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5787B1 -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787B1
KR0145787B1 KR1019940026056A KR19940026056A KR0145787B1 KR 0145787 B1 KR0145787 B1 KR 0145787B1 KR 1019940026056 A KR1019940026056 A KR 1019940026056A KR 19940026056 A KR19940026056 A KR 19940026056A KR 0145787 B1 KR0145787 B1 KR 014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oxygen
tower
pressur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무룡
박두선
박경석
이수언
김한수
민경현
이선우
Original Assignee
김영대
대성산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대성산소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1994002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787B1/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탑의 하부에 할성알루미나를 충전하고, 상부에는 질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합성제올라이트 분자체를 충전한 3기의 흡착탑을 이용하여 압력변동흡착법에 의해 공기로부터 산소를 제조하는 상압흡착 후 진공재생방식으로 운전되는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2 흡착공정이 완료된 탑의 상부에 잔류하는 농축산소성분을 회수하는 과정에 있어서 종래의 균압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흐름의 와류현상이나 탑내산소농도 구배의 불안정 등의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제품순도 및 회수율의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탈착공정이 끝난탑에 제품산소로써 흡착압력 가까이 축압시킨 후, 상기의 잔류산소성분을 축압공정이 완료된 탑의 하부로 회수함에 있어서, 가스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서 탑내부의 가스흐름의 교란을 방지하여 흡착탑 내부의 산소농도구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므로써 제품의 회수율 및 순도의 항상을 도모하였다. 또한 축압공정시 가스의 탑내유속을 7Cm/sec 이하로 유지하여 공정효율을 향상시켜 순도 94% 이상의 제품산소를 제조하면서 회수율은 5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제 1 도는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 장치의 구성도.
제 2 도는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 방법의 공정구성도.
제 3 도는 산소제조공정의 탑내 압력변화도.
제 4 도는 재생 진공도에 따른 제품산소의 농도변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D-I, AD-II, AD-III:흡착탑 C10:공기압축기
R40:제품탱크 V40:진공펌프
7,9,10,13,15,16:밸브
본 발명은 압력변동흡착(PSA:Pressure Swing Adsorption)법에 의해 산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흡착탑의 하부에 활성알루니마를, 상부에는 질소흡착제인 합성제올라이트 분자체를 충전한 3기의 흡착탑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질소를 선택적으로 흡착제거하여 산소를 회수하고, 감압하여 흡착제의 탈착재생을 행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산소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압력변동흡착법에 의해서 공기중으로부터 산소를 농축회수하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통상적으로 질소성분을 흡착하는 합성제올라이트 혹은 천연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충전한 흡착탑의 한쪽 끝에서 공기를 가압공급하고 반대 끝으로부터 제품산소를 회수하는 것이다. 가압공기가 흡착탑에 공급됨에 따라 흡착제는 질소성분으로 점차적으로 포화흡착되고 흡착탑을 통과한 농축산소는 제품으로 회수된다. 제품산소중의 질소성분이 허용농도치가 되면 원료공기의 공급을 중단하고 질소성분으로 포화된 흡착탑을 감압재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흡착공정이 완료된 탑의 출구부근에 제품으로 회수되지 않은 농축산소가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회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흡착공정이 완료된 탑의 출구부근에 잔류하는 농축산소를 회수하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최근에는 압력변동흡착법으로 산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품의 순도를 향상시키고 소비동력을 낮추기 위해 가압흡착 후에 상압재생을 실시하는 방법에서 점차 상압흡착 후에 진공재생하는 방법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특허 공보 제 93-5315 호에서는 상기의 잔류농축산소를 회수하기 위하여 탈착재생이 완료된 탑과 흡착공정이 끝난 탑의 상부를 서로 통관하여 흡착공정이 끝난탑의 상부에 잔류하는 농축산소성분을 탈착재생이 완료된 탑으로 1차적으로 회수(상-상균압)하고, 회수되는 산소의 농도가 87% 이하로 떨어지면 탑의 하부로 나머지 잔류농축산소성분을 회수(상-하균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균압공정에서는 균압을 도모하는 두 탑의 압력차이를 이 공정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균압공정시 가스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잔류가스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상-상 균압과 상-하 균압을 순차적으로 행하기 때분에 탑내부의 가스의 흐름이 바뀌게 되어 산손농도구배가 완만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탑내부의 산소농도구배의 불안정은 제품의 순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할 뿐만아니라, 제품의 회수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착공정이 환료된 후 탑의 상부에 잔류하는 농축산소를 회수함에 있어서, 가스흐름의 교란현상을 막고 잔류하는 농축산소의 회수율을 높히기 위해서, 잔류농축산소의 회수에 앞서서 탈착배기공정이 완료된 탑을 제품산소로서 흡착압력 가까이 축압한 후, 상기 흡착공정이 완료된 탑의 하부에서 계속해서 원료공기를 공급하고 탑의 상부로 배기되는 농축산소를 축압공정이 완료된 탑의 하부롤 도입함에 따라 균압공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고 탑내부의 산손농도구배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균압공정에 의한 제품산소의 일시적인 농도저하를 염려할 필요가 없을 뿐만아니라, 제품의 회수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축압공정시 탑내의 유속을 7Cm/sec 이하로 하므로써 제품산소와 탑내에 잔류하는 질소성분과의 물질이동을 최대로 용이하게 하여 흡착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흡착탑의 상부의 질소성분을 가능한 하부쪽으로 이동시키므로 제품의 순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발명을 첨부도면과 그 운전공정에 관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제 1 흡착탑 AD-I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축압공정
진공펌프(V40)에 의해 탈착재생이 완료된 제 1 흡착탑 AD-I의 상부와 제품탱크(R40) 사이의 밸브(10)과 (16)을 열고, 제품탱크(R40)으로부터 제품산소의 일부를 도입하여 흡착압력 가까이 축압한다. 이때 축압시의 탑내유속은 7Cm/sec 이하로 하여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는 질소와 제품산소의 치환을 용이하게 하고 치환된 질소는 탑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2)제 1 흡착공정
제 1 흡착탑 AD-I의 축압공정이 완료되면 밸브(10)과 (16)을 닫고 밸브(7)을 열어서 제 2 흡착공정이 완료된 제 2 흡착탑 AD-II의 상부에 잔류하는 산소를 제 1 흡착탑 AD-I로 도입하고 상부로 배기되는 제품산소는 밸브(13)을 열어서 제품탱크(R40)에 저장한다. 제 2 흡착탑 AD-II의 상부에 잔류하는 산소의 회수가 완료되면 제 1 흡착공정을 종료한다.
(3)제 2 흡착공정
제 1 흡착공정, 즉 제 2 흡착탑 AD-II 상부에 잔류하는 산소 성분의 회수가 완료되면 원료공기를 제 2 흡착탑 AD-II로의 공급을 중단하고 공기 압축기(C10)에 의해서 제 1 흡착탑 AD-I의 하부로 직접 도입한다. 원료공기를 계속해서 제 2 흡착탑을 통과시켜 제 1 흡착탑으로 도입하는 것을 흡착탑이나 배관 및 밸브등에서 압력손실만 초래할 뿐 효율향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제 2 흡착공정에서는 원료공기글 제 1 흡착탑 AD-I의 하부로 직접 도입하고 상부에서는 제품산소를 회수한다.
제 2 흡착공정시 탑의 상부로 배기되는 제품산소중에 함유하고 있는 질소성분이 허용치 이하에서 이 공정을 완료하여야 한다. 즉 질소의 파괴점으로부터 충분한 여유를 두고 이 공정을 종료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음에 설명하는 회수공정에서 상부에 잔류하는 농축산소가 충분히 다른 탑으로 회수되기 때문이다.
(4)회수공정
이 공정은 탑의 상부에 잔류하는 농축산소성분을 다른 탑으로 회수하여 제품으로 취하기 위한 공정으로 밸브(13)을 닫고 밸브(9)를 열어서 제 1 흡착탑 AD-I의 상부에 잔류하는 산소성분을 축압공정이 완료된 제 3 흡착탑 AD-III의 하부로 도입하고 밸브(15)를 열어서 상부로 배기되는 산소를 제품으로 취한다. 제 1 흡착탑 AD-I의 상부에 잔류하는 산소의 회수가 완료되면, 즉 제 1 흡착탑 AD-I 상부로 배기되는 산소의 농도가 공기중의 산소조성과 같아지게 되면 회수공정이 종료된다.
(5)탈착재생공정
회수공정이 완료되면 제 1 흡착탑 AD-I은 질소성분으로 포화되어 있다. 이 질소 성분을 진공펌프(V40)와 연결시켜 탑내압력이 120torr가 될 때까지 진공탈착시켜서 대기로 방출한다. 이 탈착재생공정에서 질소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품산소의 일부를 탑의 상부에서 흘려주는 것은 제품의 손실을 초래하여 제품의 회수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탈착재생공정시에 제품산소를 흘려주는 대신에 질소탈착재생의 진공도를 높혀 운전하여 제품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제품산소의 회수율을 높힐 수 있다.
제 2 도는 상기의 공정이 보기 쉽게 도시되어 있고 제 3 도에는 흡착탑 AD-I, AD-II 및 AD-III 의 탑내압력 변화도가 도시되며, 제 4 도에는 재생진공도에 따른 제품산소의 농도 변화도가 도시된다.
상기 5개의 공정을 흡착탑 AD-I에서 흡착탑 AD-II, III에 공정의 위상이 서로 다르게 반복하여 실시하므로써 제품산소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는 상기의 공정을 실제장치에 적용하여 실시한 예에 대하여 기술한다.
[실시예]
제 1 도에 나타난 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로부터 산소의 제조를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탑의 하부에는 활성 알루미나를, 상부에는 질소흡착제이니 합성제올라이트 분자체로 충전하였으며, 흡착탑 AD-I, AD-II, AD-III의 내경을 89.1mm 높이 1500mm의 것을 사용하였고, 한 탑당 흡착제 충전량은 활성알루미나 1.8kg, 합성제올라이트 4.4kg이었다.
상기의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원료공기의 압력을 0.5kg, 유량을 42 l/min 사용하여 94.9%의 제품산소를 5.06 l/min 생산하였다(회수율 54.4%). 이때의 각공정시간은 축압 50초, 제 1 흡착공정 30초, 제 2 흡착공정 50초, 회수공정 30초 탈착공정 80초였으며, 축압시 가스의 탑내유속은 5.3Cm/sec 이었다.
본 발명의 산소제조방법에 따르면, 상압흡착과 진공재생방법으로 운전되는 산소압력변동흡착식 장치에서 흡착공정이 완료된 탑의 출구부근에 잔류하고 있는 농축산소 성분을 축압공정이 완료된 탑의 하부로 회수하여 제품산소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고순도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흡착탑의 하부에는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알루미나를, 상부에는 질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합성제올라이트 분자를 충전할 3기의 흡착탑을 이용하여 압력변동흡착법에 의해 공기로부터 산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흡착공정이 완료된 제 1 흡착탑 AD-I에 제품산소를 제품탱크(R40)로부터 탑의 상부로 도입하여 흡착압력부근까지 축압하는 축압공정과, 제 2 흡착탑 AD-II의 제 2 흡착공정 후 탑의 상부에 잔류하는 산소성분을 축압공정이 완료된 탑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원료공기를 제 2 흡착탑 AD-II 하부에서 계속해서 도입하면서 탑의 상부로 배기되는 농축산소성분을 제 1 흡착탑 AD-I의 하부로 도입하면서 상부로부터 제품산소를 회수하는 제 1 흡착공정과, 제 2 흡착공정 후 탑의 상부에 잔류하는 농축산소를 축압공정이 완료된 제 3 흡착탑 AD-III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원료공기를 제 1 흡착탑 AD-I 하부로부터 도입하여 상부로 배기되는 농축산소를 제 3 흡착탑 AD-III의 하부로 회수하는 회수공정과, 축압공정에서 회수공정까지를 수행하여 질소성분으로 포화되어 있는 흡착탑을 진공펌프로서 감압탈착하므로써 흡착탑을 재생하는 탈착재생공정을 제 1 흡착탑 AD-I에서 제 2,3의 흡착탑 AD-II, AD-III에 공정위상이 서로 다르게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탈착재생이 완료된 흡착탑을 제품산소로서 축압할 때 가스의 탑내유속을 7Cm/sec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제조방법.
KR1019940026056A 1994-10-12 1994-10-12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KR014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056A KR0145787B1 (ko) 1994-10-12 1994-10-12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056A KR0145787B1 (ko) 1994-10-12 1994-10-12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5787B1 true KR0145787B1 (ko) 1998-08-17

Family

ID=1939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056A KR0145787B1 (ko) 1994-10-12 1994-10-12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80B1 (ko) * 2006-02-03 2008-10-09 (주) 선바이오투 압력변동흡착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3266A (ko) * 2015-04-02 2015-04-22 이종찬 3탑을 이용한 질소 또는 산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80B1 (ko) * 2006-02-03 2008-10-09 (주) 선바이오투 압력변동흡착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3266A (ko) * 2015-04-02 2015-04-22 이종찬 3탑을 이용한 질소 또는 산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735A (en) Enrichment in oxygen gas
KR100254295B1 (ko) 단일 흡착 베드를 이용한 압력 스윙 흡착 방법
US5085674A (en) Duplex adsorption process
US4359328A (en) Inverted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US5536300A (en) Natural gas enrichment process
US5536299A (en) Simultaneous step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JPS5922625A (ja) 一酸化炭素ガス及び窒素ガスを含む混合ガスより窒素ガスを吸着法により除去する方法
EP0215899A1 (en) PRESSURE CHANGE ADSORPTION METHOD.
US5547492A (en) Method for adsorbing and separating argon and hydrogen gases in high concentration from waste ammonia purge gas, and apparatus therefor
EP0354259A1 (en) Improved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US5403385A (en) Serial flow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for gas separation
KR0145787B1 (ko) 압력변동흡착식 산소제조방법
CN112742172B (zh) 一种能源气体净化方法
KR900007860B1 (ko) 고순도 질소제조방법 및 장치
KR100275858B1 (ko) 압력변동흡착식 질소 제조방법 및 장치
KR19980016382A (ko) 압력변동흡착식 고순도 이산화탄소 제조방법
JPH04227018A (ja) 高純度不活性ガスの製造方法
JPS621767B2 (ko)
JP2981303B2 (ja) ガス混合物から気体不純物を分離する方法
KR100292555B1 (ko) 높은 생산성을 갖는 수소 압력변동흡착 공정
JPH0967104A (ja) 圧力スイング吸着法による酸素濃縮方法
JPS60161309A (ja) 富酸素ガスの製造法
CA2118572C (en) Serial flow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for gas separation
JPH0456648B2 (ko)
KR930000267B1 (ko) 개량된 압력진동 흡착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41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