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4573B1 -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붕대 및 봉함 단위체 - Google Patents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붕대 및 봉함 단위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573B1
KR0144573B1 KR1019900000504A KR900000504A KR0144573B1 KR 0144573 B1 KR0144573 B1 KR 0144573B1 KR 1019900000504 A KR1019900000504 A KR 1019900000504A KR 900000504 A KR900000504 A KR 900000504A KR 0144573 B1 KR0144573 B1 KR 014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acking
dressing
central portio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442A (ko
Inventor
브루스 하이네케 스티븐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밀러 셀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밀러 셀,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filed Critical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to KR101990000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573B1/ko
Publication of KR90001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5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 붕대 및 봉함 단위체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개방 또는 미접철된(unfolded) 필름 드레싱(dressing)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접철된 필름 드레싱에 대한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드레싱의 대안적 구체예에 대한 확대 측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필름 드레싱 제조법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5도는 일부 층을 나타내도록 절단한 몇몇 부분으로 부가로 열봉인된 제3도의 필름 드레싱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6도는 라벨을 부가로 포함하는 제3도의 드레싱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7도는 선7-7을 따라 자른 제6도의 필름 드레싱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한 표면이 접착제로 코팅된 배킹을 포함하는 압감성 접착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표면에 도포 및 이를 취급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을 갖는 압감성 접착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용 드레싱(dressing)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매우 얇은, 접착제-코팅된 투명 필름인 배킹에 사용시 특히 잇점을 가진다.
비록, 본 발명이 전이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접착 복합체에 유용하다하더라도, 본 발명은 특히 투명 필름 드레싱 및 외과 수술용 붕대와 관련하여 잇점을 가진다. 이들 드레싱과 붕대는 오염 액체와 박테리아에 대해 차단체 역할을 하면서 습윤 환경하에서 치료를 용이하게 해주는, 상처 부위의 보호층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드레싱은 TegadermTM(3M, St. Paul, Minnesota), BioclusiveTM(Johnson Johnson, New Brunswick, New Jersey), Op-SiteTM(T. J. Smith Nephew, Hull, England) 및 UniflexTM(Howmedica, Largo, Florida)의 상표명으로 시판된다.
이러한 드레싱에 사용되는 중함체 필름은 편안한 것이어야 한다. 즉, 이것은 이들 필름이 극도로 얇고, 무르고, 유연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필름의 접착제 코팅된 표면에 덮어씌운 박리 가능한 보호용 라이너에 의해 제공된다. 라이너를 제거하는 경우, 접착제 코팅된 필름은 주름지며 그 자체에 점착되는 경향이 있어, 피부에 상기 무균 드레싱 또는 붕대를 부드럽게 적용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여러가지 전이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전이 시스템의 하나는 3-부분 라이너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614,183호에는 사이에 중앙 갭이 있는 두개의 라이너에 박리될 수 있게 접착되는 비교적 얇은 중합체성 필름을 갖는 복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라이너 부위는 중앙 갭 옆에 위치한 짧은 J-접철(fold)을 가진다. 제3의 라이너 단편은 배킹의 접착제 코팅된 표면상에서 중앙 갭을 덮고, J-접철 너머로 연장되어서 제거하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드레싱을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중앙 라이너 단편을 제거하고, 배킹의 중앙부를 기재에 적용시킨 다음, 드레싱의 측부까지 펄쳐 J-접철을 잡고, 라이너 단편을 배킹으로부터 제거해야만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018,881호에는 적어도 3개의 라이너 단편을 가지며, 배킹의 접착제-코팅된 표면이 덮개 판넬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되는 접철된 접착 붕대 봉인 단위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봉인물은 피부에 적용시, 붕대를 펼치고, 사용자가 당길때 떨어지는 핑거 탭(finger tab)을 가진다. 봉인 형성 판넬은 핑거 탭을 계속 당김으로써 피부에 적용된 후에 접착 붕대로 부터 분리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98,004호에는 적어도 일부분상에 접착제가 코팅된 배킹 및 상기 접착제상의 분리된 라이너 단편물을 갖는 접착 복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배킹의 적어도 한 모서리는 라이너에 견고하게 접착되고, 배킹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전이 단편체이다. 배킹상의 라이너 단편물과 전이 단편체간의 결합은 전이 단편체가 라이너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배킹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기에 충분하리만큼 강해야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050,121호에는 기저귀 주위로 Y 형상으로 접혀져 기저귀를 잡는데 있어서 부가의 강도를 제공하는 라이너를 갖지 않는 기저귀 탭이 개시되어 있다. 기저귀를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탭의 일부분은 기저귀의 모서리 주위로 감싸여져 있고 사용전에 보관용 탭의 고정 부분에 박리될 수 있게끔 접착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127,132호에는 테이프 탭이 그 자체에 대해 접혀져 있고, 2번 또는 그 이상으로 펼쳐질 수 있어서 새로운 접착제를 노출시킬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 테이프 체결체가 개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형에서, 테이프 단편체는 접착제의 특정 지점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접철된 형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접착 복합체는 중앙부가 측부에 의해 대면상에 결합되는 배킹을 가진다. 상기 중앙부는 배킹의 한면의 적어도 일부분상에 코팅되는 압감성 접착제를 가진다. 배킹 중앙부의 이러한 접착제-코팅된 면은 이전의 가용 접착 복합체 보다도 하나의 단편 라벨, 테이프 도는 드레싱을 저가로 제공하면서 배킹의 측부중 적어도 하나에 박리될 수 있게끔 접착된다.
상기 접착 복합체는 또한 배킹의 중앙부를 배킹의 측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순단은 배킹에서 제공된 평행한 한 쌍의 다공 절단선(perforation)이어서, 복합체를 기재에 전이한 후에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측부가 인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한가지 모형에 있어서, 배킹의 중앙부는 하나의 배킹 측부내의 선을 따라 배킹을 접음으로써 배킹의 측부중 하나에만 박리될 수 있게끔 접착될 수 있고, 이러한 측부는 중앙부의 접착제 코팅된 면이 완전히 덮혀질 수 있도록 충분히 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배킹의 중앙부는 두 부분으로 접철되어 이러한 부분의 비 접착제 면이 근접되거나 접촉된다. 이러한 접철은 접착제 코팅물이 배킹의 접철된 중앙 부위의 외향면상에 있기 때문에 외향 접철로 지칭될 수 있다. 다음, 배킹은 각각의 측부에서 다시 접철되고, 이럼으로써 배킹의 측부는 중앙부의 대응되는 접착제 코팅면에 박리될 수 있도록 접착된다. 이러한 접철은 접착제 코팅물이 접철된 배킹의 내향면상에 있기 때문에 내향접철이라 칭한다.
배킹은 습기와 증기 투과성인 접착제 코팅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습윤 증기를 통과시켜야만 한다. 습윤 증기 고투과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는 생체 상용성(biocompatib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감성 접착 복합체는 습윤 증기 고투과성 필름이고, 습윤 증기 고투과성 생체 상용성 접착제이며 투명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드레싱 복합체(1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숫자는 동일 부분을 지칭한다. 제1도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필름과 같이 습기 투과성 및 물과 박테리아 불투과성인 얇은 투명 중합체 필름으로 제조된 배킹(11)을 포함하는 미접철된 드레싱(10)을 도시한 것이다. 배킹(11)은 측부(14)와 (16)에 의해 대면상에 붙어 있는 중앙부(12)를 가진다. 중앙부(12)는 피부에 저자극적인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저알레르기성 아크릴 레이트 공중합체 생체 접착제인 압감성 접착제에 의해 한면상에 코팅된다. 측부(16)는, 배킹 물질과 접착제 특성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배킹에 대한 접착제의 접착 정도를 감소시키는 저에너지 표면 코팅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박리 물질(15)에 의해 한면상에 코팅된다. 배킹 물질과 접착제를 선택하는 특정의 경우에 있어서는 박리 코팅물이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다공 절단(perforation)선 (18 및 20)을 만들어 드레싱을 피부에 전달한 후, 측부(14)와 (16)으로부터 중앙부(12)를 분리할 수 있게 하였다. 중앙부(12)는 접는선(22)을 따라 접철 배킹(11)에 의해 측부에 박리될 수 있게끔 접착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접철된 드레싱 구체예에 대한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합체를 전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접착제 비코팅된 단부(24)와 (26)을 잡고 반대 원형 방향으로 당기고, 이에 의해서 중앙부(12)의 접착제-코팅된 면을 노출시킨다. 다음, 사용자는 중앙부를 피부에 적용시키고 다공 절단선(18)과 (20)을 따라 인렬함으로써 측부(14)와 (16)을 중앙부(12)로부터 분리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대안적 드레싱 복합체(30)에 대한 확대 측면도이다. 이 구체예에서, 배킹(31)은 중앙부(32)와 측부(34) 및 (36)을 가진다. 접착제(37)는 중앙부(32)의 한 면상에 코팅된다. 다공 절단선(38)과 (40)을 중앙부(32)내에 만들어 중앙부(32)를 피부에 전이한 후 중앙부(32)를 측부(34)와 (36)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37)는 다공 절단선(38)과 (40)너머로 연장되므로써, 적용후 피부상에 남아 있는 드레싱 복합체(30) 부분이 어떠한 모서리도 벗겨져 있지 않고 드레싱의 모서리 주위로 접착되게 한다. 중앙부(32) 및 측면부(34 및 36)에는 각각 중앙 접부(42) 및 측면 접부(45 및 46)가 제공되어, 중앙부(32)의 접착제-코팅된 면이 측면부(34 및 36)에 박리되게끔 접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3단계 접철식 구체예에 있어서, 중앙 접부(42)의 반대면상에 있는 중앙부(32)의 부분중 접착제 비코팅된 면은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된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중앙 접부(42)를 생략한채 측부(34)와 (36)이 접경되고 부가의 접철이 제공되므로써, 비접척된 말단부(50)과 (52)가 중앙부(32)로부터 연장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잡을수 있게 된다. 접착제의 점체 또는 장방체와 같은 배킹 연합 수단(48)은 중앙 접부(42)의 어느 한 면상에 있는 중앙부(32) 부분의 접착제 비 코팅된 면 사이에 위치하여 드레싱 복합체(30)를 미리 펼쳐지지 않고 취급하기 더욱 용이하게 한다. 사용시, 사용자는 비 접착된 단부(50)과 (52)중 하나를 한손에 잡고 반대 원 방향으로 당긴다. 이러한 작용을 통하여 중앙부(32)의 접착제 코팅된 면을 노출시키고 피부상에 정착하게 한다. 피부상의 필요한 위치에 중앙부(32)를 전이한 후, 다공 절단선(38)과 (40)을 인렬함으로써 측부(34)와 (36)을 제거한다.
제4도는 제3도의 드레싱 구체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평면도이다. 드레싱 구체예(30)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로울로부터 임의로 권출되는 배킹 시이트(60)에 규칙적 간격으로 위치된 장방형의 컷아웃(cotout)(62)을 설치하여, 배킹 시이트(60)을 개별 드레싱으로 분할한 후, 중앙부(32)의 너비를 측부(34)와 (36)보다 더 협소하게 한다. 배킹 시이트(60)에는 평행한 연속 다공 절단선(38)과 (40)을 만든다. 그러나, 상기 절단선은 둥글게 된 코너부를 최종적인 고정 드레싱에 제공하기 위해 굽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배킹 시이트(60)의 중앙부(32)를 접착제(37)로 코팅하고, 배킹 시이트의 측부(34)와 (36)을 박리 물질(47)로 코팅한다. 접착제와 박리 물질은 임의의 순서로 코팅할 수 있지만, 박리 물질을 먼저 배킹에 코팅한 후, 접착제를 중첩 코팅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드레싱 구체예(30)는 장방형 컷아웃(62)을 통해 길이로 늘어진 선을 따라 다이 절단함으로써 배킹 시이트(6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드레싱 주체예(30)는 시이트(60)의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접철될 수 있거나, 또는 드레싱을 먼저 절단한 후, 후속적으로 개별 드레싱을 접철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들은 그 순서가 상호 교환될 수 있고, 결국은 동일한 최종 생성물을 산출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장방형 컷아웃(62)은 접철전의 최종 단계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제5도는 제3도의 드레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그 일부는 층을 보여주도록 절단하였다. 이것은 또한 드레싱의 주변부 주위에 열 봉인부(64), 및 주변부에서 들어간 제1열 봉인부(66)를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비-접착된 말단부(50)과 (52)를 더욱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열 봉인부(66)는 세브론(chevron) 형태이지만, 비-접착된 말단부(50)과 (52)를 잡을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열 봉인부(64)와 (66)을 사용하는 대신에 접착제와 같은 수단에 의해서 드레싱(30)의 모서리를 확보해둘 수도 있다.
제6도는 제거할 수 있고 임의적으로 재고정시킬 수 있는 라벨(70)을 부가로 포함하는, 제3도의 드레싱 구체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라벨(70)은 종이나 배킹 물질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물질과 같은 상대적으로 강한 임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라벨(70)은 필기용 표면을 제공하는 것과 아울러, 드레싱(30)의 취급 적성을 향상시키는 강화 수단이다. 라벨(70)은 피부에 드레싱(30)을 전이하는데 방해되지 않는다면 임의의 크기로 될 수 있다. 예를들어, 라벨(30)은 측부(34)와 (36)을 전체적으로 덮고 다공 절단선(38)과 (40)의 모서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라벨(70)은, 그 상에 필름 배킹(31)이 압출되거나 주조되는 물질이 존재하므로써, 측부(34)와 (36)에 박리될 수 있게끔 접착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해 배킹(31)에 박리될 수 있고 재고정될 수 있게끔 접착될 수 있다.
제7도는 제6도의 드레싱을 선7-7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착 복합체에서 극도로 무른 물질을 배킹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측부의 코너부가 말리고, 전체적인 복합체가 뒤틀릴 수 있기 때문에 취급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특히 측부에 강화 수단을 도입하여 취급 적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연장된 라벨, 지류나 섬유, 드레싱 특정 부위에서의 라이너의 이중 물질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에서의 접철, 접혀진 등과 같은 용어는 복합체의 특정 부분 및 이러한 부분의 상대적인 공간 형상을 나타내는데 편리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배킹과 라이너에서의 실제적인 주름은 본 발명의 복합체를 획득하는데에는 필요치 않은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배킹에는 주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이 시스템은 압감성 접착제가 코팅된 임의의 배킹에 대하여 유용하다. 대표적인 배킹은 부직포 섬유 웨브, 섬유 웨브, 니트 및 기타 유사 배킹 물질이다. 바람직한 배킹 물질은 중합체 필름이다. 본 발명은 습윤 증기 고투과성 필름을 갖는 압감성 접착 복합체에 특히 유용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3,645,835호 및 제4,595,001호에는 상기 습기/증기 투과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들 필름의 투과성을 시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필름/접착제 복합체는 습윤 증기를 적어도 300g/m2/24시간/37℃/100-10%RH의 속도로 투과시켜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코팅 필름은 습윤 증기를 적어도 700g/m2/24시간/37℃/100-10%RH의 속도로 투과시킨다.
상기 복합체는 조직 표면에 편안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복합체를 동물 조직 표면에 적용할 때, 표면이 움직일 때 조차도 표면에 순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배킹은 또한 동물 조직 관절부에 편안한 것이다. 관절을 구부릴때 배킹은 관절의 구부러짐에 순응하기 위해 연신되고, 관절이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 갔을때는 관절에 계속 조화되기 위해서 충분히 탄력성이 있어야 한다.
정합성의 측정치는 F 값으로 나타내며, 이것은 물질의 지정된 퍼센트 연신점(아래 첨자로 주어짐)에서 취해진 연신력을 측정한 것이다. F10의 값은 힘의 측정이 10% 연신에서 취해진 것을 제외하고는, ASTM 시험 방법 D3759를 Instrument Company(Philadelphia, PA) 제품의 Interlect II를 사용하여 측정값을 얻었다. Intelect II의 교차-헤드 속력을 분당 10인치로 설정하고 차트(chart) 속력을 분당 10인치(25.4cm)로 설정하였다. 게이지 길이를 2인치(5.1cm)로 두고 시험 샘플을 1인치(2.54cm) 너비로 시험하였다.
F10값은 몸체 표면의 운동 및 이러한 몸체 변형에 연신되는 물질의 능력에 대한 대략적인 값이다. 배킹에 대한 값은 약 1파운드(454 그람)를 넘지 않아야 되고, 약 0.8파운드(363 그람)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처용 드레싱 또는 붕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2.5파운드(1135 그람) 이상의 F10값을 갖는 배킹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F10값이 증가함에 따라, 정합성은 저하되고 마찬가지로 의료용 드레싱으로서의 안락성을 수행하는 배킹의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정합성은 어느 정도 두께에 좌우되고, 따라서 배킹이 얇을수록 더욱 안락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필름의 두께는 12 내지 25 미크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처용 드레싱 필름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중합체의 예로는 EstaneTM(B.F. Goodrich, Cleveland, Ohio)과 같은 폴리우레탄;duPont HytrelTM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Wilmington, Delaware)와 같은 탄성중합체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폴리우레탄과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염소화된 폴리에틸렌;KratonTM상표의 열가소성 고무(Shell Chemical Company, Houston, Texas), PebaxTM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Rilsan Corp., Glen Rock, New Jersey)와 같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가 있다.
바람직한 배킹은 폴리우레탄 및 탄성중합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이들 필름은 탄성, 습윤 증기 고투과성 및 투명성의 바람직한 특성을 조합한 특성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한 배킹은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서, 이것은 폴리우레탄과 탄성중합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보다 더욱 높은 습윤 증기 투과성 및 탄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다공성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미합중국 특허 제4,539,2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은 라이너 물질로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도로 유연하고 탄성적인 라이너에 의해 덮여지는 접착제로 코팅된 배킹을 갖는 접착 복합체에서는, 코팅된 다공성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라이너는 둘다 매우 안락하고 매우 큰 내부 강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물질은 접착제 코팅 표면으로부터 발리된 때 뽑히는 것에 대한 저항성이 있다. 이러한 물질은 180。박리 각도의 응력에 견딜수 있고, 라이너가 복원되는 시점에서 잔류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조절된 박리가 필요한 적용물에서 이형 물질로서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적용의 실례는 자동차 핀스트라이핑(pinstriping) 테이프이다.
바람직한 상처용 드레싱 구체예로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압감성 접착제는 미합중국 특허 재발행 제24,906호에 개시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97:3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와 같은, 피부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접착제이다. 기타 유용한 접착제는 일반적 형상이 -A-B-A-인 중합체 블록 구조를 3개 또는 그 이상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서, 이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3,389,827호에 개시되어 있는바, 각 1블록은 평균 분자량이 약 500 내지 125,000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실온 이상(즉, 약 20℃ 이상)인 열가소성 중합체이고, B블록은 평균 분자량이 약 15,000 내지 250,000인 공역 디엔의 중합체이다. 유용한 접착제의 또 다른 실례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112,2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n-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접착제, 및 가교 결합된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이다. 이 접착제는 요오드와 같은 약제 및 항미생물제를 포함하는 것이 상처 치료와 감염 방지에 효과적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310,509호 및 제4,323,557호에는 상기 항미생물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접착제 및 박리 코팅물의 다양한 조합체가 실현 가능하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최종 생성물중의 바람직한 양의 조합물을 수득하기 위해서 상이한 박리 코팅물에 대한 새로운 접착제 또는 상이한 접착제에 대한 새로운 코팅물을 시험하는 공정이 친숙한 것이다. 문헌[Handbook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Chapter 18 Silicon Release Coatings Van Nostrand-Reinhold, 1982, pp. 384-403]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박리 코팅물을 선택하는 것과 연관된 참고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처용 드레싱 구체예에서, 접착제의 선택은 피부에 사용하기 안전한 것, 바람직하게는 저알레르기성으로 공지된 부류의 것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부류의 접착제로 바람직한 것은 아크릴 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저-접착 백사이즈(LAB)는 부직포 배킹 또는 특정 필름과 연관지어서 사용하기 적절한 반면, LAB 단독은 다공성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함께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 실리콘 수지, 실록산 가교 결합제 및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촉매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선별된 배킹 및 접착제와 함께 사용될 때 바람직한 박리 특성을 갖는 적절한 실리콘 박리 코팅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리콘/LAB 혼합물과 같은 대안적 박리 코팅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당해 기술자에 익숙한 통상적인 기술(예;추출, 용매 주조, 압연 및 적층법 등)로 제조될 수 있다(문헌[Modern Plastics Encyclopedia McGraw Hill, 1984-85; Coating and Laminating Machines, Weiss Coverting Technology Co. 1977]참조). 복합체 제조 방법은 또한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실시예1]
두께가 7.6mm 인 19cm×70cm 크기의 다공성 폴리에틸렌 시이트(미합중국 특허 제4,539,256호의 실시예23에 따라 제조함)에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97:3 혼합물인 7.3cm폭의 접착제 코팅물을 코팅하였다. 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라이너 단편물을 접착제위에 두어 후속적인 제조 단계중의 오염으로부터 접착제를 보호하였다. 라이너 단편물의 한면상에서 배킹을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촉매 혼합물(General Electric Company사 제품으로 SS4300명으로 시판, Waterford, New York 소재) 95부, 실리콘 수지(GE 제품으로 SR545명으로 시판) 5부 및 가교 결합제(GE 제품으로 4300 C명으로 시판) 2부의 혼합물인 4.9cm폭의 실리콘 박리 물질로 코팅시켰다. 상기 박리 코팅물을 65℃의 비교적 저온에서 열처리하여 경화시켜 배킹의 수축을 방지하였다.
접착제 코팅물의 가장 자리에서 배킹에 기공을 부여하여 접착제를 2개 다공 절단선 사이의 지역에 완전히 코팅되도록 하였다. 이 때, 보호 라이너 단편물을 접착제로 부터 제거하였다. 드레싱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생성물을 중앙부에서 외향 접철로 접고 다공 절단선에 인접한 바깥 부분의 측부에서 내향 접철로 접어서, 접착제 코팅 중앙부의 반을 각 박리 표면 코팅 측부에 적층시켰다.
[실시예2]
배킹이 부직포 배킹 및 박리 물질(Mead Release Products 제품, West Chicago. IL(부직포 N7601-ST3A))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이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복합체의 두께는 0.15mm였다. 박리 물질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모래를 뿌려 적용된 접착제가 배킹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실시예3]
탄성중합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HytrelTM, duPont사 제품, Wilmington, Delaware)을 사용하여 배킹을 제조하였으며, 박리 코팅물이 우레탄 저 접착성 백사이즈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옌1과 같이 접착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4]
중앙부가 6cm의 너비를 가지고, 측부가 7cm의 너비를 가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같이 접착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열 봉인 기계 Model 12AS(Packaging Industries, Inc. 제품, Hyannis, MA)를 사용하여 복합체의 가장 자리를 가열 봉인함으로써 모든 4개의 가장자리를 봉인하였다. 이로써, 단일 포장체가 생성되었다.
[실시예5]
중앙부가 5.5cm의 너비를 가지고, 가열 봉인에 의해서 라기 보다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접착제의 97:3 혼합물의 4mm 단편체로 봉인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4와 같이 접착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상, 기술한 바람직한 특정 양태는 예시 및 설명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다수 수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들어, 상기 복합체는 흡수 패드 또는 접착제 기공을 부가로 포함하므로써 습윤 증기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마주보는 양측에 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중앙부를 갖는 배킹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배킹의 한면중 적어도 일부분상에 코팅된 압감성 접착제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접착제가 코팅된 면은 하나 이상의 측부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고, 상기 중앙부는 분리 수단에 의해 측부로 부터 분리되는 접착 복합체.
  2. 마주보는 양측에 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중앙부를 갖는 배킹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배킹의 한면중 적어도 일부분상에 코팅된 압감성 접착제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접착제가 코팅된 면은 2개의 측부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 복합체.
KR1019900000504A 1990-01-17 1990-01-17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붕대 및 봉함 단위체 KR0144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0504A KR0144573B1 (ko) 1990-01-17 1990-01-17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붕대 및 봉함 단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0504A KR0144573B1 (ko) 1990-01-17 1990-01-17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붕대 및 봉함 단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42A KR900011442A (ko) 1990-08-01
KR0144573B1 true KR0144573B1 (ko) 1998-07-01

Family

ID=7005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504A KR0144573B1 (ko) 1990-01-17 1990-01-17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붕대 및 봉함 단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5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42A (ko) 199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7929A (en) One piece adhesive bandage and package unit
US4917928A (en) Folded adhesive film dressing
KR940000536B1 (ko) 접착제 합성물
USRE33353E (en) Thin film surgical dressing with delivery system
US5153040A (en) Wound dressing
EP0051935B1 (en) Medical device for covering a portion of the anatomical surfaces of a living being
KR100200380B1 (ko) 접착 스트립 및 투명 드레싱을 포함하는 복합 전달 시스템
US6495230B1 (en) Film-based bandage material
US6149614A (en) Medical adhesive composite and package
KR100355857B1 (ko) 접착성합성체드레싱및그제조방법
US5733251A (en) Pop top dressing applicator
JPS6363226B2 (ko)
GB2297260A (en) Adhesive dressing applicator
CA2127173A1 (en) Medical dressing with semi-peripheral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for
JP2000504596A (ja) タブ部材
EP1696847A2 (en) Integrated package
KR0144573B1 (ko) 하나의 단편물로 구성된 접착붕대 및 봉함 단위체
JPH0824288A (ja) 貼付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1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0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110