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된 호출 신호에 기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하며, 이미 동기 신호가 수립된 경우 출력을 제공하는, 제1검출 수단;
상기 제1검출 수단의 출력이 동기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낼 때 동작 가능한, 그리고 제1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및 제2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2검출 수단으로서, 이때 상기 제1 및 2 포맷된 신호는 각각 상기 수단된 호출 신호로부터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맷된 신호는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프리앰블부이며, 상기 제2포맷된 신호는 어드레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는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호출 신호들은 상기 비동기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임의의 포맷을 가지는, 이상의 제2검출 수단; 상기 제2검출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 중의 최소한 하나를 검출할 때 동작 가능한, 그리고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로부터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제3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3검출 수단으로서, 이때 상기 제3포맷된 신호는 상기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이상의 제3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상기 제2검출 수단이 나타낼 때, 상기 수신기의 동작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관한 것이며, 또한, 비동기 시스템 하에서 간헐적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수신된 호출에 기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될 때 제1포멧된 신호 및 제2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제1포맷된 신호는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프리앰블루이며, 상기 제2포맷된 신호는 어드레스부를 포함하나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는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은 각각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며 각각은 상기 비동기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임의의 포맷을 가지는, 이상의 검출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 중의 최소한 하나가 검출될 때,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로부터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제3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포맷된 신호는 상기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이상의 단계; 및 d)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수신기의 동작을 일시 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 신호는 복수개의 레벨 전환점을 갖는 신호이고, 상기 제2포맷된 신호는 BCH 코드이며, 상기 제3포맷된 신호는 프레임 동기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제3포맷된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사실을 상기 제3검출 수단이 나타낼 때, 상기 수신기의 동작은 또한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제2d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간헐적 수신 동작을 도시한다.
파형 정지 상태에서 프리앰블 서어치 모드내의 잡음으로 인하여 잘못된 미드웨이 동기화가 만들어질 때, 수신된 신호가 한 비트씩 쉬프트하면서 단번에 이 신호의 32비트가 추출되며, 각각의 32비트 신호가 BCH 코드인가 여부가 체크된다.
모든 32 비트들에 대한 셀프-보오율 신호에 있어서, 어드레스 신호로서, BCH 코드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시호가 적어도 32비트만큼 이동할 때까지 BCH코드가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잡음으로 인하여 BCH 코드를 인식하지 못하면, 잘못된 미드웨이 동기화가 이루어졌다는 결정이 행해지고, 수신기의 동작은 멈추게 된다. 이에 반하여, 수신된 신호가 셀프-신호이면, 종래의 수신기와 동일한 수행이 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제 5 도에 도시된 흐름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단계 501에서, 수신기는 프리앰블 서어치 모드로 세트된다. 만약 단계 502에서 비트 동기화 및 미드웨이 동기화가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수신된 신호는 셀프-신호가 아니라고 결졍되어, 상기 프리앰블 서어치를 다시 수행한다.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제어부(204)의 레지스터(t)는 1로 설정되고(단계 503), 32비트의 수신된 신호를 추출하여 이 신호가 프리앰블 신호인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504). 상기 추출된 신호가 프리앰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신호가 BCH 코드인가를 체크한다(단계 505). 만약 상기 신호가 BCH 코드가 아니면, 레지스터(t)의 내용은 순방향으로 쉬프트하고(단계 506), 한 비트 이동한 수신된 신호로부터 32비트가 추출된다(단계 507). 다음에 흐름도는 단계 504로 리턴하여 상기 추출된 32비트 신호가 프리앰블 신호인지 또는 BCH 코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레지스터(t)가 32를 초과하면(단계 508), 어드레스 신호가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흐름도는 프리앰블 서어치 모드로 진행한다(단계 509).
만약 단계 504 또는 505 에서 상기 신호가 프리앰블 신호 또는 BCH 코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수신기는 SC 서어치 모드로 설정되고, 종래의 수신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단계 510에서 상기 신호가 프레임 동기 신호 SC인 것으로 결정되면, 수신기는 어드레스 서어치 모드로 설정되고(단계 515), 여기서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가 셀프-그룹에 속할 경우에만 동작하는데, 이것은 상기 셀프-신호의 위치가 미리 특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프레임 동기 신호 SC가 검출되지 않으면, 레지스터(t)의 내용은 순방향으로 쉬프트하고(단계 511), 다음 추출된 신호가 검출된다(단계 512). 소정수(β)의 비트에 의하여 레지스터가 쉬프트할 때까지 SC 코드가 나타나는지가 체크된다(단계 513)(시스템에 기초한 소정 주기에서 SC 코드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SC 코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β값이 세트된다). 만약 SC 코드가 없으면, 수신기는 프리앰블 서어치 모드로 세트된다(단계 514)(실질적으로, 단계 505에서 BCH 코드의 결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수신된 신호가 셀프-신호일 경우에만 흐름도는 단계 510으로 진행하며, 따라서 흐름도는 단계 515의 어드레스 서어치 모드로 바로 진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기화가 이루어진 후에 BCH 코드가 검출되기 때문에, 잡음으로 인하여, 어떤 결정적인 에러도 야기되지 않는다. 따라서, SC 서어치 모드가 잡음으로 인한 결정적인 에러에 의하여 설정되지 않으며, 수신기의 동작 시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낮은 전력 소비의 수신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비동시 시스템 하에서 간헐적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적합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된 호출 신호에 기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하며, 이미 동기 신호가 수립된 경우 출력을 제공하는, 제1검출 수단; 상기 제1검출 수단의 출력이 동기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낼 때 동작 가능한, 그리고 제1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및 제2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2검출 수단으로서, 이때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는 각각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로부터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맷된 신호는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프리앰블부이며, 상기 제2포맷된 신호는 어드레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는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호출 신호들은 상기 비동기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임의의 포맷을 가지는, 이상의 제2검출 수단; 상기 제2검출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 중의 최소한 하나를 검출할 때 동작 가능한, 그리고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로부터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제3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3검출 수단으로서, 이때 상기 제3포맷된 신호는 상기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이상의 제3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상기 제2검출 수단이 나타낼 때, 상기 수신기의 동작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복수개의 레벨 전환점을 갖는 신호이고, 상기 제2포맷된 신호는 BCH 코드이며, 상기 제3포맷된 신호는 프레임 동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신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포맷된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사실을 상기 제3검출 수단이 나타낼 때, 상기 수신기의 동작은 또한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신호기.
  4. 비동시 시스템 하에서 간헐적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a)수신된 호출에 기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b)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될 때 제1포멧된 신호 및 제 2 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제 1 포맷된 신호는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프리앰블부이며, 상기 제2포맷된 신호는 어드레스부를 포함하나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는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은 각각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의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며 각각은 상기 비동기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임의의 포맷을 가지는, 이상의 검출 단계; c)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 중의 최소한 하나가 검출할 때, 상기 수신된 호출 신호로부터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제3포맷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포맷된 신호는 상기 호출 신호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이상의 단계; 및 d)상기 제1 및 제2포맷된 신호들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수신기의 동작을 일시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복수개의 레벨 전환점을 갖는 신호이고, 상기 제2포맷된 신호는 BCH 코드이며, 상기 제3포맷된 신호는 프레임 동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동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포맷된 시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동작 방법.
KR1019940035179A 1993-12-20 1994-12-19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0146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20462 1993-12-20
JP5320462A JP2730463B2 (ja) 1993-12-20 1993-12-20 無線選択呼出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244A KR950022244A (ko) 1995-07-28
KR0146917B1 true KR0146917B1 (ko) 1998-08-17

Family

ID=1812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179A Expired - Fee Related KR0146917B1 (ko) 1993-12-20 1994-12-19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5974A (ko)
JP (1) JP2730463B2 (ko)
KR (1) KR0146917B1 (ko)
CN (1) CN1070673C (ko)
GB (1) GB22849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4429B2 (ja) * 1995-10-26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699956B2 (ja) * 1995-10-30 1998-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3159303B2 (ja) * 1997-10-29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1341538A (ja) 1998-05-29 1999-12-10 Nec Shizuoka Ltd 無線通信装置
US6819599B2 (en) 2002-08-01 2004-11-16 Micron Technology, Inc. Programmable DQS preamble
EP4356947A3 (en) 2016-10-18 2024-08-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 extension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03402B (en) * 1981-07-27 1984-09-05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Synchronisation of digital radio pager
GB2136178A (en) * 1983-02-25 1984-09-1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Pager decoding system
GB8320979D0 (en) * 1983-08-03 1983-09-07 Multitone Electronics Plc Decoding arrangements
JPS6152038A (ja) * 1984-08-22 1986-03-14 Nec Corp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S62160830A (ja) * 1986-01-10 1987-07-16 Nec Corp 選択呼出信号受信機
US4803703A (en) * 1987-04-30 1989-02-07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ine synchronization of a communication receiver
US5227777A (en) * 1988-12-06 1993-07-13 Nec Corporation Radio paging receiver for intermittently receiving a paging signal transmitted on different phases of a clock
JPH04132321A (ja) * 1990-09-21 1992-05-06 Toshiba Corp バッテリセービング方式
JP2582471B2 (ja) * 1990-09-29 1997-02-1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01749A1 (en) 1998-07-03
GB2284915A (en) 1995-06-21
GB2284915B (en) 1997-10-29
CN1070673C (zh) 2001-09-05
CN1116395A (zh) 1996-02-07
JPH07177552A (ja) 1995-07-14
KR950022244A (ko) 1995-07-28
US5525974A (en) 1996-06-11
JP2730463B2 (ja) 1998-03-25
GB9425737D0 (en) 199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623A (en) Decoding arrangements for synchronous receivers
EP0095750B1 (en) Battery saving circuit for a portable radio receiver
EP0554386B1 (en) Receiver with battery saver
EP0091695B1 (en) Battery saver circuit for use with paging receiver
KR100274661B1 (ko)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확장된 스탠-바이 작동 모드에 있어서 라디오텔레폰 작동 방법 및 장치
EP0446248B1 (en) Power con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ion of a synchronous information signal
EP0071425B1 (en) Synchronization of digital radio pager
JPH0656976B2 (ja) 個別選択呼出し受信機
JP3101527B2 (ja) 移動メッセージ受信機に送られた符号化送信を解析する復号器および復号方法
JPH0212422B2 (ko)
EP0118153A1 (en) Pager decoding system
KR0146917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JP2630233B2 (ja) バッテリーセービング機能をもつ無線選択呼出受信機
EP0532552B1 (en) Time based signal detector
US5734686A (en) Selective power supply control for battery saving effectively
WO1993022848A1 (en) Adaptative battery saving controller
JP2712868B2 (ja) 選択呼出受信機
US5227777A (en) Radio paging receiver for intermittently receiving a paging signal transmitted on different phases of a clock
US60788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post detection filtering for simulcast receivers
EP0772311B1 (en) Frame identification of a wireless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930010365B1 (ko) 전력 보존방법 및 장치
US6215414B1 (en) Radio selective pager
CA2004590C (en) Radio paging receiver
CN1032509C (zh) 具有两种模式电池节省功能的选呼接收机及其方法
JPH0773380B2 (ja) 選択呼出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